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085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085A
KR20180070085A KR1020160172354A KR20160172354A KR20180070085A KR 20180070085 A KR20180070085 A KR 20180070085A KR 1020160172354 A KR1020160172354 A KR 1020160172354A KR 20160172354 A KR20160172354 A KR 20160172354A KR 20180070085 A KR20180070085 A KR 20180070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haracter
recognition
inpu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민
민정상
홍기범
주시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085A/ko
Publication of KR20180070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06K9/0035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B60K2350/1024
    • B60K2350/1052
    • B60K2350/2013
    • B60K2350/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중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인식률이 가장 높은 인식축에 기초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터치부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 상기 터치부의 중심을 지나는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상기 인식된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은 기본적으로 주행 기능 이외에도 탑승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조작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조작 부하의 증가는 운전자의 운전에 대한 집중도를 저하시켜 안전 운전을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기능의 수가 증가할수록 조작의 곤란성이 증가할 수 있어, 차량의 조작이 미숙한 운전자는 차량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전자의 조작 부하 및 조작의 곤란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용 입력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입력장치 의 대표적인 예로서 운전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가 있다. 운전자는 복잡한 조작 없이, 터치 입력장치를 터치함으로써 차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제스처에 의해 입력된 문자의 인식률은 인식축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중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인식률이 가장 높은 인식축에 기초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터치부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 상기 터치부의 중심을 지나는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상기 인식된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상기 인식축에 의해 결정되는 직교 좌표계 상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감지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준 인식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튜토리얼(Tutorial) 모드에서 상기 터치부를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인식축을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토리얼 모드에서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각각의 인식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식률이 가장 높은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방향인 입력축을 확인하는 입력축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축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입력축과 평행한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 확인부는, 상기 터치부 외곽에 인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터치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접 물체에 대한 상기 터치부 외곽에서의 감지 위치 및 상기 터치부 상의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평균 감지 위치를 지나는 직선을 상기 입력축으로 결정하는 입력축 결정부;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 확인부는, 상기 터치부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축을 결정하는 입력축 결정부;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원형의 오목 영역으로 구성되는 상기 터치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부의 중심을 지나는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상기 인식된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상기 인식축에 의해 결정되는 직교 좌표계 상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감지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준 인식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튜토리얼(Tutorial)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인식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인식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튜토리얼 모드에서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각각의 인식률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인식률이 가장 높은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방향인 입력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입력축과 평행한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부 외곽에 인접한 물체에 대한 감지 위치 및 상기 터치부 상의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평균 감지 위치를 지나는 직선을 상기 입력축으로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부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는, 원형의 오목 영역으로 구성되는 터치부를 통해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 할 수 있다.
개시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률이 가장 높은 인식 축에 기초하여 문자를 인식하므로, 문자 입력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은 운전자 및 탑승자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인식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축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인식축을 이용하여 인식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부(7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0)와, 기어 박스(20), 센터페시아(30) 및 조향 휠(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 50)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24)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22)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50)에 마련된 조향 휠(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42a, 42b)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스터(43)는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게이지와 차량의 RPM을 나타내는 RPM 게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한 눈에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43)는 차량(1)에 관한 정보, 특히 차량(1)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43)는 잔여 연료량에 기초한 주행 가능 거리나, 내비게이션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 중에 시선을 전방으로부터 과도하게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43)는 대시보드(50)의 영역 중 조향 휠(40)과 대면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대시보드(50)에는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정보가 전면 유리(17)에 표시되도록 하는 HUD(Head Up Display)가 마련될 수도 있다.
대시보드(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시계(32), 오디오 장치(33), 디스플레이(34), 및 터치 입력장치(100, 2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31)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31)는 센터페시아(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30)에는 공조 장치(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32)는 공조 장치(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3)는 오디오 장치(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33)는 스피커(6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스피커(60)가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스피커(6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34)는 차량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와 같은 직접 정보와, 차량 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간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34)는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대시보드(50)는 운전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터치 입력장치(100, 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에 문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경우, 운전자는 터치 입력장치(100, 200)를 통해 문자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회전된 인식축을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차량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터치부를 통해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100, 200); 각종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저장부(400); 터치 입력장치에 의해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4); 및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결정하는 제어부(300); 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00)에는 차량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각종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400)는 지도 정보,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와 같은 직접 정보와, 차량 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간접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400)는 후술할 터치 입력장치(100, 200)에 의한 제스처 감지 위치를 좌표로서 저장할 수 있다. 제스처 감지 위치는 기준 인식축에 기초하여 좌표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저장부(400)는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와 문자와의 대응 관계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300)는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400)에 미리 저장된 정보는 후술할 제어부(300)에 제공되어 차량의 제어에 기초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는 후술할 터치 입력장치(100, 200)에 의해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 결과로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어부(300)가 감지된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면, 디스플레이(34)는 제어부(300)에 의해 인식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 200)는 운전자를 포함하는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100, 200)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터치 입력장치(100, 200)는 터치의 감지가 가능한 면상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원형 또는 타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100, 200)는 원형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영역이 마련되고, 원형의 오목 영역에서 터치를 감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에 개시된 터치 입력장치는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부(110)와, 터치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120)를 포함한다.
터치부(110)는 탑승자가 손가락 또는 터치펜 등의 포인터로 접촉하거나 근접하는 경우 신호가 생성되는 터치패드일 수 있다. 탑승자는 터치부(110)에 미리 정해진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여 원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패드는 그 명칭에 불구하고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터치필름 또는 터치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는 스크린에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인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한 상태에서 포인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하고,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접촉하는 경우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한다. 이 때,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근접할 때 포인터가 터치패드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터치패드는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압력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드를 사용할 수 있다.
테두리부(120)는 터치부(11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11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120)에는 터치부(110)를 둘러싸는 키 버튼 또는 터치 버튼(121)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터치부(110)에서 터치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부(110) 주위의 테두리부(120)에 마련되는 버튼(121)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탑승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손목 지지수단(130)은 터치부(110)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탑승자가 손목 지지수단(130)에 손목을 지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터치부(110)를 터치할 때 손목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근곤격계 질환을 방지하고 보다 편안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부(110)는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110)의 터치면이 터치부(110)와 테두리부(12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면이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c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부(110)는 오목한 곡면 영역을 포함하는 곡면부를 포함한다.
터치부(110)가 테두리부(12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탑승자가 터치부(110)의 영역 및 경계를 촉감에 의해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부(110)의 중앙 부분에서 터치의 감지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촉감에 의해 직관적으로 터치 영역 및 경계를 인지할 수 있어, 탑승자가 정확한 위치에 터치를 입력할 수 있고, 그 결과 터치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터치부(110)는 오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목이란 요입(凹入) 또는 함몰된 형상을 의미하며, 둥그스름하게 들어가는 형상뿐만 아니라 경사지거나 단차지도록 들어가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터치부(110)는 오목한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터치부(110)의 곡면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의 곡률은 작고(곡률반경이 큰 것을 의미), 외곽부의 곡률은 크게(곡률반경이 작은 것을 의미) 제공될 수 있다.
터치부(110)가 곡면을 포함함으로써 터치를 입력할 때에 탑승자가 느끼는 터치감(또는 조작감)이 상승할 수 있다. 터치부(110)의 곡면은 사람이 손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가락을 움직이거나 손가락을 핀 채로 손목을 회전시키거나 비트는 등의 동작을 할 때 손가락 끝의 움직임이 그리는 궤적과 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오목한 곡면 영역을 형성하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원형으로 마련됨으로써 탑승자가 촉감으로 원형 터치부(110)의 터치 영역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롤링 또는 스핀 동작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터치부(11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탑승자는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부(110)가 곡면으로 마련됨으로써 터치부(110)의 어느 지점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손가락을 통해 느껴지는 기울기 감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탑승자가 터치부(110) 이외의 곳에 시선을 고정한 상태에서 터치부(1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손가락이 터치부(110)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가 원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제스처의 입력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는 달리, 도 5a 내지 5c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는 오목 영역이 중앙과 외곽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장치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의 터치 입력장치(200)는 탑승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부(210, 220)와,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테두리부(230)를 포함한다.
터치부가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도 4a 내지 4c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테두리부(230)는 터치부(210, 220)의 주위를 둘러싸는 부분을 의미하며, 터치부(210, 220)와 별도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테두리부(230)에는 터치부(210, 220)를 둘러싸는 키 버튼(232a, 232b) 또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탑승자는 터치부(210, 220)에서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고, 터치부(210, 220) 주위의 테두리부(230)에 마련되는 버튼(231, 232)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내지 4c와 같이, 터치 입력장치(200)는 제스처 입력수단의 하부에 위치하여 탑승자의 손목을 지지하는 손목 지지수단(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터치부(210, 220)는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 보다 낮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터치부(210, 220)의 터치면이 터치부(210, 220)와 테두리부(230)의 경계선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면이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에서부터 아래로 경사지도록 마련되거나, 테두리부(230)와의 경계선과 단차를 두고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부(210)를 포함한다.
터치부(210, 220)는 오목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5a 내지 5c와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의 외곽을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210, 220)가 원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스처 입력부(210)는 구면의 일부 형상을 할 수 있고,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곡면부(210)의 원주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스와이핑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탑승자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따라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탑승자는 스와이핑 입력부(22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스와이핑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스와이핑 입력부(220)는 눈금(221)들을 포함할 수 있다. 눈금(221)들은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탑승자에게 상대적인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눈금(221)들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눈금(221)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는 스와이핑 동작 도중에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스와이핑 제스처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스와이핑 제스처에서 손가락이 지나가는 눈금(221)의 개수에 따라 디스플레이(34)에 표시되는 커서가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4)에 다양한 선택 문자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탑승자가 스와이핑 동작을 하면서 하나의 눈금(221)을 지날 때 마다 선택되는 문자가 한 칸씩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의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경사도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와 제스처 입력부(210)가 만나는 경계에서의 스와이핑 입력부(210)의 접선방향 경사도 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탑승자는 제스처 입력부(210)에서 제스처를 입력하는 때에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경사도가 제스처 입력부(210) 보다 더 급하게 제공됨으로써 제스처 입력부(210)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 한편, 제스처 입력부(210)에서 제스처가 입력되는 도중에는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터치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제스처 입력부(210)에 제스처를 입력하는 도중에 스와이핑 입력부(220)와의 경계에 이르더라도, 제스처 입력부(210)의 제스처 입력과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스와이핑 제스처 입력이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터치부(210, 220)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터치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제스처 입력부(210)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에 하나의 터치센서가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400)가 제스처 입력부(210) 터치영역과 스와이핑 입력부(220) 터치영역을 구분함으로써 제스처 입력부(210)의 터치에 의한 신호와, 스와이핑 입력부(220)의 터치에 의한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 입력장치(200)는 버튼 입력수단(231, 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터치부(210, 220)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입력수단(231, 232)은 탑승자의 터치에 의해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터치 버튼(231a, 231b, 231c) 또는 탑승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하면서 지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압 버튼(232a, 232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터치 입력장치(200)에 의해 감지된 제스처 중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입력장치(200)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제스처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면, 제어부(300)는 상술한 터치 입력장치에 의해 감지된 서브 제스처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서브 제스처는 1회의 터치에 따른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고, 저장부(400)에는 감지된 서브 제스처의 감지 위치가 저장될 수 있다.
가장 나중에 감지된 서브 제스처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지연 시간 내에 추가적인 서브 제스처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복수의 서브 제스처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자 입력 제스처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서브 제스처로 구성된 문자 입력 제스처는 1회 이상의 터치에 따른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제스처가 구성되면,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구성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인식축 L에 기초하여 좌표로서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좌표와 저장부(400)에 저장된 대응 관계를 비교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에 대한 대응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저장된 대응 관계 중 감지 위치에 가장 유사한 값을 이용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유사한 정도에 따라 문자 인식의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인식축 L이란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부를 가상의 좌표 평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축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인식축 L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인식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축 L이란 터치부를 가상의 좌표 평면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축으로서, 터치부의 중심 P을 지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인식축 L 및 인식축 L과 수직이고 터치부의 중심 P을 지나는 또 다른 축을 이용하면 터치부의 제스처 감지 위치를 직교 좌표계 상에서 표현할 수 있다.
터치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운전자 및 탑승자를 포함하는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터치부 중 차량(1)의 전방을 상단으로 인식하고, 터치부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축 L이 차량(1)의 전방을 향하고, 터치부의 중심 P을 지나는 직선으로 설정되면, 차량(1)의 전방을 상단으로 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문자 인식의 정확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6a의 경우, 인식축 L이 차량(1)의 전방을 향하고, 터치부의 중심 P을 지나는 직선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가 차량(1)의 전방을 상단으로 인식하여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한 바, 제어부(300)는 인식축 L에 기초하여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 "차"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와 같이, 대시보드(50)의 센터페시아(30) 상에 터치 입력장치(100, 200)가 마련되는 경우, 터치 입력장치(100, 200)는 운전자 및 탑승자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 입력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는 차량(1) 전방으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문자 입력 제스처는 터치 입력장치를 기준으로 사용자기 위치하는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져 입력될 수 있다.
도 6b에서는 입력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예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의 좌측에 위치한대서 기인한 것이다. 이 때, 제어부(300)가 도 6a에서와 동일하게 차량(1)의 전방을 향하는 인식축 L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할 경우, 오인식이 발생할 수 있어 문제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300)는 터치부의 중심 P을 기준으로 인식축 L을 회전하면서, 회전된 인식축 L에 따라 인식된 후보 문자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인식된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회전된 복수의 인식축 L 각각을 이용하여 후보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10ㅀ 간격으로 인식축 L을 회전하면서 후보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300)는 미리 정해진 간격 없이 임의의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복수의 인식축 L 각각을 이용하여 후보 문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후보 문자 인식을 위해, 제어부(3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회전된 인식축 L 상의 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인식축 L이 터치부의 중심 P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제어부(300)는 저장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인식축 L의 회전각만큼 회전시키는 회전 변환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인식축 L의 회전각만큼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가 변환되면, 제어부(300)는 변환된 감지 위치를 저장부(400)에 저장된 대응 관계와 비교하여 후보 문자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감지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실제 감지 위치에 가장 유사한 위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고, 유사 정도에 따라 문자 인식의 신뢰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신뢰도가 낮을수록 문자가 오인식 되었을 확률이 증가하므로, 제어부(300)는 각각의 인식축 L에 대한 문자 인식 신뢰도에 기초하여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서로 다른 회전각을 가지는 복수의 인식축 L 각각에 기초하여 변환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에 대한 문자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인식되는 문자는 최종 인식 문자로 결정되기 전의 문자이므로, 이하 후보 문자라 한다.
각각의 인식축 L에 따라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은 신뢰도가 함께 결정되므로, 제어부(300)는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최종 인식된 문자로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34)는 입력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기울어짐 여부와 상관 없이 정확하게 인식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기준 인식축 L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된 인식축 L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확률적으로 신뢰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방향으로 기준 인식축 L을 설정하고, 그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된 인식축 L을 이용하면, 제어부(300)는 문자 인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기준 인식축 L은 다양한 방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차량(1)의 전방을 향하고 터치부의 중심 P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 인식축 L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300)는 튜토리얼(Tutorial) 모드에서 터치부를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 패턴에 기초하여 기준 인식축 L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튜토리얼 모드란 실제 터치 입력장치의 사용에 앞서, 사용자가 터치 입력장치의 조작 방법 등을 사전에 숙지할 수 있도록 돕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튜토리얼 모드에서 사용자가 터치부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 입력을 시도해보는 동안,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문자 입력 제스처 패턴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준 인식축 L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튜토리얼 모드를 통해 반복적으로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하면, 제어부(300)는 각각의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과 같이 회전축을 회전시켜, 가장 신뢰도이 높은 인식축 L의 회전각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300)는 가장 신뢰도가 높은 인식축 L의 회전각들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기준 인식축 L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00)는 문자 입력 제스처가 터치부에 입력되는 방향인 입력축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기준 인식축 L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차량(1)은 입력축을 확인하기 위한 입력축 확인부(50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축 확인부(500)는 입력축 확인을 위해 두 가지의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먼저, 입력축 확인부(500)는 터치부에 문자 입력 제스처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손목의 위치와 제스처를 입력하는 손가락 끝의 위치를 연결하여 입력축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축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도 7a 및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축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입력축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축 확인부(500)는 터치부 외각에 인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터치부 외곽에 마련되는 센서부(510); 및 센서부(510)에 의해 감지된 결과를 이용하여 입력축을 결정하는 입력축 결정부(530); 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10)는 터치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터치부 외곽에 인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센서부(510)는 사용자의 손목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510)는 인접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안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51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립모션 등을 채택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입력축 결정부(530)는 사용자 손가락 끝의 위치로서 터치부가 감지한 터치 위치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입력축 결정부(530)는 감지된 터치 위치의 평균값과 감지된 터치부 외각의 감지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입력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a의 경우, 운전자에 대한 입력축을 예시한다. 터치부 외곽에 마련되는 센서부(510)는 운전자의 손목 등의 인접 물체 위치를 감지하고, 입력축 결정부(530)는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하는 동안 발생된 터치 위치의 평균값과 센서부(510)가 감지한 물체의 감지 위치를 연결하는 입력축 H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축이 결정되면, 제어부(300)는 결정된 입력축과 평행하도록 회전된 인식축 L을 기준 인식축 L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입력축 H에 평행한 기준 인식축 L LS가 결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b와 같이, 조수석에 위치하는 탑승자가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터치부 외곽에 마련되는 센서부(510)는 탑승자의 손목 등의 인접 물체 위치를 감지하고, 입력축 결정부(530)는 문자 입력 제스처를 입력하는 동안 발생된 터치 위치의 평균값과 센서부(510)가 감지한 물체의 감지 위치를 연결하는 입력축 H를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입력축 H에 평행한 기준 인식축 L LS가 결정될 수 있다.
입력축을 결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입력축 확인부(500)는 터치부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축 확인부(500)는 터치부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52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부를 정확히 모니터링 하기 위해, 카메라(520)는 차량(1) 내부의 천장에 마련될 수 있으나, 카메라(52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모니터링 영상이 획득되면, 입력축 결정부(530)는 모니터링 영상을 영상처리하여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입력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축 결정부(530)는 모니터링 영상 상에서 사용자의 손목 위치와 터치를 발생시키는 손가락 끝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연결하는 직선을 입력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입력축 결정부(530)는 모니터링 영상 내에서 사용자의 손 영역을 추출하고 통계적인 손의 위치에 기초하여 입력축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입력축 결정부(530)는 다양한 방법을 채택하여 문자 입력 제스처의 입력축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렇게 결정된 입력축과 평행하도록 회전된 인식축 L을 기준 인식축 L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인식축 L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만 인식축 L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인식축을 이용하여 인식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같이, 기준 인식축 L이 결정되면, 제어부(300)는 미리 정해진 범위 ㅁα ㅀ 내(빗금 영역)에서만 인식축 L을 회전시키고, 그에 따른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문자 인식의 정확도도 높일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1)은 외부로부터 문자 입력 제스처가 감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900) 구체적으로, 차량(1)의 터치 입력장치 중 원형의 터치부는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 제스처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문자 입력 제스처가 감지되었다면, 차량(1)은 회전각을 달리하는 인식축 L에 기초하여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문자 인식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910) 여기서, 인식축 L은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좌표 평면상의 좌표로 표현하기 위한 기준 축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은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인식축 L마다 문자 인식을 수행하고, 그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1)은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가장 높은 문자 인식 신뢰도를 가지는 회전각의 인식축 L에 기초하여 인식할 수 있다.(920) 구체적으로, 차량(1)은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인식축 L에 따라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문자 인식의 정확도도 높일 수 있다.
1: 차량
34: 디스플레이
100, 200: 터치 입력장치
300: 제어부
400: 저장부
500: 입력축 확인부

Claims (20)

  1. 터치부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터치 입력장치;
    상기 터치부의 중심을 지나는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상기 인식된 문자로 결정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상기 인식축에 의해 결정되는 직교 좌표계 상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감지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준 인식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튜토리얼(Tutorial) 모드에서 상기 터치부를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인식축을 결정하는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튜토리얼 모드에서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각각의 인식률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인식률이 가장 높은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하는 차량.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방향인 입력축을 확인하는 입력축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축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입력축과 평행한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하는 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확인부는,
    상기 터치부 외곽에 인접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터치부의 외곽에 마련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접 물체에 대한 상기 터치부 외곽에서의 감지 위치 및 상기 터치부 상의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평균 감지 위치를 지나는 직선을 상기 입력축으로 결정하는 입력축 결정부; 를 포함하는 차량.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확인부는,
    상기 터치부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상기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축을 결정하는 입력축 결정부; 를 포함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는,
    원형의 오목 영역으로 구성되는 상기 터치부를 포함하는 차량.
  11.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부의 중심을 지나는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문자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후보 문자를 상기 인식된 문자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상기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축에 기초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감지 위치를 상기 인식축에 의해 결정되는 직교 좌표계 상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감지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응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기준 인식축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회전된 상기 인식축 각각에 기초하여 인식된 후보 문자 각각의 신뢰도를 확인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튜토리얼(Tutorial) 모드에서 상기 터치 입력장치를 통해 감지되는 문자 입력 제스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기준 인식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인식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튜토리얼 모드에서 감지된 문자 입력 제스처에 대한 서로 다른 회전각에 따라 회전된 인식축 각각의 인식률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인식률이 가장 높은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가 상기 터치부에 입력되는 방향인 입력축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입력축과 평행한 상기 회전된 인식축을 상기 기준 인식축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부 외곽에 인접한 물체에 대한 감지 위치 및 상기 터치부 상의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의 평균 감지 위치를 지나는 직선을 상기 입력축으로 결정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입력장치의 터치부에 대한 모니터링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모니터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입력축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는,
    원형의 오목 영역으로 구성되는 터치부를 통해 상기 문자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72354A 2016-12-16 2016-12-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0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54A KR20180070085A (ko) 2016-12-16 2016-12-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354A KR20180070085A (ko) 2016-12-16 2016-12-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085A true KR20180070085A (ko) 2018-06-26

Family

ID=6278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354A KR20180070085A (ko) 2016-12-16 2016-12-16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0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1958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touch input device
US10866726B2 (en) In-vehicle touch device having distinguishable touch areas and control character input method thereof
US11474687B2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802701B2 (en)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KR1016780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60320939A1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60137064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170060312A1 (en) Touch input device and vehicle including touch input device
US20180081452A1 (en) Touch input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073282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5372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180074070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92058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0085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71020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437465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901194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88903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9297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76461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70293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1994B1 (ko) 터치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65549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671661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8708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