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359A -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359A
KR20180067359A KR1020160168997A KR20160168997A KR20180067359A KR 20180067359 A KR20180067359 A KR 20180067359A KR 1020160168997 A KR1020160168997 A KR 1020160168997A KR 20160168997 A KR20160168997 A KR 20160168997A KR 20180067359 A KR20180067359 A KR 2018006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i
brightness
lamp
interest
target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531B1 (ko
Inventor
금병직
강준모
김호준
박성호
오형석
윤순표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5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은, 램프 조절 장치가,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방식으로 상기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d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관심 영역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고, 관심 영역의 밝기가 기 선정된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램프는 운전자의 조작으로 켜고 꺼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전부터 등장한 자동차 램프는 운전자의 작동 없이도 점등과 소등을 물론, 스스로 빛의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를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AFLS; Adaptive Front-Lighting System)라고 한다.
도로교통공단에 의하면 2013년 한 해 동안 오후 6시부터 밤 12시까지 발생한 교통사고는 무려 30만 건이 넘었다. 해뜨기 전 새벽 시간대 교통사고를 더하면 그 수는 어마어마하다. 이런 상황 속에, 단순히 길을 밝히는 기능만 했던 자동차 램프에 보다 안전한 기능이 요구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탄생된 것이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핸들을 꺾으면 자동차 헤드 램프가 함께 움직인다. 운전자가 핸들을 우측으로 꺾으면 헤드 램프가 평상시보다 좀더 우측을 비추고, 좌측으로 꺾으면 좀 더 좌측을 비춘다. 자동차의 운행 방향에 맞춰 헤드 램프의 빛을 비춰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훨씬 용이해질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헤드 램프의 밝기까지 자동으로 조절하고 있지는 못하다. 밤길 운전 중, 마주 오는 차량의 상향등이 너무 밝아서 눈이 부셔 운전에 방해되었던 경험들 한번쯤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눈을 감고 10초 동안 운전을 하는 상황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큰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야간 주행시 빔 패턴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헤드 램프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전방 시야가 너무 밝거나 너무 어둡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은, 램프 조절 장치가,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방식으로 상기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선을 기준으로 구분된 영역 중에서 어느 한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자동차의 조향각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높이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 경로의 도로 정보에 따라 상기 운행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운행 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각 픽셀의 밝기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램프의 세기를 강하게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보다 밝은 경우 상기 램프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속도, 운행 시간, 운행 경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 조절 장치는,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포함하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전방을 비추는 램프 및 상기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램프의 세기를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방식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방의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자동차의 운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 속도, 운행 시간, 운행 경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최근 스마트 카 시장이 성장이 성장함에 따라 자동차의 전장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자동차 1대에 적용되는 센서는 약 160개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센서 시장은 연평균 7.0% 성장률을 보이며 2017년에 286억 달러 규모가 된다. 이러한 추세에 발 맞추어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심 영역의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주행중인 자동차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전방의 영상을 볼 수 있다. 멀리 앞에 지평선(41)이 보인다. 운전자는 카메라를 통해서 촬영한 전방의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40)으로 지정할 수 있다.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운전자가 지정한 밝기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관심 영역(40)을 지정하는 입력은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자의 터치를 입력 받는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주행 방향의 차로를 선택하는 입력 받는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전자의 방법으로 운전자가 영상 상에서 사다리꼴의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40)으로 지정하였다.
또는 관심 영역(40)은 사전에 제조사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 램프가 전방에 빛을 비추는 영역은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제조사에서 미리 설정해서, 운전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을 받지 않더라도, 기존에 설정된 관심 영역(40)을 기준으로 헤드 램프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조사에서 관심 영역(40)을 미리 설정할 경우, 자동차의 조향각과 헤드 램프의 방향을 기준으로 관심 영역(40)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지능형 전조등 시스템(AFLS)을 설명하면서 핸들의 방향에 따라 헤드 램프의 방향이 자동으로 변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때 헤드 램프의 방향이 바뀌면 관심 영역(40)도 화면의 정중앙 부분이 아니라 헤드 램프의 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방향이 왼쪽을 향하고 있으면, 헤드 램프의 방향도 왼쪽으로 일정 부분 회전하고, 그에 따라 관심 영역(40)도 중앙에서 왼쪽으로 이동해서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자동차의 방향이 오른쪽을 향하고 있으면, 헤드 램프의 방향도 오른쪽으로 일정 부분 회전하고, 그에 따라 관심 영역(40)도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해서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에서 관심 영역(40)을 미리 설정한 경우,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관심 영역(40)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자동차가 고속으로 이동할 때는 먼 지역도 곧 도달하게 되므로 관심 영역(40)을 긴 사다리꼴의 형태로 설정하여 먼 지역에도 헤드 램프가 비출 수 있도록 조절하고, 반대로 자동차가 저속으로 이동할 때는 관심 영역(40)을 낮은 사다리꼴의 형태로 동적으로 설정하여 가까운 지역을 헤드 램프가 비출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특정 범위의 밝기를 가지도록 자동으로 조절한다.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 또한 운전자를 입력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한 후에는 주행을 시작하고 주행 중에 지속적으로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고 밝기를 피드백(feedback)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x축은 시간축이며, y축은 관심 영역(40)의 밝기 축이다. 관심 영역(40)의 밝기는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전방 영역을 지속적으로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분석해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에서 관심 영역(40)에 해당하는 픽셀(pixel)의 밝기를 평균해서 전체에 해당하는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카메라의 설정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의 셔터 스피드, 감도, 조리개 수치와 같은 노출 정보를 추가로 더 반영하여 영상을 분석해서 산출한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전에 카메라의 노출 정보가 영상에서 각 픽셀의 밝기에 미치는 영향의 상관 관계(correlation)를 구해서 테이블(table)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밝기가 일정하더라도 관심 영역(40)의 밝기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주 오는 차량의 헤드 램프의 밝기나 가로등의 밝기나 기상 환경이나, 주행 시간에 따른 일몰의 정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밝기는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고하면 운전자가 설정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의 범위를 상한선(43; UL; Upper Limit)과 하한선(45; LL; Lower Limit)의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은 산출된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목표 범위(43, 45)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t1 시점에는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하한선(45) 밑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램프의 세기를 강하게 조절하여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밝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2 시점에는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상한선(43) 위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램프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여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밝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t3 시점에는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하한선(45) 밑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램프의 세기를 강하게 조절하여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밝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t4 시점에는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상한선(43) 위에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에는 램프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여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밝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영상을 통해서 분석한 관심 영역(40)의 밝기와 운전자가 설정한 목표 밝기를 비교하고,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목표 밝기에 포함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밝기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때 전방이 너무 눈 부시거나 너무 어둡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은 closed-loop control system으로 결국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목표 밝기에 이를 때까지 헤드 램프의 세기가 조절되며 외부 요인에 의해 관심 영역의 밝기가 바뀔 경우 그에 따라 램프 세기가 자동 조절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운전자가 따로 조작을 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헤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상한선(43) 또는 하한선(45)을 벗어나는 경우에 헤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관심 영역(40)의 밝기의 변화 즉 기울기를 기준으로 헤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목표 밝기의 범위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감소하는 추세인 경우, 현재의 기울기로는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면 하한선(45)에 도달할지 산출한 후, 아직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하한선(45)을 벗어나지 않았더라도, 이러한 감소 추세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헤드 램프의 밝기를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목표 밝기의 범위에는 포함되어 있으나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증가하는 추세인 경우, 현재의 기울기로는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한선(43)에 도달할지 산출한 후, 아직 관심 영역(40)의 밝기가 상한선(43)을 벗어나지 않았더라도, 이러한 증가 추세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헤드 램프의 밝기를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통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상한선(43)과 하한선(45)의 형태로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헤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이때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상한선(43)과 하한선(45)을 통해 일정한 범위로 관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범위를 지정하는 과정을 도 3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앞서 도 1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운전자의 터치를 통해 관심 영역(40)을 설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마찬가지로 터치 스크린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각 단계의 밝기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밝기의 세기에 따라 제일 어두운 5단계부터 제일 밝은 1단계까지 각 등급이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밝기의 등급을 디스플레이에 그러데이션(gradation) 형태로 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운전자에게 받을 수 있다. 만약 운전자가 3단계를 선택하면 3단계의 제일 밝은 밝기가 상한선(43)이 되고, 3단계의 제일 어두운 밝기가 하한선(45)이 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서 전방을 촬영한 영상에서 관심 영역(40)을 설정하고, 운전자로부터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고,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지속적으로 전방을 촬영한 영상에서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관심 영역(40)의 밝기와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때,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는 어느 한 값인 아닌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또는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또는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심 영역의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도 3에서처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4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자동차의 운행 속도가 0km/h부터 30km/h까지인 경우에 대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고, 또한 그와 별개로 자동차의 운행 속도가 30km/h부터 60km/h까지인 경우에 대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자동차의 운행 속도가 60km/h이상인 경우에 대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 속도의 구간을 선택한 후에(제1 터치), 해당 운행 속도의 구간에 대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입력하는(제2 터치) 방식으로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가 고속도로를 주행할 때, 또는 시내 도로를 주행할 때, 또는 동네의 골목길을 주행할 때 각각의 상황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를 속도를 통해서 구분하고,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도 3에서처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자동차의 시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5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자동차의 운행 시간이 18시부터 24시까지인 경우에 대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고, 또한 그와 별개로 자동차의 운행 시간이 24시부터 06시까지인 경우에 대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자동차의 운행 시간이 06시 이후인 경우에 대해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 시간의 구간을 선택한 후에(제1 터치), 해당 운행 시간의 구간에 대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입력하는(제2 터치) 방식으로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가 일몰 직후에 주행할 때, 또는 한밤 중에 주행할 때, 또는 새벽녘에 주행할 때 각각의 상황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를 시간을 통해서 구분하고,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르게 설정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즉 도 3에서처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신에,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6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동차 네비게이션과 결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운전자는 출발 지점과 도작 지점을 입력하여 운행 경로를 설정한다. 종래의 네비게이션은 설정된 운행 경로에 따라 안내를 수행하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그 사이에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행 경로의 도로 정보를 참고하여 운행 경로를 여러 개의 구간으로 자동으로 나눌 수 있다. 운행 경로가 2차선인지 4차전인지 8차선인지를 기준으로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또는 운행 경로의 제한 속도를 기준으로 운행 경로를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자동차의 운행 경로의 각 구간에 대해 운전자로부터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동차의 운행 경로의 구간을 선택한 후에(제1 터치), 해당 운행 경로의 구간에 대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입력하는(제2 터치) 방식으로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서이다. 자동차가 어떠한 도로를 달리는지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가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이를 운행 경로를 통해서 구분하고,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각각 설정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운행 속도에 따라 운행 시간에 따라 운행 경로에 따라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운행 속도의 구간이나 운행 시간의 구간 등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일 뿐,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님을 밝힌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장치(10)는 기본적으로 램프(11)와 카메라(12)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는 전방의 관심 영역(40)을 촬영하고 이를 영상의 형태로 제어부(15)에 제공한다. 제어부(15)는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 영역(40)의 밝기를 산출하고, 이를 기 설정된 목표 밝기와 비교하여 램프(11)의 세기를 조절한다.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장치(10)는,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12)가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고, 관심 영역(40)을 설정하고,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장치(10)는 그 외에도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추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13)를 통해, 운행 속도에 따라 각각 설정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기준으로 헤드 램프(1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장치(10)는 자동차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14)를 통해, 운행 경로에 따라 각각 설정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기준으로 헤드 램프(1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각각 설정된 관심 영역(40)의 목표 밝기를 기준으로 헤드 램프(11)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최근의 자동차는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위해 속도 센서(13)나 위치 센서(14)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여기서 수집된 정보를 추가로 더 이용하여 자동차의 헤드 램프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된 구성 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램프 조절 장치가,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방식으로 상기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조절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전방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선을 기준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차선을 기준으로 구분된 영역 중에서 어느 한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지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자동차의 조향각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높이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조절 장치가,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속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운행 경로에 따라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 경로의 도로 정보에 따라 상기 운행 경로를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운행 경로의 각 구간별로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설정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서 상기 관심 영역에 포함된 각 픽셀의 밝기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 상기 램프의 세기를 강하게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보다 밝은 경우 상기 램프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여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자동차의 운행 속도, 운행 시간, 운행 경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방법.
  14. 관심 영역(ROI; Region of Interest)을 포함하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전방을 비추는 램프; 및
    상기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관심 영역의 밝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관심 영역의 밝기와 상기 관심 영역의 목표 밝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램프의 세기를 피드백 제어(feedback control) 방식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의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 조절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운행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 센서; 및
    상기 자동차의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 속도, 운행 시간, 운행 경로 중에서 하나 이상을 더 이용하여 상기 램프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인,
    자동차의 램프 조절 장치.
  17.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8997A 2016-12-12 2016-12-12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90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97A KR101907531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97A KR101907531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52A Division KR101927108B1 (ko) 2018-07-31 2018-07-31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20180089535A Division KR101927097B1 (ko) 2018-07-31 2018-07-31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59A true KR20180067359A (ko) 2018-06-20
KR101907531B1 KR101907531B1 (ko) 2018-10-12

Family

ID=6276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997A KR101907531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4415A (zh) * 2021-05-31 2022-12-16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曝光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741A (ja) * 2004-01-14 2005-07-28 Denso Corp 路面反射検出装置
KR20140081379A (ko) * 2012-12-21 2014-07-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및 이에 적용되는 헤드램프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6326B2 (ja) * 2010-04-12 2014-07-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制御装置、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
JP5523954B2 (ja) * 2010-06-30 2014-06-1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741A (ja) * 2004-01-14 2005-07-28 Denso Corp 路面反射検出装置
KR20140081379A (ko) * 2012-12-21 2014-07-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및 이에 적용되는 헤드램프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4415A (zh) * 2021-05-31 2022-12-16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曝光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5484415B (zh) * 2021-05-31 2024-04-09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曝光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531B1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2909B2 (ja) オートライト装置
US9505338B2 (en) Vehicle driving environment recognition apparatus
US978980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an illuminated area of a headlight of a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JP6153181B2 (ja) 高速道路上で外部車両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164461B1 (ko) 적응형 하이 빔 제어 장치를 갖는 이미징 시스템
US11590881B2 (en)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one headlight with separately actuated light segments
US9185363B2 (en) Vehicle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categorizing objects using relative motion analysis
US959799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 distribution of a headlamp and headlamp therefor
US10965878B2 (en) Vehicle illumination system and vehicle
CN103201137A (zh) 车辆用照明装置以及车辆用前照灯的控制方法
JP2007293688A (ja) 車載用車両前方環境検出装置および車両用照明装置
EP2631121B1 (en) On-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system
CN110869940A (zh) 控制位于行车道上的机动车的像素大灯的方法
KR101927108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CN113015653A (zh) 车辆用灯具系统
CN113727879A (zh) 用于运行自主交通工具中的驾驶员信息系统的方法和驾驶员信息系统
JP5003593B2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及び車両用ライト制御プログラム
CN111746381B (zh) 车辆灯光控制系统及车辆灯光控制方法
KR101907531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JP2023506519A (ja) 自動車両の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6895264B2 (ja) 車両用照明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KR101927097B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조절 방법 및 장치
US20200156530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matrix headlights
KR102155374B1 (ko) 자동차용 야간 화상들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850992B2 (en)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