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717A -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 Google Patents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717A
KR20180066717A KR1020160167865A KR20160167865A KR20180066717A KR 20180066717 A KR20180066717 A KR 20180066717A KR 1020160167865 A KR1020160167865 A KR 1020160167865A KR 20160167865 A KR20160167865 A KR 20160167865A KR 20180066717 A KR20180066717 A KR 20180066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ge
hull
cargo
do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618B1 (ko
Inventor
이봉건
Original Assignee
이봉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건 filed Critical 이봉건
Priority to KR1020160167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6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6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floating containers, barges or othe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2704/00
    • B63B2707/00
    • B63B2731/00
    • B63B273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물선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해상에서 내부로 화물 또는 바지선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개방된 적어도 일측을 열거나 닫아서 상기 적재 공간으로 화물 또는 바지선의 선적을 가능하게 하는 선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 도어는 해상에서 수중까지 개방되며, 상기 선체의 상단 양측에는 박스 형태의 구조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휘어짐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은, 화물선으로의 화물 선적 과정에 있어서 해상에서 화물선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실은 바지선을 통째로 화물선에 선적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화물선에 선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물 선적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CARGO SHIP AND BARGE CAPABLE OF BEING LOADED IN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구에 접안하여 화물을 직접 적재하는 것이 아니라, 항구 또는 부두로부터 화물을 적재한 바지선을 해상에서 통째로 선적할 수 있는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가 간의 화물을 이송하는 방법으로 항공 운송과 해상 운송을 주로 이용하는데, 그 중에서도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 선박을 이용하는 해상 운송이 대부분이다.
해상 운송에 사용되는 선박은 그 용도나 사용 목적에 따라 상이한 구조를 갖는다. 선박은 크게 화물의 운송을 위한 화물선, 해상에서 석유 등의 화석연료 채취를 위한 시추선, 차량의 운반에 적합한 로코선, 군용 군함, 승객의 운송을 위한 여객선, 대형 화물의 운반을 위한 바지선 등이 있다.
여기서, 바지선(barge)은 항내, 내해, 호수, 하천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는 소형선박을 일컫는 것으로, 대량의 공사재료 및 공사장비를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바지선은 정해진 두 지점 사이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항내에 대형 화물선이 부두에 접안할 수 없는 경우에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해 화물선 옆에 대는 배로 사용된다. 이러한 바지선의 대부분은 동력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예인선에 의해 끌리거나 밀배에 밀려서 움직인다.
한편, 화물선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해서는 항구 또는 부두에 선박을 정박시키고 싣고자 하는 화물을 화물선으로 하나씩 옮겨 싣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을 실어야 하는 화물선이 크기 및 기타 상황에 의해 부두에 접안하는 것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바지선을 이용한다.
이때, 바지선으로부터 화물선으로 화물을 옮겨 싣기 위해서는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는데, 옮겨 싣고자 하는 화물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화물을 선적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화물 선적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화물 선적에 소요되는 비용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내륙을 통과하는 강 또는 운하를 통한 물류의 경우에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직접 강을 운항할 수 있으면 가장 효율적이지만, 강의 수심이 깊지 않기 때문에 대형 컨테이너 화물선이 운항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내륙의 강을 이용한 운송과 해상 컨테이너 화물선을 연계할 수 있는 해상 물류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6-7000170호 (발명의 명칭: 화물선, 공개일: 1996.01.19)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선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실은 바지선을 해상에서 통째로 화물선 내에 선적할 수 있어 화물선의 화물 선적 및 하역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륙의 강을 통한 물류와 해상 물류를 연계할 수 있는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지선을 직접 선적하는 과정에서 화물선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해상에서 내부로 화물 또는 바지선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개방된 적어도 일측을 열거나 닫아서 상기 적재 공간으로 화물 또는 바지선의 선적을 가능하게 하는 선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 도어는 해상에서 수중까지 개방되며, 상기 선체의 상단 양측에는 박스 형태의 구조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휘어짐을 지지하는 화물선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선체에는, 상기 선체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선체 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 작동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체 도어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는 보조 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 패널의 일측에 상기 도어 작동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선체에는, 상기 선체 도어에 의한 상기 적재 공간의 닫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도어 고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체 도어와 맞닿는 상기 선체의 일측에는 보강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에는, 상기 선체 도어에 의해 상기 적재 공간이 닫혔을 때 상기 적재 공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화물의 운반이 가능한 크레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고정 지지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크레인 본체; 텔레스코픽 다단 실린더 형태의 슬라이딩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화물이 연결되는 리프트 부재; 및 상기 크레인 본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크레인에 화물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크레인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평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화물선의 상기 적재 공간의 내부에 적재되는 바지선에 있어서, 박스 형태로 마련되는 바지선 본체; 및 상기 바지선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벽; 을 포함하는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바지선을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 탱크로 사용되되,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의 상단부는 막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마련되어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바지선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바지선 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지선 본체의 일측에는 조정반이 마련되고, 상기 조정반의 일측에는 상기 바지선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의 종류 또는 행선지를 나타내는 표시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은, 화물선으로의 화물 선적 및 하역 과정에 있어서 해상에서 화물선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실은 바지선을 통째로 화물선에 선적 및 하역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화물선에 선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물 선적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은 바지선 별로 다른 화물을 실을 수 있기 때문에 화물의 목적지별 환적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은 바지선을 특정 바지선으로 개조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은 내륙의 강을 운항하면서 화물선을 선적하고 해상에서 화물선에 직접 선적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컨테이너 화물선이 운항할 수 없는 내륙의 강과 바다를 연계한 물류 체계를 구축할 수 있기 대문에 내륙 물류 체계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물선과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물선의 선체 도어의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화물선의 선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크레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지선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화물선과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화물선의 선체 도어의 열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화물선의 선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크레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지선의 사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은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되되 내부에 화물 또는 후술할 바지선(200)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S)이 형성되는 선체(110) 및 선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개방 또는 닫아서 적재 공간(S)으로 화물의 선적을 가능하게 하는 선체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체(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의 몸체(body)를 의미한다.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선체(110)는 프레임(frame)이나 빔(beam) 등을 골격으로 하고, 그 바깥 면에 외판이나 갑판 등을 붙인 상자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은 컨테이너 등을 선적 및 하역할 수 있는 대형 화물선으로서, 선체 도어(120)를 제외한 선체(110)의 구조는 기존 컨테이너 화물선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선체(110)의 내부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적재 공간(S)은 선체(110)의 내부의 대다수의 공간일 수 있으며, 화물선(100)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체(110)의 일부분에는 평형수(ballast water)가 담긴 별도의 탱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탱크에 담기는 평형수는 바닷물일 수 있다. 이러한 탱크는 화물선(100)의 운항 시 무게 중심을 유지하게 위하여 선체(110)의 아랫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선체(110)의 적재 공간(S) 내부에 화물을 선적하게 될 경우에는 선적하는 화물의 무게에 비례하여 탱크 내부에 담긴 평형수를 일부 배수하고, 반대로 선체(110)의 적재 공간(S) 내부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 공간(S)으로부터 하역 할 경우에는 탱크의 내부에서 하역된 화물의 무게에 비례하는 양 만큼의 평형수를 다시 채워 넣음으로써 화물선(100)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110)는 내부의 적재 공간(S)으로 화물을 선적하기 위해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선체(110)의 길이방향 양측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선체(110)의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마련됨에 따라 해상에서 화물선(100)의 선체(110)의 적재 공간(S)으로 바로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선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열거나 닫기 위하여 선체 도어(120)가 마련될 수 있다. 선체 도어(120)는 일반적인 형태의 도어(door)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체 도어(120)는 선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는데 부두 또는 해상에서 선체(110)로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 또는 하역하고자 할 경우에 선체 도어(120)는 선체(110)에 대해 수직한 상태, 즉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선체 도어(120)는 해상에서 수중까지 개방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 도어(120)는 길이방향의 일측이 개방된 선체(110)의 하부에 힌지(hinge)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화물 또는 바지선(200)이 선적 또는 하역되는 동안에는 개방되어 거의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선적 또는 하역이 완료된 후에는 닫혀져서 선체(110)의 길이방향 측벽과 동일한 형태가 된다.
참고로, 화물선(100)에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한 후,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하면서 화물선(10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빼지 않을 경우에는 화물 또는 바지선(200)이 선적된 위치에 따라 화물선(100)에 불균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에는 화물선(100) 내부의 평형수를 이용하여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위치에 따라 화물선(100)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선체(110)의 적재 공간(S)으로 싣고자 하는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선적이 끝나면 선체 도어(120)를 이용하여 선체(110)의 개방된 일측을 닫음으로써 적재 공간(S)으로 바닷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체 도어(120)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는 삼각형 형상의 보조 패널(122)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 패널(122)은 선체 도어(120)의 양 끝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선체 도어(120)와 선체(110) 상호 간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패널(122)의 일측에는 선체 도어(120)를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하도록 후술할 도어 작동부재(13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패널(122)에는 고정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선체 도어(120)가 닫힘 상태 일 때, 선체 도어(120)를 선체(110)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링크(143)가 고정홀(12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홀(121)에는 후술할 도어 고정부재(140)의 고정링크(143)의 끝단부가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선체 도어(120)가 선체(110)로부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선체 도어(120)는 개폐부재(124)를 통해 도어 작동부재(1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어 작동부재(130)는 선체 도어(120), 즉 선체 도어(120)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 마련된 보조 패널(122)에 개폐부재(124)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체 도어(120)는 도어 작동부재(130)의 작동에 의해 선체 도어(120)가 선체(110)로부터 떨어져서 열림 상태가 되어 적재 공간(S)을 개방하거나, 선체(110)와 가까워져서 닫힘 상태가 되어 적재 공간(S)을 닫을 수 있다.
또한, 도어 작동부재(130)는 선체 도어(120)의 보조 패널(122)과 연결될 때 별도의 조인트(joint)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 작동부재(130)가 선체 도어(120)를 들어올려 선체(110)의 적재 공간(S)을 열거나 닫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참고로, 도어 작동부재(130)는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 실린더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 작동부재(130)가 유압을 이용하는 경우에, 도어 작동부재(130)는 유압실린더 및 상기 유압실린더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보조 패널(122)에 연결된 개폐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재(124)는 유압실린더에 의해서 수축 및 확장되는 작동로드 또는 작동와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선체(110)에는 도어 고정부재(1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고정부재(140)는 선체 도어(120)에 의한 적재 공간(S)의 닫힘 상태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어 고정부재(140)는 선체 도어(120)에 의해 적재 공간(S)이 닫힘 상태가 되면 선체 도어(120)가 선체(110)에서 이탈되어 열리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선체 도어(120)를 작동시키는 도어 작동부재(130)가 유압으로 작동되는 경우, 선체 도어(120)에 의한 적재 공간(S)의 열림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데에도 도어 고정부재(140)를 적용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 고정부재(140)는 손잡이(141), 모터(142), 고정링크(143) 및 고정박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41)를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고정링크(143)는 고정박스(144)를 통과하여 손잡이(141)가 움직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41)를 왼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고정링크(143)는 고정박스(144)를 통과하여 손잡이(141)가 움직인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고정링크(143)의 끝단부가 선체 도어(120)의 보조 패널(122)에 형성된 고정홀(121)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선체 도어(120)의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화물선(100)은 일반적인 선박과 마찬가지로 선체(110)의 하단 일부가 물에 잠기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은 선체(110)의 길이방향 일부 즉, 선체 도어(120)에 대응하는 부분이 열린 상태로 형성되고, 선체(110)의 열림 상태를 선체 도어(120)를 이용하여 열거나 닫으므로,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해서 선체 도어(120)를 연 상태에서는 선체(110)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선체 도어(120)가 열려서 해수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지선(200)을 해상에 떠있는 상태로 선체(110) 안으로 넣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화물선(100)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는 선체 도어(120)를 닫은 후 별도의 배출 펌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해수를 화물선(100)에서 배수시킬 수 있다.
한편, 화물선(100)으로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선적이 완료된 후에는 선체(110)의 적재 공간(S)으로 바닷물이 스며 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선체(110)와 선체 도어(120)가 닫힘 상태가 되어 맞닿는 위치에는 도어 틈의 방수를 위하여 패킹(11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114)은 일반적인 형태의 쿠션(cushion)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등의 튜브(tube)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킹(114)에는 엄청난 수압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튜브 형태로 패킹(114)을 마련할 경우에는 공기압(air pressure)를 이용하여 충전함으로써 파킹(114)이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패킹(114)이 걸리는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패킹(114)에 돌기(미도시) 또는 홈(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선체(110)와 선체 도어(120) 사이의 틈에 마련되는 패킹(114)은 보강 프레임(112)에 끼워질 수 있다. 보강 프레임(112)은 선체 도어(120)와 맞닿는 선체(110)의 모서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112)에 형성된 홈(미도시)에는 선체(110)와 선체 도어(120) 사이의 방수를 위한 패킹(114)이 끼워질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보강 프레임(112)의 틈에 패킹(114)이 끼워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선체 도어(120)의 모서리에 별도의 홈을 마련하여 패킹(114)을 끼울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에는 크레인(150)이 설치될 수 있다. 크레인(150)은 선체(110)에 마련된 박스 형태의 구조물(113)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16) 상에 마련되어, 연결 프레임(116)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크레인(150)이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1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체(110)에 마련된 박스 형태의 구조물(113)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다. 연결 프레임(116)은 빔(beam)의 형태로 마련되거나 박스 형태의 프레임(frame)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관(pipe)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연결 프레임(116)은 박스 형태의 구조물(113) 사이의 평형을 유지하거나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각형의 프레임 또는 빔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선체(110)의 상단 양측에 마련되는 박스 형태의 구조물(113)에는 선실(cabin) 등이 마련될 수도 있고, 화물선(100)의 운항을 위한 다양한 설비 또는 장치 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크레인(150)은 크레인 본체(151), 리프트 부재(152) 및 평형 부재(155)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 본체(151)는 박스(box) 형태로 연결 프레임(116) 상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크레인 본체(151)는 연결 프레임(116)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크레인 본체(151)의 내부에는 리프트 부재(152) 및 평형 부재(155)가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공의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인 본체(151)의 일측에는 리프트 부재(152)가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152)는 크레인 본체(151)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트 부재(152)는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 부재(152)는 다단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텔레스코픽(telescopic) 다단 실린더 형태의 슬라이딩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선(100)에 싣고자 하는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1단 프레임(152a) 만 사용할 수도 있고,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리프트 부재(152)는 연결 프레임(116) 상에 고정 지지된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3단 프레임(153c), 2단 프레임(152b) 및 1단 프레임(152a)의 순서로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돌출 될 수 있다.
한편, 리프트 부재(152)의 끝단부에는 리프트 와이어(153)가 마련되어 화물 또는 바지선(200)과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와이어(153)는 3단 프레임(152c)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1단 프레임(152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이 슬라이딩되면 리프트 와이어(153)도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과 함께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프트 와이어(153)는 제5 모터(154e)에 의해 리프트 와이어(153)를 지지하고 있는 도르레(미도시)가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크레인 본체(151)의 타측에는 연결 프레임(116) 고정 지지된 크레인(150)의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 부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평형 부재(155)는 크레인(150)에 화물 또는 바지선(200)이 연결된 경우, 화물선(100)이 한쪽으로 쏠리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물선(100)의 웨이트 밸런스(weight balance)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평형 부재(155)는 크레인 본체(151)에 대해 앞/뒤 혹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평형 부재(155)는 크레인 본체(151)의 일측에서 돌출되는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b)의 위치에 따라 크레인 본체(151)의 앞/뒤로 이동되어 위치됨으로써 크레인(150)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평형 부재(155)는 리프트 부재(152)의 작동에 따라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하는 화물선(100)의 평형 및 안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크레인(150)을 제어하는 작업자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즉, 평형 부재(154)는 크레인(150)에 의해서 운반되는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무게, 리프트 부재(152)의 작동 및 화물선(100)의 이동 등에 따라서 적절한 위치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150)이 작동하는 경우에 평형 부재(155)는 리프트 부재(152)가 확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화물선(10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50)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한다.
참고로, 리프트 부재(152), 리프트 와이어(153) 및 평형 부재(155)의 구동은 일종의 모터(motor)와 같은 구동 부재(154)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150)에는 총 다섯 개의 구동 부재(154)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리프트 와이어(153)의 일측에 화물 또는 바지선(200)이 연결된다. 그러면,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무게 및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위치에 따라 크레인 본체(151)의 일측으로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또는 3단 프레임(152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돌출되고, 크레인 본체(151)의 타측으로 평형 부재(155)가 이동된다.
여기서, 리프트 와이어(153)에 화물 또는 바지선(200)이 연결되면 평형 부재(155)는 제1 모터(154a)의 구동력에 의해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 모터(154a)는 두 개의 바퀴(미도시) 및 벨트(미도시)로 형성된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conveyer belt)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모터(154a)의 구동력에 의해 바퀴 및 벨트가 회전함으로써 평형 부재(155)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평형 부재(155)는 벨트 위에 놓이게 되며, 제1 모터(154a)의 구동에 따라 두 개의 바퀴가 회전함으로써 크레인 본체(151)에 대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고,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평형 부재(155)의 이동에 따라 리프트 부재(152) 즉,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이 순차적으로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돌출되어 평형 부재(151)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1단 프레임(152a)은 제2 모터(154b)의 구동에 의해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평형 부재(155)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모터(154b)는 제1 모터(154a)와 같이 두 개의 바퀴에 걸린 벨트에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벨트와 연동된 1단 프레임(152a)을 크레인 본체(151)로부터 돌출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트 와이어(153)에 연결된 화물 또는 바지선(200)의 무게에 따라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도 사용될 수 있다.
우선, 1단 프레임(152a)에 2단 프레임(152b)을 더하여 사용할 경우, 2단 프레임(152b)은 돌출된 1단 프레임(152a)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2단 프레임(152b)을 1단 프레임(152a)으로부터 돌출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3 모터(154c)를 이용하여 2단 프레임(152b)이 1단 프레임(152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3 모터(154c)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벨트를 회전시키고, 벨트의 회전에 의해 벨트와 연동된 2단 프레임(152b)이 1단 프레임(152a)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한편, 1단 프레임(152a) 및 2단 프레임(152b)에 3단 프레임(152c)을 더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3단 프레임(152c)은 돌출된 1단 프레임(152a) 또는 2단 프레임(152b)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3단 프레임(152c)을 1단 프레임(152a) 또는 2단 프레임(152b)으로부터 돌출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4 모터(154d)를 이용하여 3단 프레임(152c)을 1단 프레임(152a) 또는 2단 프레임(152b)으로부터 돌출시킨다. 이때, 제4 모터(154d)의 구동력에 의해 벨트가 회전되고, 벨트가 회전됨에 따라 벨트와 연동된 3단 프레임(152c)이 1단 프레임(152a) 또는 2단 프레임(152b)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리프트 부재(152)의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은 선체(110)에 대해 좌측 또는 우측뿐만 아니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도 이동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리프트 부재(152)의 1단 프레임(152a), 2단 프레임(152b) 및 3단 프레임(152c)과 평형 부재(155)는 각각 화물선(100)의 선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트 부재(152)가 선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좌측으로 이동되면 평형 부재(155)는 선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우측으로 이동되고, 리프트 부재(152)가 선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우측으로 이동되면 평형 부재(155)는 선체(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좌측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또한, 크레인(150)은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정상적으로 선적하거나 하역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화물선(100)에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선적한 화물선(100)이 공해상을 운항하고 있는 중에 화물 또는 바지선(20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가 발생한 화물이나 바지선(200)을 신속하게 공해상에 폐기해야 화물선(100)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데, 종래의 화물선의 경우에는 이러한 대응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크레인(150)을 이용하여 화재가 발생한 화물 또는 바지선(200)을 신속하게 공해상으로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 등 사고 발생시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선박들은 화물을 선박 내로 싣기 위해서는 부두로 선박이 접안한 후에 화물을 적재한다. 만약, 선박들이 부두로 접안하는 것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부두로부터 선박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실어 나르는 별도의 바지선(barge)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은 선체(110)의 일측이 열림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해상에서도 화물을 선적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2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지선(200)은 화물선(100)에 마련된 크레인(150)을 통해 화물선(100)의 적재 공간(S)으로 선적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지선(200)의 내부는 컨테이너와 같은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화물들이 적재될 수도 있고, 차량 등의 전문 적재 구조를 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200)은 박스 형태로 마련되는 바지선 본체(210) 및 바지선 본체(210)의 내측벽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측벽(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지선 본체(210)는 박스 형태 또는 육면체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지선 본체(210)의 상단부는 막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바지선 본체(210)의 상단이 막힌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작업자가 화물을 실을 때 바지선 본체(210)의 상단부를 이용하여 작업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지선 본체(210)는 이중 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바지선 본체(210)는 복수개의 측벽(220)에 의해 구분되고, 바지선 본체(210)와 측벽(220) 사이는 다시 복수개의 격벽(23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격벽(230)에 의해 구분된 바지선 본체(210)와 측벽(220) 사이의 구획 공간(R)은 바지선(200)의 평형을 유지하는 평형 탱크(ballast water tank)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선(200)의 내부 선적 공간의 일부에만 컨테이너 등 화물이 적재되면 화물의 무게로 인해 바지선(200)이 한쪽으로 기울어 질 수 있다. 이때, 화물이 적재되는 곳의 반대편에 있는 구획 공간(R)에 평형수를 주입함으로써 바지선(20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바지선 본체(210)와 측벽(220) 사이에 형성된 구획 공간(R)을 평형 탱크로 사용함으로써, 바지선(200)에 선적되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 바지선(200)의 무게 중심, 즉 화물의 무게에 의한 기울기와 깊이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격벽(230)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 공간(R)은 그 상단부는 막힌 상태, 즉 갑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람이 지나다닐 수 있는 복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갑판 형태로 형성된 구획 공간(R)의 상단부에는 후술할 조정반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바지선 본체(210)가 측벽(220)에 의해 이중벽으로 형성됨에 따라 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바지선(2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바지선(200)에 화물을 실을 때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바지선 본체(210)의 벽에 구멍이 발생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200)은 이중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멍이 발생하여도 바지선(200)으로 해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바지선(200)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지선 본체(11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 부재(212)가 마련될 수 있다. 고리 부재(212)에는 상술한 화물선(100)의 크레인(150)에 연결된 와이어(202)가 연결, 즉 묶여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지선(200)이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크레인(150)에 연결될 수 있고, 나아가 화물선(100)의 적재 공간(S)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지선 본체(110)의 외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바지선(200)이 화물선(100)의 적재 공간(S)에 선적되었을 때 본선 즉, 화물선(100)의 내부에 묶여 있어야 하는데, 이때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화물선(100)에 바지선(200)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 부재는 예컨대 앵커(anchor)와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지선 본체(210)의 일측에는 조정반(250)이 마련될 수 있고, 조정반(250)의 일측 즉, 조정반(250)의 상부에는 표시 부재(260)가 마련될 수 있다.
우선, 표시 부재(260)에는 바지선(200), 즉 바지선 본체(210)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의 종류 또는 행선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표시 부재(260)는 바지선(200)의 상태(예컨대 출발 목적항, 출반 준비 및 바지선의 고장 여부 등) 및 고유 표시가 표시됨으로써, 화물선(100)에서 원하는 화물이 선적된 바지선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표시 부재(260)는 바지선(200)의 내부에 선적되는 화물 등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표시 부재(260)의 상단부에는 발광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발광체는 야간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바지선(200)의 정박 위치 및 바지선의 정보를 화물선(100) 내의 선원들이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조정반(250)은 화물선(100)에서 바지선(200)을 조정할 수 있는 일종의 컨트롤러를 의미한다. 이러한 조정반(250)에는 모터(미도시), 배터리(미도시) 등의 상태가 표시될 수도 있고, 후술할 배수 부재(214) 등의 작동/오작동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조정반(250)은 바지선(200)의 구획 공간(R)이 빗물 또는 파도에 의해 가득 찰 경우에는 배수 부재(214)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 부재(214)는 바지선 본체(210)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지선 본체(210)에는 평형감지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평형감지 센서에 의해 바지선(200)의 평형을 감지하고, 바지선(200)이 기 설정된 기울기, 예컨대 5도 이상 기울어졌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배수 부재(214)를 이용하여 바지선 본체(210)의 구획 공간(R)의 평형수를 바지선 본체(210)로부터 배출시킨다. 여기서, 배수 부재(214)는 배수 펌프(미도시) 및 배수 밸브(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데, 배수 부재(214)는 상술한(250) 조정반(250)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지선(200)은 발전선(Electric Generation Ship)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바지선(200)의 내부에 별도의 발전기(미도시)를 설치하게 되면, 바지선(200)이 자체적으로 발전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바지선(200) 자체가 발전선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는 바지선(200)에 발전기가 구비되어 바지선(200) 자체가 발전선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바지선(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에 따라 다용도의 바지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 및 그 화물선(100)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200)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부두 또는 항구에 바지선(200)을 접안하고, 바지선(200)의 내부에 화물을 선적한다. 이때, 바지선(200) 별로 선적되는 화물은 종류, 목적지 별로 구분하여 선적될 수 있다. 화물이 선적된 바지선(200)은 화물선(100)이 정박할 수 있는 수심이 되는 해상까지 운항을 해온 뒤, 해당 해상 위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참고로, 바지선(200)에 화물을 선적하기 위하여 해상 위에 떠 있을 때 바지선(200)으로부터 닻(미도시)를 내려 해상에 바지선(200)이 안정적으로 떠 있을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화물선(100)은 바지선(200)의 표시 부재(260)를 통해 싣고자 하는 화물이 선적된 바지선(200)의 목적을 구분하고, 그 목적에 따라 바지선(200)을 선택한다.
그 다음, 화물선(100)의 크레인(150)과 바지선(200)의 고리 부재(250)를 연결한다.
그 다음, 화물선(100)의 선체 도어(120)를 열림 상태로 만들어 선체(110)의 적재 공간(S)을 연다.
그 다음, 크레인(150)을 이용하여 선체(110) 내부의 적재 공간(S)으로 바지선(200)을 통째로 도입 선적한다. 여기서, 바지선(200)이 선체(110) 내부의 적재 공간(S)으로 선적되고 나면 바지선(200)을 선체(110)에 대해 고정시킨다.
그 다음, 화물선(100)에 싣고자 하는 화물이 적재된 바지선(200)의 선적이 끝나면 선체 도어(120)를 닫힘 상태로 만들어 선체(110)의 적재 공간(S)을 닫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선(100) 및 그 화물선(100)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200)은 화물선으로의 화물 선적 과정에 있어서 화물선에 싣고자 하는 화물을 실은 바지선을 해상에서 통째로 화물선에 선적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선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화물 선적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선(100)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200)은 바지선 별로 다른 화물을 실을 수 있기 때문에 화물의 목적지별 환적을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200)은 바지선을 특정 바지선으로 개조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200)은 내륙의 강을 운항하면서 화물선을 선적하고 해상에서 화물선에 직접 선적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컨테이너 화물선이 운항할 수 없는 내륙의 강과 바다를 연계한 물류 체계를 구축할 수 있기 대문에 내륙 물류 체계의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화물선
110: 선체 112: 보강 프레임
114: 패킹 116: 연결 프레임
120: 선체 도어 122: 보조 패널
130: 도어 작동부재
140: 도어 고정부재
150: 크레인 151: 크레인 본체
152: 리프트 부재 153: 리프트 와이어
154: 구동 부재 155: 평형 부재
200: 바지선 210: 바지선 본체
220: 측벽 230: 격벽
214: 배수 부재 250: 조정반
260: 표시 부재

Claims (12)

  1.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해상에서 내부로 화물 또는 바지선을 실을 수 있는 적재 공간이 형성되는 선체; 및
    상기 선체의 개방된 적어도 일측을 열거나 닫아서 상기 적재 공간으로 화물 또는 바지선의 선적을 가능하게 하는 선체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 도어는 해상에서 수중까지 개방되며,
    상기 선체의 상단 양측에는 박스 형태의 구조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조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 및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선체의 휘어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선체 도어와 연결되어 상기 선체 도어를 작동시키는 도어 작동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도어의 길이방향 양 끝단부에는 보조 패널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 패널의 일측에 상기 도어 작동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는,
    상기 선체 도어에 의한 상기 적재 공간의 닫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도어 고정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도어와 맞닿는 상기 선체의 일측에는 보강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 프레임에는,
    상기 선체 도어에 의해 상기 적재 공간이 닫혔을 때 상기 적재 공간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화물의 운반이 가능한 크레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연결 프레임 상에 고정 지지되되 상기 연결 프레임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크레인 본체;
    텔레스코픽 다단 실린더 형태의 슬라이딩 구조로 마련되어 상기 크레인 본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화물이 연결되는 리프트 부재; 및
    상기 크레인 본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크레인에 화물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상기 크레인의 무게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크레인 평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화물선의 상기 적재 공간의 내부에 적재되는 바지선에 있어서,
    박스 형태로 마련되는 바지선 본체; 및
    상기 바지선 본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바지선을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평형 탱크로 사용되되,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의 상단부는 막힌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마련되어 상기 바지선 본체와 상기 측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바지선 본체 내부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선 본체의 일측에는 조정반이 마련되고,
    상기 조정반의 일측에는 상기 바지선의 내부에 적재된 화물의 종류 또는 행선지를 나타내는 표시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KR1020160167865A 2016-12-09 2016-12-09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KR10190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65A KR101904618B1 (ko) 2016-12-09 2016-12-09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865A KR101904618B1 (ko) 2016-12-09 2016-12-09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717A true KR20180066717A (ko) 2018-06-19
KR101904618B1 KR101904618B1 (ko) 2018-10-04

Family

ID=6279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65A KR101904618B1 (ko) 2016-12-09 2016-12-09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536A (zh) * 2018-10-31 2019-04-1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船舷用工艺门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156788A (zh) * 2021-10-26 2022-03-08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回转式退扭架的多用途海缆托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6536A (zh) * 2018-10-31 2019-04-1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船舷用工艺门框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156788A (zh) * 2021-10-26 2022-03-08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回转式退扭架的多用途海缆托架
CN114156788B (zh) * 2021-10-26 2024-02-20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回转式退扭架的多用途海缆托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618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5468A (en)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and transportation method
JP2003531074A (ja) 自立式コンテナ船
KR20140024469A (ko) 수직 가변형 해양 세일 시스템
US4007700A (en) Multiple seafloor storage and supply system
KR101904618B1 (ko) 화물선 및 그 화물선에 적재 가능한 바지선
CN101027213B (zh) 船舶
CN101804850A (zh) 船舶
US3939790A (en) Transport ship construction and method of loading floating cargo into a floatable cargo space of a ship
KR101757274B1 (ko) 로우어 카고 홀드 침수 방지용 수밀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00136766A (ko) 이동/자항형 해상 하역 부유 구조물
US9499239B2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CN105813937A (zh) 滚装渡船和多坡道码头
JP2024508188A (ja) コンテナ積載補助装置、これを備えたコンテナ運搬船及びコンテナ荷役方法
US4361105A (en) Barge-carrying vessel
TWI590981B (zh) 貨物裝載船及其操作方法
JP2012153334A (ja) 船舶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63247B1 (ko) 이동 항구
RU2762187C1 (ru) Буксируемый неавтономный подводный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US11999448B2 (en) Water-buoyant structure
KR200393946Y1 (ko) 선박의 전복방지장치
US20210347448A1 (en) A water-buoyant structure
EP0025793A1 (en) Plural-tiered, barge-carrying waterborne vessel and method relating thereto
JP6673691B2 (ja) 浮体のタンク構造、船舶、浮体設備、浮体におけるタンクの設置方法、及び、浮体におけるタンクのメンテナンス方法
Roh et al. General Arrangement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