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257A -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 Google Patents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257A
KR20180065257A KR1020160165838A KR20160165838A KR20180065257A KR 20180065257 A KR20180065257 A KR 20180065257A KR 1020160165838 A KR1020160165838 A KR 1020160165838A KR 20160165838 A KR20160165838 A KR 20160165838A KR 20180065257 A KR20180065257 A KR 2018006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rotection
fire
protection article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윤재
Original Assignee
서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윤재 filed Critical 서윤재
Priority to KR102016016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257A/en
Publication of KR2018006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02Handrails mounted on walls, e.g. on the wall side of stairs
    • E04F11/1808Handrail member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lluminate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ir hand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tair handle having a fire protection product therein for assisting efficient evacuation in case of a fire, and for securing maximum safety such as survival improvement. The stair handle for providing the fire protection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product storage units, both ends of which are closed, a hollow is formed therein, and are configured to store fire protection products; a plurality of LED lamp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surface of each fire protection product storage unit of the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product storage units; and an opening/closing unit formed to be openable/closable on one side of each fire protection product storage part.

Description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

본 발명은 계단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발생시 효율적인 대피를 돕고 생존 향상 등 최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화재방호용품을 구비하는 계단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d handle provided with a fire protection article therein so as to assure efficient evacuation when a fire occurs, and to ensure maximum safety such as survival improvement.

통상적으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 피해를 줄이고 개인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특히, 고층 건물의 경우에는 대피를 위하여 지상까지 도달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또한,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 예를 들어, 공연장, 체육관 등에서도 대피함에 있어 오랜 시간이 걸린다.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rapid evacuation must be made in order to reduce personal injury and protect the life of the individual. However, especially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it takes a lot of time to reach the ground for evacuation. In addition, it takes a long time to evacuate even in a place where a lot of people gather, for example, a performance hall, a gymnasium.

또한,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상에 의한 피해나 연기나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관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화재에 동반한 정전으로 출구를 파악할 수 없어 대피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대피를 완료할 때까지 효율적인 대처를 위한 방호용품을 소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addition, when a fire occurs, damage due to burns or suffocation-related damage due to smoke or noxious gas may occur, and escape due to power outage due to fire can not be grasp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protective equipment for effective coping until the evacuation is completed when a fire occurs.

개인들이 방호용품을 휴대하는 경우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대피하는 경로에 다수의 방호용품을 배치하는 것이 인명피해를 줄이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It may be possible for individuals to carry protective gear, but this is virtually impossible. Therefore, placing a large number of protective equipment on the path to escape when a fire occurs will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reducing casualties.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등록실용실안 제20-0341223호에서는 화재용품을 보관하는 수납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 선행문헌에서도 화재발생시 화재방호용품에 대한 접근성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면서도 화재용품 보관함이 화재발생시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고만 기재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508791호는 화재 등 재난발생시 필요한 비상용품을 구비하는 비상용품류 보관함을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서도, 마찬가지로, 비상용품류 보관함은 사람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과 동시에, 승객들의 시야에 항시 노출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기재하여 비상용품에 대한 접근성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such an object, a registration box 20-0341223 discloses a storage box for storing fire articles. This prior art document only shows that access to fire protection products is very important in case of fire, but it is stated that it is installed in a place that is easy to access when fire occurs. In addition, Patent Publication No. 10-0508791 discloses an emergency goods storage box having emergency supplies necessary for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this document, likewise, it is important that the emergency goods storage box is installed in a position where the human hand can be easily reached, and that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emergency goods storage room in a position always exposed to the view of the passengers. .

비상용품 전용 보관함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비상상황에 사람들이 필수적으로 몰리게 되고 대피 동선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사람들이 신속하게 지체없이 대피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소방안전용품을 접근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제공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people are inevitably involv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escape route is inferior when the emergency storage box is install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provides a practical countermeasure that allows people to quickly and easily escape without delay and at the same time access and use the fire safety goods.

등록실용실안 제20-0341223호 (등록일자: 2004.01.29)Registration No. 20-0341223 (Registration date: Jan. 29, 2004) 등록특허공보 제10-0508791호 (등록일자: 2005.08.09)Patent Registration No. 10-0508791 (registered on August, 20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건물에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들이 신속하게 지체없이 대피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소방안전용품에 접근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that enables people to quickly and easily evacuate without delay and to access and use fire safety suppl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performing the characteristic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는, 양 단부가 폐쇄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화재방호용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화재방호용품 저장부; 상기 복수의 화재방호용품 저장부 중 각 화재방호용품 저장부의 일측 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LED 램프; 및 상기 각 화재방호용품 저장부의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stepped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parts, both ends of which are closed, hollow inside, and configured to store fire protection articles; A plurality of LED lamp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each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s; And an opening / closing part formed on one surface of each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화재발생감지에 의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unlocked when receiving a fire occurrence signal due to fire det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가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larm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opened when the opening / closing unit does not receive the fire occurrence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LED 램프는 화재발생감지기의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되어 제1 색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LED lamps may be configured to be lit to emit a first color when receiv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f a fire occurrence detector.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LED 램프는, 상기 개폐부가 잠금해제되고 개방되어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화재방호용품이 제거되는 경우 LED 램프의 색이 상기 제1 색과 상이한 색인 제2 색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LED lamps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e protection item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unlock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is unlocked and opened, the color of the LED lamp changes to a second color that is an index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

바람직하게, 화재방호용품이 저장부로부터의 제거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protection article is removed from the storage s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화재방호용품은 손전등, 방독면, 마스크, 로프, 수건 및 장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e protection artic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flashlight, a respirator, a mask, a rope, a towel, and a glove.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에 따르면, 건물에서 화재 등의 재난 발생시, 사람들이 신속하게 지체없이 대피하는 동시에 용이하게 소방안전용품에 접근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allowing a user to quickly and easily evacuate without fail and to use the fire safety safeguard in cas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building.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의 전체도를 도시하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손잡이 내에 화재방호용품이 구비되었을 때와 계단 손잡이 내에서 화재방호용품이 제거되었을 때의 LED 램프의 색의 변화를 도시하고,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계단 손잡이의 상측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계단 손잡이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계단 손잡이의 일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계단 난간에 화재방호용품을 구비한 저장부가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FIG. 1 illustrates an overall view of a step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illustrate the color change of the LED lamp when the fire protection article is provided in the step handle and when the fire protection article is removed in the step handle,
FIG. 3A illustrates a top view of a step handle, illustrating a step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shows a stepped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front view of a stepped handle,
FIG. 3c illustrates a side view of a step handle, illustrating a step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C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storage unit hav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is detachably formed on a stair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 prese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o the extent that it does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ever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omething to do.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ta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also be interpreted.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element, step, operation, and / Or addition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의 전체도를 도시하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 손잡이 내에 화재방호용품이 구비되었을 때와 계단 손잡이 내에서 화재방호용품이 제거되었을 때의 LED 램프의 색의 변화를 도시하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계단 손잡이에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저장부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계단 난간에 화재방호용품을 구비한 저장부가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FIG. 1 shows an overall view of a step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show an example of a fire protection article when a fire protection article is provided in a step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through 3C illustrate a stepped handle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through FIG. As shown in Fig. FIGS. 4A to 4C illustrate a state in which a storage unit hav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is detachably formed on a stair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는, 양 단부가 폐쇄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화재방호용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화재방호용품 저장부; 상기 복수의 화재방호용품 저장부 중 각 화재방호용품 저장부의 일측 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LED 램프; 및 상기 각 화재방호용품 저장부의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 stepped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portions, both ends of which are closed, a hollow is formed therein, and configured to store a fire protection article; A plurality of LED lamp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each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s; And an opening / clos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는 복수의 저장부(20)를 포함한다. 저장부(20)는 손잡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마다 칸막이 등에 의해 각 저장부(20)의 양 단부가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계단 난간의 손잡이 부분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각 저장부(20)에 화재방호용품이 구비되었을 때 경사 아래로 미끄러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1, a step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20. The storage unit 2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so that a hollow is formed therein, and both ends of each storage unit 20 are closed by a partition or the like at regular intervals. This is because the handle portion of the step railing is typically formed in an inclined shape so that when the fire protection article is provided in each storage portion 20, it does not slip downward under the inclin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는 저장부(20)의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폐부(60)를 포함한다. 개폐부(60)는 저장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성되어 힌지 등 연결수단에 의해 저장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개폐부(60)에는 개폐부(60)를 당겨서 열 수 있는 그립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handle for providing a fire protection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part 60 that is openable and closable on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2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torage part 2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20 by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hing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 may include a grip part (not shown) which can be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

개폐부(60) 개방되는 부분, 즉, 예를 들어, 그립부 부분 내측에는 개폐부(60)의 개방을 저지하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잠금수단은 평상시에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화재발생감지기에 연결되어 화재발생감지기가 화재발생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평상시에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수단이다.A locking means for blocking the opening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6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opening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60, that is, for example, inside the grip portion. The lock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a lock condition at normal times and to be connected to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and to be unlocked when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ignal. This is a means provided to prevent theft in the normal course.

또한, 추가적으로, 개폐부의 잠금수단이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에 개폐부가 외부 압력 등에 의해 임의로 개방되는 경우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보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수단 역시 화재방호용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n alarm may further be provid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arbitrarily opened by an external pressure or the like when the locking means of the opening / closing part does not receive the fire occurrence signal. This means also to prevent theft of fire protection produc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에는, 화재방호용품 저장부(20) 중 각 저장부(20)의 일측 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LED 램프(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감지기와 신호를 주고받는 복수의 LED 램프(40)는 평상시에 OFF 상태이다가 화재발생감지기의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되어 제1 색을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화재 발생 직후 LED 램프(40)에 점등되는 제1 색은 저장부(20) 내에 화재방호용품이 비치되어 있음을 알린다. A plurality of LED lamps 40, which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each storage unit 20 of the fire protection product storage unit 20, respectively, are provided in the stepped handle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A, a plurality of LED lamps 40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are normally OFF, and when the fire occurrence signal of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is received, the LED lamp 40 is configured to emit a first color do. Typically, the first color that is lit on the LED lamp 40 immediately after the fire has signaled that a fire protection article is present in the storage 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복수의 LED 램프(40)는, 개폐부(60)가 화재 발생 등에 의해 잠금해제되고 개방된 뒤 저장부(20) 내에 구비되는 화재방호용품이 제거되는 경우에, 제1 색과 상이한 제2 색으로 변화한다. 제2 색은, 통상적으로, 저장부(20) 내에 화재방호용품이 없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제1 색 및 제2 색은 서로 다른 임의의 색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제1 색이 녹색이면, 제2 색은 빨강색이 되고, 제1 색이 녹색이면, 제2 색은 빨강색이 될 것이다. 또한, 제1 색이 LED 램프 ON 상태인 흰색일 수 있고, 제2 색은 LED 램프 OFF 상태로 꺼질 수도 있다. 저장부(20)로부터의 화재방호용품의 제거 여부는 구비되는 압력센서에 의해 탐지될 수 있다. 2, the plurality of LED lamps 40 are arranged such that when the fire protection article provided in the storage part 20 is removed 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60 is unlocked and opened by a fire or the like , And changes to a second color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The second color is typically a signal indicating that there is no fire protection article in the storage 20.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may be any arbitrary colors. For example, if the first color is green, the second color is red, and if the first color is green, the second color will be red. Also, the first color may be white with the LED lamp ON, and the second color may be turned OFF with the LED lamp OFF. The removal of the fire protection article from the storage unit 20 can be detected by a provided pressure sensor.

저장부(20) 내에 구비되는 화재방호용품은 알려진 일절의 용품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손전등, 방독면, 마스크, 로프, 수건, 장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e protection products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20 include all known products and may preferably include a flashlight, a gas mask, a mask, a rope, a towel, a glove, and the like.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계단 손잡이와 저장부는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에는 저장부(20)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존 계단 난간에도 쉽게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step handle and the storage unit are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2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tep handle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s. Therefore, it can be easily installed on existing stair rails.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0)의 일측에는 일측이 뚫린 고리 모양의 연결구(122)가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122)는 계단 난간의 지지봉(72)에 각각 끼워져서 장착수단(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a plurality of annular connecting holes 122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20. The connection ports 122 may be respectively fitted to the support rods 72 of the step rails and fixed by the mounting means 124.

도 3c에는 지지봉(72)에 장착된 저장부(2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각 연결구(122)는 저장부(20) 내의 그루브 안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지지봉(72)의 배치간격에도 불구하고 임의로 조절되어 지지봉(7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0)가 지지봉에 장착되는 측에는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그루브 내를 연결구(122)가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3C shows a view of the storage unit 20 mounted on the support bar 72. As shown in FIG. Each of the connection ports 122 may be slidably formed in the groove in the storage unit 20 and may be arbitrarily adjusted to the support rod 72 regardless of the arrangement distance of the support rods 72. As shown in FIG. 3B, a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where the storage part 20 is mounted on the support rod, and a connection hole 122 is formed in the groove so as to be movable.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가능한 저장부(20)는 계단 난간의 지지봉(72)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홀에 장착수단(124)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저장부가 설치되는 것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수의 저장부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각 저장부가 각각 분리되어 복수 개 설치되는 것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저장부가 일체로 형성된 저장부가 장착가능하다는 것 역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4A-4C, the removable storage 20 can be mounted by mounting means 124 in a hole previously formed in the support bar 72 of the stepped railing. Although only one or two storage units are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a larger number of storage units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although only a plurality of respective storage sections are separately shown in the figure, it will also be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 storage section integrally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sections can be moun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20: 화재용품저장부 40: LED 램프
60: 개폐부 72: 지지봉
122: 연결구 124: 장착수단
20: Fire ware storage part 40: LED lamp
60: opening / closing part 72:
122: Connector 124: Mounting means

Claims (7)

양 단부가 폐쇄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화재방호용품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화재방호용품 저장부;
상기 복수의 화재방호용품 저장부 중 각 화재방호용품 저장부의 일측 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LED 램프; 및
상기 각 화재방호용품 저장부의 일면에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A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s configured to close both ends and to form a hollow therein and to store fire protection articles;
A plurality of LED lamp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each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 among the plurality of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s; And
And an opening and clos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each fire protection article storage unit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화재발생감지에 의한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The stair han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art maintains a locked state and is unlocked when receiving a fire occurrence signal by detecting a fire occurre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가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개폐부가 개방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The step handle as claimed in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alarm configured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opened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does not receive a fire occurrence signa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램프는 화재발생감지기의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점등되어 제1 색을 발광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The step handle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LED lamps are configured to emit a first color when illuminated when receiving a fire occurrence signal of a fire occurrence detec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램프는, 상기 개폐부가 잠금해제되고 개방되어 저장부 내에 저장되는 화재방호용품이 제거되는 경우 LED 램프의 색이 상기 제1 색과 상이한 색인 제2 색으로 변화하는 것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The LED lam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when the fire protection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moved, the LED lamp is changed from a first color to a second color different from the first color, Stair handles to provide fire protection supplies.
청구항 5에 있어서, 화재방호용품이 저장부로부터의 제거 여부를 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The stair hand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protection article is removed from the storage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재방호용품은 손전등, 방독면, 마스크, 로프, 수건 및 장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계단 손잡이.

The stair han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e protection articl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torch, a respirator, a mask, a rope, a towel and a glove.

KR1020160165838A 2016-12-07 2016-12-07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KR201800652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38A KR20180065257A (en) 2016-12-07 2016-12-07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38A KR20180065257A (en) 2016-12-07 2016-12-07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57A true KR20180065257A (en) 2018-06-18

Family

ID=6276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38A KR20180065257A (en) 2016-12-07 2016-12-07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25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292B1 (en) * 2019-07-01 2020-01-22 주식회사 건일방재 Induction rail for fire and emergency evacu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23Y1 (en) 2003-11-21 2004-02-11 서현선 Safekeeping Case For Fire Related Article
KR100508791B1 (en) 2004-01-14 2005-08-22 지앤에프테크비젼 (주) Custody box for mask
KR100766881B1 (en) * 2006-07-07 2007-10-12 안기정 A fire fighting equipments for veranda handra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223Y1 (en) 2003-11-21 2004-02-11 서현선 Safekeeping Case For Fire Related Article
KR100508791B1 (en) 2004-01-14 2005-08-22 지앤에프테크비젼 (주) Custody box for mask
KR100766881B1 (en) * 2006-07-07 2007-10-12 안기정 A fire fighting equipments for veranda handra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292B1 (en) * 2019-07-01 2020-01-22 주식회사 건일방재 Induction rail for fire and emergency evac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792B2 (en) Firefighter rapid emergency extraction device
CN210131264U (en) High-rise escape device
KR100787812B1 (en) System of emergency escape for multistory building
KR20180065257A (en) Stair handrail for providing fire protection product
KR101545524B1 (en) Escaping Apparatus
CN2929138Y (en) Intelligent escape box
KR102025382B1 (en) Active evacuation guidance system
CN107715359A (en) A kind of home-use Fire Hose for integrating monitoring, alarming, sue and labour, escaping
KR200408284Y1 (en) Apparatus for lighting emergency lamp of show case
KR101128368B1 (en) A building escape window of marking in emergency admission part
KR20110002173U (en) Storage box for a state of emergency
CN105288875B (en) A kind of life-saving cabinet for high-rise fireproof emergency system
CN211724422U (en) Rescue extinguishing device for enterprise fire control management
CN202143758U (en) Fire-fighting safe escape bag
CN105816968A (en) Spiral lifesaving slide
NO322238B1 (en) Lighting device for placement in a number of, preferably all, rooms in a building for locating persons, animals and values in case of fire or other emergency situation in the building
CN205743684U (en) A kind of quick safety ladder
JP6463923B2 (en) Evacuation equipment
KR20170001631U (en) Slide type emergency escaping apparatus and ship having the same
NO162588B (en) COMBINED ALARM, MONITORING AND LIFE SYSTEM.
KR100408878B1 (en) Apparatus for escaping through a veranda in a emergency
JP3102347U (en) Evacuation shelter
CN213491733U (en) Smoke-sensing alarm type self-rescue fire-fighting box
KR20020070028A (en) A device of emergency esscape for a building
Chow et al. hotel fires in Hong Ko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