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687A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3687A KR20180063687A KR1020160163750A KR20160163750A KR20180063687A KR 20180063687 A KR20180063687 A KR 20180063687A KR 1020160163750 A KR1020160163750 A KR 1020160163750A KR 20160163750 A KR20160163750 A KR 20160163750A KR 20180063687 A KR20180063687 A KR 201800636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semiconductor light
- layer
- electrode
- emit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9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621 AMOLE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40 adhesiv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JMASRVWKEDWRBT-UHFFFAOYSA-N Gallium nitride Chemical compound [Ga]#N JMASRVWKEDWR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48 UV Light-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10 antimony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VTRUBDSFZJNXHI-UHFFFAOYSA-N oxoantimony Chemical compound [Sb]=O VTRUBDSFZJNX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3 whit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atings, e.g. passivation layer or anti-reflective coa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선전극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배선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채우도록 이루어지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오버랩되며, 특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는 편광 필터층, 및 상기 편광 필터층에 오버랩되며, 빛의 파장을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서 박막형, 플렉서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반해, 현재 상용화된 주요 디스플레이는 LCD(Liguid Crystal Display)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LCD의 경우에 빠르지 않은 반응 시간과, 플렉서블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AMOLED의 경우에 수명이 짧고, 양산 수율이 좋지 않다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잘 알려진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는 파장 변환층을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여기하고,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적색이나 녹색의 파장으로 필터링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파장 변환층이 열화되고, 점광원인 마이크로 발광 소자의 특성상 휘도 및 Uniformity 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단점 때문에 디지털 사이니지의 디스플레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에 대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점광원인 마이크로 발광 소자를 이용함에도, 면광원의 형태로 빛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화질이 개선되면서, 내구성이 함께 증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형광필터와 편광필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와,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선전극이 형성되는 기판과, 상기 배선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채우도록 이루어지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에 오버랩되며, 특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는 편광 필터층, 및 상기 편광 필터층에 오버랩되며, 빛의 파장을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층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편광부를 구비한다.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편광부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층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형광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장 변환층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편광 필터층은 복수의 편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편광부의 각각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에는 텍스터링에 의한 미세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상기 파장 변환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층과 상기 파장 변환층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편광 필터층과 상기 절연층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편광 필터층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격벽은 상기 파장 변환층을 복수의 형광체부로 구획하는 블랙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격벽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편광 필터층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블랙 매트릭스, 파장 변환층 및 편광 필터층이 조합되어, 점광원인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하나, 면광원과 유사한 형태로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휘도나 uniformity를 증대하여, 화질 및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편광 필터층이 오목렌즈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빛이 전면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파장 변환층이 블랙 매트릭스가 적용된 형광필터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황색 형광체의 열화가 완화 및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랙 매트릭스와 편광 필터층을 통하여 픽셀 방향으로 빛을 차단함에 따라 혼색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라인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라인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평면이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상기 제2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위 화소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도 단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며, 도 4는 도 3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 제1전극(120), 전도성 접착층(130), 제2전극(1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판(11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제1전극(1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전극(120)은 기판(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절연층(160)은 제1전극(120)이 위치한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60)에는 보조전극(17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된 상태가 하나의 배선기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1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상기 기판(1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전극(170)은 제1전극(120)과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서, 절연층(160)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170)은 닷(dot) 형태이며, 절연층(160)을 관통하는 전극홀(171)에 의하여 제1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홀(171)은 비아 홀에 도전물질이 채워짐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절연층(160)의 일면에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층(160)과 전도성 접착층(130)의 사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가 형성되거나, 절연층(160)이 없이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절연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접착성과 전도성을 가지는 층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에서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과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접착층(130)은 연성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로서, 전도성 접착층(1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두께를 관통하는 Z 방향으로는 전기적 상호 연결을 허용하나, 수평적인 X-Y 방향으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레이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Z축 전도층으로 명명될 수 있다(다만, 이하 '전도성 접착층'이라 한다).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이방성 전도매질(anisotropic conductive medium)이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부분만 이방성 전도매질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위하여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열 및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가해지거나 UV 경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매질은 예를 들어, 도전볼이나 전도성 입자가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부분만 도전볼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물질의 코어가 폴리머 재질의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절연막이 파괴되면서 코어에 의하여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코어의 형태는 변형되어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는 층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열 및 압력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접착되는 상대물의 높이차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전기적 연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 코어에 전도성 물질이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전도성 물질이 변형되어(눌러 붙어서)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도성 물질이 Z축 방향으로 절연성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도성 물질은 뽀족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배열 이방성 전도성 필름(fixed array ACF)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성 베이스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며, 도전볼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의 바닥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전볼과 함께 변형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도전볼이 랜덤하게 혼입된 형태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어느 한 층에 도전볼이 배치되는 형태(double-ACF) 등이 모두 가능하다.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와 도전볼의 결합형태로서, 절연성 및 접착성의 베이스 물질에 도전볼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은 전도성 particle 혹은 nano 입자를 함유한 형태의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전극(140)은 보조전극(170)과 이격하여 절연층(160)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하는 절연층(160) 상에 배치된다.
절연층(160)에 보조전극(170)과 제2전극(14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플립 칩 형태로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제1전극(120) 및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156), p형 전극(156)이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155), p형 반도체층(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54), 활성층(154)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53) 및 n형 반도체층(153) 상에서 p형 전극(1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n형 전극(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p형 전극(156)은 보조전극(170)과 전도성 접착층(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n형 전극(152)은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보조전극(17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나의 보조전극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을 중심으로 좌우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p형 전극들이 하나의 보조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 및 압력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130)의 내부로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압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p형 전극(156)과 보조전극(170) 사이의 부분과,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n형 전극(152)과 제2전극(140) 사이의 부분에서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압입이 없어 전도성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130)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보조전극(170) 사이 및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제2전극(140) 사이를 상호 결합시켜줄 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까지 형성시킨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발광 소자 어레이(array)를 구성하며, 발광 소자 어레이에는 형광체층(180)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단위 화소를 구성하며, 제1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전극(120)은 복수 개일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예컨대 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이 플립 칩 형태로 접속되므로, 투명 유전체 기판에 성장시킨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사이에 격벽(1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도성 접착층(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1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격벽(1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블랙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를 증가시킬 수 있다.
형광체층(180)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형광체층(180)은 상기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형광체층(1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181) 또는 녹색 형광체(182)가 될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1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1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20)의 각 라인을 따라 하나의 색상의 형광체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120)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즉, 제2전극(140)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대신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퀀텀닷(QD)이 조합되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층들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1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1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을 비롯한 다양한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각각 단위 화소(sub-pixel)를 이루기 위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R, G, B)가 교대로 배치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루며, 이를 통하여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는 황색 형광체층이 개별 소자마다 구비된 백색 발광 소자(W)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위 화소를 이루기 위하여,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반복되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 소자(UV)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UV)까지 전영역에 사용가능하며, 자외선(UV)이 상부 형광체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 사용가능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예시를 다시 살펴보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전도성 접착층(130) 상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사각형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단위 화소로 이용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기 위한 충분한 밝기가 나타난다. 따라서, 단위 화소의 크기가 한 변이 600㎛, 나머지 한변이 300㎛인 직사각형 화소인 경우를 예로 들면, 반도체 발광 소자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HD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된 절연층(160) 상에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다. 제1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되어 하나의 기판(또는 배선기판)을 형성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제1전극(120),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 제1전극(120)과 제2전극(140)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기판(110) 및 절연층(160)은 각각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절연층(160)이 위치된 기판에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도포될 수 있다.
다음에,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들의 위치에 대응하고,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위치된 제2기판(112)을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에, 제2기판(112)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성장시키는 성장 기판으로서, 사파이어(spire) 기판 또는 실리콘(silicon) 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웨이퍼(wafer) 단위로 형성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룰 수 있는 간격 및 크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을 열압착한다. 예를 들어,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ACF press head 를 적용하여 열압착될 수 있다. 상기 열압착에 의하여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본딩(bonding)된다. 열압착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특성에 의해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의 사이의 부분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전극들과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150) 사이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제2기판(112)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법(Laser Lift-off, LLO) 또는 화학적 리프트 오프법(Chemical Lift-off, CLO)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들(15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필요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결합된 배선기판 상을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코팅하여 투명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일면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적색 형광체 또는 녹색 형광체가 상기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면에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 예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직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변형예 또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은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210), 제1전극(220), 전도성 접착층(230), 제2전극(2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포함한다.
기판(210)은 제1전극(2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제1전극(220)은 기판(210) 상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20)은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230)은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기판(210)상에 형성된다.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2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도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230)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기판(210) 상에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제1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1전극(2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부분적으로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성된다. 따라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는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부분(231)과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부분(232)으로 구획된다.
또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접착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도성 접착층(230)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제1전극(220)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까지 구현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수직형 구조가 될 수 있다.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사이에는, 제1전극(2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전극(240)이 위치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256), p형 전극(256)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255), p형 반도체층(2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54), 활성층(254)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53) 및 n형 반도체층(253) 상에 형성된 n형 전극(2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한 p형 전극(256)은 제1전극(220)과 전도성 접착층(2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n형 전극(252)은 후술하는 제2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극을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일면에는 형광체층(28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2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광체층(2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281) 및 녹색 형광체(282) 일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2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2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의 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전극(240)은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전극과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2전극(240)에서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전극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전극은 오믹(ohmic) 접촉을 위한 오믹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은 인쇄 또는 증착에 의하여 오믹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형성된 기판(210) 상에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절연층이 형성된 후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킬 경우, 상기 제2전극(240)은 투명 절연층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또는 투명 절연층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반도체 발광 소자(250) 상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키기 위하여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한다면, ITO 물질은 n형 반도체층과는 접착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킴으로써,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투명한 재료 선택에 구속되지 않고, n형 반도체층과 접착성이 좋은 전도성 물질을 수평 전극으로 사용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2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접착층(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 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2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2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2전극(240)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바로 위치된 경우, 격벽(290)은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 및 제2전극(240)의 사이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제2전극(240)을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HD 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도시에 의하면,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2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플립 칩 타입이 적용된 경우에는 동일평면상에 제1 및 제2전극이 배치되므로 고정세(파인 피치)의 구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립 칩 타입의 발광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1a는 도 10의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의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 도 11a 및 도 11b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10), 제1전극(1020), 전도성 접착층(1030), 제2전극(10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전극(1020) 및 제2 전극(1040)은 각각 복수의 전극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10)은 제1전극(10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제1전극(1020)은 기판(1010) 상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020)은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1030)은 제1전극(1020)이 위치하는 기판(1010)상에 형성된다. 전술한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10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1030)은 접착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극(1020)이 기판(1010)상에 위치하지 않고, 반도체 발광소자의 도전형 전극과 일체로 형성된다면, 접착층은 전도성이 필요없게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사이에는, 제1전극(10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전극(1040)이 위치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1040)은 전도성 접착층(10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전도성 접착층(1030)은 배선기판과 제2전극(10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전극(1040)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하여,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상기 전도성 접착층(1030)에 결합 되며, 제1전극(1020) 및 제2전극(10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1050)가 형성된 기판(1010) 상에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절연층이 형성된 후에 제2전극(1040)을 위치시킬 경우, 상기 제2전극(1040)은 투명 절연층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전극(1040)은 전도성 접착층(1030) 또는 투명 절연층에 이격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와 같이,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제1전극(10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 라인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는 제2전극(1040)을 따라 복수의 열들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의 일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10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형광체층(1080)은 상기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형광체층(10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1081) 또는 녹색 형광체(1082)가 될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051a)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1081)가 적층 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051b)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10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051c)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020)의 각 라인을 따라 하나의 색상의 형광체가 적층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1020)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즉, 제2전극(1040)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대신에 반도체 발광 소자(1050)와 퀀텀닷(QD)이 조합되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발광하는 단위 화소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형광체층(1080)의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형광체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10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091)는 형광체 도트 사이에 갭을 만들고, 흑색 물질이 상기 갭을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블랙 매트릭스(1091)는 외광반사를 흡수함과 동시에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1091)는, 형광체층(1080)이 적층된 방향인 제1전극(1020)을 따라 각각의 형광체층들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에,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051)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되지 않으나, 블랙 매트릭스(1091)는 상기 형광체층이 없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051c)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본 예시의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살펴보면, 본 예시에서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전극을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전극이 상/하로 배치되나,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소자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제1도전형 전극(1156)이 형성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154)과, 상기 활성층(1154) 상에 형성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전극(115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은 각각 n형 전극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n형이 되고 제2도전형이 p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활성층(1154)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의 타면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일면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일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도전형 전극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타면에는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1153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도 10 내지 도 11b와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일면은 상기 배선기판에 가장 가까운 면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의 타면은 상기 배선기판에 가장 먼 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상기 폭방향과 수직방향(또는 두께방향)으로 서로 높이차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에 형성되나, 반도체 발광소자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전극(104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측면(또는,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1153a)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제2도전형 전극(1152)이 상기 측면에서 돌출되기에,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전도성 접착층(10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전극(1040)과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반도체 발광 소자는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에서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152a)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상기 돌출부(1152a)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2도전형 전극(1152)은 상기 돌출부(1152a)의 돌출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배치되며, 상기 돌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52a)는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일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의 상면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1153a)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출부(1152a)는 상기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1153a)의 측면에서 상기 폭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152a)는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전극(10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52a)를 구비하는 구조는, 전술한 수평형 반도체 발광소자와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1153a)에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으로부터 가장 먼 상면에는 roughing 에 의하여 미세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의 크기가 작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는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빛이 방출되는 상부면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휘도 증가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마이크로 반도체 발광소자는 점광원이므로 Uniformity 가 종래의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이하, 새로운 메커니즘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G-G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라인 H-H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휘도는 증가되는 메커니즘이 부가된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른 형태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본 예시에서는, 앞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2050)는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제1도전형 전극(2156)이 형성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154)과, 상기 활성층(2154) 상에 형성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전극(2152)을 포함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2를 참조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2152a)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의 일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의 상면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언도프된(Undoped) 반도체층(2153a)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152a)는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의 반대측에서 상기 제2전극(20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패시베이션층(2158)이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기판(2010), 제1전극(2020), 제2전극(2040), 전도성 접착층(203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050)를 포함한다.
기판(2010)은 제1전극(20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전극(2020)은 기판(2010) 상에 위치하는 배선전극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2010)은 절연성은 있으나, 플렉서블이 아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0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도성 접착층(2030)은 상기 기판(2010, 배선기판)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2050)을 부착하면서, 상기 기판(2010)과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20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전도성 접착층(20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도성 접착층(2030)은 상기 배선기판의 배선전극보다 저융점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저융점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저융점부는 솔더 물질로 상기 제1전극(2020)에 도금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2050)의 제1도전형 전극(2156)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솔더 물질은 예를 들어, Sb, Pd, Ag, Au 및 Bi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배선기판의 상기 제1전극(2020)에 솔더가 증착되고,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솔더링이 실시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전도성 접착층(2030)의 상측에는 절연층(2060)이 적층될 수 있다. 솔더 물질이 제1전극(2020)과 제1도전형 전극(2156)을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배선기판의 상측에 상기 절연층(2060)이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절연층(206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채우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20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060)은 상기 전도성 접착층(2030)의 절연성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절연층(2060)과 상기 전도성 접착층(2030)은 합착에 의하여 일체화되며, 따라서 상기 절연층(206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충전하면서 상기 기판(20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절연층(2060)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전극이 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2040)은 절연층(2060) 상에 위치되며, 상기 배선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2040)은 이웃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연장되어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서로 연결하며, 따라서 상부배선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절연층(2060)은 배선기판과 제2전극(20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전극(2040)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050)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스캔 전극으로서 구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전극(2020)이 스캔 전극이 되고, 상기 제2전극(2040)이 데이터 전극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2050)의 사이에 격벽(20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20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절연층(206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층(2060)의 수지에 반도체 발광 소자(2050)와 격벽이 삽입된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격벽(2090)은 반사성 격벽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격벽(20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블랙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전극(2020)의 각 라인을 따라 상기 격벽(209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2020)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격벽(2090)은 제2전극(2040)을 따라서 아이솔레이션된 반도체 발광소자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040)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을 구현하기 위하여,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2050)의 일면에 형성되는 파장 변환층(208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은 빛의 파장을 변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20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파장 변환층(2080)은 상기 청색(B) 광을 다른 색상의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050)는 녹색(G) 광을 발광하는 녹색 반도체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은 황색 형광체를 구비하는 형광필터가 될 수 있다. 만약 절연층의 위치에 형광체를 채우게 되면, 인쇄 잔여물이나 두께 편차에 의하여 양산성이 저감된다. 이에 반해, 본 예시와 같은 형광필터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제조시에 양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반도체 발광소자들(2050)에서 출력된 빛은 황색 형광체를 이용하여 여기시켜, 파장이 변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는 복수의 형광체부(2081, 2082, 20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형광체부(2081, 2082, 2083)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에 해당하는 형광체부로서, 상기 제1전극을 따라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형광체부(2081, 2082, 2083)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0BM)가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0BM)은 형광체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전극(2020)을 따라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을 따라 상기 형광체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랙 매트릭스(20BM)는 상기 파장 변환층을 복수의 형광체부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격벽(2090)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20BM)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블랙 매트릭스(20BM)는 상기 격벽(2090)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서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격벽(209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예시에서는 각각의 형광체부(2081, 2082, 2083)에는 황색 형광체가 충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파장 변환층(2080)가 적색 형광체부, 녹색 형광체부 및 청색 형광체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2060)에는 특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는 편광 필터층(20PF)이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터층(20PF)과 상기 절연층(2060)의 사이에는 접착층(20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2061)은 광접착필름(OCA)이나 광접착레진(OCR) 과 같은 광학 성능이 우수한 투광성 접착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편광 필터층(20PF)과 상기 접착층(2061)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빛이 보다 넓게 퍼질 수 있게 된다.
이 때에, 상기 블랙 매트릭스(20BM)는 상기 편광 필터층(20PF)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20BM)가 돌출되어 상기 접착층에 삽입되므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접착층에 박히는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하여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터층(20PF)은 상기 파장 변환층(208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 필터층(20PF)은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층(2060)과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터층(20PF)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편광부(20PF1, 20PF2, 20PF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편광부(20PF1, 20PF2, 20PF3)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에 해당하는 편광부로서, 상기 제1전극(2020)을 따라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2040)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편광부(20PF1, 20PF2, 20PF3)의 입사면에는 텍스터링 또는 roughing 에 의한 미세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편광부(20PF1, 20PF2, 20PF3)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0BM)가 배치되어, 편광부들(20PF1, 20PF2, 20PF3)의 사이에서 격벽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편광부(20PF1, 20PF2, 20PF3)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들(20BM)이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파장 변환층(2080)과 상기 편광 필터층(20PF)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20BM)의 사이에서 서로 오버랩되는 복수의 층을 형성한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20BM)이 상기 편광 필터층(20PF)과 파장 변환층(2080)의 공통적인 격벽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편광부(20PF1, 20PF2, 20PF3)는 상기 형광체부(2081, 2082, 2083)와 동일한 폭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는, 글라스 등의 기판에 블랙 매트릭스를 패터닝 한 후에, 형광체를 먼저 도포하고, 이후에 편광물질을 도포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형광필터와 편광필터가 일체로 구비되어, 블랙 매트릭스의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크로스토크(crosstalk)이 완화되어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시에 의하면, 상기 파장 변환층(2080)에는 컬러 필터(20CF)가 오버랩되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구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에 의하여 상기 컬러 필터(20CF)와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컬러 필터(20CF)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을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컬러 필터(20CF)는 적색 파장, 녹색 파장 및 청색 파장을 필터링하는 복수의 필터링부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링부들(20CF1, 20CF2, 20CF3)이 반복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에, 제2전극을 따라 연속하는 형광체부들의 상측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필터링하는 적색 필터링부(20CF1), 녹색 필터링부(20CF2) 및 청색 필터링부(20CF3)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파장 변환층(2080)은 컬러 필터(20CF)와 조합되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단위화소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하면, 형광필터와 편광필터가 일체로 형성되어 빛을 편광한 후에 여기시키고, 이를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필터링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보다 면광원에 가까운 빛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소자를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다른 형태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본 예시에서는, 앞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3050)는 제1도전형 전극(3156)과, 제1도전형 전극(3156)이 형성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전극을 포함하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2를 참조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기판(3010), 제1전극(3020), 제2전극(3040), 전도성 접착층(3030), 절연층(3060), 격벽(3090), 파장 변환층(3080), 컬러 필터(30CF)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305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나 기능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3060)에는 특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는 편광 필터층(30PF)이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은 상기 파장 변환층(3080)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은 상기 파장 변환층(308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층(3060)과 상기 파장 변환층(308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편광부(30PF1, 30PF2, 30PF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편광부(30PF1, 30PF2, 30PF3)는 각각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화소에 해당하는 편광부로서, 상기 제1전극(3020)을 따라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전극(2040, 도 11 참조)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편광부(30PF1, 30PF2, 30PF3)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30BM)가 배치되어, 편광부(30PF1, 30PF2, 30PF3)의 사이에서 격벽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편광부(30PF1, 30PF2, 30PF3)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들(30BM)이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파장 변환층(3080)과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30BM)의 사이에서 서로 오버랩되는 복수의 층을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30BM)이 상기 편광 필터층(30PF)과 파장 변환층(3080)의 공통적인 격벽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편광부(30PF1, 30PF2, 30PF3)는 상기 형광체부(3081, 3082, 3083)와 동일한 폭을 가지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형광필터와 편광필터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장 변환층(3080)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은 오목렌즈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편광부(30PF1, 30PF2, 30PF3)의 각각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면이 오목한 형상이므로, 입사되는 빛은 옆으로 퍼지게 되며, 따라서 보다 면광원에 가까운 빛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입사면에는 텍스터링 또는 roughing 에 의한 미세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터층(30PF)과 상기 절연층(3060)의 사이에는 접착층(30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61)은 광접착필름(OCA)이나 광접착레진(OCR) 과 같은 광학 성능이 우수한 투광성 접착층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접착층(3061)은 상기 편광 필터층(30PF)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록한 형상은 상기 편광부(30PF1, 30PF2, 30PF3)의 각각의 오목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3061)이 볼록한 형상으로 두께가 늘어나므로, 접착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블랙 매트릭스(3090)는 상기 편광 필터층(30PF)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3090)가 돌출되어 상기 접착층(3061)에 삽입되므로, 상기 블랙 매트릭스(3090)는 상기 접착층(3061)에 박히는 앵커와 같은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하여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예시에 의하면, 점광원이 보다 고르게 전면으로 분산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의 화질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는 격벽을 없애고 절연층에 반사입자를 첨가한 경우를 예시한다.
도 17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도 16에서 격벽 및 절연층의 구조가 변형된 경우를 예시한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본 예시에서는, 앞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시의 각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기판(4010), 제1전극(4020), 제2전극(4040), 전도성 접착층(4030), 접착층, 편광 필터층(40PF), 파장 변환층(4080), 컬러 필터(40CF)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4050)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나 기능은 도 13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전도성 접착층(4030)의 상측에는 절연층(4060)이 적층될 수 있다. 솔더 물질이 제1전극(4020)과 제1도전형 전극(4156)을 연결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배선기판의 상측에 상기 절연층(4060)이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절연층(406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채우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20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4060)은 상기 전도성 접착층(4030)의 절연성 베이스 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절연층(4060)과 상기 전도성 접착층(2030)은 합착에 의하여 일체화되며, 따라서 상기 절연층(406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충전하면서 상기 기판(40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4050)의 사이에 격벽이 없이 절연층만으로 채워진다.
이 경우에, 상기 절연층(4060)에는 반사입자(406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4060)의 수지가 상기 전도성 접착층(4030)에 적층되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채우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입자(4061)는 상기 수지에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반사입자(4061)는 산화티탄,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산화지르코늄 및 실리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입자(4061)는 백색안료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입자(4061)는 편광 필터층(40PF)이나 파장변환층(40PF)에서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로 향하는 빛을 재반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층(4060)은 전도성 접착층(4030)에 적층되며,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를 채우므로 반도체 웨이퍼 상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절연층(4060)의 일면에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전극(2040, 도 11 참조)이 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2040)은 절연층(4060) 상에 위치되며, 상기 배선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2040)은 이웃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연장되어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서로 연결하며, 따라서 상부배선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절연층(4060)은 배선기판(4010)과 제2전극(20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전극(2040)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4050)와 접촉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스캔 신호를 전송하는 스캔 전극으로서 구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전극(4020)이 스캔 전극이 되고, 상기 제2전극(2040)이 데이터 전극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절연층(4060)의 상측으로 접착층(4061), 편광 필터층(40PF), 파장 변환층(4080) 및 컬러 필터(40CF)가 차례로 적층되며, 이를 통하여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가 구현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하면, 양산성이 증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비가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 배선전극이 형성되는 기판;
상기 배선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를 채우도록 이루어지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에 오버랩되며, 특정 방향으로 입사되는 빛을 필터링하는 편광 필터층; 및
상기 편광 필터층에 오버랩되며, 빛의 파장을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는 파장 변환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도록 일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편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편광부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들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층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에 각각 오버랩되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형광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층과 상기 편광 필터층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들의 사이에서 서로 오버랩되는 복수의 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파장 변환층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복수의 편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편광부의 각각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에서 발광된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면에는 텍스터링에 의한 미세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은 상기 파장 변환층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절연층과 상기 파장 변환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터층과 상기 절연층의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편광 필터층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파장 변환층을 복수의 형광체부로 구획하는 블랙 매트릭스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격벽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편광 필터층에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변환층은 황색 형광체를 구비하고,
상기 파장 변환층에는 컬러 필터가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 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3750A KR101947643B1 (ko) | 2016-12-02 | 2016-12-02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CN201780074574.5A CN110050511B (zh) | 2016-12-02 | 2017-01-31 | 使用半导体发光二极管的显示装置 |
EP17876544.2A EP3550937B1 (en) | 2016-12-02 | 2017-01-31 |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 |
PCT/KR2017/001026 WO2018101539A1 (ko) | 2016-12-02 | 2017-01-31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US16/465,011 US10861906B2 (en) | 2016-12-02 | 2017-01-31 |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3750A KR101947643B1 (ko) | 2016-12-02 | 2016-12-02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3687A true KR20180063687A (ko) | 2018-06-12 |
KR101947643B1 KR101947643B1 (ko) | 2019-02-13 |
Family
ID=6224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3750A KR101947643B1 (ko) | 2016-12-02 | 2016-12-02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861906B2 (ko) |
EP (1) | EP3550937B1 (ko) |
KR (1) | KR101947643B1 (ko) |
CN (1) | CN110050511B (ko) |
WO (1) | WO2018101539A1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649A (ko) * | 2018-06-26 | 2020-01-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00006843A (ko) * | 2018-07-11 | 2020-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200016424A (ko) * | 2018-08-06 | 2020-02-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00056795A (ko) * | 2018-11-15 | 2020-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합 부재 상에 무기 발광 소자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167515B1 (ko) * | 2019-10-04 | 2020-10-1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KR102177480B1 (ko) * | 2019-10-04 | 2020-11-1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WO2021066455A1 (ko) * | 2019-10-04 | 2021-04-0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KR20210040778A (ko) * | 2019-10-04 | 2021-04-14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KR20210082446A (ko) * | 2018-10-24 | 2021-07-05 | 소니그룹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
WO2021256839A1 (ko) * | 2020-06-19 | 2021-12-23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단일칩 복수 대역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응용품 |
WO2022025476A1 (ko) * | 2020-07-31 | 2022-0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20025850A (ko) * | 2019-07-31 | 2022-03-03 | 청두 비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
KR20220090330A (ko) * | 2020-12-22 | 2022-06-29 | 한국광기술원 | 편광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입체 화상 표시장치 |
WO2022145567A1 (ko) * | 2020-12-28 | 2022-07-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3976B1 (ko) * | 2017-11-21 | 2023-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10643980B2 (en) * | 2018-01-23 | 2020-05-05 | Epistar Corporation | Light-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
KR102550520B1 (ko) * | 2018-10-08 | 2023-07-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0892257B2 (en) * | 2019-01-21 | 2021-01-12 | Innolux Corporation | Foldable display device |
US11610874B2 (en) * | 2019-06-27 | 2023-03-21 | Intel Corporation | Micro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having hybrid inorganic-organic pixel structures |
US11515297B2 (en) * | 2019-06-27 | 2022-11-29 | Intel Corporation | Micro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having colloidal or graded index quantum dot films |
JP7333226B2 (ja) * | 2019-08-28 | 2023-08-24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
WO2021079424A1 (ja) * | 2019-10-23 | 2021-04-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 |
CN211555890U (zh) * | 2019-12-02 | 2020-09-22 |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 Led显示装置 |
US11901497B2 (en) * | 2019-12-24 | 2024-02-13 | Seoul Viosys Co., Ltd. | Method of repairing light emitting device, apparatus for repair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panel having repaired light emitting device |
US11810904B2 (en) * | 2020-02-24 | 2023-11-07 | PlayNitride Display Co., Ltd. | Micro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icro light emitting diode device |
US11817535B2 (en) * | 2020-04-21 | 2023-11-14 | Raysolve Optoelectronics (Suzhou) Company Limited |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N111785751B (zh) * | 2020-06-23 | 2024-06-28 | 东莞市中晶半导体科技有限公司 | 可区块电测的Micro LED晶圆及转移方法 |
CN113451491B (zh) * | 2020-09-29 | 2022-04-29 |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
KR20220049065A (ko) * | 2020-10-13 | 2022-04-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
KR20220111809A (ko) * | 2021-02-02 | 2022-08-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US11721796B2 (en) * | 2021-03-29 | 2023-08-08 | Tectus Corporation | LED displays fabricated using hybrid bonding |
CN113921673B (zh) * | 2021-08-26 | 2023-10-20 | 深圳市隆利科技股份有限公司 | 用于显示的发光二极管 |
US11973068B2 (en) * | 2021-10-28 | 2024-04-30 | PlayNitride Display Co., Ltd. | Micro LE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ming the same |
TWI829389B (zh) * | 2022-10-12 | 2024-01-11 | 隆達電子股份有限公司 | 發光元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7985A (ko) * | 2012-06-08 | 2013-1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050655A (ko) * | 2013-10-29 | 2015-05-11 | 주식회사 루멘스 | 면광원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
KR20160125198A (ko) * | 2015-04-21 | 2016-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6907B1 (ko) | 2004-04-30 | 2007-11-19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발광 디스플레이 |
KR101452768B1 (ko) * | 2012-08-21 | 2014-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TWI594661B (zh) * | 2013-04-19 | 2017-08-01 | 隆達電子股份有限公司 | 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製造方法 |
KR102227086B1 (ko) * | 2014-03-05 | 2021-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CN104280935A (zh) * | 2014-10-28 | 2015-01-1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彩膜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
TWI544620B (zh) | 2014-12-30 | 2016-08-01 | 業鑫科技顧問股份有限公司 | 顯示面板 |
KR101688160B1 (ko) | 2015-01-27 | 2016-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JP6496023B2 (ja) * | 2015-06-30 | 2019-04-03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KR102373200B1 (ko) * | 2015-07-14 | 2022-03-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CN105911709A (zh) * | 2016-06-22 | 2016-08-31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3d微发光二极管显示装置 |
-
2016
- 2016-12-02 KR KR1020160163750A patent/KR1019476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01-31 US US16/465,011 patent/US10861906B2/en active Active
- 2017-01-31 CN CN201780074574.5A patent/CN110050511B/zh active Active
- 2017-01-31 WO PCT/KR2017/001026 patent/WO2018101539A1/ko unknown
- 2017-01-31 EP EP17876544.2A patent/EP355093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37985A (ko) * | 2012-06-08 | 2013-1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50050655A (ko) * | 2013-10-29 | 2015-05-11 | 주식회사 루멘스 | 면광원 디스플레이 장치, 조명 장치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유닛 |
KR20160125198A (ko) * | 2015-04-21 | 2016-10-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649A (ko) * | 2018-06-26 | 2020-01-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1983350B2 (en) | 2018-06-26 | 2024-05-14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00006843A (ko) * | 2018-07-11 | 2020-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200016424A (ko) * | 2018-08-06 | 2020-02-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1682693B2 (en) | 2018-08-06 | 2023-06-20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KR20210082446A (ko) * | 2018-10-24 | 2021-07-05 | 소니그룹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
KR20200056795A (ko) * | 2018-11-15 | 2020-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접합 부재 상에 무기 발광 소자 및 차광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
KR20220025850A (ko) * | 2019-07-31 | 2022-03-03 | 청두 비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
KR102167515B1 (ko) * | 2019-10-04 | 2020-10-19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KR20210040778A (ko) * | 2019-10-04 | 2021-04-14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WO2021066455A1 (ko) * | 2019-10-04 | 2021-04-08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KR102177480B1 (ko) * | 2019-10-04 | 2020-11-11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색변환 패널 |
US12055816B2 (en) | 2019-10-04 | 2024-08-06 | Dongwoo Fine-Chem Co., Ltd. | Color conversion panel |
WO2021256839A1 (ko) * | 2020-06-19 | 2021-12-23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단일칩 복수 대역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응용품 |
US11621370B2 (en) | 2020-06-19 | 2023-04-04 | Seoul Viosys Co., Ltd. | Single chip multi band led and application thereof |
US11843076B2 (en) | 2020-06-19 | 2023-12-12 | Seoul Viosys Co., Ltd. | Single chip multi band led and application thereof |
WO2022025476A1 (ko) * | 2020-07-31 | 2022-02-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20090330A (ko) * | 2020-12-22 | 2022-06-29 | 한국광기술원 | 편광화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입체 화상 표시장치 |
WO2022145567A1 (ko) * | 2020-12-28 | 2022-07-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550937A4 (en) | 2020-07-15 |
WO2018101539A1 (ko) | 2018-06-07 |
EP3550937A1 (en) | 2019-10-09 |
EP3550937B1 (en) | 2021-04-07 |
CN110050511A (zh) | 2019-07-23 |
KR101947643B1 (ko) | 2019-02-13 |
US20190295996A1 (en) | 2019-09-26 |
US10861906B2 (en) | 2020-12-08 |
CN110050511B (zh) | 2021-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47643B1 (ko)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88163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71461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77794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605472B1 (ko)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605471B1 (ko)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12409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90003162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316325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529934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50104449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70096471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88160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90052112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114439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80065342A (ko)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80093767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60136148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456740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80130357A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61209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62881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613757B1 (ko) |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89729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71463B1 (ko)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