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451A -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451A
KR20090034451A KR1020070099647A KR20070099647A KR20090034451A KR 20090034451 A KR20090034451 A KR 20090034451A KR 1020070099647 A KR1020070099647 A KR 1020070099647A KR 20070099647 A KR20070099647 A KR 20070099647A KR 20090034451 A KR20090034451 A KR 20090034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ngine mount
wedge
rubber par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736B1 (ko
Inventor
성광현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73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쇄기 구조를 이용하여 러버를 브라켓에 한번 압입하는 작업을 통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브라켓 내부에 러버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 및 여기에 접하는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타입의 쇄기구조가 구성되고, 상기 러버부를 브라켓에 삽입함에 따라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쐐기 구조는 일면이 러버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타면에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쇄기부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쇄기부를 안내하여 압입시켜 주도록 상기 가이드와 마주보는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엔진 마운트, 러버, 브라켓, 쐐기 구조

Description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Engine Mount Structure improved Assembling}
본 발명은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쇄기 구조를 이용하여 러버를 브라켓에 한번 압입하는 작업을 통해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엔진은 통상적으로 초기 시동시나 엔진의 진동 등을 흡수하여 주행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체의 엔진룸에 고정된 적어도 3개의 엔진 마운트 위에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 마운트 구조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엔진 마운트(100)는 엔진의 체결단이 체결되는 미도시된 연결부재(110)가 삽입되는 러버부(10)와, 이 러버부(10)의 외주면을 감싸주는 브라켓(20)으로 구성된다.
러버부(10)는 중앙에 스틸 재질이며 얇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가 형성되고, 여기에 미도시된 연결부재(110)가 삽입된다. 브라켓(20)은 상부브라켓(20a)과 하부브라켓(20b)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하부브라켓(20b)의 위에 상기 러버부(10)를 올려 놓고, 그 위에 상부브라켓(20a)을 씌운 다음, 상부브라켓(20a)과 하부브라켓(20b)를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엔진 마운트는 양단의 체결구멍을 통해 차체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엔진에 연결되는 미도시된 연결부재를 지지부재(11)에 삽입하여 엔진의 장착을 마치게 된다.
도 1b는 종래의 엔진 마운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의 엔진 마운트는 도 1a의 엔진 마운트와 그 구성 및 장착 방법은 동일하나, 브라켓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도 1a의 브라켓은 상부브라켓과 하부브라켓으로 분리되어 있으나, 도 1b의 브라켓(20)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일체형 브라켓(20)과 러버부(10) 사이에 편부재(30)를 삽입하여 이들 요소(10,20)의 압입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편부재(30)의 양단부를 꺽어 걸림턱 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엔진 마운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상하부브라켓으로 구획된 엔진 마운트의 경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하나 하나 순차적으로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이 늘어나고, 이는 생산성의 저해와 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2) 브라켓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엔진 마운트의 경우,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나, 장시간 엔진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하여 편부재가 빠지는 등 러버부와 브라켓의 장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안전 운행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러버부가 브라켓에 슬라이딩 삽입됨에 따라 억지끼움방식으로 장착되게 함으로써, 한번 압입하는 작업을 통해 위에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더욱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브라켓 내부에 러버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 및 여기에 접하는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타입의 쇄기구조가 구성되고, 상기 러버부를 브라켓에 삽입함에 따라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쐐기 구조는 일면이 러버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타면에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쇄기부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쇄기부를 안내하여 압입시켜 주도록 상기 가이드와 마주보는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쐐기 구조는 러버부에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이드를 대신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쐐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쐐기 구조는 적어도 1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러버부를 브라켓에 삽입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해 엔진 마운트의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러버부와 브라켓이 쐐기 구조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과 연결된 연결부재에 힘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쐐기 구조의 압입력이 커지게 되어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3) 브라켓으로부터 러버부의 이탈 등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진동 등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품질 향상 면에서도 유리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러버부(10)를 감싸는 형태로 브라켓(20)이 형성된 엔진 마운팅 구조에 있어서, 러버부(10)를 브라켓(20)에 삽입하는 단순한 공정에 의해 조립성 및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러버부(10)와 브라켓(20) 사이에 쐐기 구조를 더 구성하게 된다. 쐐기 구조는 러버부(10) 제작시 일체로 성형되는 가이 드(12)와, 이 가이드(12)와 마주보는 위치에 오도록 브라켓(20)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1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강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면에는 쐐기부(13)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쐐기부(13)는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양측 테두리부는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가이드(12)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러버부(10)에 일체로 지지부재(11)를 성형하여 사용하는 엔진 마운팅의 경우, 이 지지부재(11)에 쐐기부(13)를 형성하여 가이드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레일(21)은 쐐기부(13)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브라켓(2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쐐기부(13)가 삽입됨에 따라 점차 압입력을 크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쐐기부(13)와의 허용공차를 최대한 작게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쐐기 구조는 적어도 1개 이상, 도 2에서는 2개를 형성하여 장착하는 예를 보여 주고 있으나, 러버부(10)의 각 면에 하나씩 4개의 쐐기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쐐기 구조는 첨부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브라켓(20)의 외부로부터 나사 체결과 같은 방법으로 쐐기부(13)와 가이드레일(21)을 일체로 체결 고정하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엔진 마운트는,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장착하게 된다. 즉, 러버부(10)를 브라켓(20) 중앙으로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쐐기부(13)가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움직이면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된 쐐기 구조는 러버부(10)의 삽입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짐에 딸 점차 강제 압입에 의해 장착력이 커지게 된다. 또한, 엔진 마운트에 편부재(30)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편부재(30)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휘어서 브라켓(20)에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엔진 마운트는 러버부(10)에 연결부재(110)를 장착하여 엔진을 장착하여 기동시켜 러버부(10)의 삽입 방향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쐐기 구조에 의해 러버부(10)와 브라켓(20)이 더욱 강하게 결속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의 엔진 마운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마운트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러버부
11 : 지지부재
12 : 가이드
13 : 쐐기부
20 : 브라켓
20a : 상부브라켓
20b : 하부브라켓
21 : 가이드레일
100 : 엔진 마운트
110 : 연결부재

Claims (4)

  1. 브라켓 내부에 러버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 및 여기에 접하는 브라켓의 내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타입의 쇄기구조가 구성되고, 상기 러버부를 브라켓에 삽입함에 따라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구조는 일면이 러버부에 일체로 성형되고 타면에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상의 쇄기부가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쇄기부를 안내하여 압입시켜 주도록 상기 가이드와 마주보는 브라켓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구조는 러버부에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가이드를 대신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쐐기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구조는 적어도 1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1020070099647A 2007-10-04 2007-10-04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10090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47A KR100902736B1 (ko) 2007-10-04 2007-10-04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47A KR100902736B1 (ko) 2007-10-04 2007-10-04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51A true KR20090034451A (ko) 2009-04-08
KR100902736B1 KR100902736B1 (ko) 2009-06-15

Family

ID=4076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47A KR100902736B1 (ko) 2007-10-04 2007-10-04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7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2451A (zh) * 2016-09-07 2019-06-28 苏米里科Sd法国股份有限公司 带有用于设备或机动车辆的主体的结构元件上的风扇、热交换器、冷凝器的振动过滤的支撑板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99B1 (ko) * 2012-02-17 2014-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마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4427B2 (ja) * 1994-10-29 2005-11-09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ブラケット一体型エンジンマウント
JP2001132795A (ja) * 1999-11-02 2001-05-18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及び防振装置の製造方法
KR100513540B1 (ko) * 2003-11-10 2005-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2451A (zh) * 2016-09-07 2019-06-28 苏米里科Sd法国股份有限公司 带有用于设备或机动车辆的主体的结构元件上的风扇、热交换器、冷凝器的振动过滤的支撑板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736B1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088B2 (en) Powertrain mounting system
CN110410448B (zh) 防振装置
JP5924239B2 (ja) 防振ブッシュ及び電子装置
EP2095986A1 (en) Engine mounting structure
US9523464B2 (en)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equipped with outer bracket and outer bracket therefor
KR101081763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10981441B2 (en) Torque rod
US9382961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WO2018047431A1 (ja) 防振装置本体および防振装置
JP2009115136A (ja) 防振装置
US20050098374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US20170008365A1 (en) Stabilizer bushing
KR100902736B1 (ko) 조립성이 향상된 차량의 엔진 마운트 구조
KR20010072168A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20080048525A (ko) 차량 어셈블리를 고정하는 지지장치
JP5197585B2 (ja) 機器固定用ブッシュ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固定装置
CN112585376B (zh) 用于盲孔的支承套和用于车辆的转向机构悬置装置
KR102144756B1 (ko)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장착 구조
KR101629831B1 (ko) 크래쉬패드 체결장치
KR101818344B1 (ko) 차량의 트랜스미션 케이블을 위한 그로멧 어셈블리
US20070085317A1 (en) Steering column mounting
JP5061129B2 (ja) 防振装置
KR102503696B1 (ko) 전동식 조향장치
CN114364900A (zh) 阻尼装置及其安装方法
CN106660516B (zh) 刮擦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