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836A -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836A
KR20180067836A KR1020160169197A KR20160169197A KR20180067836A KR 20180067836 A KR20180067836 A KR 20180067836A KR 1020160169197 A KR1020160169197 A KR 1020160169197A KR 20160169197 A KR20160169197 A KR 20160169197A KR 20180067836 A KR20180067836 A KR 20180067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integrated
display
uni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영
배종식
장병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7836A/ko
Publication of KR2018006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클러스터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각종 조작기기의 기능 및 전자기기가 통합된 형태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설치공간 및 시인성, 조작성, 디자인성 측면의 여러 문제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고, 자동차 전자 유닛의 최첨단화와 통합화를 통한 차량 상품성 증대, 다른 기기 제어로의 용이한 확장성, 단순화, 공용화, 원가 및 중량 절감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는 통합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Integrated electronic devices and displa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러스터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전자기기 및 조작기기의 기능이 통합된 차량용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지털 방식 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정보제공장치인 클러스터(cluster)(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클러스터(10)는 차량의 운전 정보와 주행 정보, 차량 상태 정보, 각종 경고 상태 등과 같이 차량 운행 시 운전자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정보들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차속과 엔진 회전수(RPM), 냉각수온, 연료 잔량, 변속단 상태, 트립 정보, 주행 가능 거리 등을 표시하고, 그 밖에 차량 내 각종 장치 및 시스템의 작동 상태나 시트벨트 미착용, 도어 열림 등의 경고 상태 등을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클러스터(10)와 함께 통상의 차량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전면에 센터페시아(center facia)(20)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센터페시아 구조는 공간 활용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전자기기와 함께, 이들 전자기기 및 차량 내 장치 등의 조작을 위한 조작기기 등이 센터페시아의 한정된 공간 내에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장치와 더불어,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그리고 관련 정보를 표시해주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AVN 시스템(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21)이 센터페시아(20)의 공간 내에 설치되고 있다.
또한, AVN 시스템(21)의 조작을 위한 조작기기(21a), 공조 장치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 버튼, 다이얼 등을 가지는 공조 컨트롤러(22), 시트 열선 및 통풍 시트의 조작 등을 위한 스위치와 버튼 등의 조작기기(23)가 센터페시아(20)의 좁은 공간 내에 밀집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최근의 차량에는 주행 안정성과 운전 편의성,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위한 장치와 시스템의 탑재가 늘고 있는 추세이고, 클러스터(10), 센터페시아(20)를 포함하여 크래쉬 패드(1) 등에 설치되는 IT 기기나 전자기기, 관련 장치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결국, 차량 내 장치 및 시스템의 조작을 위한 조작기기의 수 또한 늘고 있고, 운전자와 승객에게 전달해야 하는 정보의 수 또한 늘고 있는 상태이지만, 설치공간 측면에서 제약이 있고, 한정된 공간에 각종 표시 정보 및 장치, 조작기기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에서는 개별 유닛, 즉 클러스터(10), AVN 시스템(21) 등의 전자 유닛, 에어컨 및 히터 등과 같이 차량 실내 공조와 환기를 위한 공조 장치의 조작기기를 포함하는 공조 컨트롤러(22), 통풍 시트 등 편의장치 조작을 위한 조작기기(23) 등이 모두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시인성과 조작성, 디자인성, 확장성 측면에서도 모두 제약이 있고, 차량 운전 시 위험요소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클러스터(10), 오디오 등의 AVN 시스템(21), 조작기기를 포함하는 공조 컨트롤러(22), 각종 스위치 등의 조작기기(23)를 개별로 마운팅할 수 있도록 크래쉬 패드(1)에 마운팅부 및 매칭 구조를 설정한 후, 각 기기들을 별도로 조립하고 있다.
따라서, 조립성,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모두 불리함이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별 설치되는 클러스터, AVN 시스템(21) 및 그 브라켓(24), 공조 컨트롤러(22), 및 스위치 등과 같은 조작기기(23) 등이 큰 부피로 제작되어 크래쉬 패드(1)에 장착되므로 공간 확보 측면에서도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클러스터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각종 조작기기의 기능 및 전자기기가 통합된 형태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설치공간 및 시인성, 조작성, 디자인성 측면의 여러 문제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고, 자동차 전자 유닛의 최첨단화와 통합화를 통한 차량 상품성 증대, 다른 기기 제어로의 용이한 확장성, 단순화, 공용화, 원가 및 중량 절감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는 통합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을 차량의 크래쉬 패드에 장착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클러스터 기능 조작과, 전자기기 및 차량 내 장치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와, 클러스터 표시 정보 및 전자기기 관련 정보, 차량 내 장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전자기기, 차량 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자기기가 일체로 통합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자기기는 AVN 시스템(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과 공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 장치는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클러스터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각종 조작기기의 기능 및 전자기기가 통합된 형태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설치공간 및 시인성, 조작성, 디자인성 측면의 여러 문제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고, 자동차 전자 유닛의 최첨단화와 통합화를 통한 차량 상품성 증대, 다른 기기 제어로의 용이한 확장성, 단순화, 공용화, 원가 및 중량 절감 등의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클러스터와 센터페시아의 구성 및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종래기술의 개별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 표시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전자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선 'B-B' 및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통합 리모컨의 차량 내 거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통합 리모컨의 차량 내 거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클러스터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각종 조작기기의 기능 및 전자기기가 통합된 형태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설치공간 및 시인성, 조작성, 디자인성 측면의 여러 문제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고, 자동차 전자 유닛의 최첨단화와 통합화를 통한 차량 상품성 증대, 다른 기기 제어로의 용이한 확장성, 단순화, 공용화, 원가 및 중량 절감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는 통합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보 표시상태를 예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전자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선 'B-B' 및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클러스터, AVN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헤드 유닛 및 모니터), 버튼 및 스위치, 다이얼 등의 조작기기를 가지는 공조 컨트롤러, 그 밖의 차량 내 장치 조작을 위한 스위치나 버튼, 다이얼 등의 조작기기를 모두 통합한 구성을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입력부(111), 통신부(112), 제어부(113),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 디스플레이부(115), AVN 시스템(116), 공조 컨트롤러(117), 통신모듈(118)을 가지는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크래쉬 패드(1)에 마운팅 및 설치하여서 구성된다.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 전면, 및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공간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도면과 달리 그 설치 영역이 조수석 전면의 일부 영역으로도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검출부(200)는 차량에서 클러스터 표시 정보인 차량 운전 정보와 주행 정보, 차량 상태 정보, 경고 상태 등을 검출하여, 그 검출값을 나타내는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13)에 입력하는 센서 및 검출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출부(200)의 센서 및 검출요소들은 통상의 클러스터 표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공지의 센서 및 검출요소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부(200)는 차속, 엔진 회전수, 냉각수온, 연료 잔량, 변속단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 및 검출요소들과, 그 밖에 시트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시트벨트 스위치(시트벨트 경고 작동용), 도어 열림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도어 열림 경고 작동용) 등의 검출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200)의 신호는 제어부(113)에 입력되고, 이때 제어부(113)는 검출부(200)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11)는 사용자의 클러스터 기능 조작, 및 AVN 시스템(116)과 공조 장치, 그 밖의 차량 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 및 입력을 위한 UI(User Interface)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AVN 시스템(116)과 공조 장치(이 역시 차량 내 장치임), 그 밖의 차량 내 장치에 대한 조작 및 설정, 정보 입력을 위한 버튼, 스위치, 다이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디스플레이부(115)는 클러스터 표시 정보와, AVN 시스템 관련 정보, 공조 장치 및 차량 내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며, 제어부(113)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에 의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동 제어된다.
여기서, 클러스터 표시 정보는 기존의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속과 엔진 회전수(RPM), 냉각수온, 연료 잔량, 변속단 상태, 트립 정보, 주행 가능 거리, 차량 내 각종 장치의 작동 상태, 시트벨트 미착용 및 도어 열림 등의 경고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AVN 시스템 관련 정보는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공지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오디오 및 비디오의 작동 상태 정보, 비디오 영상, 음원 및 영상 관련 정보, 주행 경로가 표시된 지도 등의 내비게이션 표시 정보, 장치 관련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공조 장치와 관련된 정보는 공조 컨트롤러(117)가 제공하는 표시 정보, 즉 공조 장치의 작동 상태 및 작동 모드 등의 정보, 공조 관련 설정 정보, 그 밖에 실내온도, 실외온도 등의 정보들을 포함하는 공지의 공조 장치 관련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 장치와 관련된 정보는 통풍 시트 등과 같은 편의장치 및 그 밖의 차량 내 장치의 작동 상태 및 작동 모드 등의 정보, 장치 관련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 입력부(111)는 기존의 클러스터 및 센터페시아에 구비되던 각종 스위치 및 버튼, 다이얼 등의 조작기기를 대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디스플레이부(115)는 공지의 클러스터 표시 정보와 함께 AVN 시스템(116) 및 공조 장치, 차량 내 장치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입력부(111)와 디스플레이부(115)가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에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3)는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부(111)로부터 입력받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VN 시스템(116)의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 기타 차량 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공조 컨트롤러(117)와 함께 공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그 대신, 입력부의 기능과 디스플레이부의 기능이 통합된 기능을 제공하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5)을 가지는 것이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가로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되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래쉬 패드(1)에 가로방향으로 길게(즉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홀(2)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크래쉬 패드(1)의 개구홀(2)은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체적인 형상과 매칭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홀(2)에는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마운팅될 수 있는 매칭 구조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개구홀(2)에는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체결부(110a)와 결합되어, 이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마운팅시키는 마운팅부(3)가 구비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5)와, 후술하는 전자기기의 회로가 구성된 PCB 기판(119)이 일체로 결합된 유닛의 구성을 가지는바, 크래쉬 패드(1)의 개구홀(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110a)가 상기 크래쉬 패드(1)의 개구홀 주변의 마운팅부(3)에 결합됨으로써 장착 및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면부에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15)가 위치되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15)는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전면에서 좌우로 길게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대화면 표시 영역을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5)의 표시 영역은 복수 개로 분할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클러스터 정보 표시 영역(115a), AVN 시스템 관련 정보 표시 영역(115b), 공조 장치 관련 정보 표시 영역(115c), 및 그 밖의 차량 내 장치 관련 정보 표시 영역(미도시)과 응용프로그램 표시 영역(115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예를 참조하면, 좌측에 클러스터 정보 표시 영역(115a)이 배치되고, 우측에 지도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AVN 시스템 관련 정보 표시 영역(115b) 및 공조 장치 관련 정보 표시 영역(115c)이 배치됨을 볼 수 있다.
또한, 중앙에는 차량에서의 인터넷과 메일, SNS 서비스,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인터넷 화면이나 응용프로그램 실행 화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아이콘 등이 표시되는 응용프로그램 표시 영역(115d)이 배치됨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5)는 기능별로 표시 영역이 구분된 분할 화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어부(113)와 함께, 후술하는 통합 리모컨(120)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2), AVN(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시스템(116)의 헤드 유닛, 공조 컨트롤러(117), 차량 외부의 이동 통신망과 무선 통신 연결되는 통신모듈(118),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5)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가 일체화된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18)은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어부(113)를 차량 외부의 무선 통신망과 연결시켜주는 모듈로서, 인터넷 등을 위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모듈이다.
특히,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제어부(113), 통신부(112), AVN 시스템(116)의 헤드 유닛, 공조 컨트롤러(117), 통신모듈(118)의 전자기기들과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가 모두 일체화된 전자통합기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운전석 및 조수석 전방에 구비되는 일종의 컴퓨터 기능을 구현한 것으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5)와, 상기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PCB 기판(119)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119)에는 상기 전자기기들의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실장된다.
이에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상기 PCB 기판(119)에 실장된 부품들 및 그 부품들로 구성되는 회로에 의해, 제어부(113), 통신부(112), AVN 시스템(116)의 헤드유닛, 공조 컨트롤러(117), 통신모듈(118),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가 모두 통합된 형태의 일체형 전자통합기기가 된다.
도 10은 도 4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300은 공조 장치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전방에 디스플레이부(115)가 배치되고 그 후방에 PCB 기판(119)이 배치되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패널 형상의 유닛으로 구성 및 제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닛(110)의 전방(후방이 운전석 위치가 됨) 및 크래쉬 패드(1) 내측으로 타 시스템 및 장치의 설치공간이나 수납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닛(110)의 전방(후방이 운전석 위치가 됨) 및 크래쉬 패드(1) 내측으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과는 상관없는 빈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바, 이 빈 공간을 타 시스템 및 장치의 설치공간 또는 수납공간, 기타 소정 목적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종래와 비교하여(도 3 참조) 공간 확보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며, 더욱이 종래에 개별 유닛로 구성되던 것(도 3 참조)들이 통합된 전자기기 형태의 일체화된 유닛으로 구성되어 제공되므로 크래쉬 패드(1)에 한번에 쉽게 조립 및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유닛을 별도로 설치 및 장착, 조립하던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 수 축소, 중량 및 원가 절감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통합 리모컨(120)의 차량 내 거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통합 리모컨(120)의 차량 내 거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E-E'를 따라 단면한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입력 방식으로 조작 및 제어가 가능한 것과 더불어, 통합 리모컨(120)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합 리모컨(120)으로 원격으로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대한 입력 및 기기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통합 리모컨(120)과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통신부(112)가 원격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통합 리모컨(120)을 조작하면, 통합 리모컨(120)의 원격 신호를 상기 통신부(112)가 수신하고, 이 통신부(112)가 수신한 원격 신호가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제어부(113)에 입력되도록 한다.
결국, 통합 리모컨(120)으로부터 송신된 원격 신호에 따라 제어부(113)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AVN 시스템(116)의 헤드 유닛,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114), 기타 차량 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공조 컨트롤러(117)와 함께 공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 리모컨(120)의 보관을 위해 차량의 프론트 트레이나 콘솔 트레이(4)에 수납공간(5)을 마련하고, 이 수납공간(5)에 통합 리모컨(120)이 단순 삽입되어 수납되도록 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프론트 트레이나 콘솔 트레이(4)에 수납공간(5)을 개폐하는 미도시된 회전형 커버 또는 슬라이드형 커버를 설치하고, 통합 리모컨(120)이 상기 수납공간(5) 내에 수납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수납공간을 닫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하면, 클러스터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 각종 조작기기의 기능 및 전자기기가 통합된 형태의 구성을 가짐으로써, 설치공간 및 시인성, 조작성, 디자인성 측면의 여러 문제점이 모두 개선될 수 있고, 자동차 전자 유닛의 최첨단화와 통합화를 통한 차량 상품성 증대, 다른 기기 제어로의 용이한 확장성, 단순화, 공용화, 원가 및 중량 절감 등의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크래쉬 패드 2 : 개구홀
3 : 마운팅부 4 : 콘솔 트레이
5 : 수납공간
100 : 통합형 전자기기 및 통합 시스템
110 :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
110a : 체결부 111 : 입력부
112 : 통신부 113 : 제어부
114 :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 115 : 디스플레이부
115a : 클러스터 정보 표시 영역
115b : AVN 시스템 관련 정보 표시 영역
115c : 공조 장치 관련 정보 표시 영역
115d : 응용프로그램 표시 영역
116 : AVN 시스템 117 : 공조 컨트롤러
118 : 통신모듈 120 : 통합 리모컨

Claims (10)

  1.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을 차량의 크래쉬 패드에 장착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클러스터 기능 조작과, 전자기기 및 차량 내 장치의 조작을 위한 입력부와, 클러스터 표시 정보 및 전자기기 관련 정보, 차량 내 장치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된 사용자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전자기기, 차량 내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자기기가 일체로 통합된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전자기기는 AVN 시스템(Audio, Video and Navigation system)과 공조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 장치는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크래쉬 패드에서 운전석 전면, 및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 공간의 전면에 걸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크래쉬 패드에 형성된 개구홀에 장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크래쉬 패드의 개구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의 체결부가 상기 개구홀에 형성된 마운팅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입력부의 기능이 통합된 디스플레이부로서, 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이 통합된 터치 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전방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고 후방에 PCB 기판이 배치된 소정 두께의 패널 형상의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PCB 기판에는 제어부, AVN 시스템의 헤드 유닛, 공조 컨트롤러,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의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실장되고,
    상기 PCB 기판에 실장된 부품들 및 그 부품들로 구성되는 회로에 의해, 제어부, AVN 시스템의 헤드유닛, 공조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구동회로부가 디스플레이부와 일체로 통합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을 원격 조작하기 위한 통합 리모컨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입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어부를 차량 외부의 무선 통신망에 연결시켜주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자기기 통합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분할된 표시 영역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은,
    클러스터 정보 표시 영역, AVN 시스템 관련 정보 표시 영역, 및 공조 장치 관련 정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은,
    차량에서의 인터넷과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인터넷 화면과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응용프로그램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응용프로그램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60169197A 2016-12-13 2016-12-13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80067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97A KR20180067836A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197A KR20180067836A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836A true KR20180067836A (ko) 2018-06-21

Family

ID=62806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197A KR20180067836A (ko) 2016-12-13 2016-12-13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7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4349A1 (en) * 2019-03-27 2020-10-01 Tvs Motor Company Limited Smart connect instrument clu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4349A1 (en) * 2019-03-27 2020-10-01 Tvs Motor Company Limited Smart connect instrument cluster
CN113597401A (zh) * 2019-03-27 2021-11-02 Tvs电机股份有限公司 智能连接仪表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3485B2 (en) Single knob multifunction controller and display unit
EP3377358B1 (en) Dynamic reconfigurable display knobs
US20150002404A1 (en) Customizable steering wheel controls
US104103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of a motor vehicle
US6539289B2 (en) On-vehicle display apparatus
KR102015688B1 (ko) 차량용 정보제공장치
US20110006892A1 (en) Bendable on-demand display
US8884749B1 (en) Driver information and alerting system
US2012007844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on of vehicle systems
US20070085423A1 (en) Window control switch system for vehicles
US10387028B2 (en) Vehicle operation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method
US10518609B2 (en) Air outlet for heating and ventilation or air-conditioning systems of motor vehicles
US20160001693A1 (en)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for vehicle
US20150298549A1 (en) Vehicl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JP6176472B2 (ja) 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01915661B1 (ko) 차량의 에이브이엔 시스템 연동 멀티 스위치 조립체
KR20180067836A (ko) 차량의 통합형 전자기기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1409412A (zh) 运输制冷监测与控制
CN107107938A (zh) 汽车显示系统
EP2338720B1 (en) Management system of on-board vehicle instruments, especially for industrial or commercial vehicles
JP2015105074A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JP5146691B2 (ja) 遠隔操作装置
KR20050100412A (ko) Can통신을 이용한 모니터에서의 차량 에어컨 제어 시스템
EP3828017A1 (en) In-vehicle climat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