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958A -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 Google Patents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958A
KR20180069958A KR1020160171610A KR20160171610A KR20180069958A KR 20180069958 A KR20180069958 A KR 20180069958A KR 1020160171610 A KR1020160171610 A KR 1020160171610A KR 20160171610 A KR20160171610 A KR 20160171610A KR 20180069958 A KR20180069958 A KR 2018006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shaft body
glass suppor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076B1 (ko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에프
Priority to KR102016017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0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Abstract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사이에 조립되어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측부 혹은 하부를 지지하는 글래스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글래스 지지대는, 샤프트 몸체부와;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둘레에 회전체 형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요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글래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는 좌우 비대칭일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Cassette for loading curved type glass}
본 발명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단말, 태블릿 피씨(tablet PC), 넷북 등의 휴대용 컴퓨터, 내비게이션 단말, 모니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전자장치들에 대해 점차 터치스크린의 적용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터치스크린의 경우 사용자의 잦은 터치 입력에 대해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강도가 향상된 강화 글래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강화 글래스의 경우 원판 글래스가 적합한 크기로 절단되고, 에지 연마 장치 등을 이용하여 절단면에 대한 정밀 가공이 수행된다. 에지 연마가 완료된 글래스는 고온의 강화로에 투입되어 강화가 이루어지고, 터치패널회로의 인쇄 등 다양한 후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 각 공정 사이마다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고 불량품을 줄이기 위해 다수의 세정 공정이 포함되기도 한다.
전술한 공정들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대량 생산을 위해 다수의 글래스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자 카세트(cassette)가 이용된다.
최근 제품군이 다양해지면서 기존 디자인과는 차별화된 다양성과 함께 미적 기능을 강화하고, 사용상의 다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곡면형 인쇄 글래스를 이용한 전자장치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도 1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가 적용된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평면 표시부(2)와 곡면 표시부(3)를 포함하는 전자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평면 표시부(2)와 곡면 표시부(3)는 독립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평면 표시부(2)와 곡면 표시부(3)가 개별적인 디스플레이로 구성될지라도 그 표면에는 하나의 곡면형 인쇄 글래스(4)가 장착되어 터치 패널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처럼 곡면 표시부(3)를 가지는 전자장치(1)에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4)가 장착되는데,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경우 열처리 등의 공정에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모서리(엣지) 부분의 손상 없이 적재 가능한 카세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107462호에는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다수 끼움홈(21, 31)이 형성되는 끼움대(20, 30)가 마련되지만, 끼움홈(21, 31)이 좌우 대칭인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어 곡면형 인쇄 글래스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107462호 (2011.10.04 공개) -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본 발명은 곡면 표시부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에 대해 모서리 부분의 손상 없이 지지가 가능한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조립 및 정밀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제조 공정 중에 곡면형 인쇄 글래스를 적재하여 이송, 보관, 세정할 때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크기에 상관없이 그 움직임을 제한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사이에 조립되어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측부 혹은 하부를 지지하는 글래스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글래스 지지대는, 샤프트 몸체부와;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둘레에 회전체 형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요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글래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는 좌우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가 제공된다.
상기 요홈부는, 상기 샤프트 몸체부에 수직한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제1 경사를 갖는 제1 빗면과, 제2 경사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가 상기 제2 경사에 비해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는 상기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에 상응하는 평면 부분과 모서리 부분 사이의 사이각에 미리 정해진 마진을 합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지지부는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양단에는 널링(knurling)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지지대는,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양단에 널링 영역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널링 영역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 몸체부를 PTFE 재료가 수용된 챔버 내에 넣은 후 몰딩 처리하여 원통형 지지대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지지대의 외층을 이루는 PTFE 층에 상기 요홈부를 절삭 가공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되, 상기 원통형 지지대의 직경은 최종 완성된 상기 글래스 지지대에서 상기 샤프트 몸체부로부터 상기 글래스 지지부의 수평면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표시부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에 대해 모서리 부분의 손상 없이 지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곡면형 인쇄 글래스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조립 및 정밀 위치 제어가 용이하여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제조 공정 중에 곡면형 인쇄 글래스를 적재하여 이송, 보관, 세정할 때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크기에 상관없이 그 움직임을 제한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제품 수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가 적용된 전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글래스 지지부의 상세 단면도,
도 7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글래스 지지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글래스 지지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글래스 지지대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글래스 지지대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의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글래스 지지부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7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가 적재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글래스 지지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글래스 지지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글래스 지지대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글래스 지지대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2에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곡면형 글래스'라 하기도 함)(4, 4a~4d, 이하 '4'로 통칭하기도 함),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100), 프레임(10), 하면 패널(11), 사이드 패널(20), 유출입홀(21), 위치 조정부(30), 프레임 지지대(40), 글래스 지지대(50), 상부 장공(31), 중앙부 장공(32), 하부 장공(33), 위치조정 톱니(36, 37), 샤프트 몸체부(51), 글래스 지지부(52), 요홈부(53), 제1 빗면(111), 제2 빗면(112), 수평면(113), 샤프트 끝단부(54), 방향조정부(55), 단턱(56), 체결공(58), 위치조정 캡(60), 걸림돌기(61), 스프링 수용부(62), 관통홀(63), 체결부재(70), 스프링(80), 글래스 지지편(90a~90e, 이하 '90'으로 통칭하기도 함), 널링 영역(92), 원통형 지지대(94)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100)는 곡면 표시부를 가지는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에 대한 각종 작업 과정에서 글래스에 대해 곡면 부분의 모서리에 대해서 파손 없이 지지가 가능하며, 글래스를 지지하는 지지대의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글래스의 크기 및/또는 모양에 상응하여 지지대의 위치 조정이 자유로운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100)는 기본적으로 프레임(10)과 글래스 지지대(50)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내부에 곡면형 인쇄 글래스(4)가 적재될 공간(글래스 적재 공간)이 마련되며, 판재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0) 및 이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대(40)를 포함한다. 하부에는 하면 패널(11)이 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프레임 지지대(40)는 사이드 패널(20)과 함께 글래스 적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프레임 지지대(4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사이드 패널(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글래스 적재 공간이 최대화되도록 사이드 패널(20)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레임 지지대(40)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이드 패널(20)에는 글래스 적재 공간에 적재된 곡면형 인쇄 글래스(4)에 대한 공정 시 내부에 세정수 등이 유출입 될 수 있도록 하는 유출입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입홀(21)은 사이드 패널(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유출입홀(21)은 글래스에 대한 각종 공정 수행 시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 공정 시 세정수가 유출입홀(21)을 통해 글래스 적재 공간에 유입되거나 세정이 완료된 후 유출입홀(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유출입홀(21)은 프레임(10)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프레임(10)의 제작 시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사이드 패널(20)에는 글래스 지지대(50)가 좌우로 수평 위치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위치 조정부(30)가 상부 및 하부에 2행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의 위치 조정부(30)에 조립되는 글래스 지지대(50)는 하부 지지대로서 기능하며, 상부의 위치 조정부(30)에 조립되는 글래스 지지대(50)는 측부 지지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위치 조정부(30)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3개의 장공(31, 32, 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장공(31)의 내측면 하부와 하부 장공(33)의 내측면 상부에는 각각 위치조정 톱니(36, 37)가 형성되어 있어, 위치조정 캡(60)의 걸림돌기(61)가 톱니 단위로 걸리면서 수평 이동하게 되어 글래스 지지대(50)의 정밀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중앙부 장공(32)에는 글래스 지지대(50)의 방향조정부(55)가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위치 조정부(30)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0) 각각에 대해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 사이드 패널(20)에 형성된 위치 조정부(30)가 서로 마주보게 됨으로써 글래스 지지대(50)의 양 끝단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사이드 패널(20)에 수직인 상태로 위치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사이드 패널(20)에 대해 상부의 위치 조정부(30)와 하부의 위치 조정부(30)가 4개씩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글래스 지지대(50)의 위치 조정 수행이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상부 및/또는 하부에 길이가 길게 연장된 위치 조정부가 1개씩만 존재할 수도 있고, 위치 조정부 내에 복수의 글래스 지지대(50)가 조립되어 그 위치 조정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사이드 패널(20)에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적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위치(예를 들어, 상부 양끝 혹은 하부 양끝 부분)에 프레임 지지대(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프레임 지지대(40)는 고정홀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사이드 패널(20)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글래스 적재 공간을 마련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측에 글래스 지지부(52)가 설치된 프레임 지지대(40)가 사이드 패널(20)의 중심부에 고정 설치되거나(41 참조)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 설치된 프레임 지지대(40)의 외측에 글래스 지지부(52)가 설치되어 측부 지지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글래스 지지대(50)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0)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위치 조정부(30) 사이에 조립되어 글래스 적재 공간 내에 적재될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측부 혹은 하부를 지지한다.
글래스 지지대(50)는 그 조립 위치에 따라 측부 지지대 혹은 하부 지지대로서 기능한다. 사이드 패널(20)의 상부에 위치한 위치 조정부(30)에 조립되는 글래스 지지대(50)는 측부 지지대로서 기능하고, 사이드 패널(20)의 하부에 위치한 위치 조정부(30)에 조립되는 글래스 지지대(50)는 하부 지지대로서 기능한다.
글래스 지지대(50)는 샤프트, 글래스 지지부(52), 위치조정 캡(60)을 포함한다.
샤프트는 샤프트 몸체부(51), 샤프트 끝단부(54), 방향조정부(55)로 구분된다. 샤프트 몸체부(51)의 양 끝단에 샤프트 끝단부(54)가 마련되고, 샤프트 끝단부(54)의 끝단에는 방향조정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몸체부(51)의 외측에는 글래스 지지부(52)가 돌출 설치된다. 글래스 지지부(52)는 좌우 비대칭 구조를 가지는 요홈부(53)가 형성된 회전체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요홈부(53)는 제1 경사를 가지는 제1 빗면(111)과 제2 경사를 가지는 제2 빗면(112)으로 구성된다. 서로 이웃하는 요홈부(53) 사이에는 소정 폭을 가지는 수평면(113)이 놓여진다. 그리고 빗면의 경사각, 즉 제1 경사와 제2 경사는 서로 상이한 각도일 수 있다.
요홈부(53)의 최저점에서 샤프트 몸체부(51)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놓여진 가상의 선(L)을 가정할 경우, 수직 가상선(L)과 제1 빗면(111)의 사이각은 A11, 수직 가상선(L)과 제2 빗면(112)의 사이각은 A12가 된다. 이 경우 요홈부(53)의 전체 사이각(즉, 제1 빗면(111)과 제2 빗면(112)의 사이각)은 A1(=A11+A12)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곡면 형상의 모서리부가 닿는 제1 빗면(111)에 상응하는 사이각 A11이 제2 빗면(112)에 상응하는 사이각 A12보다 큰 값을 가진다.
또한, 제1 빗면(111)에 상응하는 사이각 A11은 적재대상인 곡면형 인쇄 글래스(4)와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곡면형 인쇄 글래스(4)는 요홈부(53) 내에 놓여지는 모서리부가 곡면 처리되어 있어,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모서리 곡률에 따라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중간부가 샤프트 몸체부(51)에 대해 수직으로 놓여질 때 평면 부분과 모서리부 사이의 사이각 중 예각(A2)에 대해 미리 정해진 마진(margin)(A3)을 더한 각도가 제1 빗면(111)에 대한 사이각 A11이 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100)에는 다양한 크기 및 모서리 곡률을 가지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들이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 예상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중에서 최대의 모서리 곡률을 가지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에 대해 소정 크기 이상의 마진(A3)이 있도록 요홈부(53)의 제1 빗면(111)에 대한 사이각 A11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이각 A11은 대략 60도(˚) 정도일 수 있다.
제2 빗면(112)이 제1 빗면(111)과 동일한 경사를 가질 경우 곡면형 인쇄 글래스(4)를 어느 방향으로든 적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제1 빗면(111) 및 제2 빗면(112)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져 한정된 길이의 글래스 지지대(50) 상에 적재 가능한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수량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2 빗면(112)에 대해서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모서리 단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면서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이 용이하게 하기에 충분한 경사각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이각 A12는 대략 25도(˚) 정도일 수 있다.
요홈부(53)에서 제1 빗면(111)과 제2 빗면(112)이 만나는 지점, 제1 빗면(111)과 수평면(113)이 만나는 지점, 제2 빗면(112)과 수평면(113)이 만나는 지점은 R컷 처리(R1, R2, R3 참조)되어 있을 수 있다. R컷 처리에 의해 요홈부(53)에 로딩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4)의 모서리부 및 그 표면에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지지부(52)는 복수의 글래스 지지편(90a~90e)으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11 참조).
글래스 지지편(90a~90e)은 내부에 샤프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다수의 요홈부(53)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복수의 글래스 지지편(90a~90e)이 하나의 샤프트의 샤프트 몸체부(51)에 연속적으로 끼움 결합하여 조립됨으로써 하나의 글래스 지지부(52)를 완성한다. 이 때 복수의 글래스 지지편(90a~90e)은 샤프트 몸체부(51)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립 시 연속된 글래스 지지편(90) 사이에는 요홈부(53)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그리고 글래스 지지편(90)의 양단에는 요홈부(53)가 놓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글래스 지지편(90)의 둘레에 형성된 글래스 지지부(52)의 양단에는 수평면(113) 일부가 놓여지게 되며, 양단의 수평면(113) 일부가 서로 조립되는 경우 하나의 완성된 수평면(113)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지지편(90)은 곡면형 인쇄 글래스(4)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연질 소재로 제작되어 곡면형 인쇄 글래스(4)에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지지부(52)는 하나의 샤프트에 대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글래스 지지부(52)는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TFE 일체형 구조의 경우 열을 가했을 때에도 수축, 팽창이 이루어지지 않고 본연의 형상(치수)을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글래스 지지대(5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샤프트 몸체부(51)의 양단, 자세하게는 샤프트 몸체부(51)의 양단 외면에 널링(knurling) 작업을 통해 널링 영역(92)을 형성시킨다(단계 S200). 널링 영역(92)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거칠고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는 부분으로, 가로 혹은 경사지게 톱니 모양을 붙이거나 외면에 톱니 모양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널링 영역(92)은 샤프트 몸체부(51)와 PTFE 재료 사이에 밀착성을 높이고 제품에 열을 가하는 환경일 때 수축 팽창을 일부 널링 영역(92)에서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널링 영역(92)이 형성된 샤프트를 PTFE 재료가 수용된 챔버 내에 넣은 후, 몰딩 처리한다(단계 S210). 몰딩 처리 과정에서는 충진 및 압축(filling & compression), 소성-열처리(sintering), 냉각(annealing)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몰딩 처리를 통해 샤프트 몸체부(51)의 외면 둘레에는 PTFE 재료가 압축된 PTFE 층이 소정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 지지대(94)가 1차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지지대(94)의 외층을 이루는 PTFE 층은 널링 영역(92)에 의해 샤프트 몸체부(5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 지지대(94)의 직경은 최종 완성된 글래스 지지대(50)에서 샤프트 몸체부(51)로부터 수평면(113)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즉, 원통형 지지대(94)의 외면이 수평면(113)이 된다.
다음으로는 원통형 지지대(94)에 대해 절삭 가공을 통해 요홈부(53)를 형성한다(단계 S220). 요홈부(53)는 앞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좌우 비대칭인 제1 빗면(111)과 제2 빗면(11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방향조정부(55)는 정면에서 볼 때 코너가 R컷 혹은 C컷된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코너가 컷팅되지 않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거나 원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샤프트 몸체부(51)와 그 양 끝단에 내측으로 단턱(56)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샤프트 끝단부(54)의 길이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2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방향조정부(55)는 사이드 패널(20)에 형성된 위치 조정부(30)의 중앙부 장공(32)에 끼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방향조정부(55)는 위치 조정부(30)의 중앙부 장공(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 크기는 중앙부 장공(32)의 두께에 대응된다. 즉, 방향조정부(55)에서 마주보는 변 사이의 간격은 중앙부 장공(32)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이내에서 작을 수 있다.
샤프트 끝단부(54)는 샤프트 몸체부(51)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있어 샤프트 몸체부(51)와 샤프트 끝단부(54)가 만나는 지점에는 단턱(5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샤프트 끝단부(54)에는 위치조정 캡(60)이 조립될 수 있다.
위치조정 캡(60)은 일면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스프링 수용부(62)가 마련되어 있고, 타면에는 스프링 수용부(62)와 연통되는 관통홀(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조정 캡(60)의 타면 외측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61)가 돌설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걸림돌기(61) 사이의 간격은 위치 조정부(30)의 상부 장공(31)과 하부 장공(33)에 형성된 위치조정 톱니(36, 37) 간의 간격에 대응되며, 걸림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돌기(61) 각각이 상부 장공(31)과 하부 장공(33)에 형성된 위치조정 톱니(36, 37)의 골 부분에 걸려 있게 된다.
관통홀(63)은 샤프트 끝단부(54)가 관통 가능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 샤프트 끝단부(54)보다 작은 길이의 위치조정 캡(60)이 샤프트 끝단부(54)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 끝단부(54)에 위치조정 캡(60)이 조립된 경우, 샤프트 끝단부(54)와 위치조정 캡(60)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되며, 해당 공간에는 스프링(80)이 개재될 수 있다.
스프링(80)의 직경은 샤프트 끝단부(54)보다 크고 샤프트 몸체부(51)보다 작아, 스프링(80)이 단턱(56)에 걸리게 되면서 샤프트 끝단부(5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샤프트 끝단부(54)에 스프링(80)이 끼워진 후 위치조정 캡(60)이 조립된다.
여기서, 스프링(80)의 일단은 단턱(56)에 접하고 타단은 위치조정 캡(60)의 스프링 수용부(62)의 바닥면에 접한다. 스프링(80)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샤프트 끝단부(54)에 조립된 위치조정 캡(60)의 위치에 따른 단턱(56)과 스프링 수용부(62)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 변화에 대응 가능하며, 단턱(56)과 스프링 수용부(62)의 바닥면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는 방향, 즉 위치조정 캡(60)이 샤프트 몸체부(5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한다.
방향조정부(55)에는 체결공(58)이 형성되어 있으며, 방향조정부(55)가 중앙부 장공(32)에 끼움 결합된 이후 사이드 패널(20)의 외측에서 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체결공(58)에 체결함으로써 글래스 지지대(50)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재(70)는 예를 들어 체결 및 분해가 용이한 렌지볼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100)에서 글래스 지지대(50)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사이드 패널(20)과 프레임 지지대(40)를 이용하여 글래스 적재 공간을 가지는 프레임(10)을 제작한다.
그리고 글래스 지지대(50)의 경우 샤프트 끝단부(54)에 스프링(80)과 위치조정 캡(60)을 조립한 후 외력을 가하여 샤프트 끝단부(54)의 끝단에 형성된 방향조정부(55)가 위치조정 캡(60)의 관통홀(63)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외부로 노출된 방향조정부(55)를 조립하고자 하는 위치 조정부(30)의 중앙부 장공(32)에 끼움 결합한다. 이때 위치 조정부(30)가 상부에 있는 경우 글래스 지지대(50)가 측부 지지대로 기능하고, 위치 조정부(30)가 하부에 있는 경우 글래스 지지대(50)가 하부 지지대로 기능하게 된다. 방향조정부(55)가 끼움 결합되면 방향조정부(55)의 형상에 의해 축 방향 회전이 방지되어, 글래스 지지대(50)의 회전에 따른 곡면형 인쇄 글래스(4)와의 사이에서 마찰력 발생을 억제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위치조정 캡(6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위치조정 캡(60)이 사이드 패널(20)의 내측면을 향해 가압되고, 걸림돌기(61)가 상부 장공(31)과 하부 장공(33)에 형성된 위치조정 톱니(36, 37)에 걸리게 되어 수평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보다 견고한 위치 고정을 위해 체결부재(70)를 이용하여 글래스 지지대(5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조립된 글래스 지지대(50)에 대하여 적재하고자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4a)의 크기 및/또는 모양에 상응하여 그 위치를 미세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르게 된다.
우선 체결부재(70)가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체결부재(70)를 분해한다(도 10의 (a) 참조).
이후 위치조정 캡(60)에 샤프트의 중심을 향해 외력을 가하여 걸림돌기(61)가 위치조정 톱니(36, 37)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즉, 걸림 상태(도 9의 (a))에서 해제 상태(도 9의 (b))가 되도록 한다.
걸림돌기(61)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글래스 지지대(50)를 중앙부 장공(3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정한다(도 10의 (b) 참조).
이후 위치조정 캡(60)에 가해지던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위치조정 캡(60)이 사이드 패널(20)의 내측면을 향해 가압되고, 걸림돌기(61)가 위치조정된 위치에서의 위치조정 톱니(36, 37)에 걸리게 된다. 즉, 해제 상태(도 9의 (b))에서 걸림 상태(도 9의 (a))에 놓이게 된다.
이후 체결부재(70)를 체결함으로써 조정된 위치에서 글래스 지지대(5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때, 전술한 것과 같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글래스 지지대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조정된 위치에서는 좌우로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 및/또는 모양의 글래스에 대해서 적응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면서도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위치 조정부가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마련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부에 위치 조정부를 두지 않고 글래스 지지대 대신에 글래스 지지부가 돌설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 지지대를 일정 간격 혹은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하여 하부 지지대로서 기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4a~4d: 곡면형 인쇄 글래스 100: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10: 프레임 11: 하면 패널
20: 사이드 패널 21: 유출입홀
30: 위치 조정부 40: 프레임 지지대
50: 글래스 지지대 51: 샤프트 몸체부
52: 글래스 지지부 53: 요홈부
54: 샤프트 끝단부 55: 방향조정부
56: 단턱 58: 체결공
60: 위치조정 캡 70: 체결부재
80: 스프링 90a~90e: 글래스 지지편
92: 널링 영역 94: 원통형 지지대
111: 제1 빗면 112: 제2 빗면
113: 수평면

Claims (6)

  1. 서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는 한 쌍의 사이드 패널;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패널 사이에 조립되어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측부 혹은 하부를 지지하는 글래스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글래스 지지대는, 샤프트 몸체부와;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둘레에 회전체 형상으로 설치되며, 복수의 요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글래스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홈부는 좌우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상기 샤프트 몸체부에 수직한 수직 가상선을 기준으로 제1 경사를 갖는 제1 빗면과, 제2 경사를 갖는 제2 빗면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경사가 상기 제2 경사에 비해 큰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는 상기 곡면형 인쇄 글래스의 모서리 부분의 곡률에 상응하는 평면 부분과 모서리 부분 사이의 사이각에 미리 정해진 마진을 합한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지지부는 PTFE(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양단에는 널링(knurling) 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지지대는,
    상기 샤프트 몸체부의 양단에 널링 영역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널링 영역이 형성된 상기 샤프트 몸체부를 PTFE 재료가 수용된 챔버 내에 넣은 후 몰딩 처리하여 원통형 지지대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원통형 지지대의 외층을 이루는 PTFE 층에 상기 요홈부를 절삭 가공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되,
    상기 원통형 지지대의 직경은 최종 완성된 상기 글래스 지지대에서 상기 샤프트 몸체부로부터 상기 글래스 지지부의 수평면까지의 거리에 상응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KR1020160171610A 2016-12-15 2016-12-15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KR101896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10A KR101896076B1 (ko) 2016-12-15 2016-12-15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10A KR101896076B1 (ko) 2016-12-15 2016-12-15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958A true KR20180069958A (ko) 2018-06-26
KR101896076B1 KR101896076B1 (ko) 2018-09-07

Family

ID=6278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10A KR101896076B1 (ko) 2016-12-15 2016-12-15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0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3619A (zh) * 2018-07-17 2018-12-18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玻璃清洗架
CN111392183A (zh) * 2020-03-06 2020-07-10 厦门奇达电子有限公司 一种3c薄片智能化承载料框及3c薄片运输方法
KR20210099729A (ko) * 2020-02-05 2021-08-13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KR20220114812A (ko) 2021-02-09 2022-08-17 (주)진성큐엔에스 유리판 강화 열처리용 카세트
US20220267191A1 (en) * 2021-02-24 2022-08-25 Samsung Display Co., Ltd. Loading apparatus for glass plate and method of strengthening glass plate using the same
CN115043064A (zh) * 2022-06-09 2022-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周转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722A (ko) 2019-07-18 2021-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525B2 (ja) * 1993-07-27 1998-01-28 株式会社デンソー 板材の支持装置
KR20110107462A (ko) 2010-03-25 2011-10-04 김한곤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KR20130123836A (ko) * 2012-05-04 2013-11-13 글로닉스 주식회사 박판유리 화학처리 및 세척 전용 카세트 작업방법
KR20150122453A (ko) * 2014-04-23 2015-11-02 최문석 Lcd 디스플레이 반송용 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5525B2 (ja) * 1993-07-27 1998-01-28 株式会社デンソー 板材の支持装置
KR20110107462A (ko) 2010-03-25 2011-10-04 김한곤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유리 적재용 카세트
KR20130123836A (ko) * 2012-05-04 2013-11-13 글로닉스 주식회사 박판유리 화학처리 및 세척 전용 카세트 작업방법
KR20150122453A (ko) * 2014-04-23 2015-11-02 최문석 Lcd 디스플레이 반송용 롤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3619A (zh) * 2018-07-17 2018-12-18 安徽金龙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3d玻璃清洗架
KR20210099729A (ko) * 2020-02-05 2021-08-13 김명기 분할 롤 벤딩 장치, 롤 벤딩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용 곡면 프레임
CN111392183A (zh) * 2020-03-06 2020-07-10 厦门奇达电子有限公司 一种3c薄片智能化承载料框及3c薄片运输方法
KR20220114812A (ko) 2021-02-09 2022-08-17 (주)진성큐엔에스 유리판 강화 열처리용 카세트
US20220267191A1 (en) * 2021-02-24 2022-08-25 Samsung Display Co., Ltd. Loading apparatus for glass plate and method of strengthening glass plate using the same
CN115043064A (zh) * 2022-06-09 2022-09-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周转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076B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076B1 (ko) 곡면형 인쇄 글래스 카세트
KR20190031285A (ko) 플렉서블 디바이스
AU2018262416C1 (en) Secure tablet mount
WO2022052707A1 (zh) 一种摄像头支架、摄像头组件和电子设备
CN210830134U (zh)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KR20080037999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광확산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용 광확산 유닛과 그들의 제조 방법
JP2006308062A (ja) 支持機構
KR202100094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10293B1 (ko)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
US10485114B2 (en) Engag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6219053B (zh) 镜片托盘
US20190276347A1 (en) Glass bending mold, glass ben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bending glass
US8656618B2 (en) Electronic device frame
JP3224448U (ja) 表示装置
CN211980041U (zh) 膜片、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998121B1 (ko) 가변식 카세트
US11647107B2 (en)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electronic product
JP4451229B2 (ja) 物品収納用トレイ
US20090045313A1 (en) Mechanism utilized to adjust inclination angle and horizontal rotation angle
JP5256011B2 (ja) 偏光板の取付構造
KR102192123B1 (ko) 모서리 조립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시스템
CN211734464U (zh) 镀膜治具
JP2644633B2 (ja) 板状部材の保持構造
KR100952772B1 (ko)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CN109877884B (zh) 一种剃毛装置的剃刀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