KR20180070556A - 음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556A
KR20180070556A KR1020187007387A KR20187007387A KR20180070556A KR 20180070556 A KR20180070556 A KR 20180070556A KR 1020187007387 A KR1020187007387 A KR 1020187007387A KR 20187007387 A KR20187007387 A KR 20187007387A KR 20180070556 A KR20180070556 A KR 2018007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beverage
unit
cooling
mi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띠앙 자리쉬
니꼴라 까미에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8007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9Steam nozzles, e.g. for introducing into a milk container to heat and foam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가능 유체 유닛(10)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200, 202)을 포함하는 음료 레시피를 제공하기 위한 음료 시스템(100)으로서,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를 용기(12) 내로 직접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유체 유닛(10) 내의 유체 시스템은 제조 동안 그리고 시스템(100)의 대기 동안 유체 전달 출구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냉각되고; 음료 유닛(200, 202)은 분배된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 위에 음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음료가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의 어떠한 냉각 영역도 통과하지 않는, 음료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를 용기(12) 내로 직접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출구(13, 13')를 포함하고, 음료 유닛(200, 202)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 위의 음료를 용기(12) 내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음료 출구(14, 1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시스템
본 발명은 음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냉각된 우유, 차가운 우유, 상온 우유 또는 뜨거운 우유 및/또는 우유 발포체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커피에 기반한 상이한 음료 레시피를 제공할 수 있고, 세척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쉽게 그리고 완전히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커피-기반 음료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 전형적으로, 표준 커피 기계가 먼저 컵 내로 커피를 전달하고 이어서 우유가 이 커피 기계에 연결된 외부 모듈에 의해 첨가된다. 전형적으로, 우유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인 파이프 또는 덕트 또는 튜브에 의해 우유 모듈로부터 컵으로 첨가된다. 우유 모듈은 위생 상의 이유로 우유를 냉각된 상태로 유지하고, 이어서 이 우유를 외부에서 커피 기계 쪽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공지된 시스템의 문제는 우유를 커피 기계로 반송하게 하는 파이프의 세척으로서: 제품을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세척이 매우 빈번하게 행해져야 되고 심지어 파이프들을 단기간 이후에 교환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실용적이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며, 심지어 위생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발포체 및 뜨거운 우유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는 최신 기술의 우유 발포 기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공지된 기계는 상이한 유형의 발포, 가열 및 우유 저장 솔루션을 이용한다. 사업 응용 분야에서 이용되는 전문적인 우유 발포 기계는 하루 종일 빈번하게 사용되는데: 이들은 전형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 금속 우유 용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우유는, 그것이 사용되어 우유 발포체로서 전달될 때까지 그를 정확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저장되어 전형적으로 약 4℃의 온도에서 냉각된 상태로 유지된다. 문제는, 하루의 시작에서는 우유가 효과적으로 4℃의 낮은 온도에 있지만, 하루가 지나면 우유 온도가 상승하여 용기를 꺼내 몇 시간 동안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우유 온도가 허용 한계치(전형적으로, 약 15℃로 설정됨)를 초과하여 증가한다는 것인데: 첫 번째 경우에는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친화적이지 않으며, 두 번째 경우에는 위생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솔루션은 이러한 기계에 우유 용기를 지속적으로 냉각된 상태로 유지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우유 발포 솔루션은 표준 커피 기계에 부착되거나 링크되어 사용되므로, 커피 기계가 커피 음료를 제공한 다음, 이러한 공지된 발포 장치로부터 나오는 우유 및/또는 우유 발포체의 첨가에 의해 레시피가 완료된다. 그러나, 우유 및/또는 우유 발포체를 커피 기계 쪽으로 반송하는 데에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현재 알려진 발포 솔루션은 사용자 친화성, 취급 및 세척의 면에서 심각한 단점을 갖는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전문적 솔루션은 우유 냉장고(냉각된 상태로 유지된 우유 용기), 우유 유체 시스템, 선택적으로 우유 가열 시스템 및 발포 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모든 기존의 솔루션은 냉각 영역의 외측에 우유 유체 시스템, 가열 장치 및 발포 장치를 갖추고 있어, 각각의 발포체 제조 후 또는 적어도 매일 사용 후 복잡한 세척 절차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료 레시피, 바람직하게는 커피-기반 음료 레시피를 분배할 수 있는 음료 시스템을 제공하며, 본 시스템은 매우 단순화된 세척 및 취급을 허용하고, 복잡한 세척 및 헹굼 사이클을 회피하며, 표준 솔루션에서와 같은 어떠한 위생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술된 필요성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목적,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나타날 다른 문제의 솔루션을 목표로 한다.
제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발포가능 유체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을 포함하는 음료 레시피를 제공하기 위한 음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발포가능 유체 유닛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를 용기 내로 직접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유체 유닛 내의 유체 시스템은 제조 동안 그리고 시스템의 대기 동안 유체 전달 출구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냉각된다. 음료 유닛은 분배된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 위에 음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음료가 발포가능 유체 유닛의 어떠한 냉각 영역도 통과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음료 시스템의 발포가능 유체 유닛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를 용기 내로 직접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출구를 포함하고, 음료 유닛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 위의 음료를 용기 내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음료 출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음료 시스템은 제조될 음료 레시피에 독립적으로, 용기의 크기에 의존하는 용기에 대한 고유 위치설정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료 시스템 내의 발포가능 유체 유닛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모듈식으로 구성되며, 이들 유닛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음료 시스템에서, 발포가능 유체 유닛 내의 유체는 우유이고,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에 의해 분배되는 음료는 커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포가능 유체 유닛은 발포가능 유체가 유지되는 유체 용기 및 유체가 발포되는 발포 장치를 개별적으로 냉각하도록 의도된 2개의 별개의 냉각 유닛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냉각 유닛은 유체 용기가 배열되는 일차 격실을 냉각하고, 다른 냉각 유닛은 발포 장치의 외곽을 둘러싸고 그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블록을 냉각한다. 바람직하게는, 일차 격실은 유체 용기 내의 공동과 협력하는 냉각 블록 및 유체 용기의 측면을 냉각하는 냉각 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포가능 유체 유닛은 블록을 냉각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블록은 용기를 수용하는 내부 용적부 및 발포 장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삽입체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음료 시스템은 공기 입구 및 증기 입구가 제공된 상부 개구부를 포함하고, 공기 입구 및 증기 입구는 상부 개구부가 발포 장치 위를 폐쇄할 때 발포 장치 내의 대응하는 공기 및 증기 입구들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음료 시스템은 상부 개구부 내의 공기 및/또는 증기 입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발포 장치는, 전형적으로, 함께 조립될 때 유체 도관들을 구성하기 위한 공동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몸체들은 상기 몸체들의 접힘 및 펼침을 복수 회 허용하는 결합 요소(joining element)에 의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요소는 힌지로서 구성된다. 또한, 결합 요소는 하나 또는 복수의 클램핑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발포 장치의 몸체들은 함께 모일 때 유체 도관들을 구성하는 상보적 공동들을 포함하는 반부들로서 구성된다.
첨부 도면과 함께 취했을 때,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이점 및 목적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최신 기술에 따른 표준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하나의 우유 유닛과 2개의 커피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우측에 하나의 우유 유닛과 하나의 커피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은 좌측에 하나의 우유 유닛과 하나의 커피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개방 위치에 있는 우유 유닛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폐쇄 위치에 있는 우유 유닛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우유 유닛 내의 구성요소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우유 유닛 내의 내부 구성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1,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기반 음료 시스템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유 유닛의 구성의 상세도들을 도시한다.
도 3 또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커피-기반 음료 레시피를 제공하는 음료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본 시스템(100)은 우유 유닛(10) 및 하나 이상의 커피 유닛(200, 20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것과는 반대의 방식으로 작동하는데: 공지된 시스템은 출구 유닛(4)을 통해 커피를 전달하는 표준 커피 유닛(1)을 포함하고, 우유 유닛(2)에서 나오는 파이프(3)가 그 출구 유닛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 파이프(3)는 시스템의 임의의 냉각 영역 외부로 반송되므로 빈번하게 세척될 필요가 있고, 또한 우유가 파이프(3) 내에 잔류하여 차가운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에 위생 상의 문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의 시스템과는 달리, 본 발명의 시스템(100)은,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우유 및/또는 우유 발포체를 제공하는 우유 유닛(100)을 포함하여서, 우유가 상기 유닛 내에 저장되어 컵 내로 분배되기까지의 동안 우유가 그 유닛 내에서 연속적으로 냉각되어 있게 한다. 사실상, 그것은 유체를 순환시키는 유체 시스템이고, 유체 유닛(10) 내에서 유체는 용기 또는 유체의 저장부로부터 준비된 유체의 출구 또는 전달 출구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냉각되며, 이는 컵(12) 내로 직접 들어가게 된다. 실제로, 냉각되지 않은 유체 유닛(10) 내의 유체와 접촉하는 부분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우유는 직접 유동으로 분배되고, 추가 음료(전형적으로 커피, 본 발명은 커피-기반 음료에만 한정되지 않음)가 그 우유 출구 위로 운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표준 시스템은 직접식 커피 출구를 가지며, 나중에 세척될 필요가 있는 추가 파이프 또는 튜빙(tubing)에 의해 우유가 그 커피 출구 위로 운반된다.
도 2는, 예를 들어, 우유 유닛(10) 및 2개의 커피 유닛(200, 202)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우유 유닛(10)은 우유 및/또는 우유 발포체를 컵(12) 내로 직접 분배하는 직접 유동형의 2개의 우유 출구(13, 13')를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2개의 우유 출구를 포함하며, 각각은 레시피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컵(12)의 크기에 따라 사용된다. 시스템(100)은 2개의 커피 출구(14, 14')를 추가로 포함하여, 대응하는 우유 출구(13, 13') 위로 커피를 가져온다. 따라서, 커피는 위생 상의 문제가 없으므로 외부에서 그리고 우유 출구 위로 반송될 수 있으며: 틀림없이 위생 문제를 제기하는 우유는 우유 유닛(10) 내에서 냉각된 상태로 유지되고, 컵(12) 내에 분배되기까지 냉각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 시스템에서 세척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음료가 제조될 컵에 대해 사용자가 단지 하나의 위치설정을 갖는다는 것이며: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각각 작은 컵 및 큰 컵을 위한 2개의 위치설정 트레이(11, 11')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조될 음료 레시피에 독립적으로, 혼란스러워하지 않을 것이고 시스템에 그의 컵을 배치하기 위한 한 번의 기회만을 가질 것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효과를 위해, 커피는 우유 유닛(10) 내의 냉각 영역을 통과하는 것이 회피되므로, 상기 냉각 영역의 주위 및 외부로 반송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100)의 여러 가지 모듈형 구성이 가능한데: 전형적으로는, 우유 유닛(10)이 제공되고, 하나의 커피 유닛(200)(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음) 또는 2개의 커피 유닛(200, 202)(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음)에 추가로 연결되거나 링크된다. 시스템(100)에는 우유 유닛 및 커피 유닛들 각각에 대한 제어 표시자 및 사용자 작동 수단(15, 16, 16')이 추가로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아이디어는 원-터치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지 작동 수단(15, 16 및/또는 16') 내의 적절한 버튼 또는 버튼들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음료 레시피를 간단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시스템(100)의 모듈화는 그것이 중앙 또는 기준 유닛으로서 하나의 우유 유닛(10)을 포함하고, 이어서 그에 하나 이상의 커피 유닛(200, 202)이 끼워지도록 구성될 것이다. 커피 유닛은, 우유 유닛에 끼워지거나 링크되지 않는 경우, 그들이 독립형 유닛으로서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인데: 이것이 커피 유닛에 독립적인 사용자 작동 수단(16, 16')이 제공되는 이유이다. 유사하게, 우유 유닛(10)이 또한 독립형 유닛으로서 작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우유 유닛에 자체의 작동 수단(15)이 제공된다.
이 시스템은, 커피 단독, 우유 단독, 커피 및 우유의 다양한 레시피, 발포된 또는 발포되지 않은 음료, 그리고 또한 뜨거운 음료, 차가운 음료 또는 상온 음료와 같은 다양한 음료 레시피의 기회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우유에 관해 말할 때, 그것은 순수한 우유인 것뿐만 아니라 상당한 중량 비율의 순수한 우유를 갖는 우유-기반 유체인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거품생성, 발포 또는 휘핑은 동의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각각 개방 및 폐쇄 위치로 도시된 우유 유닛(10)이 나타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10)의 개방은 상부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유체 용기(30) 내로 유체를 충전하는 동안 유체의 온도 증가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 유닛(10)은 유체 용기(30)가 그와 연관된 발포 장치(40)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일차 냉각 격실(6)을 갖는 하우징(1)을 포함한다. 발포 장치(40)는 유체 출구에서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차 냉각 격실(8) 내에 배치된다. 일차 및 이차 냉각 격실(6, 8) 양측 모두는 상부 개구부(2)를 통해 접근가능하여 저온 손실을 최소로 감소시킨다. 우유 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분리된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데: 제1 냉각 유닛(101)은 유체 용기(30)가 삽입되는 일차 냉각 격실(6)을 냉각시키고, 제2 냉각 유닛(201)은 발포 장치(40)와 접촉하는 이차 냉각 격실(8)을 냉각시킨다. 그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는 그것이 용기(30)에 저장될 때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발포되어 출구를 통해 전달될 때까지 냉각된 상태로 유지되며; 따라서, 그것은 모든 단계들 동안 그리고 유닛(10)의 모든 부분들 내에서 냉각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는, 손상될 수 있고 이러한 유닛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는 우유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우유 유닛(10)의 복잡한 세척 절차 및 어떠한 헹굼 작업의 필요성도 회피할 수 있다.
이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발포 장치(40)와 함께 유체 용기(30)의 삽입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유체 용기(30)는 언급된 용기(30)의 용이한 삽입 및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핸들(32)을 갖는 커버(31)를 포함한다. 도 10은 유체 용기(3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일차 냉각 격실(6)을 갖는 제2 도면을 도시한다. 유체, 전형적으로 우유를 더 잘 냉각시키기 위해, 유체 용기(30)는 일차 냉각 격실(6) 내에 있으면서 제1 냉각 유닛(101)에 연결되는 전용 냉각 블록(61)과 협력하는 공동을 포함한다. 또한, 냉각 블록(61)은 일차 냉각 격실(6)의 냉각 벽들(62)을 덮는 금속 시트와 함께 용접된다. 이러한 구성은 유체 용기(30) 내부의 유체에 대한 보다 양호하고 보다 균질의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블록(61)은 일차 냉각 격실(6)의 중앙에 배열되고 공동도 또한 그렇게 배열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유체의 중심으로부터 그의 외측을 향하여 냉각이 이루어질 때 용기(30) 내의 유체의 냉각을 가속시키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우유 유닛(10)에서, 유체와 접촉하고 정기적으로, 전형적으로는 하루에 한 번 세척되어야 하는 유일한 부분들은 유체 용기(30) 및 발포 장치(40)인데: 이들 구성요소는 완전히 제거가능하고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통합된 자동 헹굼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발포 장치(40)는 전개가능한 구성을 가져서, 그의 전개를 전형적으로는 2개의 반부들로 가능하게 하므로, 매우 쉽게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닛(10)에서의 발포는 발포 장치(40)에서 일어나며, 여기서 유체(전형적으로, 우유)는 증기의 주입을 통한 벤츄리 효과에 의해 흡입된다. 공기는 또한 공기 파이프를 통해 제어된 방식으로 첨가되어, 유체에 공기를 첨가하여 그를 발포시켜서 목표로 하는 발포 특성에 따라 공기의 양을 많거나 적게 첨가하거나, 또는 어떠한 공기도 전혀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단지 우유만이 분배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단 증기가 더 이상 주입되지 않으면, 발포 장치(40) 내의 남아있는 유체는 유체 용기(30)로 다시 유동하고, 이러한 발포 장치 내의 남아있는 유체 필름은 위생 상의 문제가 없지 않더라도 일정하게 냉각되기 때문에 수용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제1 냉각 유닛(101)이 유체(우유)를 위한 일차 냉각 용기를 냉각시키도록 의도되고, 제2 냉각 유닛(201)이 발포 장치(40)가 배열되는 이차 냉각 격실(8)을 냉각시키도록 의도된 것을 도시한다. 유체 용기(30) 내부의 유체는 냉각 벽들(62)에 의해 그리고 또한 그의 공동 내에 배열된 냉각 블록(61)에 의해 냉각된다. 발포 장치(40)는, 사실상, 발포 장치 주위에 배열되고 제2 냉각 유닛(20)에 의해 냉각되는 금속 냉각 블록(81)에 의해 냉각된다. 이러한 금속 냉각 블록(81)은 또한 발포 장치(40)를 제 위치에 보유하여, 기밀성(tightness) 및 그의 영구적 냉각을 보장한다.
우유 유닛(10)에서, 증기는 종래의 공지된 수단(증기 파이프에 연결된 써모블록(thermoblock), 물 펌프 및 물탱크)에 의해 생성된다. 발포 장치(40)로의 공기 파이프는 발포 장치(40)에 주입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밸브에 연결되는데: 뜨거운 우유만이 요구되는 경우(즉, 우유 발포체를 목표로 하지 않음), 공기 유입은 차단되고 유체만이 발포 장치를 통해 나아가며, 이어서 유체는 증기 파이프를 통해 주입된 증기에 의해 가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전도, 방사선(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함), 열풍, 유도 등을 이용하여 유체가 증기와는 상이한 다른 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대안적이고 저렴한 솔루션으로서, 우유 유닛(10)은, 그것이 냉각 유닛을 포함하지 않고(따라서, 기계는 실제로 감소된 크기로 제조됨), 유체 용기 및 발포 장치가 냉장고 내에서 또는 유닛 외부에서 외부적으로 냉각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각각의 우유 및/또는 발포체 제조 후에, 유체 용기 및 발포 장치는 냉각을 위해 외부 냉장고 내에 도입된다. 여전히, 유체 용기의 제거 및 발포 장치의 전개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동일한 용이한 세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가 첨부된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우유 유닛(10)의 하우징(1)의 하부 부분에 단지 하나의 냉각 유닛(101)이 배열되어 있다. 이 냉각 유닛은, 실제로, 유체가 담긴 용기(30)가 배열되는 내부 용적부(302) 및 발포 장치(40)의 출구 노즐을 수용하기 위한 삽입체 부분(301)을 포함하면서 또한 냉각되어 있는 날개 부분(303)을 포함하는 블록(300)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냉각 유닛(10)만이 용기(30) 내의 유체와 그 출구 내의 발포 장치(40) 둘 모두를 아래에서부터 냉각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냉각 블록(61)이 또한 용기(30) 내의 대응하는 공동(도시되지 않음)과 협력하는 내부 용적부(302) 내에 배열된다.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유 유닛(10)의 상부 개구부(2)는 발포 장치(40) 내의 대응하는 정합 입구들에 자동으로 연결되는 증기 입구(70) 및 공기 입구(80)를 포함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 개구부(2)는 이제 어떠한 금속 블록(81)도 포함하지 않으며, 이는 또한 이러한 상부 개구부(2)를 훨씬 더 가볍게 제조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우유 유닛(10)의 이러한 실시예는 이제, 유체 용기(30)가 배열되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일차 격실(6)에 대응하는 단지 하나의 격실, 즉 내부 용적부(302)만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및 증기 입구들은 상부 개구부(2)를 통해 직접 제공되므로, 기계의 상부 개구부(2)를 단순히 폐쇄함으로써 발포 장치(40)로의 직접적인 자동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증기 및 공기 입구들(70, 80)로부터 발포 장치(40)로의 연결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또한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많은 수정들 및 대안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발포가능 유체 유닛(10) 및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200, 202)을 포함하는 음료 레시피를 제공하기 위한 음료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은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를 용기(12) 내로 직접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유체 유닛(10) 내의 유체 시스템은 제조 동안 그리고 상기 시스템(100)의 대기 동안 유체 전달 출구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냉각되고;
    상기 음료 유닛(200, 202)은 분배된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 위에 음료를 분배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음료가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의 어떠한 냉각 영역도 통과하지 않는, 음료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은 상기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를 상기 용기(12) 내로 직접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출구(13, 13')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유닛(200, 202)은 상기 유체 및/또는 발포된 유체 위의 상기 음료를 상기 용기(12) 내로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음료 출구(14, 14')를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조될 음료 레시피에 독립적으로, 상기 용기(12)의 크기에 따라 상기 용기(12)에 대한 고유 위치설정 영역을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200, 202)은 모듈식으로 구성되며, 이들 유닛(10, 200, 202)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음료 시스템(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 내의 유체는 우유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유닛(200, 202)에 의해 분배되는 음료는 커피인, 음료 시스템(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은 상기 발포가능 유체가 유지되는 유체 용기(30) 및 상기 유체가 발포되는 발포 장치(40)를 개별적으로 냉각하도록 의도된 2개의 별개의 냉각 유닛(101, 201)을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의 냉각 유닛은 상기 유체 용기(30)가 배열되는 일차 격실(6)을 냉각하고, 다른 냉각 유닛은 상기 발포 장치(40)의 외곽을 둘러싸고 그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 블록(81)을 냉각하는, 음료 시스템(1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 격실(6)은 상기 유체 용기(30) 내의 공동과 협력하는 냉각 블록(61) 및 상기 유체 용기(30)의 측면을 냉각하는 냉각 벽(62)을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가능 유체 유닛(10)은 블록(300)을 냉각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300)은 상기 용기(30)를 수용하는 내부 용적부 및 상기 발포 장치(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삽입체 부분(301)을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입구(80) 및 증기 입구(70)가 제공된 상부 개구부(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입구(80) 및 상기 증기 입구(70)는 상기 상부 개구부(2)가 상기 발포 장치(40) 위를 폐쇄할 때 상기 발포 장치(40) 내의 대응하는 공기 및 증기 입구들과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시스템(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구부(2) 내의 상기 공기 및/또는 증기 입구들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장치(40)는 함께 조립될 때 유체 도관들을 구성하기 위한 공동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제1 몸체 및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몸체들은 상기 몸체들의 접힘 및 펼침을 복수 회 허용하는 결합 요소(joining element)에 의해 결합되는, 음료 시스템(1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힌지로서 구성되는, 음료 시스템(100).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는 하나 또는 복수의 클램핑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료 시스템(100).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들은 함께 모일 때 상기 유체 도관들을 구성하는 상보적 공동들을 포함하는 반부들로서 구성되는, 음료 시스템(100).
KR1020187007387A 2015-10-23 2016-10-19 음료 시스템 KR201800705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1164.1 2015-10-23
EP15191164 2015-10-23
PCT/EP2016/075065 WO2017067972A1 (en) 2015-10-23 2016-10-19 Bever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556A true KR20180070556A (ko) 2018-06-26

Family

ID=5436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87A KR20180070556A (ko) 2015-10-23 2016-10-19 음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39711B2 (ko)
EP (1) EP3364830A1 (ko)
JP (1) JP2018537140A (ko)
KR (1) KR20180070556A (ko)
CN (1) CN108135394B (ko)
AU (1) AU2016342223A1 (ko)
BR (1) BR112018006634A2 (ko)
CA (1) CA3002572A1 (ko)
IL (1) IL257451A (ko)
MX (1) MX2018004738A (ko)
RU (1) RU2018118602A (ko)
WO (1) WO20170679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09610A (pt) * 2016-09-13 2018-03-13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ergonómica,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com a referida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e processo de operação da referida máquina
IT201800002659A1 (it) * 2018-02-13 2019-08-13 De Longhi Appliances Srl Caraffa per il riscaldamento e/o emulsione di latte
CN109998376A (zh) * 2019-05-07 2019-07-12 北京未来购电子商务有限公司 饮品机的辅料自助装置和饮品自助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6379B3 (en) 1993-03-31 1994-02-17 Reginald Bruce Pascoe Beverage dispensing unit
NL1002936C2 (nl) * 1996-04-24 1997-10-28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het bereiden van warme en geschuimde melk.
US7550169B2 (en) * 2003-07-08 2009-06-23 The Coca-Cola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foamed and steamed milk from milk concentrate
ITFI20090177A1 (it) * 2009-08-03 2011-02-04 Saeco Strategic Services Ltd "un dispositivo di collegamento fra un vano refrigerato ed un erogatore di liquido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EP2474254A1 (en) * 2011-01-07 2012-07-11 Nestec S.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system
DE202012009076U1 (de) 2012-09-21 2012-11-16 Eugster/Frismag Ag Vorrichtung zur Bereitung von wahlweise kaltem oder warmem Milchschaum oder Abgabe wahlweise kalter oder warmer Mil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5394B (zh) 2021-03-16
EP3364830A1 (en) 2018-08-29
CA3002572A1 (en) 2017-04-27
US20180310751A1 (en) 2018-11-01
JP2018537140A (ja) 2018-12-20
WO2017067972A1 (en) 2017-04-27
IL257451A (en) 2018-04-30
AU2016342223A1 (en) 2018-03-08
RU2018118602A (ru) 2019-11-25
CN108135394A (zh) 2018-06-08
US11039711B2 (en) 2021-06-22
MX2018004738A (es) 2018-07-06
BR112018006634A2 (pt)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9669B2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RU2534418C2 (ru) Кофемашина с охлаждаемым отделением
US11168290B2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EP2478803A1 (en) Machine for supplying hot and cold beverages
KR20180070556A (ko) 음료 시스템
EP3246391B1 (en) Beer maker
US11198839B2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US11134807B2 (en) Frothing device
KR20190039500A (ko) 모듈형 발포 유닛
US10492639B1 (en) Convective heating system for a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container
KR102558089B1 (ko) 음료 제조기
CN107787196B (zh) 流体发泡机
JP2020531211A (ja) 加熱装置及び機器
KR102557937B1 (ko) 음료 제조기
JP2022524980A (ja) 急速冷却・加熱するためのポータブル装置
ITMI980974A1 (it) Apparecchiatura per erogazione rapida di infusi a base di caffe' come caffe' espresso o cappuccino
KR20190014763A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