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476A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9476A
KR20210009476A KR1020190085803A KR20190085803A KR20210009476A KR 20210009476 A KR20210009476 A KR 20210009476A KR 1020190085803 A KR1020190085803 A KR 1020190085803A KR 20190085803 A KR20190085803 A KR 20190085803A KR 20210009476 A KR20210009476 A KR 20210009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late
folding plate
pair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진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9476A/ko
Publication of KR2021000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함께 패널 지지면을 형성하는 폴딩 플레이트, 폴딩 중심축이 전면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반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하측의 체결부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폴딩 커버, 및, 폴딩 중심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반전부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접혀질 때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폴딩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반전부는 배면으로 위치가 변이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도 큰 화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여 큰 화면의 표시부를 구현한 장치가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는 휴대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큰 화면의 표시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분야의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가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란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또는 말려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외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와 내부의 다른 구성품들도 필요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가 임의의 형상으로 변형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데에는 아직도 많은 과제가 남아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폴딩 방향에 따라 인폴딩과 아웃폴딩으로 구분되고, 평면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기 위해 패널의 배면에 기구적 구조물인 힌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폴딩을 위한 기구적 구조물은 기어, 캠, 링크, 슬롯 등 다수의 부품을 포함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40482호(선행문헌)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 타입의 힌지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의 인폴딩 타입의 힌지 구조는 좌우의 바디부(10,12)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70)이 결합되고, 바디부(10,12)의 마주보는 면에는 곡면의 접합면(15)이 구성된다. 또한, 선행문헌의 힌지 구조는 관절부(40)의 양측의 앞부분이 중앙관절(50)과 양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동시에 중앙관절(50)은 좌우 바디부(10,1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구조는, 좌우 바디부(10,12)는 곡면 접합면(15)이 중앙 관절(50)의 회전 지지대(52)에 곡면 형상으로 접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문헌의 인폴딩 타입의 힌지 구조는, 인폴딩 상태에서 힌지 영역의 디스플레이 패널(70)과 좌우 바디부(10,12) 사이에 간극(G)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발생되는 간극(G)은 이물질의 유입을 발생시키고, 유입된 이물질은 결국 디스플레이 패널(70)을 손상시키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한다. 즉, 인폴딩 타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완전히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 전면의 폴딩 영역에 간격부(56)가 구비되는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도 원하지 않는 간격이 형성되므로, 이물질 유입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인폴딩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어, 캠, 스프링, 링크, 슬롯 등을 포함하는 수십 개의 복잡한 부품으로 이루어져, 조립이 어렵고,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폴딩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배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함께 패널 지지면을 형성하는 폴딩 플레이트, 폴딩 중심축이 전면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반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하측의 체결부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폴딩 커버, 및, 폴딩 중심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반전부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접혀질 때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폴딩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반전부는 배면으로 위치가 변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폴딩 중심축을 따라 길이를 갖는 다수의 폴딩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폴딩 패턴은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패턴 또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다공성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신축성과 복원성을 갖는 수지 소재로 구성되거나, 상기 수지 소재 전면에 금속 소재가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홀은 폴딩 반대 방향에 곡률의 중심을 갖는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함께 패널 지지면을 형성하는 폴딩 플레이트, 폴딩 중심축이 전면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반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하측의 체결부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폴딩 커버, 폴딩 중심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가이드 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 상기 폴딩 플레이트,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기 폴딩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바를 수용하는 한 쌍의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패널 지지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반전부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접혀질 때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폴딩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반전부는 배면으로 위치가 변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결합 핀과 상기 가이드 바의 단부가 회피되는 회피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서 신축성과 복원성을 갖는 폴딩 플레이트가 패널을 지지하고, 폴딩 동작에 따라 탄성 플레이트 및 가이드 바가 폴딩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폴딩 과정에서 간극이 발생되지 않아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의 부품으로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인 패턴 플레이트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전면, 배면 등과 같은 표현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부인 패턴 플레이트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 body plate)와,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폴딩 플레이트(200, folding plate)와, 폴딩 플레이트(200) 하부에 배치되어 폴딩 플레이트(20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탄성 플레이트(300)와, 폴딩 플레이트(200) 하부에서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탄성 플레이트(300)를 커버하는 한 쌍의 폴딩 커버(400)와, 각 폴딩 커버(400)에 결합되어 탄성 플레이트의 탄성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바(500),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 폴딩 플레이트(200), 탄성 플레이트(300) 및 한 쌍의 폴딩 커버(400)를 수용하는 한 쌍의 하우징(600)을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와 폴딩 플레이트(200)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700)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700)이 위치하는 면(z 방향)과 그 반대 면을 전면 및 배면이라 하고, 폴딩 동작의 축을 이루는 방향(x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하며, 폴딩이 이루어지는 방향(y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디 플레이트(100)는, 디스플레이 패널(700)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폴딩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분리되는 한 쌍을 이룬다.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는 그 사이에 폴딩 영역이 확보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그 사이에 폴딩 플레이트(200)가 개입된다. 바디 플레이트(100)는 서로 마주하는 일 측의 상하 방향(x 방향)으로 폴딩 커버(400)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 핀(11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 플레이트(100)는 소정의 두께와 직경을 갖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이룰 수 있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는 펼침 또는 접힘 상태에 따라 동일선상에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상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 사이에 개입되고, 각 바디 플레이트(100)의 마주하는 측면에 결합되어 이들을 연결할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200)는 좌우측의 바디 플레이트(100) 측면에 직접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매개로 좌우측의 바디 플레이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폴딩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가 동일선상으로 펼쳐지거나 전면을 서로 마주하면서 접히도록 가이드 한다. 폴딩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두께와 상하 방향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폴딩 플레이트(200)는 상면에 디스플레이 패널(700)을 안착시켜 지지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700)의 폴딩 동작을 가이드 한다.
폴딩 플레이트(200)는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전면(z 방향)으로 쉽게 폴딩될 수 있도록 폴딩 패턴(210)이 형성된다.
폴딩 패턴(210)은 도 3의 (a)와 같이 폴딩 플레이트(200)의 배면에서 상하 방향(x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홈 형상의 패턴 일 수 있으며, 홈 형상의 패턴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는 일체형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다수로 분리되는 분리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 형상의 패턴은 쐐기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좌우 폭 방향(y방향)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폴딩 패턴(210)은 도 3의 (b)와 같이 상하 방향(x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다공성 패턴일 수 있으며, 다공성 패턴은 직사각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폴딩 플레이트(200)는 신축성 및 복원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 플레이트(200)는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엘라스토머 계열의 수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무나 실리콘은 우수한 신축성과 복원성을 나타내어 폴딩 동작과 복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플레이트(200)는 얇은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소재는 반복적인 폴딩 동작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플레이트(200)는 금속 판재 일면에 엘라스토머 계열의 수지가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복합 소재의 폴딩 플레이트(200)는 우수한 신축성과 복원성을 나타내면서, 반복적인 폴딩 동작에 대한 강한 내구성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복합 소재의 폴딩 플레이트(200)에서 금속 판재가 디스플레이 패널(700)에 접촉되어 지지한다.
탄성 플레이트(300)는 폴딩 플레이트(200) 배면에 배치되어 폴딩 동작에 따라 형상이 반전되면서 폴딩 플레이트(200)를 지지한다. 탄성 플레이트(300)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을 이룬다. 또한, 탄성 플레이트(300)는 폴딩되는 중심축 영역이 볼록하게 만곡 돌출되는 반전부(310)를 형성한다.
이러한 탄성 플레이트(300)는 좌우 방향 양 단부가 각각 좌우측의 바디 플레이트(100)에 결합되고, 중앙의 반전부(310)가 탄성 플레이트(300)를 지지한다. 반전부(3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펼침 또는 접힘 상태에 따라 형상과 위치가 반전되는 것으로, 펼침 상태에서는 전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이루면서 폴딩 플레이트(200)에 접촉되고, 접힘 상태에서는 배면으로 오목한 형상을 이루면서 폴딩 플레이트(200) 사이에 가이드 바(5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폴딩 커버(400)는 각 바디 플레이트(100)의 하측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바디 플레이트(100)에 결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 배면의 폴딩 영역을 커버한다. 폴딩 커버(400)는 판 상의 커버부(410)와, 커버부(410)의 상하측 단부가 전면으로 벤딩되는 체결부(420)를 포함한다. 커버부(410)는 폴딩 플레이트(200)의 일측의 1/2 영역(좌측 또는 우측)과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을 커버한다. 체결부(420)는 바디 플레이트(100)와 가이드 바(500)를 체결시킨다. 이를 위하여 체결부(420)는 바디 플레이트(100)의 결합 핀(11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결합 홀(421)을 형성하고, 가이드 바(500)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슬라이드 홀(422)을 형성한다. 슬라이드 홀(422)은 가이드 바(500)가 삽입된 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고, 전면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curved) 형상을 이룬다.
가이드 바(500)는 탄성 플레이트(300)의 반전을 가이드하면서, 접힘 상태에서 폴딩 플레이트(20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한 가이드 바(500)는 폴딩 커버(400)의 상하 방향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바 형상을 이루며, 길이 방향의 양 단부는 슬라이드 홀(422)에 삽입되어 폴딩 커버(400)에 결합된다. 따라서 폴딩 커버(400)에 결합된 가이드 바(500)는 폴딩 플레이트(200)와 탄성 플레이트(300) 사이에 위치하고, 펼침 또는 접힘 상태에 따라 슬라이딩 홀(422)을 따라 이동하면서 폴딩 영역의 측부에 위치하거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하우징(6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커버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하우징(600)의 서로 마주하는 측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하 방향의 측벽에는 가이드 바(500)와 결합 핀(110)이 회피되는 회피 홈(6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 쌍의 하우징(600)이 개구된 측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의 중앙 영역에 한 쌍의 폴딩 커버(400)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양측의 폴딩 커버(400)에 중첩되도록 탄성 플레이트(300)가 중앙에 배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 바(500)가 좌우측의 각 폴딩 커버(400)에 체결되어 폴딩 플레이트(200)를 고정한다. 또한,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가 결합 핀(110)이 결합 홀(421)에 삽입되도록 각 폴딩 커버(400)에 결합되고,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 사이에 폴딩 플레이트(200)가 배치되어 결합된다. 이때, 폴딩 플레이트(200)는 양 측면이 인접하는 각 바디 플레이트(100)의 측면에 접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100) 및 폴딩 플레이트(200)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700)이 안착되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부품 수를 최소로 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폴딩 동작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펼쳐진 상태에서 탄성 플레이트(300)는 중앙의 반전부(310)가 전면으로 탄성 돌출되면서 폴딩 플레이트(200)의 배면에 접촉되어 폴딩 플레이트(200)를 지지한다. 따라서 폴딩 플레이트(2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700)에 접촉되고, 디스플레이 패널(700)과 폴딩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 바(500)는 반전부(310)로부터 이격되는 폴딩 영역의 양 측부에 위치하면서, 폴딩 플레이트(200)의 배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질 때, 각 가이드 바(500)는 슬라이드 홀(4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중앙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는 슬라이드 홀(422)이 전면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고(즉, 폴딩 방향과 반대 방향에 곡률 중심을 갖고), 폴딩 플레이트(200)가 접혀짐에 따라 폴딩 플레이트(200)와 슬라이드 홀(4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위치가 중앙 영역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홀(422)을 따라 가이드 바(500)도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 한 쌍의 가이드 바(500)는 폴딩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폴딩 플레이트(200)의 배면을 지지한다. 이와 동시에 탄성 플레이트(300)의 반전부(310)는 가이드 바(500)에 의하여 배면으로 밀려나면서 폴딩 플레이트(200)와 이격된다. 이때, 곡면 형상의 반전부(310)는 폴딩되는 곡면의 중심에 대하여 큰 곡률 반경이 요구되는 외측에 위치하므로 자연스럽게 배면으로 위치가 변이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 바(500)가 폴딩 플레이트(200)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700)과 폴딩 플레이트(2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다시 펼쳐지는 과정에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이드 바(500)는 슬라이드 홀(422)을 따라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고, 반전부(310)는 전면으로 복귀하여 폴딩 플레이트(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폴딩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패널(700)는 배면에서 신축성 및 복원성을 갖는 폴딩 플레이트(200)에 의하여 지지되고, 폴딩 플레이트(200)는 펼침 및 접힘 상태에 따라 탄성 플레이트(300)의 반전부(310) 및 가이드 바(50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동작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700)과 폴딩 플레이트(200) 사이에 간극(도 1의 G 참고)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바디 플레이트 110 : 결합 핀
200 : 폴딩 플레이트 210 : 폴딩 패턴
300 : 탄성 플레이트 310 : 반전부
400 : 폴딩 커버
410 : 커버부 420 : 체결부
421 : 결합 홀 422 : 슬라이딩 홀
500 : 가이드 바
600 : 하우징
700 : 디스플레이 패널

Claims (8)

  1.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함께 패널 지지면을 형성하는 폴딩 플레이트;
    폴딩 중심축이 전면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반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하측의 체결부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폴딩 커버; 및
    폴딩 중심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반전부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접혀질 때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폴딩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반전부는 배면으로 위치가 변이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폴딩 중심축을 따라 길이를 갖는 다수의 폴딩 패턴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패턴은,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배면에 형성되는 홈 형상의 패턴 또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다공성 패턴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신축성과 복원성을 갖는 수지 소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는,
    상기 수지 소재 전면에 금속 소재가 결합된 복합 소재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홀은,
    폴딩 반대 방향에 곡률의 중심을 갖는 볼록한 곡면 형상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7.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함께 패널 지지면을 형성하는 폴딩 플레이트;
    폴딩 중심축이 전면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반전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폴딩 플레이트 배면에 배치되는 탄성 플레이트;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일부 영역과 상기 탄성 플레이트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하측의 체결부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폴딩 커버;
    폴딩 중심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바 형상으로, 상기 폴딩 플레이트와 상기 탄성 플레이트 사이에서 양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가이드 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바디 플레이트, 상기 폴딩 플레이트, 상기 탄성 플레이트, 상기 폴딩 커버 및 상기 가이드 바를 수용하는 한 쌍의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바디 플레이트와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형성하는 패널 지지면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반전부는 전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폴딩 플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며,
    상기 폴딩 플레이트가 접혀질 때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슬라이드 홀을 따라 폴딩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폴딩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반전부는 배면으로 위치가 변이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결합 핀과 상기 가이드 바의 단부가 회피되는 회피 홈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KR1020190085803A 2019-07-16 2019-07-16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9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03A KR20210009476A (ko) 2019-07-16 2019-07-16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803A KR20210009476A (ko) 2019-07-16 2019-07-16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476A true KR20210009476A (ko) 2021-01-27

Family

ID=7423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803A KR20210009476A (ko) 2019-07-16 2019-07-16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94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638B1 (ko) * 2022-01-11 2022-08-0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연장형 고정 더미를 갖는 플렉시블 플레이트
CN115388084A (zh) * 2022-08-02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30071819A (ko) 2021-11-15 2023-05-24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후면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63385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표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1819A (ko) 2021-11-15 2023-05-24 희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후면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9638B1 (ko) * 2022-01-11 2022-08-08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연장형 고정 더미를 갖는 플렉시블 플레이트
WO2023163385A1 (ko) * 2022-02-23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표시 장치
CN115388084A (zh) * 2022-08-02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5388084B (zh) * 2022-08-02 2023-1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9476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커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12213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maintaining a folding angle by magnetic force
EP3993372A1 (en) Fold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JP7203991B2 (ja) 回動接続アセンブリ及び折り畳み式端末機器
CN109891482B (zh) 设置柔性显示面板的内折叠型铰链结构
KR20180094054A (ko) 폴딩 단말
TWI525421B (zh) 可折疊之電子裝置及其限位結構
US9826626B2 (en) Display device
CN110417964B (zh) 一种折叠组件、屏幕组件及移动终端
CN113906365B (zh) 包括弹性构件的电子装置
US9673566B2 (en) Electronic device
KR20200014133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CN110005695B (zh) 可弯折式支撑架
KR102607393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1754584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단일면 폴딩장치
CN111010829B (zh) 电子设备
US11627676B2 (en) Support frame for bendable display screen, and bendable display screen
US20230217616A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KR20150135731A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8137395A1 (zh) 壳体组件、显示装置及移动终端
KR1022736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CN109618032B (zh) 移动终端
KR102442942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11683165B (zh) 折叠机构、折叠显示装置及通讯设备
CN111696431A (zh) 一种转动机构、折叠机构及折叠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