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885A -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885A
KR20180066885A KR1020180040960A KR20180040960A KR20180066885A KR 20180066885 A KR20180066885 A KR 20180066885A KR 1020180040960 A KR1020180040960 A KR 1020180040960A KR 20180040960 A KR20180040960 A KR 20180040960A KR 20180066885 A KR20180066885 A KR 20180066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rolling
cast steel
mod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022B1 (ko
Inventor
정제숙
민병진
심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40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10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non-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being cut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연주기, 압연기, 상기 연주기 및 압연기의 출측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주편의 절단을 조정하는 상류절단기 및 상기 압연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 또는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을 지지하는 하부가이드부 및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형성하는 상부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주기에서 응고된 주편의 고온을 이용하여 압연을 수행하는 공정은 설비비와 운영비가 기존 공정대비 저렴하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연속 주조와 압연을 연속적으로 이용하면서도, 상기 연속 주조와는 별도로 압연을 실시할 수 있는 불연속적인 공정도 실시할 수도 있다.
즉, 연속주조공정과 압연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연속 압연과 상기 연속주조공정과 상기 압연공정을 불연속적으로 실시하는 불연속 압연의 모드로 각각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간 압연공정에 의하여 생산되는 제품은 약 0.8mm 까지의 얇은 두께의 압연 제품만을 생산하게 된다. 즉,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후판 제품은 열간 압연공정에서는 생산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열간 압연공정은 일반적으로 마무리 압연 후의 제품을 코일 형태로 감아서 후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일정 중량 이상의 얇은 압연 제품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코일형태로 감아서 고객사에 전달하고, 이후에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코일 형태로 감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후판 제품은 두께가 두꺼워 코일 형태로 감아서 후공정으로 보내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판재 형태로 생산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고객사에 전달하게 된다.
다만, 열간 압연 공정을 수행한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연주압연장치에서 두께가 비교적 얇은 압연 제품을 생산하는 것에 더하여,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후판 제품의 생산을 생산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따라서, 하나의 설비에서 얇은 두께의 박물 제품과 두꺼운 두께의 후물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990-70014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두께의 박물 제품과 두꺼운 두께의 후물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주편을 생산하는 연주기, 상기 연주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압연기, 상기 연주기 및 압연기의 출측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주편의 절단을 조정하는 상류절단기, 상기 압연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 또는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감아서 보관하며,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코일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코일러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부 및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코일러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는 상부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배출하는 코일링모드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고정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여 상기 주편과 접하면서 상기 주편을 밴딩시켜 상기 코일러를 향하는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러로 전달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코일러로 이동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로 배출하는 플랫모드에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을 지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판재 형태로 통과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코일러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의 같은 위치에서 각각 상기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링모드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며, 타단부가 상기 주편의 상면과 접하면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코일러를 향하여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전달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부보다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더 경사지게 위치되며, 상기 플랫모드에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의 하면을 지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가이드유닛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코일러의 입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상기 주편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보열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보열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보온 재료로 형성된 노몸체부, 상기 노몸체부의 내벽에 구비되는 히터부 및 상기 노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주편을 순차적으로 하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자연 냉각시키는 냉각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입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길이를 50 ~100m의 범위로 절단하는 하류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연주기에서 주편을 생산하는 주조단계, 상기 주편을 압연기로 압하하는 압연단계, 상기 주조단계와 압연단계에서 상기 주편이 연속체로 제공되는 연속압연모드와, 상기 주편이 절단되어 제공되는 불연속압연모드의 전환을 선택하는 제1모드선택단계,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불연속압연모드로 선택시에, 상기 압연단계가 수행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배출하는 코일링모드와, 상기 주편을 감기지 않은 판재 형태로 배출하는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제2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코일링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유닛의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하부가이드부 중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고정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고 상기 주편과 접하면서 상기 주편을 밴딩시켜 상기 코일러를 향하는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러로 전달하게 구동시키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코일러로 이동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시키는 코일러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을 지지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판재 형태로 통과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시키는 플랫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코일링모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코일러로 주편을 전달하며,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의 같은 위치에서 각각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부와 하부가이드부 중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를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시켜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타단부가 상기 주편의 상면과 접하면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코일러를 향하여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전달시키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를 상기 상부가이드부보다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더 경사지게 위치시키고, 상기 플랫모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코일러로 주편을 전달하지 않고 통과시키며,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의 같은 위치에서 각각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부와 하부가이드부 중에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를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의 하면을 지지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를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주편의 두께가 적어도 10mm 인 경우에 플랫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주편을 생산하는 연주기, 상기 연주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압연기, 상기 연주기 및 압연기의 출측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주편의 절단을 조정하는 상류절단기 및 상기 압연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 또는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을 지지하는 하부가이드부 및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형성하는 상부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감아서 보관하는 코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가이드유닛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코일러의 입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상기 주편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보열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보열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보온 재료로 형성된 노몸체부, 상기 노몸체부의 내벽에 구비되는 히터부 및 상기 노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주편을 순차적으로 하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자연 냉각시키는 냉각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입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길이를 50 ~100m의 범위로 절단하는 하류절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연주기에서 주편을 생산하는 주조단계, 상기 주편을 압연기로 압하하는 압연단계, 상기 주조단계와 압연단계에서 상기 주편이 연속체로 제공되는 연속압연모드와, 상기 주편이 절단되어 제공되는 불연속압연모드의 전환을 선택하는 제1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불연속압연모드로 선택시에, 상기 압연단계가 수행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배출하는 코일링모드와, 상기 주편을 감기지 않은 판재 형태로 배출하는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제2모드선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주편의 두께가 적어도 10mm 인 경우에 플랫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코일링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유닛의 상부가이드부를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시켜, 상기 주편을 코일러에 감기도록 전달하는 코일러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유닛의 하부가이드부를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시켜, 상기 주편을 보열로 또는 냉각대 방향으로 전달하는 플랫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가 냉각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가이드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가 보열로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보열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보열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얇은 두께의 박물 제품과 두꺼운 두께의 후물 제품을 모두 생산할 수 있다.
더하여, 박물 제품의 후공정을 위한 감겨진 형태의 제품 전달과 후물 제품의 후공정을 위한 판재 형태의 제품 전달을 모두 가능하게 함으로써, 박물 및 후물 제품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가 냉각대(7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주편(S)을 생산하는 연주기(10), 상기 연주기(10)보다 상기 주편(S)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S)을 압하하는 압연기(20), 상기 연주기(10) 및 압연기(20)의 출측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주편(S)의 절단을 조정하는 상류절단기(30) 및 상기 압연기(20)보다 상기 주편(S)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20)에서 압하된 주편(S)을 판재 형태 또는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하는 가이드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유닛(40)에 의해서 상기 주편(S)을 감겨진 형태 또는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주편(S)에 대한 상기 압연기(20)에서의 압연 두께에 따른 주편(S)의 전달 형태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주기(10)는 주조 공정을 통하여 용강으로부터 주편(S)을 생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연주기(10)는 턴디쉬에서 주형으로 용강을 공급하며, 공급된 용강은 열량을 빼앗기면서 주편(S)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주편(S)은 세그먼트롤(Segment Roll)과 핀치롤(Pinch Roll)에 의해서 가이드 되며 이동되어 후술할 압연기(2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연주기(10)는 상기 용강의 응고 속도에 의존하여 주편(S)을 생산하기 때문에, 생산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된 주편(S)을 연속적으로 전달받아 후술할 압연기(20)로 압하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속도의 제약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연주기(10)에서 배출된 주편(S)은 평균 온도가 높기 때문에, 압연기(20)에서 압연작업시에 필요로 하는 온도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압연기(20)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된 주편(S)을 전달받아 압하하여 박물 또는 후물 제품을 생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압연기(20)는 압연롤 쌍 사이로 상기 주편(S)을 통과시키면서 압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연롤 쌍이 제공되는 압연스탠드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압연기(20)는 상기 주편(S)에 대하여 대양한 두께로 설정하여 압연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연기(20)는 조압연기(21)와 사상압연기(22)로 구분하여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조압연기(21)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생산된 주편(S)을 최초로 압연하는 구성이고, 상기 사상압연기(22)는 상기 조압연기(21)에서 압연한 주편(S)에 대한 마무리 압연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주편(S)에 대한 압연 두께가 상기 조압연기(21)에 의해서 만족을 하게 되면, 상기 사상압연기(22)에서는 압연을 수행하지 않고 압연롤 쌍들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주편(S)을 자유 통과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압연기(21) 또는 상기 사상압연기(22)의 입측에는 상기 주편(S)의 압연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열기, 스케일을 제거하는 스케일제거기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상류절단기(30)는 상기 압연기(20)에서 압연을 수행하는 주편(S)이 상기 연주기(10)와 연속체로 제공되는지, 아니면 불연속체로 제공되는지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상류절단기(30)가 상기 주편(S)을 절단하지 않고 자유 통과시키면, 상기 압연기(20)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전달되는 주편(S)을 연속체로 전달받아 압연을 수행하게 되며, 이는 후술할 연주압연방법에서의 연속압연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상기 상류절단기(30)가 상기 주편(S)을 절단하여 압연기(20)로 전단하면, 상기 압연기(20)는 상기 연주기(10)에서 전달되는 주편(S)을 불연속체로 전달받아 압연을 수행하게 되며, 이는 후술할 연주압연방법에서의 불연속압연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류절단기(30)는 상기 연주기(10)의 출측인 상기 조압연기(21)의 입측에 제공되거나, 상기 조압연기(21)의 출측인 상기 사상압연기(22)의 입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닛(40)은, 상기 압연기(20)를 통과한 주편(S)을 감겨진 형태로 후공정으로 전달하거나, 판재 형태로 후공정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유닛(40)은 하부가이드부(41), 상부가이드부(4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40)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40)이 상기 주편(S)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자연 냉각시키는 냉각대(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냉각대(70)가 상기 가이드유닛(40)에서 판재 형태의 주편(S)을 전달받으면, 상기 주편(S)을 자연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각된 주편(S)을 후공정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대(70)에서 냉각된 주편(S)은 적치대(PP)에 적치되기 위해서, 배출절단기(FC)에서 적치에 용이한 크기로 절단된다. 즉, 운반트럭 등의 운송수단이 상기 주편(S)을 싣고 전달하기 용이한 크기로 상기 적치대(PP)에 절단되어 적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냉각대(70)에서 상기 주편(S)을 전달하기 전에 레벨러(LV)에 의해서 상기 주편(S)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40)의 입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40)이 상기 주편(S)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S)의 길이를 50 ~100m의 범위로 절단하는 하류절단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류절단기(80)는 상기 냉각대(70) 또는 후술할 보열로(60)에 제공되는 주편(S)을 상기 냉각대(70) 또는 보열로(60)의 크기에 맞게 절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냉각대(70) 또는 보열로(60)의 크기는 정해져 있는데, 상기 주편(S)의 두께에 따라서는 그 길이가 너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주편(S)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역할을 상기 하류절단기(80)가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류절단기(80)는 상기 가이드유닛(40)의 입측에 구비되며, 약 50 ~ 100mm의 크기로 상기 주편(S)을 절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가이드유닛(4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가이드유닛(40)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20)에서 압하된 주편(S)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S)을 지지하는 하부가이드부(41) 및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20)에서 압하된 주편(S)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감겨진 형태의 주편(S)을 형성하는 상부가이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이드유닛(40)이 상기 압연기(20)를 통과한 주편(S)을 감겨진 형태로 후공정으로 전달하거나, 판재 형태로 후공정에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가이드부(41)와 상부가이드부(4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하부가이드부(41)는 상기 주편(S)이 판재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42)는 상기 주편(S)이 감겨진 형태로 전달되는 것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드부(42)가 상기 주편(S)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편(S)은 코일러(50)에 감겨져 보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40)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40)이 상기 주편(S)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감아서 보관하는 코일러(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속도에 따라서는 상기 주편(S)이 감겨진 코일러(50)를 새로운 코일러(50)로 교체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코일러(50)를 복수 개를 구비시킬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가이드유닛(40)도 상기 코일러(50)의 개수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주편(S)이 상기 코일러(50)에 감기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가이드유닛(40)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코일러(50)의 입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유닛(40)에 의하여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작동 상태와 감겨진 상태로 전달되는 작동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는 상기 주편(S)의 이동 경로에서 앞쪽에 제공되는 제1코일러(51)에 주편(S)이 감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이드부(42)가 상기 주편(S)을 상기 제1코일러(51)로 유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이드부(42)를 따라서 상기 주편(S)은 상기 제1코일러(51)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b)는 제1코일러(51)에 하나의 주편(S)이 완전히 감겨지면 상기 제1코일로보다 뒤쪽에 제공되는 제2코일러(52)로 다음 주편(S)을 감기 위한 준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코일러(51)의 입측에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부(41)는 상기 주편(S)을 판재 형태로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위치되어 상기 주편(S)의 이동을 지지하게 된다.
도 2의 (c)는 제2코일러(52)에 주편(S)이 감겨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제2코일러(52)의 입측에 구비되는 상부가이드부(42)는 상기 주편(S)을 상기 제2코일러(52)로 유도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이드부(42)를 따라서 상기 주편(S)은 상기 제2코일러(52)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 2의 (d)는 제2코일러(52)에 하나의 주편(S)이 완전히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주편(S)이 감겨진 형태로 코일러(50)로 전달되는 것은 후술할 연주압연방법에서의 코일링모드로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도 2의 (e)는 코일러(50)에 상기 주편(S)이 감겨지지 않고, 판재 형태로 통과되어 상기 냉각대(70) 또는 보열로(60)로 전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코일러(51)의 입측에 구비되는 첫번째 하부가이드부(41) 및 상기 제2코일러(52)의 입측에 구비되는 두번째 하부가이드부(41)는 상기 주편(S)을 판재 형태로 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위치되어 상기 주편(S)의 이동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주편(S)이 판재 형태로 전달되는 것은 후술할 연주압연방법에서의 플랫모드로 수행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가 보열로(6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보열로(60)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연주압연장치에서 보열로(6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는 상기 가이드유닛(40)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40)이 상기 주편(S)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상기 주편(S)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보열로(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열로(60)가 상기 가이드유닛(40)에서 판재 형태의 주편(S)을 전달받으면, 상기 주편(S)을 냉각시키되, 냉각되는 속도를 조정하며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편(S)의 재질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열로(60)에서 냉각된 주편(S)은 적치대(PP)에 적치되기 위해서, 배출절단기(FC)에서 적치에 용이한 크기로 절단된다. 즉, 운반트럭 등의 운송수단이 상기 주편(S)을 싣고 전달하기 용이한 크기로 상기 적치대(PP)에 절단되어 적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열로(60)에서 상기 주편(S)을 전달하기 전에 레벨러(LV)에 의해서 상기 주편(S)의 평탄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하류절단기(80)에서는 상기 보열로(60)에 공급하기 적당한 크기로 상기 가이드유닛(40)로 진입하는 주편(S)을 절단하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주편(S)의 길이를 50 ~100m의 범위로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열로(60)는 상기 주편(S)의 냉각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노몸체부(61), 히터부(62), 슬라이딩판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장치의 상기 보열로(60)는, 상기 가이드유닛(40)보다 상기 주편(S)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보온 재료로 형성된 노몸체부(61), 상기 노몸체부(61)의 내벽에 구비되는 히터부(62) 및 상기 노몸체부(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주편(S)을 순차적으로 하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판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열로(60)가 주편(S)의 냉각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주편의 재질도 조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주편(S)의 재질을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성분을 조정하는 고용강화법, Ti, Nb 등 석출물을 이용하는 석출강화법, 상변태를 이용하는 변태강화법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특히 석출강화법의 경우에는 판재 형태로 주편(S)을 절단 후에 일정 온도를 유지시켜서 석출물의 형성을 유도하여 주편(S)의 재질을 확보하게 된다.
즉, 석출강화법을 이용하여 주편(S)의 재질을 형성한다고 가정할 때, 보열로(60)가 없으면 주편(S)은 급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편(S)의 재질은 강해지고 연신율은 떨어져서 원하는 물성치를 가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편(S)의 재질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보열로(60)를 구비시켜 상기 주편(S)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노몸체부(61)는 전달된 주편(S) 주위의 온도를 제어 가능한 온도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62)에서 열을 더 공급하게 되면, 상기 노몸체부(61) 내부의 온도는 더 높아지게 되어, 상기 주편(S)의 냉각 속도를 더 낮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몸체부(61)의 노입구(61a)로 주편(S)이 유입되고, 노출구(61b)로 주편(S)이 배출된다.
상기 슬라이딩판부(63)는 상기 노몸체부(61)로 전달된 복수 개의 주편(S)을 별도의 이송 구동력 없이 전달하면서도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복수의 주편(S)을 일정한 재질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슬라이딩판부(63)는 경사진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의 측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판부(63)가 측방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주압연장치 전체의 레이아웃 길이를 단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부(63)는 상기 주편(S)의 무게나 이동속도, 냉각속도에 따라서는 그 기울기를 조정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연주기(10)에서 주편(S)을 생산하는 주조단계, 상기 주편(S)을 압연기(20)로 압하하는 압연단계, 상기 주조단계와 압연단계에서 상기 주편(S)이 연속체로 제공되는 연속압연모드와, 상기 주편(S)이 절단되어 제공되는 불연속압연모드의 전환을 선택하는 제1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불연속압연모드로 선택시에, 상기 압연단계가 수행된 주편(S)을 감겨진 형태로 배출하는 코일링모드와, 상기 주편(S)을 감기지 않은 판재 형태로 배출하는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제2모드선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주압연방법은 연속압연모드와 불연속압연모드만을 선택하는 것에 더하여, 코일링모드와 플랫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즉, 연속압연모드, 불연속압연모드 중의 코일링모드, 불연속압연모드 중의 플랫모드의 3 개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주편(S)을 박물 및 후물 제품 모두로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주조단계는 상기 연주기(10)에 의해서 주편(S)을 생산하는 단계로써, 연속 주조에 의해서 용강을 전달받아 주편(S)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조단계에서 생산된 주편(S)은 상기 압연기(20)로 전달되어 압연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압연단계는 상기 주조단계에서 생산된 주편(S)을 전달받아 압하하여 박물 또는 후물 제품을 생산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압연단계는 조압연기(21)에서만 압연을 수행하거나, 사상압연기(22)에서만 압연을 수행하여, 상기 주편(S)을 설정한 두께로 압하하여 생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는 연속압연모드와 불연속압연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특히 두께가 두꺼운 후물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불연속압연모드를 선택하게 되며, 후술할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플랫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후물 제품을 생산하여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연속압연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상류절단기(30)는 상기 주편(S)을 절단하지 않고 자유 통과시켜 상기 압연기(2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불연속압연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상류절단기(30)는 상기 주편(S)을 절단하여 불연속체로 상기 주편(S)을 상기 압연기(2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불연속압연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수행하게 되며, 코일링모드와 플랫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코일링모드와 플랫모드는 상기 주편(S)의 두께를 기준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주편(S)이 코일러(50)에 감겨지기 어려운 두께의 경우에는 플랫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주편(S)이 코일러(50)에 감겨지기 쉬운 두께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코일링모드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의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주편(S)의 두께가 적어도 10mm 인 경우에 플랫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범위를 한정하면, 주편(S)의 두께가 약 10 ~ 25mm인 경우는 후물 제품으로써, 상기 플랫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냉각대(70) 또는 보열로(60)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코일링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유닛(40)의 상부가이드부(42)를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구비시켜, 상기 주편(S)을 코일러(50)에 감기도록 전달하는 코일러(50)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코일링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주편(S)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상기 상부가이드부(42)가 상기 코일러(50)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작동하여, 상기 주편(S)을 상기 코일러(50)에 감기도록 코일러(50) 전달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주압연방법은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유닛(40)의 하부가이드부(41)를 상기 주편(S)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시켜, 상기 주편(S)을 보열로(60) 또는 냉각대(70) 방향으로 전달하는 플랫 전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플랫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주편(S)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상기 하부가이드부(41)가 주편(S)의 이동 방향과 수평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편(S)을 상기 보열로(60) 또는 냉각대(70)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게 작동하는 플랫 전달단계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10: 연주기 20: 압연기
21: 조압연기 22: 사상압연기
30: 상류절단기 40: 가이드유닛
41: 하부가이드부 42: 상부가이드부
50: 코일러 51: 제1코일러
52: 제2코일러 60: 보열로
61: 노몸체부 62: 히터부
63: 슬라이딩판부 70: 냉각대
80: 하류절단기

Claims (11)

  1. 주편을 생산하는 연주기;
    상기 연주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을 압하하는 압연기;
    상기 연주기 및 압연기의 출측의 적어도 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주편의 절단을 조정하는 상류절단기;
    상기 압연기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 또는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하는 가이드유닛; 및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감아서 보관하며,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 복수 개가 구비되는 코일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코일러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는 하부가이드부; 및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며, 복수의 상기 코일러에 대응되게 복수 개가 구비되는 상부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배출하는 코일링모드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고정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여 상기 주편과 접하면서 상기 주편을 밴딩시켜 상기 코일러를 향하는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러로 전달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코일러로 이동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되며,
    상기 압연기에서 압하된 주편을 판재 형태로 배출하는 플랫모드에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을 지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판재 형태로 통과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되는 연주압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러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의 같은 위치에서 각각 상기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링모드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하며, 타단부가 상기 주편의 상면과 접하면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코일러를 향하여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전달하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상부가이드부보다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더 경사지게 위치되며,
    상기 플랫모드에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의 하면을 지지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연주압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상기 코일러의 입측에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압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상기 주편의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보열로;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상기 주편 이동 방향의 하류에 구비되며, 보온 재료로 형성된 노몸체부;
    상기 노몸체부의 내벽에 구비되는 히터부; 및
    상기 노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의 일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주편을 순차적으로 하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판부;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과 연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면, 이를 전달받아 자연 냉각시키는 냉각대;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의 입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유닛이 상기 주편을 판재 형태로 전달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길이를 50 ~100m의 범위로 절단하는 하류절단기;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장치.
  8. 연주기에서 주편을 생산하는 주조단계;
    상기 주편을 압연기로 압하하는 압연단계;
    상기 주조단계와 압연단계에서 상기 주편이 연속체로 제공되는 연속압연모드와, 상기 주편이 절단되어 제공되는 불연속압연모드의 전환을 선택하는 제1모드선택단계;
    상기 제1모드선택단계에서 불연속압연모드로 선택시에, 상기 압연단계가 수행된 주편을 감겨진 형태로 코일러로 배출하는 코일링모드와, 상기 주편을 감기지 않은 판재 형태로 배출하는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제2모드선택단계; 및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코일링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주편의 상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가이드유닛의 상부가이드부와 상기 주편의 하면에 대면하게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하부가이드부 중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고정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전하고 상기 주편과 접하면서 상기 주편을 밴딩시켜 상기 코일러를 향하는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러로 전달하게 구동시키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코일러로 이동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시키는 코일러 전달단계;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에서 플랫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과 수평하게 구비되어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을 지지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판재 형태로 통과되는 주편의 이동 경로 상에서 이탈되게 배치시키는 플랫 전달단계;
    를 포함하는 연주압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링모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코일러로 주편을 전달하며,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의 같은 위치에서 각각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부와 하부가이드부 중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를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위치시켜 상기 상부가이드부의 타단부가 상기 주편의 상면과 접하면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코일러를 향하여 감겨진 형태의 주편을 전달시키고, 상기 하부가이드부를 상기 상부가이드부보다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더 경사지게 위치시키고,
    상기 플랫모드는,
    상기 가이드유닛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코일러로 주편을 전달하지 않고 통과시키며, 상기 주편의 이동 경로의 같은 위치에서 각각 주편의 상면 및 하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상부가이드부와 하부가이드부 중에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를 판재 형태의 상기 주편의 하면을 지지하게 배치시키고, 상기 상부가이드부를 상기 주편이 이동하여 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키는 연주압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선택단계는, 상기 주편의 두께가 적어도 10mm 인 경우에 플랫모드를 선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압연방법.
KR1020180040960A 2018-04-09 2018-04-09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KR10192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60A KR101921022B1 (ko) 2018-04-09 2018-04-09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60A KR101921022B1 (ko) 2018-04-09 2018-04-09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409 Division 2016-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885A true KR20180066885A (ko) 2018-06-19
KR101921022B1 KR101921022B1 (ko) 2018-11-21

Family

ID=6279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60A KR101921022B1 (ko) 2018-04-09 2018-04-09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0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717B1 (ko) * 2014-12-24 2016-02-1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방법, 연주압연방법 및 연주압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022B1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7358B2 (en) Method and plant for the production of flat rolled products
RU2412015C2 (ru) Способ 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горячей ультратонкой стальной полосы с двумя литейными линиями для одной линии бесконечной прокатки
RU2114708C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слябов промежуточной толщины и приемник для слябов
US20060243420A1 (en) Method and continuous casting and rolling plant for semi-endless or endless rolling by casting a metal strand, especially a steel strand, which is cut to length as required after solidification
JP5674929B2 (ja) 板製品のための圧延方法およびそれに関する圧延ライン
CN109922904B (zh) 铸造-轧制-复合设备和用于连续地制造热轧的成品带钢的方法
JP6764523B2 (ja) 連続運転モードで運転可能な生産設備と故障発生時の生産設備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
JP4001617B2 (ja) ローラーハース炉及び旋回テーブルを備えたcsp連続鋳造設備
JP6991232B2 (ja) 結合された連続鋳造および金属ストリップ熱間圧延プラント
KR101921022B1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US9126263B2 (en) CSP-continuous casting plant with an additional rolling line
US20070200281A1 (en) Device For Producing A Hot-Rolled Thermal Strip, Especially Made Of Strip-Type Continuous Casting Material
US2024000972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lurgical products, in particular of the merchant type, in particular in an endless mode
JPH1177111A (ja) 薄肉熱間圧延鋼帯材の製造方法
CN114247749B (zh) 组合式铸造和轧制设备以及用于操作组合式铸造和轧制设备的方法
RU2491140C2 (ru) Способ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полос и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лунепрерывный стан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105765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trip
JP2529932B2 (ja) ホットコイルの製造設備
JP2000033401A (ja) 熱間圧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