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436A -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436A
KR20180068436A KR1020160170113A KR20160170113A KR20180068436A KR 20180068436 A KR20180068436 A KR 20180068436A KR 1020160170113 A KR1020160170113 A KR 1020160170113A KR 20160170113 A KR20160170113 A KR 20160170113A KR 20180068436 A KR20180068436 A KR 2018006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image
surveillance area
camera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630B1 (ko
Inventor
김경숙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08Tracking movement of a target, e.g. by detecting an object predefined as a target, using target direction and or velocity to predict its new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각지대 발생 없이 지정된 감시 영역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영상의 끊김 현상 없이 보행자를 관찰할 수 있고,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투신자살을 위해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를 선별하여 추적 관찰함으로써 교량에서의 투신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투신자살 시도 시 구조 활동을 위한 투신자의 투신 지점을 정확히 확인함과 동시에 투신자를 추적 관찰하여 신속한 구명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살 발생 시 구조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VISUAL OBSERVATION SYSTEM FOR PREVENTION OF SUICIDE}
본 발명은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서의 투신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대도시의 경우 정신적인 문제, 육체적인 질병 문제, 경제적 문제, 가정문제, 직장이나 남녀문제 등으로 인하여 자살자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자살 사고의 추이를 살펴보면 매년 같은 장소 같은 시간대에 사고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한강 교량과 같은 교량에서의 자살 소동은 일종의 해프닝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문제로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한강교량에서의 투신자살 시도는 이틀에 한명 꼴로 발생하고 있으며, 마포대교의 경우 가장 많은 투신자살 시도가 발생되고 있다.
그리하여, 마포대교의 경우 투신자살 시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 난간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조명이 조사됨으로써 보행자에게 자살방지 문구 등의 내용을 전달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명장치의 경우 투신자살을 하기 위해 교량을 서성이는 보행자의 마음을 어느 정도 회유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투신자살을 목적으로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를 선별하여 적극적으로 투신자살을 예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 시 투신 자살자를 추적하여 구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6184호(2015.02.1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지대 발생 없이 지정된 감시 영역을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의 움직임과 연계하여 영상의 끊김 현상 없이 보행자를 관찰할 수 있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투신자살을 위해 교량을 지나는 보행자를 선별하여 추적 관찰함으로써 교량에서의 투신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시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행자의 투신자살 시도 시 구조 활동을 위한 투신자의 투신 지점을 정확히 확인함과 동시에 투신자를 추적 관찰하여 신속한 구명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살 발생 시 구조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관제 센터 내에 배치되어 구조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제어부와, 서로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서는 상호 간에 교차하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지정된 감시 영역의 양방향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된 객체의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와,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사각 지대인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 하부에 위치한 지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와,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에 의해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하는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추적하면서 감지하여 감지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객체 추적 카메라 및, 상기 감시 영역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난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는 추적 감지되는 객체가 지정된 감시 영역을 벗어나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객체 추적 카메라로 연계되어 객체를 추적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 배치되어 비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비상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되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진입 감지 카메라,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 객체 추적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되기 전, 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보행자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 내로 진입한 객체의 자체 발열을 감지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야간 또는 악천후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시에도 객체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외선 감지기에 의해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고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객체를 추적 감시하여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에 열화상 카메라의 작동신호와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수신된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로 이동한 후 상기 객체를 추적 감시하면서 이동되는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탑재한 드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나 공익문구를 지정된 감시 영역에 표출할 수 있는 그림자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객체의 영상과 기 저장되어 있는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감지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에 기 저장된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은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배회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연기 및 화재로 추정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소정 시간 이상 정지한 객체의 영상 패턴, 제어부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가상 경계선을 통과 및 이탈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금지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및, 사전 지정된 경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음향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감지대상으로 판단된 객체에게 경보나 안내방송 또는 계도 및 회유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음향 발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은 사각지대 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감지대상 객체를 추적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대상 객체의 이상 행동 발생 시 경보나 회유 방송 등과 같은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함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로 구조대가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에서의 투신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은 지정된 감시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가 감지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실제 투신자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구조대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으므로 잘못된 구조 신호에 의한 구조 인력과 구조비용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은 투신자의 투신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구조대에 전송함은 물론, 투신 후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투신자의 위치까지도 추적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대로 하여금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의 구조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감시 시스템의 설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감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감시 시스템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감시 시스템(110)는 제어부(120),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 음향 발생수단을(112) 및, 적외선 감지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관제센터 내에 배치되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영상감시 장치(110)의 후술되는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 음향 발생수단을(112), 적외선 감지기(114), 열화상 카메라(111d), 드론(115), 모바일 열 영상 카메라(111e), 비상벨(113), 그림자 조명(116)과는 무선 매시 네트워크(Mesh 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20)는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 적외선 감지기(114), 열화상 카메라(111d), 드론(115), 모바일 열 영상 카메라(111e)에 의해 감지된 객체의 영상과 좌표 값을 상기 무선 매시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에(120)는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이 기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20)에 기 저장되는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은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배회하는 영상 패턴,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소정 시간 이상 정지한 영상 패턴, 상기 제어부(120)에 기 설정된 가상 경계선을 통과 및 이탈하는 영상 패턴, 금지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및, 사전 지정된 경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으로는 지정된 감시 영역 내의 화재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연기 및 화재로 추정되는 영상 패턴과, 지정된 감시 영역 내의 수상한 물체의 영상 패턴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20)는 진입 감지 카메라(111a)로부터 감지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이 전달되면,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로부터 전달된 영상을 기 저장된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과 비교 분석하여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로부터 전달되어 비교 분석된 감지된 객체의 영상이 기 저장된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과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감지된 객체를 추적 감지대상으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가 감지된 객체를 추적 감지대상으로 판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객체 추적 카메라(111c)로 추적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111c)를 작동시켜 상기 추적 감지대상을 추적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음향 발생수단(112)을 통해 추적 감지대상에게 경보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111c)에 의해 추적 관찰되는 객체가 제어부(12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구조대에 구조신호와 함께 추적 관찰되는 객체의 감지 좌표 값을 자동으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명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구조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111c)에 의해 추적 관찰되는 객체가 제어부(12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조대에 구조신호와 객체의 감지 좌표 값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서로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서는 상호 간에 교차하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로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 설치되는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교량의 난간 등에 설치된 태양전지 패널 등과 같은 구조물들에 의해 가려져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객체의 영상이 촬영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 설치되는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구조물들의 하부 부분을 상호 간에 교차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구조물들에 의해 영상 촬영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교량의 인도 측에 설치된 폴(200)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지정된 감시 영역의 양방향 영상, 즉 객체의 진입 방향과 진출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 및 진출하는 객체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된 객체의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고정형 카메라로서 각 카메라가 최대 100m의 감시 범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안개보정, 흔들림 보정 기능과, 장애 시 내부 메모리에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SD/SDHC 메모리카드 슬롯을 지원함과 동시에, 렌즈를 하우징에 별도로 부착 가능한 박스형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는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사각 지대인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 하부에 위치한 지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제어부(120)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객체의 진입 방향과 진출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폴(200)에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상기 폴(200)의 하부 부분에 위치한 지정된 감시 영역의 경우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촬영되지 않아 영상 촬영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상기 폴(200)의 하부에 위치한 사각 지대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도록 상기 폴(200)에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를 설치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로는 폴(200)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 직경 20m를 촬영할 수 있는 어안 카메라(Fish-Eye Camera)를 사용함으로써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촬영되지 않은 폴(200) 하부의 지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111c)는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하는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와 연계하여 추적하면서 감지하여 감지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111c)로는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 방향 추적이 가능한 회전형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거리 객체를 자동으로 줌인 확대하여 추적을 할 수 있도록 30배 이상의 광학 줌을 내장하는 IR 일체형 네트워크 PTZ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111c)는 흔들림을 보정하여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이미지 스태빌라이저 기능과, 역광에 의해 어두워진 영상의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역광보정 기능과, 안개 낀 영상을 강제로 보정하여 선명한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안개보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객체 추적 카메라(111c)는 추적 감지되는 객체가 지정된 감시 영역을 벗어나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객체 추적 카메라(111c)로 연계되어 객체를 추적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환언하면, 객체 추적 카메라(111c)는 추적하는 객체가 감시 영역을 벗어날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이웃하는 객체 추적 카메라(111c)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객체 추적 카메라(111c) 끼리 서로 연계하여 이동하는 객체를 추적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향 발생수단(112)은 상기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음향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감지대상으로 판단된 객체에게 경보나 안내방송 또는 계도 및 회유 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 발생수단(112)은 폴(20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 및, 음향 발생수단(112)은 네트워크 스위치(118)를 통한 무선 매시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센터 내에 배치된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감시 장치(110)는 비상벨(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벨(113)은 상기 제어부(120)와 연결되도록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 배치된 폴(200)에 설치되어 비상 신호를 상기 제어부(120)에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상벨(113)은 상기 제어부(12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신고자가 관제센터와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상벨(113) 또한 네트워크 스위치(118)를 통한 무선 매시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센터 내에 배치된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감지 시스템(110)은 적외선 감지기(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는 상기 다수개의 영상감시 장치(110)가 설치된 감시 영역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는 교량 난간을 따라 50m 내지 60m 간격으로 배치되어 교량 난간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보행자에 의한 훼손 또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 난간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감지기(114)는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난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환언하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는 교량 난간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됨으로써 보행자가 투신자살을 위해 교량 난간을 넘으려고 할 시 보행자를 감지하여 제어부(120)로 보행자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는 신호와 보행자가 설정 영역을 벗어난 위치 좌표 값을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명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는 보행자의 교량에서의 투신 여부를 최종 확인함과 동시에 보행자의 정확한 투신 위치를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신속한 구명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의 구조 확률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 내에는 알람이 설치되어 적외선 센서가 작동하면 1차 알람이 발생됨과 동시에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는 제어부(120)로 알람 발생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20)로 알람 발생 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120)는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기 전, 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보행자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의 경우 실제 보행자를 감지하여 작동될 수도 있지만, 조류 등이 교량 난간을 지나가거나 교량 난간에 안착하게 될 경우에도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의 경우에는 지열이나 자동차 배기열 등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될 경우 제어부(120)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기 전, 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보행자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적외선 감지기(114)가 조류나 지열 또는 배기열 등에 의해 작동되었는지 실제 보행자에 의해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제 보행자가 아닌 조류 등과 같은 동물이나, 지열 또는 배기열 등과 외부 환경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제 보행자로 인하여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음향 발생수단(112)을 작동시켜 2차 경보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객체 추적 카메라(111c)를 작동시켜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된 감시 영역에 위치한 보행자를 자동으로 추적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과 감지 위치 값을 제어부(120)로 전송을 하게 된다.
한편, 보행자가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에 의해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 교량 난간 외측으로 투신하게 되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는 제어부(120)로 보행자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는 신호와 함께 보행자가 설정 영역을 벗어난 위치 좌표 값을 전송하여 신속한 구명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적외선 감지기(114)는 별도의 비디오 서버(117)를 통해 네트워크 스위치(118)와 연결됨으로써 무선 매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 장치(110)는 열화상 카메라(11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d)는 지정된 감시 영역 내로 진입한 객체의 자체 발열을 감지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야간 또는 악천후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시에도 객체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d)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에 의해 객체, 즉 보행자가 설정된 영역을 벗어낫다고 감지되면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객체를 추적 감시하여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를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환언하면,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d)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에 의해 보행자가 설정된 영역을 벗어낫다고 감지되면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어 하천을 따라 이동되는 투신자를 추적 감시하여 투신자의 영상과 위치 좌표 값을 제어부(120)로 전송함으로써 관제센터나 구조대가 이동되는 투신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구명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 시스템(110)은 제어부(120)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드론(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론(115)은 적외선 감지기(도시되지 않음)를 탑재하여 상기 제어부(120)에 열화상 카메라(111d)의 작동신호와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작동되어 수신된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로 이동한 후, 상기 객체를 추적 감시하면서 이동되는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가 열화상 카메라(111d)의 감지 범위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끝까지 투신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관제센터나 구조대에 투신자의 위치 좌표 값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의 구명확률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영상감시 시스템(1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바일 열 영상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열 영상 카메라의 경우 구조대가 소지한 제어부(120)와 연결된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되어 야간 현장 투신자 발생 시 구조대가 수난 구조선에 탑승하여 투신자의 체온을 검지함으로써 구조대가 직접 투신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영상감지 시스템(110)은 상기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나 공익문구를 지정된 감시 영역에 표출할 수 있는 그림자 조명(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림자 조명(116)의 경우 가로등이나 각종 간판에 적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그림자 조명과 동일/유사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림자 조명(11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영상감지 장치(110)는 폴(200)에 부착되는 위치 표시판(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표시판(119)은 상기 영상감지 장치(110)가 설치된 각각의 폴(200)에 서로 다른 번호가 새겨진 것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행 방향과 하행 방향을 색상으로 구분하여 교량에서의 투신자 발생 시 보행자나 운전자가 관제센터나 구조대에 투신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감시 장치(110)에 의해 촬영되어 제어부(120)로 전달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또한 상기 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관제센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감시 장치(110)에 의해 촬영되어 제어부(120)로 전달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리지(140) 또한 상기 제어부(120)와 마찬가지로 관제센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어부(120)에 의해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 객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여기서,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서로 이웃하는 진입 감지 카메라(111a)가 촬영할 수 있는 서로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서는 상호 간에 교차하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지정된 감시 영역의 양방향 영상을 촬영하여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하는 객체를 사각지대 없이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는 감지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지정된 감지 영역 내에 객체가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감지된 객체가 감지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20).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객체의 영상과 기 저장되어 있는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감지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20)에 기 저장된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은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배회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연기 및 화재로 추정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소정 시간 이상 정지한 객체의 영상 패턴, 제어부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가상 경계선을 통과 및 이탈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금지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및, 사전 지정된 경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감지된 객체가 감지대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객체 추적 카메라(111c)를 작동시켜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와 더불어 객체 추적 카메라(111c)를 통해 이중으로 객체를 추적 감지한다(S130).
여기서,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와 객체 추적 카메라(111c) 뿐만 아니라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또한 작동되어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111a)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사각지역 까지도 영상을 촬영하여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음향 발생수단(112)을 작동시켜 감지대상 객체에게 경보나 안내방송 또는 회유방송을 송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에 적외선 감지기(114)로부터 적외선 감지기 작동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실제 감지대상으로 판단된 객체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40).
여기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기 전, 후의 진입 감지 카메라(111a),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111b), 객체 추적 카메라(111c)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감지대상으로 판단된 객체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는지, 아니면 조류 등과 같은 동물이나 지열 또는 자동차 배기열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실제 감지대상으로 판단된 객체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114)가 작동되었다고 판단되면 객체 추적 카메라(111c)에 의해 촬영된 감지대상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값이 제어부(120)로 전송된다(S150).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음향 발생수단(120)을 작동시켜 감지대상 객체에게 2차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감지기(114)로부터 감지대상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는 신호와 위치 좌표 값이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20)에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20)에 의해 열화상 카메라(111d)가 작동되어 객체를 추적함과 동시에 구조대에 구조 신호와 객체의 영상 및 감지 위치 좌표가 전송된다(S160).
이때,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d)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드론(115)을 작동시켜 수신된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로 상기 드론(115)을 이동시켜 객체를 추적 감시하면서 이동되는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 값을 드론(115)으로부터 전송받아 구조대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열화상 카메라(111d)의 감지 영역을 벗어난 투신자까지도 추적하여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한 구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100)은 사각지대 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감지대상 객체를 추적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대상 객체의 이상 행동 발생 시 경보나 회유 방송 등과 같은 현장에서의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함과 동시에 정확한 위치로 구조대가 신속하게 출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에서의 투신자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100)은 지정된 감시 영역에서 감지되는 객체가 감지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실제 투신자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구조대에 구조신호를 보낼 수 있으므로 잘못된 구조 신호에 의한 구조 인력과 구조비용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100)은 투신자의 투신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구조대에 전송함은 물론, 투신 후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투신자의 위치까지도 추적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대로 하여금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신자의 구조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a) : 진입 감지 카메라 (111b) :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
(111c) : 객체 추적 카메라 (112) : 음향 발생수단
(113) : 비상벨 (114) : 적외선 감지기
(115) : 드론 (116) : 그림자 조명
(120) : 제어부

Claims (10)

  1. 관제 센터 내에 배치되어 구조대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제어부;
    서로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서는 상호 간에 교차하여 객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지정된 감시 영역의 양방향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함과 동시에, 감지된 객체의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사각 지대인 상기 한 쌍의 진입 감지 카메라 하부에 위치한 지정된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에 의해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하는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에 진입한 객체를 추적하면서 감지하여 감지된 객체의 영상과 감지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객체 추적 카메라; 및
    상기 감시 영역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난 위치 좌표 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추적 카메라는,
    추적 감지되는 객체가 지정된 감시 영역을 벗어나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웃하는 지정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객체 추적 카메라로 연계되어 객체를 추적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도록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 배치되어 비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비상벨을 더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되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된 감시 영역에 설치된 진입 감지 카메라, 사각지대 감지 카메라, 객체 추적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되기 전, 후의 영상을 분석하여 실제 보행자에 의해 적외선 감지기가 작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감시 영역 내로 진입한 객체의 자체 발열을 감지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여 야간 또는 악천후로 시야 확보가 어려울 시에도 객체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적외선 감지기에 의해 객체가 설정 영역을 벗어낫다고 감지되면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객체를 추적 감시하여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열화상 카메라의 작동신호와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수신된 객체의 감지 위치 좌표로 이동한 후 상기 객체를 추적 감시하면서 이동되는 객체의 영상과 감지 위치 좌표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탑재한 드론을 더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되는 이미지나 공익문구를 지정된 감시 영역에 표출할 수 있는 그림자 조명을 더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입 감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객체의 영상과 기 저장되어 있는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객체가 감지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투신 자살자의 행동패턴은,
    지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배회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연기 및 화재로 추정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소정 시간 이상 정지한 객체의 영상 패턴, 제어부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가상 경계선을 통과 및 이탈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금지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및, 사전 지정된 경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객체의 영상 패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음향 발생 신호를 전송받아 감지대상으로 판단된 객체에게 경보나 안내방송 또는 계도 및 회유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음향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KR1020160170113A 2016-12-14 2016-12-14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KR10187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113A KR101874630B1 (ko) 2016-12-14 2016-12-14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113A KR101874630B1 (ko) 2016-12-14 2016-12-14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436A true KR20180068436A (ko) 2018-06-22
KR101874630B1 KR101874630B1 (ko) 2018-07-10

Family

ID=6276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113A KR101874630B1 (ko) 2016-12-14 2016-12-14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6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5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솔크로스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KR102210087B1 (ko) * 2020-09-07 2021-02-01 주식회사 디안스 교량에서의 투신을 방지하는 Io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신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4851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이산기술 Ai를 이용한 자살 방지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84B1 (ko) 2013-08-30 2015-02-25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광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6867A (ja) * 2009-09-18 2011-03-31 Yukio Shigeru 自殺防止監視通報方法及び自殺防止監視通報装置
KR101514696B1 (ko) * 2013-05-14 2015-04-23 (주)에스디시스템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20150003893U (ko) * 2014-04-16 2015-10-26 김봉겸 레이더와 드론을 이용한 경계 및 경비 자동화 시스템
KR20150135842A (ko) * 2014-05-26 2015-12-04 (주)금성보안 레이저 빔을 이용한 교량에서의 물체 위치 검출 시스템
KR101675027B1 (ko) * 2015-01-09 2016-11-23 주식회사 에스원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KR20160092444A (ko) * 2015-01-27 2016-08-04 이재용 회전이 가능한 그림자 광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184B1 (ko) 2013-08-30 2015-02-25 주식회사 이엑스크리에이티브 광고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650A (ko) * 2019-01-23 2020-07-31 주식회사 솔크로스 고속도로 무단침입 방지 장치
KR102210087B1 (ko) * 2020-09-07 2021-02-01 주식회사 디안스 교량에서의 투신을 방지하는 IoT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신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630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15321B (zh) 基于雷达侦测及视频图像行为分析的安防预警系统及方法
KR101339405B1 (ko) 실시간 화재감지 및 화재정보전달 방법
CN107483889A (zh) 智慧工地管控平台的隧道监控系统
KR101514696B1 (ko) 교량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KR100849689B1 (ko) 영상자동팝업기능이 구비된 감시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110183B2 (ja) 防犯システム
KR101874630B1 (ko) 자살 방지용 영상감시 시스템
JP2007184780A (ja) 遠隔監視装置
KR20080013088A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KR101903615B1 (ko) 영상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KR20160002119A (ko) 감시장치 관제시스템 및 이의 관제방법
KR20160086506A (ko) 다리 난간의 추락 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추락 탐지 방법
JP5097045B2 (ja) 工事現場防犯システム
KR101821159B1 (ko)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체의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US20210248384A1 (en) Building evacuation method and building evacuation system
KR101656642B1 (ko) 영상을 이용한 집단 행동 분석 방법
JP2006178515A (ja) 検知エリア表示機能付き侵入検知装置
KR101843889B1 (ko) Cctv를 이용하는 지능형 자동 추적 시스템
KR102410061B1 (ko) 자동 위급상황 알림 기능을 갖는 보안등
KR102197888B1 (ko) 무인 방범시스템 및 방범방법
CN211928699U (zh) 带红外热像验证的综合周界安防系统
KR20230087008A (ko) 스마트 폴을 이용한 위험상황 정보 처리장치
KR101310238B1 (ko) 안전구역 씨씨티브이 시스템
JP2880460B2 (ja) 都市防災用監視装置
KR20020004788A (ko) 영상추적을 이용한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