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309A -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309A
KR20180064309A KR1020170165627A KR20170165627A KR20180064309A KR 20180064309 A KR20180064309 A KR 20180064309A KR 1020170165627 A KR1020170165627 A KR 1020170165627A KR 20170165627 A KR20170165627 A KR 20170165627A KR 20180064309 A KR20180064309 A KR 2018006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information item
central unit
amount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426B1 (ko
Inventor
베리 솔
랄프 외스트라이혀
헬레나 젤레
Original Assignee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6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1Request for offers or quo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4/00Circuit arrangements for mains or distribution networks not specified as ac or d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0Energy trading, including energy flowing from end-user application to gr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 에너지 소비체를 포함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 에너지 소비체는 정보 항목을 교환하기 위해서 연결되며, 제1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제1 가격 정보 항목 및 제1 에너지량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 항목을 생성하고, 제2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정보 항목을 에너지 소비체에 전송하고, 제3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체는 정보 항목을 고려하여 요구 정보 항목을 확정하며, 그러한 요구 정보 항목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요청된 에너지량을 포함하고, 제4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체는 요구 정보 항목 및 제2 가격 정보 항목을 중앙 유닛에 전송하고, 제5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임의의 하나의 시간에 전송된 요구 정보 항목으로부터 확정된 전체 요청 에너지량이 이러한 시간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제6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인지(acknowledgment) 정보 항목을 에너지 소비체에 전송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ISTRIBUTING ENERGY IN A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부터 진행되며, 그러한 시스템은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를 포함하고,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 에너지 소비체는 정보 항목을 교환하기 위해서 서로 연결된다.
에너지 분배를 위한 그러한 방법 및 그러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HEMS)은 종래 기술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고 에너지의 흐름 및 분배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흐름 및 분배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한다. 시간 경과에 따라 가변적인 에너지의 양을 제공하는 재생 가능 에너지가 에너지-정책적 이유로 장려되고 있다. 그렇게 생성된 에너지의 양은 전력망으로 공급되고, 그 결과로서 가용 에너지는 시간에 따라 가격이 변동된다. 또한, 전기 차량은 환경-정책적 이유로 많은 국가의 정부에 의해서 권장되고 있다. 그에 따라, 상이한 에너지량들이 시간에 걸쳐 상이한 가격으로 제공되고 소비체가 부분적으로 시간에 걸쳐 에너지의 양을 상당히 변화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전기 차량 충전은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한편 헤어 드라이어는 단지 짧은 기간에 걸친 적은 양의 에너지만을 요구하는 반면, 건물 공조 시스템은 다시 약간 변동되는 에너지량을 계속적으로 필요로 한다. 또한, 소비체는 부분적으로 그들 자신의 에너지 공급원, 예를 들어 광발전 시설을 가지며, 그러한 에너지 공급원은 시간에 걸쳐 가변적인 양의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특정 기준에 따라 가용 에너지량을 에너지 소비체들 사이에서 분할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기준은, 특히, 엄격한 우선순위화(rigid prioritization)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건물 공조 시스템은 항상 전기 차량 충전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가용 에너지량을 모든 에너지 소비체들 사이에서 균일하게 분할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선착순" 원리에 따라 가용 에너지량을 분배하는 것, 즉 처음으로 요청하는 에너지 소비체에 필요한 모든 에너지가 제공되고 나머지 가용 에너지량은 요청 순서에 따라 나머지 에너지 소비체들 사이에서 분할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많은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특정 시간에 이동성을 요구하고 그에 따라 그러한 소비자의 전기 차량의 충전이 특정 시간에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나, 다른 시간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또는 온화한 온도의 경우에, 건물 공조 시스템이 또한 감소된 에너지 요구로 동작될 수 있으나, 이는 훨씬 더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각각에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또한 구현될 수 있는 중앙 유닛 또는 중앙 지능체는, 에너지 소비체가 가용 에너지량의 분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에너지 소비체가 특정 시간에 특정 에너지량을 요청하는 이유에 관한 또는 소비체가 이러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에 관한 지식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량의 분배 만을 결정한다.
그러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교환을 표준화하기 위해서, 국제 표준 및 프로토콜, 예를 들어 SEP 2.0 EEBus 또는 ISO 15118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 또는 프로토콜은 제한된 사용 지역을 가지며 전술한 기준에 따라, 즉 연결된 에너지 소비체의 상태에 관한 정보 항목이 중앙 유닛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분배 로직으로 중앙 제어기에 의해서 에너지 분배를 조절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에너지 소비체들 스스로 그들이 언제 그리고 어떻게 에너지를 소비할지를 결정하도록, 말하자면 에너지 가격의 "가상 조작(virtual manipulation)"을 통해서, HEMS 우선순위화 로직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이는, 자정에 연결되어 있고 완전 충전에 4시간이 소요되는 2대의 전기 차량(A 및 B)의 예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전기 차량(A)은 오전 6시가 출발 시간이고 전기 차량(B)은 오전 8시가 출발 시간이다. HEMS는 각각의 전기 차량의 충전에 필요한 시간(즉,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지) 또는 그들 각각의 출발 시간이 언제인지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가질 수 없다. 전형적인 HEMS는 우선순위에 의해서 어떤 차량이 먼저 충전되어야 할지를 맹목적으로 결정할 것이고, 예를 들어, 처음 조회한 전기 차량에 먼저 충전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전기 차량(B)이 (심지어 단지 천분의 1초라도) 먼저 도달하고, 결과적으로, HEMS는 전기 차량(A) 보다 전기 차량(B)이 먼저 충전되게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전기 차량(A)이 시간 부족으로 인해서 완전히 충전되지 못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는, 전기 차량(B)이 오전 4시에 그 충전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에, 전기 차량(A)을 위해서는 2시간의 충전 시간만이 남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그 대신에, HEMS가 자정과 오전 6시 사이의 에너지 가격을 가상적으로 높인다면, 전기 차량(A)은 더 높은 가격을 수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기 차량(A)은 자정부터 오전 4시 사이에 충전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비용 효율 증가를 목적으로 오전 6시 이후의 낮은 관세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득을 얻기 위해서, 전기 차량(B)은 단지 오전 4시에 충전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분산된 로직 및 가상적으로 조작된 에너지 가격에 의해서 시스템이 우선순위화될 수 있다. HEMS가 그와 같이 에너지 가격만을 조작하고 각각의 전기 차량은 HEMS로부터의 추가적인 지원이 없이 - 이러한 의미에서 - 그 소비 거동을 가상 에너지 가격에 적응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로직은 분산된 것으로 지칭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각각의 관련된 장치 - 이러한 것이 HEMS, 에너지 소비체 또는 에너지 생산체이든지 간에 - 가 언제든지 상징적인(figurative) "재협상"을 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제2 전기 차량이 도착하고 충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인해서, HEMS가 재협상을 개시할 수 있다. 그 사용자가 출발 시간을 수정하는 것으로 인해서, 전기 차량 자체는, 다시, 재협상을 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재협상 또는 재-계획 중에, 소비체는 선택적으로 기존 계획에 따라 에너지를 계속 수용하거나 소비를 중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의 잠재적인 문제는, 특히, HEMS가 자원 충돌을 식별하고 그러한 재협상을 중앙적으로 도입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모든 소비체는 재협상의 범위 내에서 상응하는 방식으로 그들의 소비 계획을 적응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자원 충돌이 제거되지 않고 단지 추후의 시간으로 이동되도록, 동일한 시간 차이 만큼 그들의 계획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소비체 자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들의 소비 계획을 포기하고 그들의 소비 계획의 포기 부분을 재협상하기 위해서 준비될 수 있는 가격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되고, 그러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중앙 유닛,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원,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를 포함하고,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 에너지 소비체는 정보 항목을 교환하기 위해서 서로 연결되며, 제1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격 정보 항목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에너지량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 항목을 생성하고, 제2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그러한 정보 항목을 에너지 소비체에 전송하고, 제3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체는 정보 항목을 고려하여 요구 정보 항목을 확정하며, 그러한 요구 정보 항목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적어도 하나의 요청된 에너지량을 포함하고, 제4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체는 요구 정보 항목 및 제2 가격 정보 항목을 중앙 유닛에 전송하고, 제5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일치되는지의 여부 및 임의의 하나의 시간에 전송된 요구 정보 항목으로부터 확정된 전체 요청 에너지량이 이러한 시간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제6 단계에서, 중앙 유닛은,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일치되고 전체 요청된 에너지량이 모든 시간에 가용 에너지량 보다 작거나 그와 같은 경우에, 인지(acknowledgment) 정보 항목을 에너지 소비체에 전송하고, 인지 정보 항목은 에너지 소비체가 이용 가능한 요구 정보 항목에 따른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포함하고, 또는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불일치되거나 전체 요청된 에너지량이 임의의 한 시간에 가용 에너지의 양 보다 큰 경우에, 그러한 방법이 다시 실행되며, 중앙 유닛은, 정보 항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가격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제1 단계에서 정보 항목을 생성하며, 제3 가격 정보 항목은 제1 가격 정보 항목과 상이하고, 특히 그보다 크거나 작다.
본원의 의미 내에서, 에너지는 예를 들어 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에너지 소비체는 바람직하게 가전 제품, 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식기 세척기, 및/또는 헤어드라이어이다. 대안적으로 에너지 소비체는 열 펌프, 조명 수단 및/또는 전기 차량이다.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바람직하게 가상적이고, 즉 특히, 이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내에만 존재하고 에너지를 분배하는 역할만을 하며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내에서 실체 청구서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외부에서, 예를 들어 다세대 주거 또는 그 중국의 균등물, 소위 복합체(compound)에서,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물론 청구를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가격 정보 항목은 바람직하게, 기간 및/또는 에너지량과 관련되는 에너지에 대한 가격이다. 특히, 그러한 정보 항목은 복수의 가격 정보 항목 및/또는 복수의 에너지량 정보 항목을 포함한다. 예로서, 특정 시간에, 제1 가격 정보 항목은 제1 에너지량에 할당될 수 있고,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제2 에너지량에 할당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에 따라서, 제1 가격 정보 항목은 제1 시간 간격에 할당되고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제2 시간 간격에 할당된다. 에너지량 및 시간 간격과 관련된 가격 정보 항목의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 여기에서, 가격 정보 항목은 특히 가격이다. 바람직하게, 방법은 복수의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복수의 에너지 공급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중앙 유닛은 제2 가격 정보 항목을 설정하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복수의 선택사항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중앙 유닛의 경험적 값의 도움으로 확정된다. 달리 설명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학습할 수 있도록 중앙 유닛이 제공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가격 조작에 의해서 분산된 우선순위화의 기본적인 개념을 위해서 HEMS의 학습 능력이 의무적인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반복의 수를 유리하게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중앙 유닛은, 특히 특정 기간에 걸쳐, 전송된 요구 정보 항목 및/또는 공급 정보 항목을 저장한다. 그에 따라, 특정 시간에 및/또는 특정 에너지 소비체를 위해서, 최종 제2 가격 정보 항목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위치되는 제2 가격 정보 항목을 확정하기 위해서, 즉 수요가 공급을 더 이상 초과하지 않는 제2 가격을 확정하기 위해서, 중앙 유닛은 유리하게 저장된 데이터에 의존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특히 제1 가격 정보 항목 및/또는 제2 가격 정보 항목에 의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중앙 유닛은, 고정된 값, 특히 단계적으로 또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되는 값을 이전의 제1 가격 정보 항목 또는 제2 가격 정보 항목에 부가하는 것으로 인해서 제2 가격 정보 항목을 확정한다. 여기에서, 그러한 개념이 단지 2개의 가격으로 결코 제한되지 않고, 그 대신에 복수의 가격으로 동작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로서, 오후 1시의 에너지 가격이 5 kW까지의 소비의 경우에 €0.10/kWh일 수 있고, 5 내지 10 kW의 소비의 경우에 €0.15/kWh일 수 있으며, 10 내지 20 kW의 소비의 경우에 €0.20/kWh일 수 있고,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끌어 당겨 쓴 전력(drawn power) 대신에, 가격이 또한 끌어 당겨 쓴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오후 1시부터 오후 1시 15분 사이에 €0.10/kWh일 수 있고, 오후 1시 15분부터 오후 1시 30분 사이에 €0.15/kWh일 수 있으며,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1시 45분 사이에 €0.20/kWh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전력 및 시간 기준의 임의 조합에 대한 가격 의존성이 고려될 수 있다.
특정 시간에 에너지 수요가 해당 시간의 에너지 공급을 초과하는 경우에, 단순한, 특히 경매-기반의 가격책정 메커니즘이 부과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종래 기술보다 유리하며, 그러한 가격책정 메커니즘은 각각의 에너지 소비체가 그들 스스로 미리 결정된 매개변수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독립적으로 에너지 소비를 적응시킬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중앙 유닛과 에너지 소비체 사이에서 가격 및 에너지량 이외의 부가적인 정보 항목,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체의 유형이나 우선순위를 교환하는 것이 의무적이지 않고, 그에 따라 유리하게 단순한 방식으로 구현된 정보 항목의 교환을 가지는 단순한 설계를 가지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다. 그에 따라, 방법은 유리하게 에너지 소비체가 그들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게 하고, 결과적으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내에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 및 발전이 종속항 그리고 도면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다른 것이 명시적으로 기술되었거나 논리적인 관점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개별적인 단계의 순서는, 그들의 명명법과 관계없이, 임의적인 것이다. 특히, 예를 들어, 제9 단계는 제1 단계 이전에, 또는 동시에 발생될 수 있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계는 제 시간, 특히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단계 이전에 제공되고, 제2 단계는 제3 단계 이전에 제공되며, 제3 단계는 제4 단계 이전에 제공되고, 제4 단계는 제5 단계 이전에 제공되고, 및/또는 제5 단계는 제6 단계 이전에 제공된다. 특히,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임의의 구성요소, 즉 중앙 유닛, 임의의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임의의 에너지 공급원에 의해서 임의의 시간에 개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7 단계에서,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제공될 수 있는 최대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공급 정보 항목을 에너지 공급원이 생성하도록 제공되고, 제8 단계에서, 에너지 공급원은 공급 정보 항목을 중앙 유닛에 전송하고, 그리고 중앙 유닛은 바람직하게, 제1 단계에서 정보 항목을 생성할 때 및/또는 제5 단계에서 체크를 실행할 때, 공급 정보 항목을 고려하고, 제7 단계 및/또는 제8 단계는, 특히, 제1 단계 이전에 실행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이는 또한 유리하게 에너지 분배 방법에 (지역적) 에너지 공급원을 포함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에너지 공급원이 에너지 수요에 따라 에너지 생산을 적응시킬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 에너지 공급원은, 특히 태양광 인버터를 포함하는 광발전 설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 공급원은, 적어도 때때로, 에너지 소비체이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원은 필요할 때 에너지를 제공하나 매우 적은 수요의 경우 및/또는 매우 큰 에너지 공급의 경우에 에너지를 저장하는 즉, 에너지 소비체로서 작용하는 배터리일 수 있다. 다른 예는 소위, 외부 에너지 공급 시스템, 예를 들어 전류 공급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구축하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이고, 그러한 외부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공급 및 수요에 따라 에너지 공급원 또는 에너지 소비체가 되고, 스마트 미터는 중앙 유닛으로서 작용한다. 예로서, 외부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거나 에너지, 예를 들어 광발전 설비에 의해서 생산되나 필요로 하지는 않는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탄력적이고 동적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단계 이전의 부분적인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체가 정보 요청을 중앙 유닛에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7 단계 이전의 부분적인 단계에서, 중앙 유닛이 공급 정보 항목에 대한 요청을 에너지 공급원에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이는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개시가 임의의 시스템 구성요소 즉,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체에 의해서 가능해질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체는 그 상황의 변화에 반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계획된 출발 시간이 변경된 경우에, 전기 차량은 새로운 분배를 유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에너지 공급원은 중앙 유닛에 의해서 전송된 정보 항목을 기초로, 특히 전송된 가격 정보 항목을 기초로 그들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적응시킨다. 특히 바람직하게, 에너지 소비체가 그 에너지 소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도록, 특히 그 자체를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시키도록 제공된다. 상응하는 내용이 에너지 공급원에 적용되고, 에너지 공급원은 바람직하게 가격에 따라서 그 동작을 적응시키고, 특히 에너지 공급원 자체를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시키거나 에너지 생산을 조절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유리하게,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에너지 공급원은 그들이 접근할 수 있는 정보 항목만을 기초로 하여 그들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적응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화 및/또는 매개변수에 따라 실행된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에너지 소비체가 최소 동작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충분하게 에너지량을 취하거나 필요로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에너지 소비체는, 에너지를 끌어 당겨 써야 하는, 특정의 최대 및/또는 최소 가격을 가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결코 이러한 것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의무적인 전제 조건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만약 2개의 장치가 최대 또는 최소 가격을 가지지 않고 가상 가격과 무관하게 항상 에너지를 끌어 쓰려한다면, HEMS는 최종적으로 통상적인 우선순위화의 형태에 의존하여야 할 것이고, 어떠한 장치에 먼저 공급하여야 하는지를 자체적으로 결정하여야 할 것이고, 또는 독립적인 매개변수를 도입할 것이다.) 상응하는 설명이 에너지 공급원에 적용된다. 예로서, 소비자는, 전기 차량이 그 충전 상태에 따라서 상이한 에너지 섭취 거동을 갖는다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미리 결정된 충전 상태 초과의 전기 차량은, 가격이 특정 문턱값 미만으로 떨어진 경우에만 에너지를 수용하게 할 수 있고, 및/또는 전기 차량은 최소 기능 보장을 위해서 다른 미리 결정된 충전 상태에서 모든 가격에서 에너지를 취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정보 항목, 요구 정보 항목, 및/또는 공급 정보 항목이 적어도 하나의 가격 정보 항목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량 정보 항목만을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그러한 정보 항목, 요구 정보 항목, 및/또는 공급 정보 항목은 복수의 가격 정보 항목 및/또는 복수의 에너지량 정보 항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분배 방법을 복잡한 에너지 가격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단계 및/또는 제3 단계 이전에 제9 단계에서, 요구 정보 항목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요청하고자 하는 에너지량을 에너지 소비체가 확정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유리하게, 에너지 소비체가 중앙 유닛에 요청을 보내기 전에, 에너지 소비체는 현재 요구되는 및/또는 특정 기간에 걸쳐 요구되는 에너지량을 초기에 확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중앙 유닛과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에너지 공급원 사이의 통신, 즉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인터넷-프로토콜-기반의 방법 및/또는 버스 시스템, 특히 CAN 버스를 통해서 실행되도록 제공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 통신은 공공 및/또는 개인 네트워크를 통해서 및/또는 인터넷을 통해서 실행된다. 특히, 통신은 ISO 15118 표준에 따라 실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이 중앙 유닛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없는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에너지 공급원을 또한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매우 바람직하게, 중앙 유닛이, 에너지 소비체가 요구하는 에너지량 및/또는 에너지 공급원으로부터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측정하고, 특히, 요구 정보 항목 및 공급 정보 항목을 각각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또한, 비교적 오래된 에너지 소비체 또는 에너지 공급원을 시스템 내로 통합할 수 있고 이러한 것을 에너지 분배 방법의 범위 내에서 고려할 수 있다.
당업자는, 그러한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그러한 에너지 공급원이 방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없음에 따라, 중앙 유닛이 미리 결정된 기준을 기초로 그러한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그러한 에너지 공급원에 대해서 에너지량을 분배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중앙 유닛은, 도입부에서 언급되었고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상은, 중앙 유닛,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원,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를 포함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며,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 에너지 소비체는 정보 항목의 교환을 위해서 서로 연결되며,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중앙 유닛이 에너지 소비체에 관한 이용 가능한 더 많은 심도 깊은 정보 항목을 가질 필요가 없는 콤팩트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중앙 유닛은 유리하게 단순한 설계를 가지며 특히 복수의 에너지 소비체와 양립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단순하고 콤팩트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복수의 가정용 에너지 자동화 시스템이 연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에너지 소비체는, 특히, 추가적인 가정용 에너지 자동화 시스템의 추가적인 중앙 유닛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를 포함하는 장치를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장치는, 특히 전기차를 위한, 가정용 충전 장치이다. 이러한 것의 결과로서, 특히 콤팩트한 설계의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상은 기계-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프로그램 코드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특히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특히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대상은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 매체 상에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특히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특히 중앙 유닛, 에너지 공급원,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한다.
가능한 유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러한 대상에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고, 그 반대로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상세 내용, 특징 및 장점이 도면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을 기초로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여기에서, 도면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제한하지 않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단지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항목의 도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요구 정보 항목의 도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을 도시한다.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20)에 연결된 중앙 유닛(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연결은 인터넷-프로토콜-기반의 방법 또는 버스 시스템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예를 들어 이러한 경우에 인트라넷을 통해서 실행된다. 그러한 통신은 본 예시에 따라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에너지 소비체(20)는 예를 들어 전기 차량이다. 여기에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은 추가적인 에너지 소비체(20', 20", 20'", 및 20"")를 포함한다. 예로서, 이러한 것들은 열 펌프(20'), 냉장고(20"), 세탁기(20'"), 및 식기 세척기(20"")일 수 있다.
에너지 소비체(20 내지 20"")는 다시 외부 서비스 또는 시스템(60 내지 60"")에 연결되고, 세탁기(20'") 및 식기 세척기(20"")는 외부 시스템(60"")에, 이러한 경우에 가정 자동화 시스템(HAS)에 함께 연결된다. 이러한 시스템이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 자체의 일부가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상응하는 연결을 쇄선으로 구현하였다. 예로서, 전기 차량(20)은 온-보드 시스템을 통해서 인터넷(60')에 연결되고, 열 펌프(20')는 기후 서비스(60")에 연결되며, 냉장고는 추가적인 HAS(60'")에 연결된다.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전류 형태의 에너지를 시스템 내로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공급원(30), 이 경우에 태양광 인버터를 가지는 광발전 설비를 더 포함한다.
또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상황에 따라, 에너지 공급원(30)으로서의 역할 또는 에너지 소비체(20)로서의 역할을 하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의미 내에서, 그러한 유닛은 조합된 에너지 소비체 및 에너지 공급원(23)이다. 여기에서, 이는, 에너지 공급 상태에 따라, 시스템 내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23')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미터(23)가 본 경우에 제공되고, 그러한 스마트 미터는 외부 에너지 공급 시스템(60'""), 예를 들어 도시 전력망에 연결된다. 스마트 미터(23)는 광발전 설비로부터의 에너지를 외부 에너지 공급 시스템(60'"") 내로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외부 시스템(60'"")으로부터의 에너지를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에 공급한다.
중앙 유닛(10) 자체가 마찬가지로 외부 시스템 또는 서비스(6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가용 에너지량에 관한 정보 항목 및 연관된 가격 정보 항목이 그러한 외부 시스템(60)으로부터 중앙 유닛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원 또는 에너지 소비체(50)가 이러한 경우에 중앙 유닛(10)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들은, 이중 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IP-기반의 통신을 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에너지 소비체 및/또는 에너지 공급원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 내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내로 포함시키기 위해서, 중앙 유닛은 그 에너지 섭취 및/또는 방출을 측정하고 확정된 측정 값에 따라 진행하며, 그러한 중앙 유닛은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기준을 기초로 하여 에너지량을 이러한 시스템(50)에 할당한다. 대안적으로,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원 또는 에너지 소비체(50)가 에너지 소비체(20) 또는 에너지 공급원(30)에 연결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중앙 유닛은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원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그들과 통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정보 항목의 도표를 도시한다. 편의상, 여기에서 그러한 정보 항목을 시간에 걸친 가용 에너지량(kW)의 그래프로 표시하였고, 상이한 가격들은 상이한 영역들로 나타냈다. 본원에서 구체화된 kWh 당 센트의 가격은 순전히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많은 에너지를 높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고 매우 적은 에너지를 낮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중심에 있다는 것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외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양의 에너지가 중간 가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러한 그래프는, 특히, 특정 에너지 공급원(30)과 관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위 내에서, 중앙 유닛(10)은 전체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에 대한 정보 항목을 확정하고, 이러한 정보 항목은, 본 도시와 유사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시간에 걸쳐 특정 가격으로 이용 가능한 모든 에너지를 특정한다.
결과적으로, 정보 항목은 시간과 관련된 특정 가격으로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특정 에너지량의 공급원, 에너지량과 연결된 CO2 발생, 또는 에너지량 내의 재생 가능 에너지의 비율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 항목이 마찬가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당업자는 그래프에 걸친 적분이 전체 가용 에너지량을 특정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요구 정보 항목의 도표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kW 단위의 요구된 에너지량이 시간에 걸쳐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 연관된 에너지 소비체(20)는 이러한 경우에 시작 시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에너지량을 필요로 하고, 그러한 에너지량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된다. 도시된 기간의 종점을 향해서, 에너지 소비체(20)는 더 이상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에서, 방법은 에너지 공급원(30'), 예를 들어 공공 전력망으로 시작되고, 제8 단계(800)에서 특정 기간 동안 특정 가격의 가용 에너지량을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의 중앙 유닛(10)에 전송한다.
제8 단계(800) 이전에, 이후에, 또는 병렬로 실시될 수 있는 제9 단계(900)에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의 에너지 소비체(20)는, 특히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그러한 에너지 소비체가 요구하는 전력을 결정한다. 이어서, 에너지 소비체는, 가격 및 미리 결정된 기간과 관련된 가용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 항목에 대한 요청(101)을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의 중앙 유닛(10)에 보낸다.
그 이후에, 정보 항목과 유사하게,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이용 가능한 가격-인코딩된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공급 정보 항목을 획득하기 위해서, 중앙 유닛(10)은, 제7 단계(700)에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 내에 위치된 에너지 공급원(30)에 요청(701)을 보낸다. 에너지 공급원(30)은 제7 단계(700)에서 이러한 공급 정보 항목을 확정하고 그러한 공급 정보 항목을 중앙 유닛(10)에 전송한다.
제1 단계(100)에서, 중앙 유닛(10)은 이제 미리 결정된 기간 내에 이용 가능한 가격-인코딩된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정보 항목을 확정한다.
제2 단계(200)에서, 중앙 유닛(10)은 이제 이러한 정보 항목을 에너지 소비체(20)에 전송한다. 제3 단계(300)에서, 에너지 소비체는 중앙 유닛(10)에 의해서 제공된 정보 항목 그리고 확정된 요구되는 에너지를 고려하여 요구 정보 항목을 확정하고, 그러한 요구 정보 항목은, 공급 정보 항목 또는 정보 항목과 유사한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특정 가격의, 요청된 또는 요청하고자 하는 에너지량을 포함한다.
제4 단계(400)에서, 에너지 소비체(20)는, 에너지 요청 프로파일 또는 소비 계획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요구 정보 항목을 중앙 유닛(10)에 전송한다. 그렇게 하는데 있어서, 소비체(20)는, 배터리와 같이, 그 저장 에너지 또는 적어도 그 소비 계획을, 이를 테면, "판매"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낸다. 이러한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전술한 표 형태의 형식에 상응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가용 전력 및 그 가격 대신에, 소비체(20)에 의해서 예상되는 소비 및, 다시, 중앙 유닛(10)에 가격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심지어 요청 시에 그 자체의 에너지 공급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러한 계획을 변경하고자 하는 그 의지를 특정한다.
제5 단계(500)에서, 중앙 유닛(10)은, 전송된 요구 정보 항목을 기초로 그리고 전송된 공급 정보 항목을 고려하여, 이제, 임의의 하나의 시간에 전체적인 요청된 에너지량이 해당 시간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초과하는지의 여부 또는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일치되지 않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러한 것은 현재에는 그렇지 않은데, 이는, 요구 정보 항목이 가용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물론 확정되었던 단지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20)만이 있기 때문이다.
그에 따라, 중앙 유닛(10)은 이러한 경우에 제6 단계(601)에서 확인 정보 항목을 에너지 소비체(20)에 전송할 것이고, 그러한 확인 정보 항목은, 요청된 에너지량이 이용 가능하다는 신호를 에너지 소비체(20)에 보낸다. 이는, 요구 정보 항목의 승인을 에너지 소비체(20)에 전송하는 중앙 유닛(10)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임의 경우에, 결정적인 것은, 에너지 소비체(20)가 이제 그 요구 정보 항목에 따라서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으로부터 에너지를 취한다는 것이다.
본원에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라,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에너지 소비체(20 내지 20"")를 포함한다. 특히 많은 에너지 소비체(20 내지 20"")가 많은 양의 에너지를 요청하는 바쁜 시간에, 이러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에 전체적인 요청된 에너지량이 해당 시간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초과한다는 것을 제5 단계(500)에서의 체크가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제 반복적인 형태로 실행되나, 중앙 유닛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가격 정보 항목,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더 높은 가격 정보 항목으로 정보 항목의 기초가 되는 제1 가격 정보 항목을 대체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중앙 유닛은 제1 가격 정보 항목을 예를 들어 제1 소비체(20)에 의해서 반환된 제2 가격 정보 항목 또는 소비 표와 조합하고, 그 결과를 다음 요청 소비체(20')에 전송한다. 그러한 다음 요청 소비체는, 결과적으로 그 다음 요청 소비체에 의해서 설정된 가격으로 제1 소비체(20)의 소비 계획을, 이를테면, "구매"하는 입장에 놓인다. 이러한 것을 기반으로, 제2 소비체(20')는 그 자체의 소비를 계획하고 전술한 형식에 따른 그 자체의 "판매 표"를 중앙 유닛(10)에 다시 전송하고, 중앙 유닛은 협상이 완료될 때까지 방법을 계속 진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더 높은, (가상의) 제3 가격 정보 항목을 고려할 때에도 원래 요청된 에너지량을 유지할 지의 여부, 또는, 예를 들어, 더 적은 에너지량을 요청할 것인지의 여부와 관련하여, 각각의 에너지 소비체(20)가 이제 새로운 결정을 하여야 함에 따라, 일종의 경매 메커니즘이 도입된다. 그에 따라, 에너지 소비체(20)가 더 높은 가격을 수용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은 그러한 에너지 소비체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고, 여러 가지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우선순위화 시스템이 에너지 소비체(20')에 대해서 미리 결정될 수 있거나, 에너지 소비체(20")는 높은 가격의 시간에 에너지 섭취를 줄인다.
여기에서, 제3 가격이 전체적인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적용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나, 반드시 적용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명확하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에너지 수요가 단지 바쁜 시간에 에너지 공급을 초과할 수 있고, 더 높은 가상 가격 취지의 제3 가격 정보 항목이 이러한 시간에만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범위에서, 에너지 공급원(30)이 또한 가격의 변화에 반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더 많은 양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급 정보 항목을 적응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앙 유닛(10)은 반환된 판매 계획으로부터 벗어난 경우에 관련 소비체(20 내지 20"")에 제재를 가할 수 있다. 예로서, 중앙 유닛(10)은, 에너지가 회수되지 않아도, 판매 계획으로 인해서 에너지 공급원(30)에 의해서 확보된 에너지에 대해서 소비체가 지불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는 전체 가격, 그 일부 또는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정한 요금을 부과하거나, 가능한 추가적인 재협상이 모든 다른 에너지 소비체(20 내지 20"")와 함께 중앙 유닛(10)에 의해서 초기에 구축되도록, "협상 목록"의 말미에 침해 소비체(20 내지 20"")를 강등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이러한 방식으로 강등된 소비체(20 내지 20"")는 선택적으로 증가된 가격의 지불에 대한 그의 원래의 관세를, 이를테면, "환매"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러한 단계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의 설계 및 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한 변경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Claims (10)

  1. 중앙 유닛(10),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원(30),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20)를 포함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중앙 유닛(10), 상기 에너지 공급원(30), 및 상기 에너지 소비체(20)는 정보 항목 교환을 위해서 서로 연결되며,
    - 제1 단계(100)에서, 상기 중앙 유닛(10)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격 정보 항목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에너지량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 항목을 생성하고,
    - 제2 단계(200)에서, 상기 중앙 유닛(10)은 상기 정보 항목을 상기 에너지 소비체(20)에 전송하며,
    - 제3 단계(300)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체(20)는 상기 정보 항목을 고려하여 요구 정보 항목를 확정하며, 상기 요구 정보 항목은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의 적어도 하나의 요청된 에너지량을 포함하고,
    - 제4 단계(400)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체(20)는 상기 요구 정보 항목 및 제2 가격 정보 항목을 상기 중앙 유닛(10)에 전송하고,
    - 제5 단계(500)에서, 상기 중앙 유닛(10)은, 상기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일치되는지의 여부 및 임의의 하나의 시간에 전송된 요구 정보 항목으로부터 확정된 전체 요청 에너지량이 이러한 시간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량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 제6 단계(600)에서,
    - 상기 중앙 유닛(10)은, 상기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일치되고 상기 전체 요청된 에너지량이 모든 시간에 가용 에너지량 보다 작거나 그와 같은 경우에, 인지 정보 항목을 상기 에너지 소비체(20)에 전송하고, 상기 인지 정보 항목은 상기 에너지 소비체(20)가 이용 가능한 요구 정보 항목에 따른 에너지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포함하고, 또는
    - 상기 제2 가격 정보 항목이 불일치되거나 전체 요청된 에너지량이 임의의 한 시간에 가용 에너지의 양 보다 큰 경우에, 상기 방법이 다시 실행되며, 상기 중앙 유닛(10)은, 정보 항목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3 가격 정보 항목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단계에서 정보 항목을 생성하며, 상기 제3 가격 정보 항목은 상기 제1 가격 정보 항목과 상이하고, 특히 그보다 크거나 작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7 단계에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제공될 수 있는 최대 에너지량을 포함하는 공급 정보 항목을 상기 에너지 공급원(30)이 생성하고, 제8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공급원(30)은 상기 공급 정보 항목을 상기 중앙 유닛(10)에 전송하고, 상기 중앙 유닛(10)은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정보 항목을 생성할 때 및/또는 상기 제5 단계에서 체크를 실행할 때, 상기 공급 정보 항목을 고려하고, 상기 제7 단계 및/또는 상기 제8 단계는, 특히, 상기 제1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이전의 부분적인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체(20)가 정보 요청을 상기 중앙 유닛(10)에 전송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 이전의 부분적인 단계에서, 상기 중앙 유닛(10)은 상기 공급 정보 항목을 위한 요청을 상기 에너지 공급원(30)에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상기 정보 항목, 상기 요구 정보 항목, 및/또는 상기 공급 정보 항목이 적어도 하나의 가격 정보 항목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량 정보 항목만을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및/또는 상기 제3 단계 이전의 제9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소비체(20)는, 상기 요구 정보 항목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요청하고자 하는 에너지량을 확정하고, 상기 제2 가격 정보 항목은 바람직하게 판매 가격의 표의 형태인, 방법.
  7. 중앙 유닛(10),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공급원(30), 및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소비체(20)를 포함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으로서, 상기 중앙 유닛(10), 상기 에너지 공급원(30), 및 상기 에너지 소비체(20)는 정보 항목의 교환을 위해서 서로 연결되며, 상기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중앙 유닛(10), 상기 에너지 공급원(30), 및/또는 상기 에너지 소비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
  9. 기계-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에서, 특히 중앙 유닛(10), 에너지 공급원(30),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20)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 특히 상기 중앙 유닛(10), 상기 에너지 공급원(30), 및/또는 상기 에너지 소비체(20)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0.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저장 매체 상에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판독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에서, 특히 중앙 유닛(10), 에너지 공급원(30) 및/또는 에너지 소비체(20)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1), 특히 상기 중앙 유닛(10), 상기 에너지 공급원(30), 및/또는 상기 에너지 소비체(20)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바와 같은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70165627A 2016-12-05 2017-12-05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KR10203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3424.9A DE102016123424A1 (de) 2016-12-05 2016-12-05 Verfahren zur Verteilung von Energie in einem Hausenergieversorgungssystem
DE102016123424.9 2016-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309A true KR20180064309A (ko) 2018-06-14
KR102031426B1 KR102031426B1 (ko) 2019-10-11

Family

ID=6216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627A KR102031426B1 (ko) 2016-12-05 2017-12-05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7670B2 (ko)
JP (1) JP6641343B2 (ko)
KR (1) KR102031426B1 (ko)
CN (1) CN108155640B (ko)
BR (1) BR102017023941B1 (ko)
DE (1) DE102016123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6341A1 (de) 2019-03-13 2020-09-1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Energiemanagement für ein Elektrofahrzeug- Ladesystem
DE102023100051B3 (de) 2023-01-03 2023-11-30 Mauricio Rojas Vorrichtung zur Anzeige der Verfügbarkeit von elektrischer Energie aus einem Stromnetz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981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계측 기기
KR20140052644A (ko) * 2012-10-25 2014-05-07 김현동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가정용 전력사용량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3108A1 (en) 2001-06-01 2002-12-04 Roke Manor Research Limited Community energy comsumption management
JP2002369385A (ja) * 2001-06-06 2002-12-20 Toshiba Eng Co Ltd 電力送電管理システム、電力受電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送受電管理システム
US7873441B2 (en) 2006-09-25 2011-01-18 Andreas Joanni Synesiou System for execution of a load operating plan for load control
EP2661797A1 (en) * 2011-01-06 2013-11-13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ical energy distribution apparatus.
US8706312B2 (en) * 2011-06-02 2014-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Charging device and methods of authorizing a charging request
JP5538343B2 (ja) * 2011-11-07 2014-07-02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情報報知システム
US20140324237A1 (en) * 2011-12-06 2014-10-30 The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lan adjusting device,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lan adjusting method and program
ITTO20120181A1 (it) * 2012-03-01 2013-09-02 Sisvel Technology Srl Metodo ed apparato per la gestione di energia elettrica prodotta localmente per auto-consumo e distribuita a più utenze appartenenti ad una o più comunità di utenze
US20160371796A1 (en) * 2015-06-18 2016-12-22 Battelle Memorial Institute Transactive control systems with enhanced convergence behavior
DE102016112249A1 (de) 2016-07-05 2018-01-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Verteilung von Energie in einem Hausenergieversorgungs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2981A (ko) * 2009-11-13 2011-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형 계측 기기
KR20140052644A (ko) * 2012-10-25 2014-05-07 김현동 스마트 그리드를 이용한 가정용 전력사용량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59326A1 (en) 2018-06-07
JP2018093720A (ja) 2018-06-14
CN108155640B (zh) 2021-06-29
KR102031426B1 (ko) 2019-10-11
CN108155640A (zh) 2018-06-12
BR102017023941A2 (pt) 2018-07-31
DE102016123424A1 (de) 2018-06-07
US10727670B2 (en) 2020-07-28
BR102017023941B1 (pt) 2023-12-12
JP6641343B2 (ja) 2020-02-05
BR102017023941A8 (pt)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zvini et al. Congestion management in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through demand response implementation
US101089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tility consumption
AlSkaif et al. Reputation-based joint scheduling of households appliances and storage in a microgrid with a shared battery
US8825247B2 (en) System for managing battery charge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20160124411A1 (en) Distributed energy demand management
EP3493144A1 (en) A method, a system and computer programs, for electrical energy distribution in a peer-to-peer distributed energy network
Potter et al. Demand response advanced controls framework and assessment of enabling technology costs
Bouhouras et al. Distribution network energy loss reduction under EV charging schedule
KR20180064309A (ko)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에너지를 분배하기 위한 방법
JP6833040B2 (ja) 複合電気エネルギの管理
CN107577164B (zh) 用于分配家用能量供应系统中的能量的方法
JP7257416B2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及び電力管理システム
Scholer et al. Smart charging standards for plug-in electric vehicles
WO2013174913A1 (en) Method and device of remotely controlling electrical equipment
Nordman et al. Electricity Price Communication in California and Beyond
Potter et al. Demand Response Advanced Controls Framework and Assessment of Enabling Technology
Seewald et al. Demand request dispatch approach for electric distribution systems
Hammerstrom et al. PinBus Interface Design
Pratt et al. PinBus Interface Design
COSTANZO An innovative approach to demand side energy management within smart grids: conceptual design and experimental vali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