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870A - 차량용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870A
KR20180063870A KR1020180028893A KR20180028893A KR20180063870A KR 20180063870 A KR20180063870 A KR 20180063870A KR 1020180028893 A KR1020180028893 A KR 1020180028893A KR 20180028893 A KR20180028893 A KR 20180028893A KR 20180063870 A KR20180063870 A KR 2018006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racket
housing
buffer
vehicle body
ho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28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870A/ko
Publication of KR2018006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마운팅브라켓,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해 결속부재 또는 마운팅브라켓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박스의 하우징을 배터리에 마운팅하고, 정션박스의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마운팅시, 차체로부터 마운팅브라켓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정션박스에 전달되는 진동 차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션박스{JUNCTION BOX}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의 하우징을 배터리에 마운팅하고, 정션박스의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마운팅시, 차체로부터 마운팅브라켓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정션박스에 전달되는 진동 차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정션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션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정션박스가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커버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다. 커버의 내부에는 버스바, 터미널, 퓨즈 등이 구비된다.
정션박스가 배터리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배터리시트에 얹어지고, 동시에 정션박스 내부에 안착된 터미널이 배터리에 구비된 단자와 결합되어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터미널과 배터리단자 사이의 결합과 함께, 정션박스는 외곽에 형성된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차량 내부에 장착된다. 즉, 마운팅브라켓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클립과 나사 결합된다. 클립은 케이블을 고정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차량내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정션박스는 클립과 결합된 상태로 차량내부에 장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755031호(발명의 명칭: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장착구조, 2007.08.28.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기존 정션박스는 일부만이 배터리시트 상에 얹어진 상태로 터미널과 배터리단자가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단지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차량 내부에 지지된다. 이 경우, 규정 체결력 이상으로 조립시에 마운팅브라켓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차량의 진동 등 외력이 마운팅브라켓에 그대로 전달됨에 따라 마운팅브라켓의 강도가 취약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션박스의 하우징을 배터리에 마운팅하고, 정션박스의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마운팅시, 완충부싱부를 통해 차체로부터 마운팅브라켓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정션박스에 전달되는 진동 차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완충부싱부의 코어를 경질로 제작하여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체결 고정하는 결속부재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키고, 완충부싱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마운팅브라켓;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 상기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해 상기 결속부재 또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통공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상기 결속부재를 축 삽입하는 완충부싱부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싱부는,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진동을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전달 방지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부의 가장자리를 수용함에 따라, 상기 완충패드를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함몰홈부; 및 상기 완충패드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상기 결속부재를 축 삽입하여, 상기 차체에 결속된 상기 결속부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경질의 코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완충부싱부의 큰 외경에 걸쳐 전체를 삽입 가능한 제 1홀부; 및 상기 제 1홀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싱부의 큰 외경보다 작은 외경인 특정 부위를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끼움 결합 고정하기 위한 제 2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보강을 위해 덧살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완충부싱부를 지지하기 위해 내측면에 서포트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박스의 하우징을 배터리에 마운팅하고, 정션박스의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마운팅시, 완충부싱부를 통해 차체로부터 마운팅브라켓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킴으로써, 정션박스에 전달되는 진동 차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완충부싱부의 코어를 경질로 제작하여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체결 고정하는 결속부재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완충부싱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을 갖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와 마운팅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으로부터 완충부싱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과 차체의 결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과 차체의 결속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을 갖는 차량용 정션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와 마운팅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으로부터 완충부싱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과 차체의 결속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브라켓과 차체의 결속 상태를 보인 상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100)는 하우징(110), 마운팅브라켓(130), 결속부재(140) 및 완충부(15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100)는 하우징(110)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다. 이때, 하우징(110)은 메인바디(main body)와 이너커버(inner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내측에 장착 또는 실장된 전자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120)를 구비한다. 물론, 하우징(110)과 커버(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버(12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하우징(110)에 결속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110)은 배터리(20) 측에 마운팅(mounting)된다. 물론, 하우징(110)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터리(20) 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마운팅브라켓(130)을 외측으로 연장되게 결합한다. 이때, 마운팅브라켓(130)의 일측은 하우징(110)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운팅브라켓(130)은 하우징(110)이나 커버(120)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마운팅브라켓(130)은 하우징(110)에 결합되고 하우징(110)이나 커버(1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너마운팅부(132), 및 하우징(110)이나 커버(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우터마운팅부(134)로 나뉘어질 수 있다.
물론, 인너마운팅부(132)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마운팅브라켓(130)의 아우터마운팅부(134)는 차체(10) 측에 결속된다. 즉, 아우터마운팅부(134)는 결속부재(140)에 의해 차체(10) 측에 결속된다. 여기서, 결속부재(140)는 볼트나 스크류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배터리(20) 측에 결합되고, 하우징(110)에서 연장되게 연결되는 마운팅브라켓(130)은 차체(10) 측에 결합된다. 차량의 주행 중, 배터리(20) 측의 진동 파장과 차체(10) 측의 진동 파장이 상이함에 따라, 하우징(110)과 마운팅브라켓(130)의 진동 파장이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취약한 마운팅브라켓(130)이 파손되거나, 또는 마운팅브라켓(130)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하우징(110)과 배터리 포스트 단자(도시하지 않음)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완충부(150)가 구비된다.
완충부(150)는 차체(10) 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해 결속부재(140) 또는 마운팅브라켓(130)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완충부(150)는 차체(10) 측의 진동이 마운팅브라켓(130)의 아우터마운팅부(134)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완충부(150)는 체결홀부(152) 및 완충부싱부(155)를 포함한다.
체결홀부(152)는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마운팅브라켓(130)의 아우터마운팅부(134)에 통공 형성되고, 완충부싱부(155)는 체결홀부(152)에 결합됨과 아울러 차체(10) 측에 결속되는 결속부재(140)를 축 삽입 후 완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완충부싱부(155)는 완충패드(156), 함몰홈부(157) 및 코어부재(158)를 포함한다.
완충패드(156)는 완충력을 갖는 고무나 스폰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완충패드(156)는 차체(10)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결속부재(140)의 진동을 마운팅브라켓(130)에 전달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완충패드(15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함몰홈부(157)는 완충패드(156)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어, 체결홀부(152)의 가장자리 즉 아우터마운팅부(134)를 수용함에 따라, 완충패드(156)를 마운팅브라켓(130)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체결홀부(152)의 가장자리가 함몰홈부(157)에 끼워짐에 따라, 완충패드(156)는 아우터마운팅부(134)에 고정 지지된다.
또한, 코어부재(158)는 완충패드(156)의 내측에 삽입되어, 차체(10) 측에 결속되는 결속부재(140)를 축 삽입한 채 차체(10) 측에 결속된 결속부재(140)의 상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경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결속부재(140)와 아우터마운팅부(134)가 완충패드(156)에 의해 완충된다. 그리고, 결속부재(140)가 코어부재(158)에 비연속되게 또는 연속되게 접함으로써 완충패드(156)를 설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하지 않음에 따라, 완충패드(156)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물론, 코어부재(158)는 경질의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체결홀부(152)는 서로 다른 직경의 제 1홀부(153)와 제 2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홀부(153)와 제 2홀부(154)는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홀부(153)는 완충부싱부(155)의 완충패드(156)의 큰 외경에 걸쳐 전체를 삽입 가능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홀부(154)는 제 1홀부(153)에 연결되고, 완충부싱부(155)의 완충패드(156)의 큰 외경보다 작은 외경인 특정 부위의 함몰홈부(157)를 마운팅브라켓(130)에 끼움 결합 고정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홀부(153)의 직경이 제 2홀부(15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홀부(154)에서 아우터마운팅부(134)가 완충부싱부(155)를 끼움 결합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마운팅브라켓(130)의 아우터마운팅부(134)는 보강을 위해 덧살부재(136)를 형성할 수 있다. 덧살부재(136)는 차체(10) 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대해 아우터마운팅부(134)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체결홀부(152) 특히 제 2홀부(154)는 내측면에 서포트리브(159)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서포트리브(159)는 완충부싱부(155)의 함몰홈부(157)에 수용되어 완충패드(156)를 지지함으로써 완충부싱부(155)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정션박스 110: 하우징
120: 커버 130: 마운팅브라켓
132: 인너마운팅부 134: 아우터마운팅부
136: 덧살부재 140: 결속부재
150: 완충부 152: 체결홀부
153: 제 1홀부 154: 제 2홀부
155: 완충부싱부 156: 완충패드
157: 함몰홈부 158: 코어부재

Claims (3)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외부로 연장되는 마운팅브라켓;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차체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재; 및 상기 차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해 상기 결속부재 또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통공되는 체결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상기 결속부재를 축 삽입하는 완충부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싱부는,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속부재의 진동을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전달 방지하는 완충패드; 상기 완충패드의 둘레면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부의 가장자리를 수용함에 따라, 상기 완충패드를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함몰홈부; 및 상기 완충패드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차체에 결속되는 상기 결속부재를 축 삽입하여, 상기 차체에 결속된 상기 결속부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경질의 코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완충부싱부의 큰 외경에 걸쳐 전체를 삽입 가능한 제 1홀부; 및 상기 제 1홀부에 연결되어, 상기 완충부싱부의 큰 외경보다 작은 외경인 특정 부위를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끼움 결합 고정하기 위한 제 2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내측에 장착 또는 실장된 전자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보강을 위해 덧살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완충부싱부를 지지하기 위해 내측면에 서포트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KR1020180028893A 2018-03-12 2018-03-12 차량용 정션박스 KR201800638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93A KR20180063870A (ko) 2018-03-12 2018-03-12 차량용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93A KR20180063870A (ko) 2018-03-12 2018-03-12 차량용 정션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42A Division KR101850443B1 (ko) 2016-12-02 2016-12-02 차량용 정션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870A true KR20180063870A (ko) 2018-06-12

Family

ID=6262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93A KR20180063870A (ko) 2018-03-12 2018-03-12 차량용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87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14A (ja) * 1994-06-22 1996-0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架線用吊り金具
KR20000034032A (ko) * 1998-11-27 2000-06-15 김태구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마운팅 쿠션 구조
JP3534134B2 (ja) * 1995-08-25 2004-06-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円筒型液体封入式防振装置
KR200436537Y1 (ko) * 2006-10-31 2007-09-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3982384B2 (ja) * 2002-10-30 2007-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ボルト・ナットによる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20130107823A (ko) * 2012-03-23 2013-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14A (ja) * 1994-06-22 1996-01-09 Sumitomo Electric Ind Ltd 架線用吊り金具
JP3534134B2 (ja) * 1995-08-25 2004-06-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円筒型液体封入式防振装置
KR20000034032A (ko) * 1998-11-27 2000-06-15 김태구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마운팅 쿠션 구조
JP3982384B2 (ja) * 2002-10-30 2007-09-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ボルト・ナットによる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200436537Y1 (ko) * 2006-10-31 2007-09-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KR20130107823A (ko) * 2012-03-23 2013-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케이스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955B1 (ko) 차량용 정션박스
US20050284989A1 (en) Heat-resistant clamp device for pipes or similar objects
KR100820712B1 (ko) 엔진 마운팅 장치
KR20180063872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1850443B1 (ko) 차량용 정션박스
WO2019082994A1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及び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KR20180063870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20180063871A (ko) 차량용 정션박스
JP5197585B2 (ja) 機器固定用ブッシュ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固定装置
KR20220000872U (ko)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착을 위한 결합 구조
US20050081676A1 (en) Accelerator pedal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449761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US8950737B2 (en) Antivibration device
KR20180027476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04153934A (ja) ボルト・ナットによる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US20150175017A1 (en) Cover-integrated clamp for electronic part in eco-friendly vehicle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KR101753790B1 (ko) 엔드플레이트와 스토퍼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롤로드
JP5315173B2 (ja) 燃料タンク取付構造及び燃料タンク取付方法
KR101637561B1 (ko) 그로멧 일체형 크래쉬패드
KR20180026434A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KR20090034451A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102277038B1 (ko)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장치
KR101601322B1 (ko) 차량의 스피커의 진동 흡수 구조
KR101974823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구조
KR20070080418A (ko) 자동차용 멀티미디어기의 방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