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219A -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219A
KR20180068219A KR1020160169906A KR20160169906A KR20180068219A KR 20180068219 A KR20180068219 A KR 20180068219A KR 1020160169906 A KR1020160169906 A KR 1020160169906A KR 20160169906 A KR20160169906 A KR 20160169906A KR 20180068219 A KR20180068219 A KR 20180068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time
user input
display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정
고희진
서장원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219A/ko
Priority to US15/840,629 priority patent/US20180165793A1/en
Publication of KR20180068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 동안 확대하고 제2 시간 동안 축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축소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확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UI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택된 오브젝트(object)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및 사용자 편의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컨텐츠나 실행할 기능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스마트 TV와 같은 형태로 진화하면서 다양한 컨텐츠 및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공되는 복수의 컨텐츠 및 기능을 UI에 표시하고, UI를 통해서도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컨텐츠나 실행할 기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한정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 및 기능을 표시하기 위하여 UI에 표시되는 메뉴를 복수의 계층으로 나누고,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컨텐츠 및 기능을 UI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및 기능을 UI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UI에 표시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를 선택되지 않은 다른 오브젝트와 구별하여 UI에 표시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택된 오브젝트를 UI에 단순히 선택되지 않은 오브젝트와 구별하여 정적으로 표시하게 되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사용자가 선택된 오브젝트를 인식하기 어렵고, 한정된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 동안 확대하고 제2 시간 동안 축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축소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확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 동안 확대하고 제2 시간 동안 축소하는 동작;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기 제1 시간 동안 축소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확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사용자에게 선택된 오브젝트를 리마인딩(reminding)해줄 수 있고,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추가 정보를 인디케이팅(indicating)해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변경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user interface)의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오브젝트가 스케일링(scailing)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의 서브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 오브젝트가 변경되었을 때 오브젝트가 스케일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예: 비디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예: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VGA(video graphics array) 등)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예: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등)를 통해 소스 장치와 연결되어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데스크 탑, 노트북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모니터, 전자 액자 등,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오브젝트(object)(예: 아이콘(icon), 아이템(item))를 포함하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오브젝트와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또는, 스케일링(scailing))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예: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IR(infrared ray) 송수신기 등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 터치 패널, 모션 인식 센서 또는 음성 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UI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된 UI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모듈(110), 메모리(120), 디스플레이(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통신 모듈(예: 무선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직접 설치된 입력 장치(예: 버튼 등)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10)은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프로세서(140)로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컨텐츠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컨텐츠 이미지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텍스트(text), 이미지 및 아이콘(또는,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컨텐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컨텐츠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소스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0)는 UI(또는, UI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상기 컨텐츠 이미지 및 UI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입력 모듈(1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30)에 컨텐츠 이미지 및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상기 선택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를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오브젝트와 구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또는, 스케일링(scail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축소 후 확대하거나, 또는 확대 후 축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지정된 주기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user interface)의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이미지(310) 및 UI(320)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화면(300)은 컨텐츠 이미지(310) 및 UI(3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이미지(310) 및 UI(320)를 디스플레이(130)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32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UI(320)는, 예를 들어, 제1 메뉴(321), 제2 메뉴(323) 및 제3 메뉴(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될 컨텐츠 이미지(310)를 선택하기 위한 제1 메뉴(321) 및 제2 메뉴(323)를 UI(3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메뉴(321)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오브젝트(321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뉴(323)는 제1 메뉴(321)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이미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오브젝트(323_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뉴(323)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컨텐츠 이미지(31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제3 메뉴(325)를 UI(3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3 메뉴(32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메뉴(321)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321_1´)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321_1´)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메뉴(321) 중 선택된 오브젝트(321_1´)에 대응되는 제2 메뉴(323)를 UI(3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뉴(323)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 방향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2 메뉴(323)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323_1´)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323_1´)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컨텐츠 이미지(31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컨텐츠 이미지(31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오브젝트가 스케일링(scailing)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이미지(410) 및 UI(42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화면(400)은 컨텐츠 이미지(410) 및 UI(4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변경(예: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대)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이 없는 경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스케일링(scailing)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메뉴(421) 중 선택된 오브젝트(421_1a)에 대응되는 제2 메뉴(423)를 UI(230)에 표시하고, 제2 메뉴(423) 중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스케일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t1) 동안 축소(또는, 브레싱 아웃(breathing out))하고 제2 시간(t2) 동안 확대(또는, 브레싱 인(breathing in)) 하거나, 또는 제1 시간(t1) 동안 확대하고 상기 제2 시간(t2) 동안 축소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4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선택되어 확대된 제1 상태(423_1a)에서 선택되어 확대되기 전의 제2 상태(423_1b)로 점진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제2 상태(423_1b)에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오브젝트보다 축소된 제3 상태(423_1c)로 점진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도 4c 내지 도 4e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간(t2)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제3 상태(423_1c)에서 선택되어 확대되기 전의 제4 상태(423_1d)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제4 상태(423_1d)에서 선택되어 확대된 상태(423_1e)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투명도, 표시 주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를 포함하는 시간을 한 주기로 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확대 및 축소(또는, 브레싱(breathing))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선택된 오브젝트를 리마인딩(remiding)(또는, 인디케이팅(indicating))해줄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스케일링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축소(또는, 확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시작하는 시간(또는, 시작 시간)(t0)부터 제3 시간(t3)까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또는, 스케일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작 시간(t0)부터 제3 시간(t3)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축소되는 스케일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시간(t4)부터 제1 시간(t1)까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시간(t4)부터 제1 시간(t1)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축소되는 스케일링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시간(t3)부터 제4 시간(t4)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상기 스케일링 속도가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시간(t3)부터 제4 시간(t4)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지정된 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간(t2)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스케일링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간(t2)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대(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시작하는 시간(또는, 시작 시간)(t0´)부터 제5 시간(t5)까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또는, 스케일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작 시간(t0´)부터 제5 시간(t5)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확대되는 스케일링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6 시간(t6)부터 제2 시간(t2)까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6 시간(t6)부터 제2 시간(t2)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가 확대되는 스케일링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5 시간(t5)부터 제6 시간(t6)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상기 스케일링 속도가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5 시간(t5)부터 제6 시간(t6)까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지정된 속도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속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동안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축소하고, 제2 시간(t2) 동안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동안,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증가하는 시간(또는, 시작 시간(t0)부터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에서 단위 시간(예: 1 초)당 상기 스케일링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감소하는 시간(또는, 제4 시간(t4)부터 제1 시간(t1)까지의 시간)에서 단위 시간당 상기 속도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간(t2) 동안,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증가하는 시간(또는, 시작 시간(t0´)부터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에서 단위 시간(예: 1 초)당 상기 스케일링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감소하는 시간(또는, 제6 시간(t6)부터 제2 시간(t2)까지의 시간)에서 단위 시간당 상기 속도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 동안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축소 및 확대할 때, 시작 시간(또는, 시작 시간(t0)부터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 및 끝나는 시간(또는, 제6 시간(t6)부터 제2 시간(t2)까지의 시간)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의 단위 시간당 감소 또는 확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시간(t1)은, 예를 들어, 상기 제2 시간(t2)보다 길거나, 또는 제1 시간(t1)은 제2 시간(t2)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스케일링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자연스럽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자연스럽게 변경되면 사용자 가시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 경우 가능한 상황(예: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상황)을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팅(indicating)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UI의 서브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이미지(610) 및 UI(620)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된 화면(600)은 컨텐츠 이미지(610) 및 UI(6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이미지(61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세팅(setting)하기 위한 UI(620)를 디스플레이(130)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UI(62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UI(620)는, 예를 들어, 제1 메뉴(621), 제2 메뉴(623) 및 제3 메뉴(6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제1 메뉴(621) 및 제2 메뉴(623)를 UI(6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 메뉴(621)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오브젝트(621_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뉴(623)는 제1 메뉴(621)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상태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오브젝트(623_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뉴(623) 중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 메뉴(623)는,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설정 상태를 각각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될 컨텐츠 이미지(610)를 선택하기 위한 제3 메뉴(6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메뉴(625)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메뉴(621)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621_1´)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621_1´)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메뉴(621) 중 선택된 오브젝트(621_1´)에 대응되는 제2 메뉴(623)를 UI(62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뉴(623)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 방향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2 메뉴(623) 중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623_1´)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623_1´)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 오브젝트(또는, 변경되기 전의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indicator)(623_2)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623_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뉴(623) 중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하나의 서브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 방향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2 메뉴(623) 중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623_1˝)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623_1˝)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서브 오브젝트(또는, 변경될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623_2´)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623_1˝)의 이미지를 상기 선택된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 정 값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설정된 값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서브 오브젝트가 변경되었을 때 오브젝트가 스케일링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이미지(710) 및 UI(720)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는 화면(700)은 컨텐츠 이미지(710) 및 UI(7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상태(723_2a)에서 제2 상태(723_2b)로 점차 축소하고, 제2 상태(723_2b)에서 제3 상태(723_2c)로 점차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723_2a)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d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메뉴(723) 중 하나의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723_2b)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스케일링(scailing)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동안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4 상태(723_1d)에서 제5 상태(723_1e)로 점진적으로 축소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시간(t2) 동안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가 포함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5 상태(723_1e)에서 제6 상태(723_1f)로 점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를 포함하는 시간을 한 주기로 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주기적으로 축소 및 확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선택된 오브젝트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인디케이팅해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흐름도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에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81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1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될 컨텐츠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오브젝트를 UI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UI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82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될 컨텐츠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830 동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t1) 및 제2 시간(t2) 동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를 제1 시간(t1) 동안 축소할 수 있고, 제2 시간(t2) 동안 확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 및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입력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 동안 확대하고 제2 시간 동안 축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축소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확대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짧은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증가하는 시간에서 단위 시간당 상기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상기 속도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작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증가하는 시간에서 상기 단위 시간당 상기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상기 속도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크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대한 후 상기 확대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브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투명도, 표시 주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제1 시간 동안 확대하고 제2 시간 동안 축소하는 동작; 또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상기 제1 시간 동안 축소하고 상기 제2 시간 동안 확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길거나, 또는 상기 제1 시간은 상기 제2 시간보다 짧은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변경된 속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동작;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동작은,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증가하는 구간에서 상기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상기 속도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작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동작;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동작은,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증가하는 구간에서 상기 속도가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상기 속도가 감소하는 비율보다 크도록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가 변경되는 속도를 증가시켰다가 감소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확대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확대된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는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서브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시간 및 상기 제2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투명도, 표시 주기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면서 상기 오브젝트의 크기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0169906A 2016-12-13 2016-12-13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68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06A KR20180068219A (ko) 2016-12-13 2016-12-13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5/840,629 US20180165793A1 (en) 2016-12-13 2017-12-13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906A KR20180068219A (ko) 2016-12-13 2016-12-13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19A true KR20180068219A (ko) 2018-06-21

Family

ID=6249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906A KR20180068219A (ko) 2016-12-13 2016-12-13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165793A1 (ko)
KR (1) KR201800682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4215S1 (en) * 2017-06-01 2019-10-22 David Ciccarelli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94224S1 (en) * 2018-08-30 2020-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5470S1 (en) * 2018-12-27 2022-03-08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0516S1 (en) * 2019-06-20 2022-11-22 Yandex Europe A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69479B2 (en) * 2019-12-31 2022-03-08 Google Llc Automatic focus detection with relative threshold-aware cell visibility for a scrolling cell col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714B1 (ko) * 2008-02-05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841121B1 (ko) * 2011-02-17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9377937B2 (en) * 2012-04-06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object on display
US10503359B2 (en) * 2012-11-15 2019-12-10 Quantum Interface, Llc Selection attractive interfaces, systems and apparatuses including such interfaces,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KR20140122292A (ko) * 2013-03-28 2014-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5793A1 (en)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219A (ko) Ui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3057312A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2884378B1 (en) Method of displaying pointing informa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106712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501280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20150056074A (ko) 전자 장치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354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9933922B2 (en) Child container control of parent container of a user interface
CN105763921B (zh) 图像显示设备和方法
JP2005509973A (ja) ジェスチャに基づく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用の方法及び装置
US20110193898A1 (en) Method for changing resolution and display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7005924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943419B1 (ko) 입력장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090251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mode of viewing a display and adapting displayed elements to the mode of viewing
US11240432B2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pright
EP3056974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20054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05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EP30573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800436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EP3032393B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12926420B (zh) 一种显示设备和菜单文字识别方法
EP322656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EP3635963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user interface in a wearabl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