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991A -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991A
KR20180067991A KR1020160169491A KR20160169491A KR20180067991A KR 20180067991 A KR20180067991 A KR 20180067991A KR 1020160169491 A KR1020160169491 A KR 1020160169491A KR 20160169491 A KR20160169491 A KR 20160169491A KR 20180067991 A KR20180067991 A KR 20180067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freeze
graphene aerogels
foam
graph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환
왕 메이
홍성용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991A/ko
Publication of KR2018006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9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즈 캐스팅 기법을 이용해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프리즈 캐스팅 기법을 이용해 다공성이고 균일하며 각기 다른 공극율을 갖는 키토산 폼을 제조하고, 열분해를 통해 질소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젤을 얻는다. 이렇게 획득한 에어로젤은 가벼우며 전기 전도성과 다공율 제어 특성을 갖고 있어 에너지 장비, 복합소재, 흡착소재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Method of fabricating graphene aerogel using freeze casted chitosan foam}
본 발명은 프리즈 캐스팅 방법을 이용해 키토산 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토산의 열분해를 통해 질소 도핑된 그래핀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는 사실이 2012년에 보고되었다. 이 보고에서는 유리, 석영, 금속 기판, 그 밖의 친수성 표면 위의 키토산 필름을 800로 열분해하여 질소 도핑된 그래핀 필름이 제조하였다. [Primo, Ana, et al. "From biomass wastes to large-area, high-quality, N-doped graphene: catalyst-free carbonization of chitosan coatings on arbitrary substrates." Chemical Communications 48.74 (2012): 9254-9256.]
키토산으로부터 질소 도핑된 graphitic platelets를 다량 생산하는 방법이 2014년에 보고되었다. [Primo, Ana, et al. "High-yield production of N-doped graphitic platelets by aqueous exfoliation of pyrolyzed chitosan." Carbon 68 (2014): 777-783.]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그래핀 합성 기술은 형태 및 다공성의 제어와 실질적 대량 생산에서 한계가 있다.
키토산은 풍부한 천연물질 중 하나로 구성하고 있는 분자 사슬들이 서로 쉽게 연결되어 3차원 다공성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키토산을 열분해하는 과정에서 그래핀과 유사한 구조가 형성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Hao, Pin, et al. "Graphene-based nitrogen self-doped hierarchical porous carbon aerogels derived from chitosan for high performance supercapacitors." Nano Energy 15 (2015): 9-23.].
최근 암모니아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통해 질소와 붕소를 도핑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암모니아의 질소를 그래핀 에어로젤에 균일하고 높은 수준의 질소 도핑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래핀 에어로젤은 안정적인 기계적, 전기적, 열적 특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가능한 천연물질인 키토산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손쉽게 질소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젤을 합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은,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키토산 용액을 프리즈 캐스팅하여 키토산 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키토산 폼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아세틱산 용액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키토산을 용해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즈 캐스팅 과정을 통해 상기 키토산 용액을 냉각한 뒤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된다. 상기 키토산 용액의 냉각 온도는 -20℃이다.
상기 열분해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상온에서 900℃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시킨 후 90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그래핀 에어로젤은 다공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그래핀 에어로젤은 질소 도핑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정밀 공극 설계된 고분자 전구체와 열분해를 통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균일한 질소 도핑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의 모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냉각 조건에 따른 키토산 폼을 형태를 비교한 것이다.
도 4는 키토산 용액의 농도(5, 8, 11, 22, 45 mg/mL)에 따른 키토산 폼과 그래핀 에어로젤의 구조 분석 (기준자:100μm) 결과를 도시한다.
도 5는 질소 대기에서 키토산 폼(키토산 농도:22 mg/mL)의 TGA 및 DTGA 결과를 도시한다.
도 6은 질소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젤의 EDS 결과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프리즈 캐스팅 기법을 이용해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프리즈 캐스팅 기법을 이용해 다공성이고 균일하며 각기 다른 공극율을 갖는 키토산 폼을 제조하고, 열분해를 통해 질소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젤을 얻는다. 이렇게 획득한 에어로젤은 가벼우며 전기 전도성과 다공율 제어 특성을 갖고 있어 에너지 장비, 복합소재, 흡착소재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공극율이 제어 가능한 물질은 넓은 범위의 기술분야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촉매 전달, 에너지 소자, 단열 및 방음, 정수 등이 그 예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및 모식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은,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S 110); 키토산 용액을 프리즈 캐스팅하여 키토산 폼을 준비하는 단계(S 120); 및 키토산 폼을 건조시키는 단계(S 130);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얻는 단계(S 140)를 포함한다.
S 110 단계에서는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게 된다. 키토산은 키토산 사슬 사이의 강한 수소 결합으로 인해 유기 용매에서는 용해되지 아니하며, 농도가 높은 산 및 염기 용액에서 용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경우 키토산 용액의 준비는 아세틱산 용액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키토산을 용해시켜서 이루어진다.
S 120 단계에서는 S 110 단계에서 준비된 키토산 용액을 프리즈 캐스팅하여 키토산 폼을 형성하게 된다.
프리즈 캐스팅은 건조 과정에서 다공성 구조에 손상 없이 폼 형태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아세테이트 분자의 케톤기 산소는 다른 키토산 분자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평면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냉동건조 과정에서 키토산 용액의 표면장력은 키토산 사슬이 시트 구조 형성으로 서로 연결되어 3차원 키토산 구조를 형성하고 키토산 폼이 얻어진다.
이 경우 키토산 용액의 냉각 온도는 -20℃의 온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S 130 단계에서는 키토산 폼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키토산 폼의 건조는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S 140 단계에서는 건조된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얻게 된다. 열분해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상온에서 900℃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시킨 후 90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그래핀 에어로젤을 포함한다. 이러한 그래핀 에어로젤은 다공성 구조이며, 냉각 조건을 통해 공극률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질소가 도핑되어 있어 에너지 소자, 정수, 단열 및 방음 소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내용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키토산이 첨가된 아세틱 산(0.3 M)은 50℃로 가열후 마그네틱 바를 이용해 키토산이 전부 용해될때까지 교반한다. 키토산 용액은 5, 8, 11, 22, 45 mg/mL의 농도로 준비하였다.
구조와 냉각 온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액체질소, -80℃, -20℃에서 냉각시킨 뒤 동결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열분해 과정 중 온도는 아르곤 대기에서 상온부터 900℃까지 5/min의 속도로 가열되었다. 그 뒤 온도는 90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도 3은 냉각 조건에 따른 키토산 폼을 비교한 것이다. 냉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폼을 얻었다. -20℃에서 제조된 폼이 가장 균일한 실린더 형태를 가지며 압축성도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액체질소로 냉각된 폼은 압축성이 없으며 -80℃에서 냉각된 폼은 균일한 형태를 갖지 못했다.
도 4는 키토산 용액에 따른 키토산 폼과 그래핀 에어로젤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키토산 폼의 합성 조건은 -20℃로 최적화하였으며 그 뒤 90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한다. 키토산 폼은 모두 균일한 실린더 형태를 유지하였으며 키토산의 농도가 줄어들수록 밀도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과정으로 수축이 일어났지만 그래핀 에어로젤 또한 균일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키토산 폼과 그래핀 에어로젤의 구조를 SEM을 통해 확인하였다. 키토산 폼과 그래핀 에어로젤 모두 벽으로 벌집과 같은 구조를 갖으며,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벽이 얇아져 리본 형태로 변해 폼과 에어로젤의 기공이 많아지고 탄성을 갖게 됨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질소 대기에서 키토산 폼(키토산 농도:22 mg/mL)의 TGA (thermogracimetric analysis) 및 DTGA (differential thermogravimetric analysis) 결과이다. 307℃의 피크는 키토산 사슬의 분해에 해당한다. 온도가 900℃로 올라가면 키토산 폼에서 얻을 수 있는 수율에 해당하는 22.43%의 질량이 남는다. 또한 키토산 농도 11 mg/mL, 8 mg/mL의 키토산 폼을 900℃ 열처리 후 무게를 확인하였을 때 각각 21.4%, 21.7%가 남았으며 이는 TGA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도 6은 질소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젤의 에너지 분산 스펙트럼이다. 그래핀 에어로젤의 질소 도핑을 ED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를 통해 확인하였다. 질소와 산소, 탄소 피크를 보였으며 7.18%의 질소 함량을 확인하였다.
키토산 폼으로부터 제조된 그래핀 에어로젤은 다공성이며 냉각 조건을 통해 공극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질소가 도핑되어 에너지 소자, 정수, 단열 및 방음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키토산 용액을 프리즈 캐스팅하여 키토산 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키토산 폼을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아세틱산 용액에 키토산을 첨가하여 키토산을 용해시키는,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즈 캐스팅 과정을 통해 상기 키토산 용액을 냉각한 뒤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되는,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는 아르곤 분위기에서 상온에서 900℃까지 5℃/min의 승온 속도로 가열시킨 후 900℃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용액의 냉각 온도는 -20℃인,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그래핀 에어로젤의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고,
    다공성을 나타내는,
    그래핀 에어로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에어로젤은 질소 도핑된,
    그래핀 에어로젤.
KR1020160169491A 2016-12-13 2016-12-13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679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491A KR20180067991A (ko) 2016-12-13 2016-12-13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491A KR20180067991A (ko) 2016-12-13 2016-12-13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991A true KR20180067991A (ko) 2018-06-21

Family

ID=6280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491A KR20180067991A (ko) 2016-12-13 2016-12-13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991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606A (zh) * 2018-10-24 2019-01-15 华东师范大学 一种亲水性三维石墨烯海绵的制备方法
CN110026137A (zh) * 2019-05-28 2019-07-19 南华大学 用于含铀废水处理的三维多孔藻基/壳聚糖气凝胶的制备方法及应用
CN110105617A (zh) * 2019-06-06 2019-08-09 浙江理工大学 一种聚丙烯酰胺气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265982A (zh) * 2020-10-23 2021-01-2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n掺杂石墨烯/石墨烯纳米带复合气凝胶的制备方法
CN112875693A (zh) * 2021-03-26 2021-06-01 忆净空气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纳米银净味除甲醛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617303A (zh) * 2021-08-27 2021-11-09 青岛科技大学 一种壳聚糖/还原氧化石墨烯气凝胶的制备方法
CN114180556A (zh) * 2021-12-30 2022-03-15 重庆大学 一种三维多孔改性碳纳米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458717A (zh) * 2022-08-18 2022-12-09 兰州大学 一种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99795A (ko) * 2021-12-28 2023-07-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동결 주조를 통해 관 벽에 에어로젤 구조물을 형성하는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5606A (zh) * 2018-10-24 2019-01-15 华东师范大学 一种亲水性三维石墨烯海绵的制备方法
CN109205606B (zh) * 2018-10-24 2022-02-11 华东师范大学 一种亲水性三维石墨烯海绵的制备方法
CN110026137A (zh) * 2019-05-28 2019-07-19 南华大学 用于含铀废水处理的三维多孔藻基/壳聚糖气凝胶的制备方法及应用
CN110026137B (zh) * 2019-05-28 2021-07-27 南华大学 用于含铀废水处理的三维多孔藻基/壳聚糖气凝胶的制备方法及应用
CN110105617A (zh) * 2019-06-06 2019-08-09 浙江理工大学 一种聚丙烯酰胺气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0105617B (zh) * 2019-06-06 2022-05-06 浙江理工大学 一种聚丙烯酰胺气凝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265982A (zh) * 2020-10-23 2021-01-26 哈尔滨工业大学 一种n掺杂石墨烯/石墨烯纳米带复合气凝胶的制备方法
CN112875693A (zh) * 2021-03-26 2021-06-01 忆净空气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纳米银净味除甲醛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617303A (zh) * 2021-08-27 2021-11-09 青岛科技大学 一种壳聚糖/还原氧化石墨烯气凝胶的制备方法
KR20230099795A (ko) * 2021-12-28 2023-07-0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동결 주조를 통해 관 벽에 에어로젤 구조물을 형성하는 장치
CN114180556A (zh) * 2021-12-30 2022-03-15 重庆大学 一种三维多孔改性碳纳米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458717A (zh) * 2022-08-18 2022-12-09 兰州大学 一种复合电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7991A (ko) 프리즈 캐스팅을 이용한 키토산 폼의 제조 및 키토산 폼을 열분해하여 그래핀 에어로젤을 제조하는 방법
Xu et al. 3D hierarchical carbon-rich micro-/nanomaterials for energy storage and catalysis
Yan et al. Review on porous carbon materials engineered by ZnO templates: Design, synthesis and capacitance performance
Ren et al. Recent progress on MOF‐derived heteroatom‐doped carbon‐based electro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Kairi et al. Recent trends in graphene materials synthesized by CVD with various carbon precursors
Zhao et al. Graphitic carbon nitride/graphene hybrids as new active materials for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Zhang et al. Recent advances in microwave initiated synthesis of nanocarbon materials
CN104401977A (zh) 一种石墨烯气凝胶及石墨烯-纳米碳管气凝胶的制备方法
US10115497B2 (en) Compressive graphene hydrog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Zhou et al. Facile syntheses of 3-dimension graphene aerogel and nanowall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s
Zhang et al. Combustion synthesis of N-doped three-dimensional graphene networks using graphene oxide–nitrocellulose composites
CN110066175B (zh) 超轻碳化物陶瓷泡沫的制备方法
Jiang et al. Anisotropic and lightweight carbon/graphene composite aerogels for efficient thermal insulation an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US20110104040A1 (en) Simple, effective and scalable process for making carbon nanotubes
Yuan et al. Assemblies of covalent organic framework microcrystals: multiple-dimensional manipulation for enhanced applications
Gomez-Martin et al. Porous graphene-like carbon from fast catalytic decomposition of biomass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s
CN103159210B (zh) 一种制备氮掺杂石墨烯的新方法
Mishra et al. Plasma enhanced synthesis of N doped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fibers on 3D graphene
CN102690426A (zh) 基于红外线辐照的石墨烯/聚合物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7697905A (zh) 一种三维氮掺杂石墨烯气凝胶的制备方法
Saner Okan et al. Effect of reaction temperature and catalyst type on the formation of boron nitride nanotubes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and measurement of their hydrogen storage capacity
CN105417530A (zh) 一种规模化制备氮掺杂石墨烯的方法
CN105731418A (zh) 高纯管状共轭微孔聚合物碳化高纯碳纳米管的制备方法
Kim et al. Characteristics of a high compressive strength graphite foam prepared from pitches using a PVA–AAc solution
Lan et al. Rebuilding supramolecular aggregates to porous hollow N-doped carbon tube inlaid with ultrasmall Ag nanoparticles: A highly efficient catalyst for CO2 con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