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902A -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902A
KR20180069902A KR1020187014427A KR20187014427A KR20180069902A KR 20180069902 A KR20180069902 A KR 20180069902A KR 1020187014427 A KR1020187014427 A KR 1020187014427A KR 20187014427 A KR20187014427 A KR 20187014427A KR 20180069902 A KR20180069902 A KR 2018006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apsule
capsules
configuration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639B1 (ko
Inventor
발레리 차나인
이딸로 안드레아 앨버레즈 버트오일
Original Assignee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카피탈리 시스템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06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8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음료를 만들기 위한 장치는, 이동 가능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 사이에 형성된 추출 챔버(6); 추출 챔버(6)에 캡슐(2, 3)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덕트(18), 상기 삽입 덕트는 폐쇄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폐쇄 구성요소(20)가 설비된 송입 섹션(19)으로부터 연장하고, 추출 챔버가 폐쇄될 때 폐쇄 위치에 있고; 그리고 제1 캡슐(2)이 추출 챔버(6)에 위치되는 동안에 추출 유닛(5) 바깥에 제2 캡슐(3)을 지지하기 위해, 송입 섹션(19)의 상류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구성요소(21);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제1 부분(12) 또는 제2 부분(13)의 어느 하나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에 의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채택하는 비활성 위치까지 기계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있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식품 재료(a food substance)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hot water)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 개의 일회량 캡슐(two single-dose capsules)을 사용하여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위한 것이다. 그것의 작동 방법은, 전형적인 선행 커피 기계 또는 그와 같은 것, 이중 배출구를 가진 배출구(an outfeed spout with double outlet)를 사용하여, 단일 사용자(예를 들어, 이중 커피(a double coffee))를 위해, 또는 동시에 2개의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2배의 음료량을 제조하기 위해 양쪽에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음료를 자동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WO 2013/042011의 주제이다.
특허 US 6,240,832는 커피 기계의 양조 유닛(a brewing unit)에 포장된 커피 분량(prepackaged coffee portions)을 이송시키기 위한 어셈블리를 개시하고 있다. 그 어셈불리는 양조되어지는 커피 분량을 수용하도록 채택된 저장장치(a magazine)를 가지고 있다. 저장장치는 회전 가능하고 다수의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채택되어 있고, 각각 커피 분량을 수용한다. 또한, 양조 유닛 내로 커피 분량을 개별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커피 분량을 개별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는 각각의 중앙 축들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두 개의 래치 부재(two latch members)를 포함하고, 중앙 축들의 하부 측에, 분배될 준비가 된 커피 분량을 받기 위한 제1 지지 표면(a first support surface)을 구비하고, 그리고 중앙 축들의 상부 측에, 계속되는 커피 분량(the succeeding coffee portion)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표면(a second support surface)을 구비한다.
로킹 레버 부재에 의해, 두 개의 작동 로드 부재(two actuating rod members)는 위쪽으로 향한 방향으로 전자석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스프링 부재의 힘에 대향 하고, 그 결과 후속하는 커피 분량이 준비 위치에 채워지는 동안에 최저 커피 분량을 배출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래치 부재가 회전되어진다.
US 6,240,832의 어셈블리는 또한 저장장치로부터 양조 유닛내로 커피 분량을 개별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단일 커피 분량을 수동적으로 이송하도록 채택된 서랍 부재(a drawer memb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제조하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음료들을 공급하는 것을 시작하기 전에, 사용된 양 캡슐을 장치에 적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그것은 제1 음료의 공급이 완료되어질 때까지, 또는 심지어 막 시작되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것을 해야 할 필요성은 장치가 이것을 해야 할 필요성을 특히 느끼게 되고, 장치는 전문가 타입이고, 또는 어떤 경우에는 전문가용으로 의도되어 있다. 사실, 그런 경우들에서, 장치를 사용하는 개인은 보통 여러 개의 일을 할당 받은 사람이고(전형적으로 그들은 바텐더일 수 있다), 그래서 소중하고 따라서 그들은 기계에 제2 캡슐을 넣고 기다라는 시간을 낭비할 수 없다.
이것이 본 발명이 창안된 주 내용일지라도, 발명은 어떤 경우에 단일 음료를 만들기 위한 다른 응용 분야들을 가질 수 있고, 단순히 이미 기계에 적재되어, 사용자가 캡슐을 사용하기 위한 준비를 가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본을 형성하는 기술적 목적은 위에 언급된 결점들을 극복하는,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은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공급 사이클을 시작하기 전에 두 개의 캡슐이 장치에 적재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은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완전하게 자동화된 방법으로, 두 개의 캡슐을 사용하여 두 개의 음료가 차례로 제조되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나타난 기술적 목적 및 목표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술된 것들에 따라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행되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여러 가지 바람직하고, 비-제한의 실시 예들을 예시하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좀 더 확실하게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주요 부분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 - IV 라인에 따른 단면에서 도 1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단면에서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6은 도 2의 VI - VI 라인에 따른 단면에서 도 1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단면에서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8은 도 2의 상세부VIII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세부IX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두 개의 캡슐을 사용하는 두 개의 음료의 연속적인 공급을 위한 제1 작동 단계에서, 도 4에서와 같은 단면에서 도 1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도 12의 XI - XI 라인에 따른 단면에서 장치를 기준으로 도 10의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측면에서 본 장치를 기준으로 도 10의 작동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도 12의 상세부 XIII 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제2 작동 단계에서 도 10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도 14의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서와 같은 단면에서, 도 14의 작동 단계에서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상세부 XVII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제3 작동 단계에서 도 10의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19는 도 11에서와 같은 단면에서, 도 18의 작동 단계에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제4 작동 단계에서 도 10의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1은 도 11에서와 같은 단면에서, 도 20의 작동 단계에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제2 캡슐을 배출한 후에 최종 작동 단계에서, 도 11에서와 같은 단면에서 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3 및 24는, 확대도로, 선행 도면들의 장치의 상세부의 두 개의 고정된 부분들을 공동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5a는 사용 시에 도 23 및 24의 두 개의 고정된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는 두 개의 수직 지지 아암이 구비된, 도 1의 장치의 부분인 슬라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b는 다른 관점으로부터 도 25a의 슬라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6은 도 2의 VI - VI 라인에 따른 단면에서 도 24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은 도 25b의 상세부 XXVII의 확대도이다.
도 28은 제1 실시 예의 변형을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 부분을 제2 실시 예의 도 3의 IV - IV 라인에 대응하는 평면에서 단면이다.
도 29는 제1 작동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제3 실시 예의 입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상세부의 명확성을 위에 절개된 다른 부분들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제2 작동 구성에서 도 29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입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상세부의 명확성을 위해 절개된 다른 부분들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제1 작동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제4 실시 예의 입체도이다.
도 34는 제1 실시 예를 위한 도 5에 나타난 것과 유사한 평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도 33에 예시된 장치의 주용 부분의 입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상세부 XXXV 의 확대도이다.
도 36은 제2 작동 구성에서 도 34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입체 단면도이다.
도 37 및 38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도 34 및 36의 장치의 주요 부분의 사용의 두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9는 모든 실시 예들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장치의 다른 부분들의 구조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위에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도면 번호 1은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a capsule)(2, 3)에 온수(hot water)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들은, 캡슐을 적재하기 위한 시스템 측면에서 다른,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장치의 4개의 다른 실시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모든 실시 예들에 의해 공유된 측면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장치(1)는 첫 번째 추출 유닛(an extraction unit)(5)이, 수평 타입으로 장착되는 것이 유리한 지지 구조(a supporting structure)(4)를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 시에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캡슐(a capsule)(2, 3)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개방 가능한 추출 챔버(an openable extraction chamber)(6)를 형성한다. 추출 챔버(6)와 연결된, 폐쇄된 추출 챔버(6)에 포함된 캡슐(2, 3)을 통하여 순환하는 온수를 만들기 위해 사용 시에 설계된 음료를 제조하고, 그것에 의해 음료들이 형성되고, 그리고 장치(1)의 외부에 그 방법으로 형성된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 있다. 공지된 방법으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은 다소 추출 챔버(6)로 가압되는 온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회로(a feeding circuit)(7), 그리고 만들어진 음료를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a supplying duct)(8) 양쪽을 포함한다. 필요하면, 그들은 물을 캡슐(2, 3) 내를 관통하여 이송하도록 캡슐(2, 3)에 제1 홀(a first hole)을 만들기 위한 제1 천공 수단(first piercing means)(9)과 음료가 캡슐(2, 3)로부터 통과하여 나오도록 허용하는 제2 홀(a second hole)을 만들기 위한 제2 천공 수단(second piercing means)(10)을 포함한다. 어떤 경우에,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은 본 발명의 혁신적인 측면의 부분이 아니고 그 자체가 선행 기술들과 유사하기 때문에 그들이 여기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5에서, 도면 번호 28, 29 및 30은 추출 챔버(6)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전체 이송 덕트(the entire feeding duct)(11)를 도시하고, 반면에 전체 이송 덕트(11)의 예시는 이것을 나타내는 다른 모든 도면에서 막혀있다.
알려진 방법에서, 추출 유닛(5)은 차례로 추출 챔버(6)가 개방되는 정위치(a home position)와 추출 챔버(6)가 닫히는 추출 위치(an extraction position)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1 부분(a first part)(12) 및 제2 부분(a second part)(13)을 포함한다. 그들이 홈 위치에 있을 때, 추출 유닛(5)의 제1 부분(12)과 제2 부분(3)은 그들 사이에 캡슐(2, 3)이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훨씬 충분히 떨어져 있다. 그에 반해서, 그들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그들은 사용 시에 그들이 추출 챔버(6)에서 캡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함께 결합된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유리하게 추출 유닛(5)은 수평 타입이다. 따라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은 수평 이동 라인을 가진 다른 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나를 추출 챔버(6)에 의해 정의된 중심 축(a central axis)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더구나 추출 챔버(6)는 제1 부분(12)또는 제2 부분(13) 중의 하나에 전적으로 유리하게 실질적으로 만들어지고(이것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제2 부분(13)이다), 반면에 다른 부분(첨부된 도면들에서 제1 부분(12))은 챔버의 뚜껑으로서 단지 작동한다.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the home position), 그들은 그들 사이에 캡슐(2, 3)이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훨씬 충분히 떨어져 있다. 유리하게, 캡슐은 추출 챔버(6)의 중심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 및 평행하거나 또는 일치하는 그것의 중심축으로 위치된다. 캡슐(2, 3)을 대기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이들이 정위치에 있을 때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 사이에 위치되고, 알려진 방법으로 장치(1)는 캡슐(2, 3)을 위한 유지 수단(retaining means)(14)을 포함한다. 유지 수단(14)은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정위치로부터 추출 위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들의 시프팅(shifting) 동안에 양쪽에서 대기 위치에서 캡슐(2, 3)을 유지할 수 있다(보통 적어도 이것이 더 이상 떨어질 수 없도록 캡슐(2, 3)이 추출 챔버(6)에 충분하게 삽입될 때까지).
유지 수단(14)의 구조는 요구 사항들(EP 1,721,553B1 및 EP 1,757,212B1에 기술된 것처럼)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그들은 그들이 바깥으로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그런 방법으로 제1 부분(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블록(15)을 특히 포함한다. 각 블록(15)은 다른 블록(15)과 마주하는 (하부에서 폐쇄된) 수직 홈(a vertical groove)이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사용 시, 캡슐(2, 3)의 돌출 플랜지(16)가 삽입되어진다. 블록(15)은 캡슐(2, 3)이 추출 챔버(6)내로 배출되도록 추출 위치로 향하여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시프팅 후에 또한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알려진 해법들이고, 그들은 여기서 더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유리하게, 장치(1)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로 복귀하는 것처럼, 음료 공급의 끝에 제1 부분(12)으로부터 캡슐(2, 3)이 배출되어지도록 하는 캡슐(2, 3) 배출 수단(ejecting means)(17)을 포함한다. 배출 수단(17)은 유지 수단(14)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그들이 (예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후자와 독립적으로 있다. 어떤 경우든지, 그들은 알려진 타입이고, 따라서 여기에 더 상세히 기술되지 않는다.
장치(1)는 송입 섹션(an infeed section)(19)에서 유지 수단(14)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주 구성요소(덕트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이다)를 포함하는, 도 22에 분명하게 보이는 삽입 덕트(an insertion duct)(18)를 포함한다. 삽입 덕트(18)는 송입 섹션(19) 상류에서 시작하는 장치(1)에 캡슐들을 삽입하기 위한 경로의 단부 연장부(the end stretch of a path)를 형성하고, 그리고 삽입 덕트(18)의 상류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기술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주 주제의 하나이다.
폐쇄 구성요소(a closing element)(20)는 송입 섹션(19)에 위치되어 송입 섹션(19)을 통하여 캡슐(2, 3)의 통과를 방해하는 폐쇄 위치(a closed position)와 캡슐(2, 3)의 통과를 허용하는 분리 위치(a disengag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폐쇄 구성요소(20)는 폐쇄 구성요소(20)의 이동들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이동과 조율되는 그런 방법으로 추출 유닛(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진다. 그런 식으로, 폐쇄 구성요소(20)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에 위치되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분리 위치에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제1 부분(12) 만이 이동 가능하고, 폐쇄 구성요소(20)는 송입 섹션(19)에서 일종의 칸막이를 형성하고, 그리고 그것이 그것과 동시에 일러나는 방법으로 이동하도록 제1 부분(1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강체 구성요소(a rigid element)로 실질적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채택된 음료를 만들기 휘한 수단인, 추출 유닛(5), 폐쇄 구성요소(20), 유지 수단(14) 및 배출 수단(17)들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출원 WO 2015/019248 A1 및 WO 2015/019249 A1에 기술된 것에 실질적으로 대응하고, 좀 더 상세한 것들이 참조되고, 그리고 내용들은 그것을 참조하여 여기에 반영된다.
본 발명의 제1 혁신적인 측면에 따라, 장치(1)는 송입 섹션(19)의 삽입 경로 상류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구성요소(first supporting element)(21)를 또한 포함하고, 그리고 그것의 기능은 제1 캡슐(2)이 추출 챔버(6)에 위치되는 동안에 추출 유닛(5) 밖에서 제2 캡슐(3)을 지지하는 것이다.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캡슐(2, 3)을 지지할 수 있는 활성 구성(an active configuration)과 그것에 위치된 캡슐(2, 3)이 송입 섹션(19)로 향하여 자유롭게 전진할 수 있는 비활성 구성(an inactive configuration)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지 구성요소가 비활성 구성에 있도록 적어도 추출 유닛(5)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혁신적인 측면에 따라, 정위치에서 추출 위치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시프팅 동안에, 그리고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의 시프팅 동안에, 제1 부분(12) 또는 제2 부분(13)의 하나, 또는 폐쇄 구성요소(20)가 활성 구성에서 비활성 구성으로 그것을 전환하도록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작용한다. 유리하게, 제1 지지 구성요소(21) 위의 폐쇄 구성요소(20) 또는 제1 부분(12) 또는 제2 부분(13)의 하나의 작용은 독립적으로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예시된 실시 예들에서, 특히, 그것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에 대해 폐쇄 구성요소(20)에 고정되어 제2 부분(13)에 견고하게 고정된 강체(a rigid body)(22)의 접촉에 의해 달성된다.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그들이 공유하는 측면과 그들을 다르게 야기하는 측면들을 강조하는 것들이 지금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후에, 제1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27을 참조하는 의미하고, 제2 실시 예는 도 28을 참조하는 것을 의미하고, 제3 실시 예는 도 29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제4 실시 예는 도 33 내지 도 38을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된 모든 실시 예들에서, 최소한 송입 섹션(19)의 연장부 상류를 위해, 삽입 경로는 사용 시 캡슐(2, 3)의 돌출 플랜지(16)가 슬라이드 할 수 있는 두 개의 대향하는 채널(23)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첫 번째, 세 개 실시 예에서, 적어도 채널(23)의 하나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활성 구성에서 사용 시에 캡슐(2, 3)의 플랜지(16)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같은 채널(the self-same channel)(23)의 내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비활성 구성에서 채널(23) 외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상 돌기(first tooth)(24)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치상 돌기(24)를 포함하고, 각각은 채널(23)의 하나에 위치된다.
예시된 첫 번째 3개 실시 예들 모두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채택할 수 있는 다른 구성들은 그것의 다른 위치들에 대응한다. 특히, 이것은 이것의 시프팅에 의해 활성 구성과 비활성 구성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그리고 활성 구성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그것이 진행 경로(the advancing path)(도 17)를 가로막는 활성 위치에 위치하고, 그리고 비활성 구성에서 이것은 그것이 삽입 경로(the insertion path)(도 19)와 접속하지 않는 비활성 위치에 위치된다. 특히, 그것은 삽입 경로의 연장 라인에 직교하게 병진 운동 가능한 슬라이드(a slide)(25) 위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가 장착되는 사실 때문에 유리하게 달성된다.
도 23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제1 실시 예에 대하여, 두 개의 치상 돌기(24)는, 슬라이드(25)로부터 연장하여 두 개의 고정된 부분 사이에 삽입된, 대응하는 수직 지지 아암(26)의 상부 단부, 캡슐(2, 3)을 위한 채널(23) 및 삽입 경로를 형성하는 내부 본체(an inner body)(27), 그리고 외부 격납 본체(an outer containment body)(28)에 장착된다. 특히, 두 개의 제1 치상 돌기(24)는 채널(23)에서 내부 본체(27)에 만들어진 두 개의 제1 슬릿(first slits)(29)에 위치되고, 그리고 슬라이드(25)의 이동은 그들이 채널(23)에 위치되는 위치와 그들이 채널(23) 밖에 위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제1 슬릿(29)을 통하여 제1 치상 돌기(24)의 시프팅을 야기한다. 좀 더 정확하게, 도 23 내지 도 25에 예시된 실시 예에서, 왼쪽으로 향하는 슬라이드(25)의 시프팅(도 25a와 도25b에서 최전면에서 측면으로부터 슬라이드(25)를 관찰하는)은 채널(23) 내로 제1 치상 돌기(24)를 이동시키고(따라서 활성으로 이동시키고), 반면에 오른쪽으로 향하는 반대 시프팅은 채널(23)로부터 제1 치상 돌기(24)를 이동시킨다(따라서 비활성 구성으로 이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25)는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에 따르는 슬라이드(25)의 시프팅을 야기하도록 폐쇄 구성요소(20)에 대하여 접촉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4개의 더 낮은 돌출부, 두 개의 앞쪽 돌출부(30)와 두 개의 뒤쪽 돌출부(31)(전체로서 장치(1)를 기준으로 주어진 정의들에 대하여 앞쪽 및 뒤쪽)를 포함한다. 도 25a와 도 25b를 참조하면, 앞쪽 돌출부(30)는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활성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반면에 뒤쪽 돌출부(31)는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비활성 구성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사실, 제1 및 제2 실시 예 양쪽에서 구현된 바람직한 해결책에 따라, 추출 위치에서 정위치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시프팅 동안에, 제1 부분(12) 또는 제2 부분(13)의 어느 하나, 또는 폐쇄 구성요소(20)가 비활성 구성에서 활성 구성으로 그것을 시프트시키기 위하여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기계적으로 자동하고, 그리고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활성 구성에 있다. 첫 번째 두 개의 실시 예들에서 이것은 앞쪽 돌출부(30)를 가진 폐쇄 구성요소(20)의 상호작용 때문에 달성된다.
뒤쪽 돌출부(31)와 앞쪽 돌출부(30)는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고, 그리고 후자의 전체 시프팅 위해서가 아니라 폐쇄 구성요소(20)와 상호작용하고, 그러나 단지 폐쇄 위치와 분리 위치 사이로 향하여 각각 시프팅 작용의 최종 연장 동안이다. 이렇게 하여,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전환은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이 거의 완성될 때 배타적으로 일어난다.
내부 본체(27)와 외부 본체(28) 양쪽은 작업자가 삽입 경로로/삽입 경로로부터 용이하게 캡슐(2, 3)을 삽입 및 제거하는 것을 허용하는, 앞쪽 하부 부분(a front lowered portion)(32)과 뒤쪽 하부 부분(a rear lowered portion)(33)을 포함하고, 반면에 내부 부분(27)은 두 개의 수직 지지 아암(26)이 연장 통과하는, 홀(34)을 통하여 수평으로 두 개를 늘이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해결책을 구현한다는 사실 때문에 제1 실시 예는 제2 실시 예와 전적으로 다르고, 일반적으로 장치(1)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추출 유닛(5) 밖에서 캡슐(2, 3)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구성요소(35)를 또한 포함한다.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송입 섹션(19)의 상류와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하류, 삽입 경로를 따라 또한 위치된다. 또한, 이것은 캡슐(2, 3)을 지지할 수 있는 작동 구성(an operating configuration)과 캡슐(2, 3)이 송입 섹션(19)으로 향하여 자유롭게 전진할 수 있는 곳에 위치된 비작동 구성(a non-operating configuration)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각각 정위치에서 추출 위치로, 리고 그 반대로의 시프팅 동안, 그리고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 동안, 제1 부분(12) 또는 제2 부분(13),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의 하나는 기계적으로 비작동 구성에서 작동 구성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그것을 각각 전환하도록 제2 지지 구성요소(35)에 작동한다. 이렇게 하여,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작동 구성으로 있고, 그리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비작동 구성으로 있다.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유사하게, 제2 지지 구성요소(35) 또한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그것의 시프팅에 의해 작동 구성과 비작동 구성 사이에서 유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그것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그것이 전진 경로를 방해하는 작동 위치에 위치되고, 반면에 비작동 구성에서 그것이 삽입 경로와 접속되지 않는 비작동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따라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와 유사하게 작동하고, 그러나 실질적으로 "반대 위상(phase opposition)"이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적어도 채널(23)의 하나에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작동 위치에서 사용 시에 캡슐(2, 3)의 플랜지(16)의 통과를 방지하기 위해 같은 채널(the self-same channel)(23) 내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비활성 구성에서 채널(23) 외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치상 돌기(second tooth)(36)를 포함한다. 그러나 유리하게, 제1 지지 구성요소(21)와 같이,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또한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치상 돌기(36)를 포함하고, 각각은 채널(23)의 하나에 위치된다.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또한 위에 언급된 슬라이드(25)에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예시된 실시 예에서(도 23 내지 도 27), 제2 치상 돌기(36)는 그들의 중간 부분에서 수직 지지 아암(26)에 또한 장착되고, 그리고 채널(23)에서 내부 본체(27)에 만들어진 두 개의 제2 슬릿(37)에 위치된다. 왼쪽으로 향하는 도 25a 및 도 25b의 슬라이드(25)의 시프팅은 채널(23)로부터 제2 치상 돌기(36)를 이동시키고(따라서 비작동 구성으로), 반면에 오른쪽으로 향하는 반대 시프팅은 채널(23) 내로 제2 치상 돌기(36)를 이동시킨다(따라서 작동 구성으로). 그것은 수직으로 제2 치상 돌기(36)를 제1 치상 돌기(24)와 일치하는 것에 벗어나 있기 때문에 달성된다.
도 28에 예시된 제2 실시 예와 관련하여, 이미 나타낸 것처럼, 이것이 제2 지지 구성요소(35)의 존재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 시에, 캡슐(2, 3)은 제1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실시 예에서는 폐쇄 구성요소(20)에 직접적으로 받쳐져 있다.
첫 번째 두 개의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폐쇄 위치에서 폐쇄 구성요소(20)를 가지고, 삽입 경로에서 두 개의 캡슐(2, 3)의 삽입을 허용하는 송입 섹션(19)으로부터 떨어져 또한 위치되고,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채널(23)에 삽입된 캡슐(2, 3)의 플랜지(16)의 부분들의 위치들에 대해 중간 위치에 위치되는 그런 방식으로 위치된다. 아래에 좀 더 상세히 또한 기술되는 것과 같이, 특히, 삽입하면, 삽입된 제1 캡슐(2)은 각각 제2 지지 구성요소(21)(제1 실시 예에서)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제2 실시 예에서)에 받쳐지고, 그리고 삽입된 제2 캡슐(3)은 제1 캡슐(2)에 받쳐지고, 그리고 채널(23)에 삽입된 캡슐의 플랜지 부분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가 비작동 구성에 위치된 것보다 높이(송입 섹션(19)로부터 거리)에서 더 큰다. 이렇게 하여, 작동 위치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전환과 분리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에 따라, 삽입된 제1 캡슐(2)은 대기 위치에 도달할 수 있고, 반면에 삽입된 제2 캡슐(3)은 캡슐의 플랜지(16)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받쳐질 때까지 전진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제3 실시 예와 관련하여, 다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전환은 그것의 시프팅에 의해 발생한다. 그러나 첫 번째 두 개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위에 기술된 것과 비교하여 상당한 차이가 있다.
사실, 제3 실시 예에서, 첫째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비작동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수동적으로 시프트할 수 있다. 그 목적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사용자에게 접근할 수 있는 파지 플랜지(grip flange)(47)를 포함하고, 반면에 이것은 추출 챔버(6)의 개구 동안에 제1 부분(12), 제2 부분(13)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부분들로부터 자유롭다. 특히,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제3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수평적으로 병진 운동(translate)할 수 있는 슬라이드(25)에 고정되고, 그러나 첫 번째 두 개의 실시 예의 것과는 다르게, 앞쪽 돌출부가 아닌, 단지 뒤쪽 돌출부(31)(이것이 비작동 위치로 자동적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허용하는)를 포함한다.
또한, 제3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캡슐(2, 3)은 추출 챔버(6)를 개방하여 삽입되고, 그래서 삽입된 제1 캡슐(2)(비작동 구성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와 함께)은 직접적으로 대기 위치에 도달하고, 반면에 제2 캡슐(3)은 작동 구성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전환한 후에 위치되어, 그와 같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받쳐져 있다. 그런 목적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삽입 경로를 방해하지 않고 캡슐(2, 3)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그것 자신의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도 30)와 캡슐(2, 3)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 위치(a projecting position)(도 32)(첨부된 도면들에서 지지 선반(the supporting shelf)(38)은 캡슐(2, 3)의 하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제4 실시 예는 좀 더 일반적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가 통과 구멍(a transit opening)(40), 그리고 통과 구멍(40)과 함께 위치된 캡슐(2, 3)을 위한 시트(a seat)(41)를 구비하는, 캡슐(2, 3)을 위한 지지 본체(a supporting body)(39)를 포함하여 해법을 구현한다. 캡슐(2, 3)을 위한 통과 구멍(40)은 송입 섹션(19)과 수직으로 일치되어 캡슐(2, 3)이 송입 섹션(19)으로 향하여 전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에 반하여, 제2 캡슐(3)은 시트(41) 위에 위치될 수 있고, 반면에 제1 캡슐(2)은 통과 구멍(40)과 송입 섹션(19)(분명하게 분리 위치에서 폐쇄 구성요소(20)와 함께)을 통하여 대기 위치에 삽입되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이것이 시트(41) 위에 캡슐(2, 3)이 위치잡기 하는 것을 허용하는 후방 위치(a back position)와 전방 위치(a forwar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추진 구성요소(a thrust element)(42)를 또한 포함한다.
사용 시에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추진 구성요소의 시프팅은, 같은 시트(41)로부터 통과 구멍(41)까지, 시트(41)에 위치된 캡슐(2, 3)의 시프팅을 야기한다. 추진 구성요소(42)가 후방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이 캡슐(2, 3)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작동 구성으로 있고, 반면에 추진 구성요소(42)가 전방 위치에 있을 때, 이것이 캡슐(2, 3)을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비작동 구성으로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제4 실시 에에 따라, 제1 캡슐(2)이 대기 위치에 직접적으로 삽입되어진 후, 제2 캡슐(3)의 삽입은 추진 구성요소(42)로부터 시트(41) 위에 이것을 단순히 받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다만 추출 챔버(6)가 폐쇄되어진 후, 제2 캡슐(3)이 장치(1)에 의해 통과 구멍(40)으로 자동적으로 시프트되어, 그때 송입 섹션(19)으로 향하여 떨어진다.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말하자면 비활성 구성)로 추진 구성요소(42)의 시프팅은 다른 실시 예들의 것과 유사한 돌출부(뒤쪽 돌출부(31))가 구비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25)에 추진 구성요소(42)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또한 유리하게 달성되어질 수 있다. 요구사항들에 종속하여, 반대 방향 시프팅은 수동적으로(제3 실시 예와 유사하게) 또는 자동화된 방법으로(제1 및 제2 실시 예들과 유사하게, 또한 슬라이드(25)에 앞쪽 돌출부(30)를 포함하여) 어느 하나로 달성될 수 있다.
아무튼, 제4 실시 예는 기술된 선행 실시 예들과 다르고, 4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추진 구성요소(42))의 부분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었고, 그래서 활성 구성과 비활성 구성 사이의 전환은 서로에 대해 시트(41)와 추진 구성요소(42)의 위치를 수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위에 기재된 다른 실시 예들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추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구성요소(21)(전체 또는 부분적)의 이동이 완전히 자동이면, 장치(1)는 두 개의 캡슐(2, 3)이 장전되든지 아니든지 상관없이 이것을 항상 수행한다. 그에 반해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배타적으로 수동으로 활성 구성으로 이동되어지면, 장치(1)는 이것이 미리 수동으로 활성 구성으로 전환되어졌다면(원칙적으로 두 개의 캡슐(2, 3)이 장전되면 단지 발생하는) 비활성 구성으로 그것을 전환하도록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이동시킬 것이고; 모든 다른 경우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비활성 구성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이미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은 매번 단일 음료를 자동적으로 만들 수 있는 장치(1)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자동적으로 만들 수 있는 장치(1) 양쪽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자동적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것에 유리하다.
이 경우에, 위에 기술된 것에 추가하여, 장치(1)(도 39)는 먼저 정위치와 추출 위치 사이에서 그들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모터(43)를 또한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모터(43)는 제 1 부분(12)에 연결된 크랭크 연결 로드 기구(a crank-connecting rod mechanism)(44)를 구동한다.
또한, 장치(1)는 사용자가 장치(1)의 작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an interface)(45)를 포함한다. 특히, 인터페이스(45)는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간단한 푸시 버튼(a simple push-button) 또는 터치스크린(a touch-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45), 모터(43) 및 음료 제조 수단들이 인터페이스(45)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부여된 명령에 따라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an electronic control unit)(46)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혁신적인 측면에 따라, 사용자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도록 명령을 부여하는 인터페이스(45)를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의 결과 때문에, 전자 제어유닛(46)은 차례로 단계들을 작동하는 순서를 수행하도록 사용 시에 프로그램 되어 있다.
특히, 위에 기술된 모든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는 작동 방법에 따라, 대기 위치에 제1 캡슐(2)과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받쳐 있는 제2 캡슐(3)과 함께,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는 상황에서 시작하여, 전자 제어유닛은, 유지 수단(14)에 의해 미리 유지된 제1 캡슐(2)을 공급 챔버에 클램핑하여,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추출 위치로 전환하도록 먼저 프로그램 되어 있다. 그 시프팅 동안에,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대응하는 시프팅이 있고, 그리고 동시에 활성 구성에서 비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전환이 있다. 이 방법에서, 그와 같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의해 미리 지지된 제2 캡슐(3)은 송입 섹션(19)로 향하여 삽입 경로를 따라 전진하는데 자유롭거나(첫 번째 3개 실시 예들에서) 또는 강제로 전진(제4 실시 예에서)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 예들에 종속하여, 그 전진은 캡슐(2, 3)이 제2 지지 구성요소(35)(제1 실시 예) 또는 폐쇄 구성요소(20)(다른 실시 예들)의 어느 하나에 받쳐지는 것을 허용할 것이다.
그 점에서, 전자 제어유닛(46)은 음료 제조 수단을 작동시켜 제1 캡슐(2)을 사용하는 제1 음료를 공급한다.
그 공급이 완료될 때, 전자 제어유닛(46)은 정위치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복귀하도록 모터(43)를 작동시키고, 제2 캡슐(2)은 결과적으로 추출 챔버(6)로부터 나오고, 배출 수단(17)에 의해 배출되고, 그 때 중력의 영향 하에서 유닛으로 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서로에 대해 제1 부분(12)과 제2부분(13)의 시프팅은 폐쇄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대응하는 시프팅을 야기하고(물론, 단지 제1 실시 예에서, 작동 구성에서 비작동 구성으로 제2 지지 구성요소(35)의 전환), 그리고 제2 캡슐(3)이 유지 수단(14)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 점에서, 전자 제어유닛(46)이, 먼저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추출 위치로 다시 시프트하도록 프로그램 되고, 공급 챔버에 제2 캡슐(3)을 클램핑하고(동시에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의 새로운 시프팅을 야기하고), 그 때 제2 캡슐을 사용하는 제2 음료를 공급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추출 챔버(6)의 다음의 재-개방은 얻어진 상황이 도 22에 도시된 것이 되도록 제2 캡슐(3)의 배출을 야기한다.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 기술된 프로그래밍은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는 시작 상황을 포함하고, 제1 캡슐(12)은 대기 위치에 있고, 그리고 제2 캡슐(3)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받쳐져 있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 따라, 그 시작 상황은 다른 방법들로 달성되어질 수 있고, 그리고 훨씬 더 기본적인 작동 단계를 요구할 것이다.
첫 번째 두 개의 실시 예에 관하여, 특히, 정위치에서, 장치(1)는 폐쇄된 추출 챔버(6)와 함께 남아 있다. 사실, 이 방법에서, 어떤 명령들이 발생하기 전에, 사용자가 두 개의 캡슐(2, 3)을 삽입할 수 있고: 제1 캡슐은 제2 지지 구성요소(35)(도 10 내지 도 13)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제2 실시 예에서)에 각각 받쳐지고; 제2 캡슐은 제1 캡슐(도 10 내지 도 11)에 받쳐져 있다.
사용자가 이중 공급 명령을 주면, 전자 제어유닛(46)은 위에 기술된, 정위치 내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시프팅하는 기본적 단계 전에 수행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고, 동시에 폐쇄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대응하는 시프팅, 활성 구성에 제1 지지 구성요소의 전환을 을 야기하고, 그리고 단지 제1 실시 예에서, 비작동 구성(도 14내지 도 18)에 제2 지지 구성요소(35)의 전환을 야기한다.
그 전환 후에, 제1 캡슐(2)은 유지 수단(14)에 도달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캡슐(3)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받쳐지도록 올 수 있다.
그 점에서, 작동은 위에 기술된 것처럼 계속한다.
이와 반대로, 제3 실시 예에 관하여, 정위치에서, 장치(1)는 폐쇄 또는 개방으로 추출 챔버(6)와 함께 유지되는 경우일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 두 개의 대안적인 가능성들이 있다.
첫 번째 가능성에 따라, 사용자가 이중 공급 명령을 부여할 때, 전자 제어유닛(46)은 대기 위치에 사용자가 제1 캡슐(2)을 삽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정위치로 이동시키고, 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수동 전환을 수행하고, 그리고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제2 캡슐(3)을 위치시키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추출 챔버(6)의 개방 후, 또는 두 개의 캡슐(2, 3)이 장전된 것을 확인하도록 작업자에 의해 나온 명령을 따른 후에 경과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시작되어질 것이다.
두 번째 가능성에 따라, 이것은 이중 공급 명령을 부여하기 전에, 사용자가 전자 제어유닛(46)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에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부여해야 하는 경우일 것이다. 단지 두 개의 캡슐(2, 3)의 삽입 후, 사용자는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고, 그리고 장치(1)의 작동이 위에 기술된 것처럼 진행될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정위치에서, 장치(1)가 추출 챔버(6)와 함께 개방을 유지한다면, 사용자는 대기 위치에 제1 캡슐(2)을 삽입하고, 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수동으로 전환하고,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제2 캡슐(3)을 위치시키고,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중 공급 명령을 부여하는 것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로 이동하면, 전자 제어유닛(46)의 프로그래밍은 제3 실시 예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할 것이다. 사실, 제4 실시 예 또한, 정위치에서 장치(1)는 추출 챔버(6)가 개방 또는 폐쇄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추진 구성요소(42)의 이동이 양쪽 방향에서 자동적으로 있으면, 제3 실시 예와는 다르게, 사용자는 이것을 이동할 필요가 없다.
마지막으로, 이것은 본 발명이 장치에서 동시에 두 개의 캡슐(2, 3)을 적재할 가능성을 참조하여 배타적으로 기술되어 있을지라도, 이것은 삽입 경로에 차례로 캡슐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장치에 평평하게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 경우에, 제2 캡슐(3)이 추출 챔버(6)에 삽입되었을 때, 송입 섹션(19)의 상류에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추가의 캡슐이 다시 있을 것이고, 결국 추출 유닛 내로 장전될 준비가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 때문에, 공급 사이클을 시작하기 전에 장치에 두 개의 캡슐이 장전되는 것을 허용하는,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를 만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본 발명 때문에, 어떤 작동하지 않는 시간 없이 장치에 미리 설치된 두 개의 캡슐을 사용하여, 차례로 완전히 자동적인 방법으로 두 개의 음료들이 만들어지는 것을 허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생산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고,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에 연결된 비용조차 매우 높지 않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위에 기술된 본 발명은 발명의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 없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정되어 채택될 수 있다.
모든 세부사항들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구성요소들 및 사용된 재료는 물론,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치수들은 대체되어질 수 있고, 요구사항들에 따라 변할 수 있다.
1: 장치
2: (제1) 캡슐
3: (제2) 캡슐
4: 지지 구조
5: 추출 유닛
6: 추출 챔버
7: 이송 회로
8: 공급 덕트
12: 제1 부분
13: 제2 부분
14: 유지 수단
15: 블록
16: 돌출 플랜지
17: 배출수단
18: 삽입 덕트
19: 송입 섹션
20: 폐쇄 구성요소
23: 채널

Claims (20)

  1.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만들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추출 챔버(6)는, 사용 시에, 캡슐(2, 3)이 삽입될 수 있게 만들어지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은 그들이 서로 떨어져 그들 사이에 캡슐(2, 3)의 위치잡이를 허용하고, 그리고 추출 챔버(6)가 개방되어 있는 정위치와 그들이 함께 결합되어 추출 챔버(6)를 폐쇄하는 추출 위치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차례로 포함하는 추출 유닛(5);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정위치에서 추출 위치로 그들의 최소 시프팅 동안에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 상에 캡슐(2, 3)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14);
    캡슐(2, 3)의 삽입을 위한 삽입 덕트(18)는 수직 주 연장 구성요소(a vertical main extension component)를 포함하여 송입 섹션(19)에서 유지 수단(14)까지 연장하고, 장치(1)에서 캡슐(2, 3)의 삽입을 위한 경로의 최종 연장부를 형성하는 삽입 덕트(18);
    송입 섹션(19)에 위치되어 캡슐(2, 3)이 송입 섹션(19)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와 캡슐(2, 3)의 통과를 허용하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분리 위치에 위치되도록 추출 유닛(5)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폐쇄 구성요소(20);
    사용 시에, 폐쇄된 추출 챔버(6)에 포함된 캡슐(2, 3)을 통하여 온수를 순환시키고, 그것에 의해 음료가 만들어지게 하고, 그리고 장치(1)의 바깥으로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를 만들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제1 캡슐(2)이 추출 챔버(6)에 위치되는 동안에 추출 유닛(5) 바깥에서 제2 캡슐(3)을 지지하기 위해, 송입 섹션(19)의 상류, 삽입 경로를 따라 위치되고, 캡슐(2, 3)을 지지할 수 있는 활성 구성과 캡슐(2, 3)이 송입 섹션(19)로 향하여 자유롭게 전진할 수 있는 곳에 위치되는 비활성 구성 사이에서 전환 할 수 있는 제1 지지 구성요소(21);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비활성 구성으로 있고, 그리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서 추출 위치로 시프팅, 그리고 폐쇄 구성요소(20)가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시프팅하는 동안에, 제1 부분(12)또는 제2 부분(1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폐쇄 구성요소(20)가 활성 구성에서 비활성 구성으로 그것을 전환하도록 제1 지지 구성요소(21)위에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송이 섹션(19)의 적어도 상류에서, 사용 시에 삽입 경로는 캡슐(2, 3)로부터 돌출하는 플랜지(16)가 슬라이드 할 수 있는 두 개의 대향하는 채널(23)을 포함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채널(23)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비활성 구성에서, 사용 시에 캡슐(2, 3)의 플랜지(16)의 통과를 방지하는 그와 같은 채널(23) 내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활성 구성에서, 채널(23) 바깥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상 돌기(23)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1 치상 돌기(24)를 포함하고, 각각은 채널(23)의 적어도 하나에 위치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삽입 경로의 연장선에 직교하여 병진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25)에 장착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그것의 시프팅에 활성 구성과 비활성 구성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고, 그리고 활성 구성에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진행 경로를 가로막는 활성 위치에 위치하고, 그리고 비활성 구성에서 이것은 삽입 경로와 접속하지 않는 비활성 위치에 위치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 추출 위치에서 정위치로, 그리고 폐쇄 구성요소(20)가 폐쇄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시프팅하는 동안에, 제1 부분(12)또는 제2 부분(13)의 어느 하나, 또는 폐쇄 구성요소(20)가 비활성 구성에서 활성 구성으로 이것을 전환하도록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기계적으로 작동하고, 그리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지 구성요소(21)기 활성 구성에 있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추출 유닛(5) 바깥에서 캡슐(2, 3)을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 구성요소(35)를 또한 포함하고,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송입 섹션(19)의 상류와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하류에서 삽입 경로를 따라 위치되어 캡슐(2, 3)을 지지할 수 있는 작동 구성과 캡슐(2, 3)이 송입 섹션(19)으로 향하여 자유롭게 전진할 수 있게 위치된 비작동 구성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각각 정위치에서 추출 위치로 그리고 그와 반대로, 그리고 폐쇄 구성요소(20)가 각각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시프팅하는 동안에, 제1 부분(12) 또는 제2 부분(13)의 어느 하나, 또는 폐쇄 구성요소(20)가 비작동 구성에서 작동 구성 그리고 그와 반대로 각각 이것을 전환하도록 제2 지지 구성요소(35)에 기계적으로 작동하고; 그리고,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추출 위치에 있을 때 작동 구성으로 있고, 그리고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비작동 구성으로 있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이동 가능하고, 그리고 이것의 시프팅에 의해 작동 구성과 비작동 구성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고, 그리고 비작동 구성에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전진 경로를 가로막는 작동 위치 및 삽입 경로 접속되지 않은 비작동 위치에 위치되는 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23)에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작동 구성에서 캡슐(2, 3)의 플랜지(16)의 통과를 사용 시에 방지하기 위한 그와 같은 채널(23) 내측에 위치되고, 그리고 비작동 구성에서는 채널(23) 바깥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치상 돌기(36)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두 개의 대향하는 제2 치상 돌기(36)를 포함하고, 각각은 채널(23)의 하나에 위치되는 장치.
  11. 제 4 항,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지지 구성요소(35)는 또한 슬라이드(25)에 장착되는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이 정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지 구성ㅇ요소(21)는 비활성 위치에서 활성 위치로 수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지지 구성요소(21)는 송입 섹션(19)에 수직으로 정렬된 캡슐(2, 3)을 위한 지지 본체(39), 그리고 관통 구멍(40)과 나란히 위치된 캡슐(2, 3)을 위한 시트(41)를 포함하고, 그리고 추진 구성요소(42)는 시트(41) 위의 캡슐(2, 3)의 위치잡이를 허용하는 후방 위치, 그리고 전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사용 시에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구성요소(42)의 시프팅은, 그와 같은 시트(41)에서 통과 구멍(40)으로, 시트(41) 위에 위치된 캡슐(2, 3)의 시프팅을 야기하고, 그리고 후방 위치에서 추진 구성요소(42)의 위치잡이는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활성 구성에 대응하고, 그리고 전방 위치에서 추진 구성요소(42)의 위치잡이는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비활성 구성에 대응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정위치와 추출 위치 사이에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모터(43);
    사용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치(1)를 통하여 제어할 수 있고,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45); 및
    인터페이스(45), 모터(34) 및 사용자가 부여한 명령들에 따라 장치(1)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음료를 만드는 수단에 연결된 전자 제어유닛(46)을 또한 포함하고,
    사용자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도록 인터페이스(45)를 사용할 때, 전자 제어유닛(46)은 차례로 다음의 작동단계를 사용 시 수행하도록: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은, 추출 위치 내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시프트하도록, 정위치에 있는 상황에서 시작하여, 유지 수단(14)에 의해 미리 유지된, 제1 캡슐(2)을 공급 챔버에 클램핑하고, 동시에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대응하는 시프팅을 야기하는 단계;
    동시에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에 의해, 활성 구성에서 비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전환을 야기하고, 송입 섹션(19)으로 향하여 삽입 경로를 따라 그와 같은 제1 지지 구성요소(21)에 의해 미리 지지된 제2 캡슐(3)이 전진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제1 캡슐(2)을 사용하여 제1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
    추출 위치(6)로부터 제1 캡슐(2)의 배출 이송(consequent outfeed 결과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정위치로 복귀시키고, 폐쇄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대응하는 시프팅을 야기하고, 그리고 유지 수단(14) 까지 제2 캡슐(3)의 도달을 허용하는 단계;
    다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추출 위치 내로 시프팅 시키고, 공급 챔버에 제2 캡슐(3)을 클램핑하고, 동시에 분리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새로운 시프팅을 야기하는 단계; 및
    제2 캡슐(3)을 사용하여 제2 음료를 공급하는 단계; 들이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를 공급하는 명령을 부여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45)를 사용할 때, 전자 제어유닛(46)은 공급 위치에서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초기 상황에서 시작하는 단계,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을 정위치 내로 시프팅하는 예비 단계(a preliminary step), 동시에 폐쇄 위치에서 분리 위치로 폐쇄 구성요소(20)의 대응하는 시프팅을 야기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예비 단계 동안에,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시프팅,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20)이, 송입 섹션(19)을 통하여 유지 수단(14)까지 그것의 도착에 의해, 폐쇄 위치에 위치된 폐쇄 구성요소(20)에 놓이게 미리 위치된, 제1 캡슐(2)의 통과를 야기하는 장치.
  17. 제 7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예비 단계 동안에,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시프팅,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20)이, 제1 캡슐(2)을 지지하는 작동 구성으로부터 비작동 구성까지 제2 지지 구성요소(35)의 전환을 야기하고, 그것에 의해 제1 캡슐(2)이 유지 수단(14)까지 전진하는 것을 허용하는 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예비 단계 동안에, 제1 부분(12)과 제2 부분(13)의 시프팅, 또는 폐쇄 구성요소(20)의 시프팅(20)이, 삽입 수단으로 향하여 제1 캡슐(2)이 전진한 후에, 제1 지지 구성요소(21)가 제1 캡슐(2)에 의해 미리 직접 지지된 제2 캡슐(3)을 지지할 수 있는 그런 방법으로 비활성 구성에서 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전환을 일으키는 장치.
  19. 제 12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들 공급하도록 명령을 부여하는 인터페이스(45)를 사용할 때, 활성 구성에서 비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전환하는 단계는 미리 수동으로 위치되어진 활성 위치에서 비활성 위치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의 시프팅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차례로 두 개의 음료들 공급하도록 명령을 부여하는 인터페이스(45)를 사용할 때, 활성 구성에서 비활성 구성으로 제1 지지 구성요소(21)를 전환하는 단계는 후방 위치에서 전방 위치로 추진 구성요소(42)의 시프팅과, 그리고 송입 수단(19)을 통하여 유지 수단(14)에 도달하는 통과 구멍(40)까지, 미리 시트(41) 위에 놓여 위치된 제2 캡슐(3)의 시프팅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87014427A 2015-10-22 2016-10-07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2574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5000064543 2015-10-22
ITUB2015A005069A ITUB20155069A1 (it) 2015-10-22 2015-10-22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mediante il passaggio di acqua calda in una capsula contenente una sostanza alimentare
PCT/IB2016/056011 WO2017068448A1 (en) 2015-10-22 2016-10-07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by passing hot water in a capsule containing a food subst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902A true KR20180069902A (ko) 2018-06-25
KR102574639B1 KR102574639B1 (ko) 2023-09-04

Family

ID=5535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427A KR102574639B1 (ko) 2015-10-22 2016-10-07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653267B2 (ko)
EP (1) EP3364827B1 (ko)
JP (1) JP6907198B2 (ko)
KR (1) KR102574639B1 (ko)
CN (1) CN108471898B (ko)
AU (1) AU2016341546B2 (ko)
BR (1) BR112018008139B1 (ko)
CA (1) CA3001686A1 (ko)
CO (1) CO2018003967A2 (ko)
ES (1) ES2774528T3 (ko)
IT (1) ITUB20155069A1 (ko)
MX (1) MX2018004762A (ko)
MY (1) MY187628A (ko)
PT (1) PT3364827T (ko)
SG (1) SG11201803033SA (ko)
WO (1) WO2017068448A1 (ko)
ZA (1) ZA2018023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10589A1 (it) * 2018-11-26 2020-05-26 Caffitaly System Spa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e a capsul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797B2 (en) * 2004-05-05 2010-09-14 Nestec S.A. Capsule-dispensing cabinet for supply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rinks or other food prepa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10537B1 (it) * 1999-02-22 2002-02-18 Simac Vetrella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spresso
ATE294522T1 (de) * 1999-04-23 2005-05-15 Fianara Int Bv Einrichtung zum zuführen von abgepackten portionen gemahlenen kaffees in eine brüheinheit
DE20105672U1 (de) * 2001-03-31 2001-09-13 Eugster Frismag Ag Romanshorn Espressobrüheinrichtung
EP1495702A1 (fr)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capsule
ITMI20050854A1 (it) 2005-05-12 2006-11-13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FR2916336A1 (fr) * 2007-05-21 2008-11-2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ysteme de production de boissons par infusion
IT1394284B1 (it) * 2009-05-21 2012-06-06 Saeco Strategic Servi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onfezioni monodos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EP2301394B1 (en) * 2009-09-25 2012-04-18 F.A.S. International S.p.A. Device for preparing infused beverages having improved capsule feeding means
DE102009049945A1 (de) * 2009-10-19 2011-04-21 Krüger Gmbh & Co. Kg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ITTO20120249A1 (it) * 2012-03-20 2013-09-21 Lavazza Luigi Spa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liquidi tramite cartucce
WO2012168917A1 (en) * 2011-06-09 2012-12-13 Luigi Lavazza S.P.A. Delivery assembly for machines for preparing liquid products via cartridges
ITVR20110179A1 (it) 2011-09-19 2013-03-20 Caffita System Spa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mediante l'utilizzo di cartucce, quali cartucce o cialde
ITVR20110180A1 (it) * 2011-09-19 2013-03-20 Caffita System Spa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mediante l'utilizzo di cartucce, quali capsule o cialde
DE112012001531T5 (de) * 2012-02-28 2013-12-24 Nestec S.A. Kapselgesteuerte motorisierte Brüheinheit
ITTO20120659A1 (it) * 2012-07-26 2014-01-27 Lavazza Luigi Spa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tramite capsule
WO2014056862A1 (en) * 2012-10-09 2014-04-17 Nestec S.A. Extraction unit with multi-size cartridge cavity
WO2014060932A1 (en) * 2012-10-16 2014-04-24 Rheavendors Services S.P.A. Device and process for dispensing beverages from capsules
DE102013202677A1 (de) * 2013-02-19 2014-08-21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Magazineinheit, Brühsystem und Verfahren zum Bestücken einer Brühvorrichtung mit einer Portionskapsel
ITVR20130194A1 (it) 2013-08-09 2015-02-10 Caffita System Spa Gruppo orizzontal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sostanze alimentari in polvere
ITVR20130195A1 (it) 2013-08-09 2015-02-10 Caffita System Spa Gruppo orizzontal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sostanze alimentari in polvere
WO2015036850A1 (de) * 2013-09-13 2015-03-19 Az Design Gmbh Mehrportionen-magazin mit adapter für brühmaschine brühmaschine und zubehör
ITUB20160477A1 (it) * 2016-02-02 2017-08-02 Caffitaly System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una sostanza alimenta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3797B2 (en) * 2004-05-05 2010-09-14 Nestec S.A. Capsule-dispensing cabinet for supply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rinks or other food prepar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01686A1 (en) 2017-04-27
KR102574639B1 (ko) 2023-09-04
US20180303272A1 (en) 2018-10-25
CO2018003967A2 (es) 2018-07-10
ZA201802347B (en) 2019-07-31
ITUB20155069A1 (it) 2017-04-22
EP3364827A1 (en) 2018-08-29
CN108471898B (zh) 2021-04-13
AU2016341546A1 (en) 2018-04-26
US10653267B2 (en) 2020-05-19
JP2018531105A (ja) 2018-10-25
JP6907198B2 (ja) 2021-07-21
AU2016341546B2 (en) 2021-08-26
PT3364827T (pt) 2020-03-23
WO2017068448A1 (en) 2017-04-27
SG11201803033SA (en) 2018-05-30
MY187628A (en) 2021-10-05
ES2774528T3 (es) 2020-07-21
CN108471898A (zh) 2018-08-31
BR112018008139A2 (pt) 2018-11-06
EP3364827B1 (en) 2019-12-18
BR112018008139B1 (pt) 2022-05-17
MX2018004762A (es)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0352A (en)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US4909136A (en)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and beverage preparing machines
US4873915A (en) Beverage preparing machines
EP0334573B1 (en)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and beverage preparing machines
EP2520203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starting from a powder material contained in a sealed cartridge
CN103763998B (zh) 提取系统的料盒室
CN103747713B (zh) 用于经由盒来制备液体产品的机器的输送组件
CN103763999B (zh) 料盒定位系统
KR101460121B1 (ko) 특히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 등을 위한 주입 캡슐 등을 위한 주입 장치
JP2018526085A (ja) 人間工学的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飲料マシン
EP2747608B1 (en)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JP2018526084A (ja) 人間工学的排出口を備えた飲料マシン
JP2000316724A (ja) 予めパック詰めされたコーヒー容器をコーヒーマシンの調製ユニットへ供給する組立体
KR20180069902A (ko)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JP2018531105A6 (ja) 食品物質収納カプセルに熱水を通過させることによる飲料形成装置
CN109195902B (zh) 用饮料浓缩物筒制备饮料的机器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