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471A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471A
KR20170096471A KR1020160017891A KR20160017891A KR20170096471A KR 20170096471 A KR20170096471 A KR 20170096471A KR 1020160017891 A KR1020160017891 A KR 1020160017891A KR 20160017891 A KR20160017891 A KR 20160017891A KR 20170096471 A KR20170096471 A KR 20170096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semiconductor light
thin film
film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412B1 (ko
Inventor
김선옥
여환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412B1/ko
Priority to US15/998,662 priority patent/US10770631B2/en
Priority to PCT/KR2017/001684 priority patent/WO2017142315A1/ko
Publication of KR2017009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 H01L21/02063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the processing being the formation of vias or contact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185Joining of semiconductor bodies for junction formation
    • H01L21/187Joining of semiconductor bodies for junction formation by direct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01L33/387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 region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miconductor body and being electrically interconnected by another electrod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05B33/145Arrangements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별화소를 형성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와,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상기 상면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타측을 구비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비아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서 박형, 플렉서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반해, 현재 상용화된 주요 디스플레이는 LCD(Liguid Crystal Display)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표되고 있다.
그러나, LCD의 경우에 빠르지 않은 반응 시간과, 플렉서블의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AMOLED의 경우에 수명이 짧고, 양산 수율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플렉서블의 정도가 약하다는 취약점이 존재한다.
한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잘 알려진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배선기판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전도성 접착층을 이용하여 합착하는 프로세스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을 이용하여, 배선전극과 반도체 발광 소자의 도전형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에, 합착 공정에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반도체 발광소자를 배선에 메탈 본딩하는 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고정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뢰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도성 접착층을 이용하지 않고도 배선 신뢰도가 높은 새로운 형태의 배선 메커니즘에 대하여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도성 접착층을 이용하지 않는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배선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반도체 발광소자를 전사한 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배선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별화소를 형성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와,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상기 상면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타측을 구비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비아홀이 형성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은 상기 접착층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비아홀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비아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어지는 연결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착층의 타면을 덮는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의 일측에는 게이트 영역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상기 게이트 영역보다 상기 상면으로부터 먼 상기 절연막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보호층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화소전극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상기 보호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하측은 유연기판이 덮을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2도전형 전극은 공통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접착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접착층의 비아홀을 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와 반도체 발광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접착층에 전사한 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배선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디스플레이의 상면에 가까운 구조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사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접착층의 비아홀을 이용함에 따라, 이방성 전도성 필름과 같은 전도성 물질이 필요없는 배선구조를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배선전극과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합착 공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박막 트랜지스터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라인 E-E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배선구조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 도 13e, 도 13f, 도 13g 및 도 13h 는 도 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 도 14e 및 도 14f는 도 13f의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5는 플립 칩 타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배선구조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추후 개발되는 새로운 제품형태이라도,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장치에는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외력에 의하여 휘어질 수 있는, 구부러질 수 있는, 비틀어질 수 있는, 접힐 수 있는, 말려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특성을 유지하면서, 종이와 같이 휘어지거나,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거나 말 수 있는 얇고 유연한 기판 위에 제작되는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휘어지지 않는 상태(예를 들어, 무한대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1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평면이 된다. 상기 제1상태에서 외력에 의하여 휘어진 상태(예를 들어, 유한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상태, 이하, 제2상태라 한다)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곡면이 될 수 있다. 도시와 같이, 상기 제2상태에서 표시되는 정보는 곡면상에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각 정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단위 화소(sub-pixel)의 발광이 독자적으로 제어됨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단위 화소는 하나의 색을 구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를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단위 화소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 종류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예시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제2상태에서도 단위 화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라인 B-B 및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들이며, 도 4는 도 3a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컬러를 구현하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예시한다. 다만, 이하 설명되는 예시는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판(110), 제1전극(120), 전도성 접착층(130), 제2전극(1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기판(110)은 유리나 폴리이미드(PI, 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예를 들어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10)은 투명한 재질 또는 불투명한 재질 어느 것이나 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제1전극(1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전극(120)은 기판(1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절연층(160)은 제1전극(120)이 위치한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층(160)에는 보조전극(17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된 상태가 하나의 배선기판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층(160)은 폴리이미드(PI, Polyimide), PET, PEN 등과 같이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로, 상기 기판(110)과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기판을 형성할 수 있다.
보조전극(170)은 제1전극(120)과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서, 절연층(160) 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12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170)은 닷(dot) 형태이며, 절연층(160)을 관통하는 전극홀(171)에 의하여 제1전극(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극홀(171)은 비아 홀에 도전물질이 채워짐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절연층(160)의 일면에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연층(160)과 전도성 접착층(130)의 사이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가 형성되거나, 절연층(160)이 없이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전도성 접착층(130)이 기판(110)상에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전도성 접착층(130)이 절연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접착성과 전도성을 가지는 층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에서는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과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접착층(130)은 연성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로서, 전도성 접착층(1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두께를 관통하는 Z 방향으로는 전기적 상호 연결을 허용하나, 수평적인 X-Y 방향으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는 레이어로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Z축 전도층으로 명명될 수 있다(다만, 이하 '전도성 접착층'이라 한다).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이방성 전도매질(anisotropic conductive medium)이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부분만 이방성 전도매질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부분적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위하여 다른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열 및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가해지거나 UV 경화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매질은 예를 들어, 도전볼이나 전도성 입자가 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에 혼합된 형태의 필름으로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부분만 도전볼에 의하여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전도성 물질의 코어가 폴리머 재질의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절연막이 파괴되면서 코어에 의하여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때, 코어의 형태는 변형되어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서로 접촉하는 층을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열 및 압력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며,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접착되는 상대물의 높이차에 의하여 Z축 방향의 전기적 연결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 코어에 전도성 물질이 피복된 복수의 입자가 함유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열 및 압력이 가해진 부분이 전도성 물질이 변형되어(눌러 붙어서)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도성 물질이 Z축 방향으로 절연성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여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도성 물질은 뽀족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도전볼이 절연성 베이스 부재의 일면에 삽입된 형태로 구성되는 고정배열 이방성 전도성 필름(fixed array ACF)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성 베이스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며, 도전볼은 상기 절연성 베이스부재의 바닥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도전볼과 함께 변형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절연성 베이스부재에 도전볼이 랜덤하게 혼입된 형태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어느 한 층에 도전볼이 배치되는 형태(double-ACF) 등이 모두 가능하다.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는 페이스트와 도전볼의 결합형태로서, 절연성 및 접착성의 베이스 물질에 도전볼이 혼합된 페이스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은 전도성 particle 혹은 nano 입자를 함유한 형태의 솔루션이 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제2전극(140)은 보조전극(170)과 이격하여 절연층(160)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하는 절연층(160) 상에 배치된다.
절연층(160)에 보조전극(170)과 제2전극(140)이 위치된 상태에서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플립 칩 형태로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제1전극(120) 및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156), p형 전극(156)이 형성되는 p형 반도체층(155), p형 반도체층(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54), 활성층(154) 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53) 및 n형 반도체층(153) 상에서 p형 전극(156)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n형 전극(1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p형 전극(156)은 보조전극(170)과 전도성 접착층(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n형 전극(152)은 제2전극(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보조전극(17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하나의 보조전극이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극을 중심으로 좌우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p형 전극들이 하나의 보조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 및 압력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130)의 내부로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압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p형 전극(156)과 보조전극(170) 사이의 부분과,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n형 전극(152)과 제2전극(140) 사이의 부분에서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압입이 없어 전도성을 가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130)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보조전극(170) 사이 및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제2전극(140) 사이를 상호 결합시켜줄 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까지 형성시킨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발광 소자 어레이(array)를 구성하며, 발광 소자 어레이에는 형광체층(180)이 형성된다.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단위 화소를 구성하며, 제1전극(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전극(120)은 복수 개일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예컨대 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전극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이 플립 칩 형태로 접속되므로, 투명 유전체 기판에 성장시킨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사이에 격벽(1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1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전도성 접착층(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1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격벽(1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블랙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를 증가시킬 수 있다.
형광체층(180)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형광체층(180)은 상기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형광체층(1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181) 또는 녹색 형광체(182)가 될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1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1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1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극(120)의 각 라인을 따라 하나의 색상의 형광체가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전극(120)에서 하나의 라인은 하나의 색상을 제어하는 전극이 될 수 있다. 즉, 제2전극(140)을 따라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위 화소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대신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퀀텀닷(QD)이 조합되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층들의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1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1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질화 갈륨(GaN)을 주로 하여, 인듐(In) 및/또는 알루미늄(Al)이 함께 첨가되어 청색을 비롯한 다양한 빛을 발광하는 고출력의 발광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각각 단위 화소(sub-pixel)를 이루기 위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R, G, B)가 교대로 배치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루며, 이를 통하여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는 황색 형광체층이 개별 소자마다 구비된 백색 발광 소자(W)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위 화소를 이루기 위하여,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색 발광 소자(W) 상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반복되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자외선 발광 소자(UV) 상에 적색 형광체층(181), 녹색 형광체층(182), 및 청색 형광체층(183)이 구비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는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UV)까지 전영역에 사용가능하며, 자외선(UV)이 상부 형광체의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 사용가능한 반도체 발광 소자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예시를 다시 살펴보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전도성 접착층(130) 상에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단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사각형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단위 화소로 이용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기 위한 충분한 밝기가 나타난다. 따라서, 단위 화소의 크기가 한 변이 600㎛, 나머지 한변이 300㎛인 직사각형 화소인 경우를 예로 들면, 반도체 발광 소자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HD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위치된 절연층(160) 상에 전도성 접착층(130)을 형성한다. 제1기판(110)에 절연층(160)이 적층되어 하나의 기판(또는 배선기판)을 형성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제1전극(120),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 제1전극(120)과 제2전극(140)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1기판(110) 및 절연층(160)은 각각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접착층(130)은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절연층(160)이 위치된 기판에 이방성 전도성 필름이 도포될 수 있다.
다음에,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들의 위치에 대응하고,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위치된 제2기판(112)을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와 대향하도록 배치한다.
이 경우에, 제2기판(112)은 반도체 발광 소자(150)를 성장시키는 성장 기판으로서, 사파이어(spire) 기판 또는 실리콘(silicon) 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웨이퍼(wafer) 단위로 형성될 때,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룰 수 있는 간격 및 크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을 열압착한다. 예를 들어,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ACF press head 를 적용하여 열압착될 수 있다. 상기 열압착에 의하여 배선기판과 제2기판(112)은 본딩(bonding)된다. 열압착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특성에 의해 반도체 발광 소자(150)와 보조전극(170) 및 제2전극(140)의 사이의 부분만 전도성을 가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전극들과 반도체 발광소자(1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에,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를 통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150) 사이에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제2기판(112)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법(Laser Lift-off, LLO) 또는 화학적 리프트 오프법(Chemical Lift-off, CLO)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판(112)을 제거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들(15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필요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150)가 결합된 배선기판 상을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코팅하여 투명 절연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50)의 일면에 형광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1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적색 형광체 또는 녹색 형광체가 상기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의 일면에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이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 예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직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변형예 또는 실시예에서는 앞선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된다.
도 7은 발명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은 도 8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210), 제1전극(220), 전도성 접착층(230), 제2전극(2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포함한다.
기판(210)은 제1전극(22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제1전극(220)은 기판(210) 상에 위치하며,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20)은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도성 접착층(230)은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기판(210)상에 형성된다.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전도성 접착층(230)은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 이방성 전도 페이스트(paste), 전도성 입자를 함유한 솔루션(solu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도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의하여 전도성 접착층(230)이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기판(210) 상에 제1전극(22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접속시키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제1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1전극(220) 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 열 및 압력이 가해지면 부분적으로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생성된다. 따라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서는 두께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지는 부분(231)과 전도성을 가지지 않는 부분(232)으로 구획된다.
또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접착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전도성 접착층(230)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제1전극(220)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기계적 결합까지 구현한다.
이와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80㎛ 이하일 수 있고,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일 수 있다.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20X80㎛ 이하의 크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수직형 구조가 될 수 있다.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사이에는, 제1전극(2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전극(240)이 위치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는 p형 전극(256), p형 전극(256) 상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255), p형 반도체층(2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54), 활성층(254)상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253) 및 n형 반도체층(253) 상에 형성된 n형 전극(252)을 포함한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한 p형 전극(256)은 제1전극(220)과 전도성 접착층(2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n형 전극(252)은 후술하는 제2전극(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극을 상/하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칩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일면에는 형광체층(28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2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형광체층(28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281) 및 녹색 형광체(282) 일 수 있다.
즉, 적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281)가 적층될 수 있고, 녹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282)가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청색의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251)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청색, 적색, 녹색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본 실시예를 살펴보면,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하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은 복수의 열로 배치되고,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의 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제2전극(240)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25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전극(240)은 일 방향으로 긴 바(bar) 형태의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전극과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제2전극(240)에서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전극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형 전극은 오믹(ohmic) 접촉을 위한 오믹 전극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전극은 인쇄 또는 증착에 의하여 오믹 전극의 적어도 일부를 덮게 된다. 이를 통하여 제2전극(240)과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n형 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형성된 기판(210) 상에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을 포함하는 투명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절연층이 형성된 후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킬 경우, 상기 제2전극(240)은 투명 절연층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전극(240)은 전도성 접착층(230) 또는 투명 절연층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만약 반도체 발광 소자(250) 상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키기 위하여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한다면, ITO 물질은 n형 반도체층과는 접착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 제2전극(240)을 위치시킴으로써, ITO와 같은 투명 전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투명한 재료 선택에 구속되지 않고, n형 반도체층과 접착성이 좋은 전도성 물질을 수평 전극으로 사용하여 광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는 격벽(29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29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접착층(2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방성 전도성 필름에 반도체 발광 소자(250)가 삽입됨에 의하여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부재가 상기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방성 전도성 필름의 베이스 부재가 블랙이면, 별도의 블랙 절연체가 없어도 상기 격벽(290)이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격벽(190)으로서, 반사성 격벽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격벽(29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2전극(240)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의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바로 위치된 경우, 격벽(290)은 수직형 반도체 발광 소자(250) 및 제2전극(240)의 사이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250)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250)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제2전극(240)을 반도체 발광 소자(25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HD 화질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도시에 의하면,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29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291)는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전도성 접착층(230) 상에 위치되며, 이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개별 화소를 구성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25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들이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예시들은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술한 예시들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나, 이 경우에 배선전극과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합착 공정에서 박막 트랜지스터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도체 발광소자와 배선전극을 메탈 본딩할 수 있으나, 이는 고정세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신뢰성을 확보하기 힘들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하며, 이하, 이러한 메커니즘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발광소자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라인 E-E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배선구조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의 도시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전극(1020)과 상측에 배치되는 제2전극(1040)에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10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전극(1020)은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10)은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은 유연기판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판은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수직형 구조의 반도체 발광 소자 가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제1도전형 전극(1156)이 형성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1154)과, 상기 활성층(1154) 상에 형성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전극(115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은 각각 n형 전극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n형이 되고 제2도전형이 p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1020)은 화소당 구비되는 화소 전극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1100)와 연결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가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시에서는, 화소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1100)와 연결되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전극(1040)은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전극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2040)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배선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측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제2전극(1040)은 복수의 전극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시에서는 반도체 발광 소자(1050)가 공통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1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별 화소를 형성한다.
이 때에, 반도체 발광 소자(1050)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반도체 발광 소자(1050) 상에는 발광 소자(1050)에서 발광된 빛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는 형광체층(108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체층(1080)은, 청색 광과 혼합되어 청색 광을 백색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황색 형광체층이 될 수 있다.
형광체층(1080)에 의하여 변환된 백색 광을 이용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원색을 구현하도록, 컬러 필터부(1090)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색(R) 필터(1091), 녹색(G) 필터(1092), 및 청색(B) 필터(1093)가 구비되어, 각각의 발광 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화소는 단위 화소(서브 픽셀; sub-pixel)을 이루고, 이러한 3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필터부(1090)의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필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10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1094)는 필터들의 사이에 갭을 만들고, 흑색 물질이 상기 갭을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블랙 매트릭스(1094)는 외광반사를 흡수함과 동시에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형광체층(1080)이 적색 형광체층과 녹색 형광체층을 구비하여, 도 2, 도 3a 및 도 3b과 같이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적색 형광체층과 녹색 형광체층을 이용하여 적색 및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은 접착층(10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30)에는 전술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 등과 같이 도전성 물질이 이용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성과 접착성이 있는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접착층(1030)은 접착성을 가지는 폴리머 계열의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접착층(1030)에는 빛을 반사하는 물질이 혼합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서 발생하여 하측으로 향하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1050)의 사이에는 절연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발광소자들(1050)의 사이에는 갭 절연층(105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갭 절연층(1054)의 하부에 상기 접착층(1030)이 배치된다. 이때에, 상기 절연물질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 간의 혼색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1030)의 하부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물질이 덮고 있는 상기 접착층(1030)의 일면의 반대면인, 상기 접착층(1030)의 타면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를 보호하는 보호층(112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1120)의 내부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보호층(112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으로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를 피복하는 층이 될 수 있으며, 개별 박막 트랜지스터(1100) 사이의 갭을 충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보호층(1120)은 무기막(SiO2, SiN) 또는 유기막(PI)이 되거나, 무기막/유기막의 이중 구조가 될 수 있다.
유연기판(1010)이 상기 보호층(1120)의 하측을 덮게 되며, 상기 유연기판(1010과 상기 보호층(1120)은 접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연기판(1010과 상기 보호층(1120)의 사이에도 접착층(1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전술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의 화소전극(102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로부터 상기 보호층(1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와 화소전극(1020)은 보호층(1120)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114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적층구조에 더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가깝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착층(1030)의 비아홀(1031)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그리고 채널 영역을 가지며, 채널 영역에는 게이트 전극(1102)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소스 영역은 반도체 발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의 구동에 의하여 발광될 화소가 능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가깝도록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게이트 영역의 게이트 전극(1102)은 상기 접착층(103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50)가 상기 접착층(1030)에 부착된 후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의 증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상기 접착층(1030)의 일면에 부착된 후에, 상기 접착층(1030)의 타면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가 증착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1156)은 상기 접착층(10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는 상기 접착층(1030)의 타면을 덮는 절연막(1103)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1103)의 일측에는 게이트 영역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상기 게이트 영역보다 상기 상면으로부터 먼 상기 절연막(110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는 상측에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배치되는 뒤집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의 비아홀(1031)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층(203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타측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103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50)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가 배치되며, 상기 비아홀(1031)을 통하여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110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화소 전극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소 전극(1020)은 제2전극(104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1104)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전극(104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게이트 전극(1102)과 연결되는 게이트 배선(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아홀(1031)은 상기 접착층에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1031)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비아홀(103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어지는 연결전극(1032)이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1031)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전극(1032)을 통하여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1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층의 비아홀과 박막 트랜지스터가 뒤집한 구조를 통하여, 전도성 접착층을 이용하지 않으면서도,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사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배선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새로운 배선 구조를 형성하는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3d, 도 13e, 도 13f, 도 13g 및 도 13h 는 도 1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고,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 도 14e 및 도 14f는 도 13f의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제조방법에 의하면, 기판에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결합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예를 들어, 성장기판에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 활성층(1154)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1153)을 성장시키고, 식각을 통하여 각 반도체 발광소자를 생성한 후에 제1도전형 전극(1156)을 형성한다(도 13a).
성장기판(1011)(웨이퍼)은 광 투과적 성질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사파이어(Al2O3), GaN, ZnO, Al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성장기판(1101)은 반도체 물질 성장에 적합한 물질, 캐리어 웨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열 전도성이 뛰어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도성 기판 또는 절연성 기판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사파이어(Al2O3) 기판에 비해 열전도성이 큰 SiC 기판 또는 Si, GaAs, GaP, InP, Ga2O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1도전형 전극(1156)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11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n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접착층(1030)을 이용하여 임시기판(1012)에 결합하며, 성장기판(1011)을 제거한다(도 13b). 상기 임시기판(1012)은 이후의 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을(1030)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접착층(1030)에는 전술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 등과 같이 도전성 물질이 이용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성과 접착성이 있는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접착층(1030)은 접착성을 가지는 폴리머 계열의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1156)은 상기 접착층(10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1030)에는 빛을 반사하는 물질이 혼합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서 발생하여 하측으로 향하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2도전형 반도체층에 제2도전형 전극(1152)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2도전형 전극(1152)을 서로 연결하는 2전극(1040, 도 10 참조)을 형성한다(도 13c). 상기 제2전극(1040)은 상부 배선으로서,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과 직접 연결되며, 이 경우에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과 제2전극(1040)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2도전형 전극(1152)과 제2전극(1040)은 일체로 이루어져서 상부전극을 구성하며, 상기 상부전극이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덮으면서 인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에는 절연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이때에, 상기 절연물질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 간의 혼색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절연물질 및 상부전극의 상측에는 커버 필름(101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필름(1013)은 이후에 제거되는 필름이 될 수 있으며, 제조공정 중에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105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임시기판(1012)을 제거하고, 상기 커버 필름(1013)을 다른 임시기판 (1014, 이하, 제2임시기판이라 한다)부착한다(도 13d). 이 때에, 상기 임시기판(1012)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법(Laser Lift-off, LLO)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임시기판(1014)과 상기 커버 필름(1013)의 가점착을 위하여, 상기 커버 필름(1013)과 상기 제2임시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층(1030)에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가 진행된다(도 13e). 상기 비아홀은 상기 접착층에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아홀(1031)을 통하여 상기 제1도전형 전극(1156)은 상기 접착층에 의하여 덮이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증착하고, 보호층(1120)을 형성하고, 상기 증착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비아홀(10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비아홀(103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어지는 연결전극(1032)을 형성한다(도 13f). 이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과 비아홀(1031)을 연결하는 하부배선 공정은 도 14a 내지 도 14f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으로,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1120)을 유연기판(1010)에 부착하고(도 13g), 임시기판(1014)을 제거한다(도 13h). 이 때에,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 적색 반도체 발광소자 및 녹색 반도체 발광소자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부의 기본 공정이 끝나게 된다. 다만, 전술한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가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인 경우에는, 청색, 적색 및 녹색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커버 필름을 제거하고 형광체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하부배선 공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도 13e의 상태에서 비아홀(1031)에 전극(1031a)을 패터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도 14a). 상기 전극(1031a)은 상기 비아홀(1031)을 채우면서 상기 접착층(10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박막 트랜지스터(1100)를 패터닝하는 단계가 진행된다(도 14b). 이 경우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1102)이 먼저 증착되고, 다음으로 절연막(1103), 활성층 및 소스-드레인 전극(1104)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게이트 영역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으로부터 먼 상기 절연막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는 상측에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배치되는 뒤집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아홀 전극(1031a)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가 진행된다(도 14c). 상기 비아홀 전극(1031a)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은 연결전극(103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전극(1032)은 상기 비아홀(103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로 이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전극(1032)은 상기 제2전극(104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4d의 도시에 의하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를 덮는 보호층(1120)을 증착하며, 상기 보호층(1120)에 화소 전극과의 연결을 위한 접촉홀(1121)을 형성한다.
상기 보호층(1120)의 내부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보호층(112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으로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100)를 피복하는 층이 될 수 있으며, 개별 박막 트랜지스터(1100) 사이의 갭을 충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홀(1121)을 이용하여 화소 전극(1020)을 형성(도 14e)하고, 상기 보호층(1120)을 유연기판(1010)과 부착(도 14f)한다.
상기 화소 전극은 화소당 구비되는 전극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1100)와 연결되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제조방법에 의하면, 반도체 발광소자의 전사후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수직형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가 적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하, 플립 칩 타입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플립 칩 타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배선구조를 상측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기판(2010), 제1전극(2020), 접착층(2030), 제2전극(2040) 및 복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20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전극(2020) 및 제2 전극(2040)은 각각 복수의 전극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020) 및 상기 제2전극(2040)은 각각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10)은 배선기판으로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은 유연기판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기판은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050)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반도체 발광 소자가 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2050)는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제1도전형 전극(2156)이 형성되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과,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 상에 형성된 활성층(2154)과, 상기 활성층(2154) 상에 형성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에 형성되는 제2도전형 전극(2152)을 포함한다.
플립 칩 타입이므로,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은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보다 크기가 작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의 적어도 일부는 활성층(2154) 에 의하여 덮이지 않으며,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상기 제2도전형 전극(2152)은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를 향하여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으로부터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2155)은 각각 p형 전극 및 p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전형 전극(215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2153)은 각각 n형 전극 및 n형 반도체층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도전형이 n형이 되고 제2도전형이 p형이 되는 예시도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전극(2020)은 화소당 구비되는 화소 전극으로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2100)와 연결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100)가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시에서는, 화소 전극이 박막 트랜지스터(2100)와 연결되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형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전극(2040)은 상기 제2도전형 전극(21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통전극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2040)은 반도체 발광소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전극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 반도체 발광 소자(2050)는 청색을 발광하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반도체 발광 소자(2050) 상에는 발광 소자(2050)에서 발광된 빛의 파장을 변환시킬 수 있는 형광체층(2080)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광체층(2080)은, 청색 광과 혼합되어 청색 광을 백색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황색 형광체층이 될 수 있다.
형광체층(2080)에 의하여 변환된 백색 광을 이용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3원색을 구현하도록, 컬러 필터부(2090)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색(R) 필터(2091), 녹색(G) 필터(2092), 및 청색(B)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각각의 발광 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화소는 단위 화소(서브 픽셀; sub-pixel)을 이루고, 이러한 3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컬러 필터부(2090)의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각의 필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20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2094)는 필터들의 사이에 갭을 만들고, 흑색 물질이 상기 갭을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블랙 매트릭스(1094)는 외광반사를 흡수함과 동시에 명암의 대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형광체층(2080)이 적색 형광체층과 녹색 형광체층을 구비하여, 도 2, 도 3a 및 도 3b과 같이 청색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광되는 빛을 적색 형광체층과 녹색 형광체층을 이용하여 적색 및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은 접착층(2030)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2030)에는 전술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 등과 같이 도전성 물질이 이용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연성과 접착성이 있는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접착층(2030)은 접착성을 가지는 폴리머 계열의 재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측층(203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부착되는 부분으로부터 리세스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접착층(2030)에는 빛을 반사하는 물질이 혼합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서 발생하여 하측으로 향하는 빛을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들의 사이에는 절연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연물질의 하부에 상기 접착층(2030)이 배치된다. 이때에, 상기 절연물질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 간의 혼색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2030)의 하부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10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물질이 덮고 있는 상기 접착층(2030)의 일면의 반대면인, 상기 접착층(2030)의 타면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100)를 보호하는 보호층(212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2120)의 내부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보호층(212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층간 절연막으로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2100)를 피복하는 층이 될 수 있으며, 개별 박막 트랜지스터(2100) 사이의 갭을 충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유연기판(2010)이 상기 보호층(2120)의 하측을 덮게 되며, 상기 유연기판(2010)과 상기 보호층(2120)은 접착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연기판(2010)과 상기 보호층(2120)의 사이에도 접착층(2130)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전술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화소전극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상기 보호층(21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은 보호층(2120)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2130)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착층(2030)의 비아홀(2031)을 통하여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2156)은 상기 접착층(203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면에 가깝도록 위치하며, 따라서, 상기 게이트 영역의 게이트 전극(2102)은 상기 접착층(203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030)의 비아홀(2031)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접착층(2030)은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타측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층(203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며, 상기 비아홀(2031)을 통하여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210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화소 전극은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2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접한 반도체 발광소자를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상기 비아홀(2031)은 상기 접착층(2030)에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비아홀(2031)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비아홀(2031)에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어지는 연결전극(2032)이 형성된다. 상기 비아홀(2031)은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직접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전극을 통하여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21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접착층(2030)에는 제2도전형 전극(2152)의 배선을 위한 제2비아홀(3031)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형 전극(215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아홀(2031, 이하, 제1비아홀이라 한다)와는 달리 제2비아홀(3031)은 상기 보호층(2120)도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상기 유연기판(2010)의 제2전극(20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접착층 및 배선구조는 플립 칩 타입의 반도체 발광소자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1)

  1. 상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별화소를 형성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게이트 영역이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보다 상기 상면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일측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치되는 타측을 구비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비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은 상기 접착층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형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홀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비아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 이어지는 연결전극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접착층의 타면을 덮는 절연막을 구비하고, 상기 절연막의 일측에는 게이트 영역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영역은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상기 게이트 영역보다 상기 상면으로부터 먼 상기 절연막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의 타면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하는 보호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화소전극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상기 보호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하측을 덮는 유연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2도전형 전극은 공통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 전극은 상기 접착층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017891A 2016-02-16 2016-02-1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1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91A KR102591412B1 (ko) 2016-02-16 2016-02-1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5/998,662 US10770631B2 (en) 2016-02-16 2017-02-16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PCT/KR2017/001684 WO2017142315A1 (ko) 2016-02-16 2017-02-1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91A KR102591412B1 (ko) 2016-02-16 2016-02-1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471A true KR20170096471A (ko) 2017-08-24
KR102591412B1 KR102591412B1 (ko) 2023-10-19

Family

ID=5962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891A KR102591412B1 (ko) 2016-02-16 2016-02-16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70631B2 (ko)
KR (1) KR102591412B1 (ko)
WO (1) WO2017142315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824A (zh) * 2017-09-05 2019-03-05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发光二极管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90115828A (ko) * 2018-04-04 2019-10-14 (주)라이타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0599946A (zh) * 2019-08-08 2019-12-20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tft玻璃基板的高密度led显示箱体及显示屏
KR20200074591A (ko) * 2018-12-17 2020-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 해상도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05843A (ko) * 2018-01-29 2020-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03542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과학기술원 웨이퍼 레벨 전사를 이용한 중/소형 디스플레이의 대량 제조방법 및 대형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US11121171B2 (en) 2018-11-27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576B1 (ko) * 2017-08-08 2021-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355549B2 (en) * 2017-12-29 2022-06-07 Lumileds Llc High density interconnect for segmented LEDs
US11189607B2 (en) * 2018-05-28 2021-11-3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Transparent micro LED display panel
KR102495758B1 (ko) 2018-08-10 2023-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의 제조 방법 및 플립칩 타입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015306A1 (ko) * 2019-07-19 202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26261A (ko) * 2019-10-22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901497B2 (en) * 2019-12-24 2024-02-13 Seoul Viosys Co., Ltd. Method of repairing light emitting device, apparatus for repair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panel having repaired light emitting device
JP2021153114A (ja) * 2020-03-24 2021-09-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配線基板及び表示装置
CN111769108A (zh) * 2020-06-30 2020-10-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3937122B (zh) * 2020-07-14 2022-10-21 重庆康佳光电技术研究院有限公司 Led显示面板及制备方法、电子设备
CN112349745B (zh) * 2020-11-10 2021-06-11 厦门强力巨彩光电科技有限公司 Micro-LED显示面板和Micro-LED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247A (ko) * 2009-08-13 2011-0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097940A (ko) * 2013-01-30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실리콘 산화물과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구비한 tft기판, 상기 tft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상기 tft 기판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791B1 (ko) * 2005-07-30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US8934259B2 (en) * 2011-06-08 2015-01-13 Semprius, Inc. Substrates with transferable chiplets
KR101391774B1 (ko) 2012-03-13 2014-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40086494A (ko) 2012-12-28 2014-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US8987765B2 (en) * 2013-06-17 2015-03-24 LuxVue Technology Corporation Reflective bank structure and method for integrating a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7247A (ko) * 2009-08-13 2011-02-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40097940A (ko) * 2013-01-30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실리콘 산화물과 실리콘 질화물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구비한 tft기판, 상기 tft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상기 tft 기판의 제조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7824A (zh) * 2017-09-05 2019-03-05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发光二极管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90026440A (ko) * 2017-09-05 201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27824B (zh) * 2017-09-05 2023-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包括发光二极管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00105843A (ko) * 2018-01-29 2020-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557705B2 (en) 2018-01-29 2023-0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elements and display device
KR20190115828A (ko) * 2018-04-04 2019-10-14 (주)라이타이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121171B2 (en) 2018-11-27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705479B2 (en) 2018-11-27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74591A (ko) * 2018-12-17 2020-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 해상도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03542A (ko) * 2019-07-02 2021-01-12 한국과학기술원 웨이퍼 레벨 전사를 이용한 중/소형 디스플레이의 대량 제조방법 및 대형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CN110599946A (zh) * 2019-08-08 2019-12-20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tft玻璃基板的高密度led显示箱体及显示屏
CN110599946B (zh) * 2019-08-08 2021-11-16 长春希达电子技术有限公司 基于tft玻璃基板的高密度led显示箱体及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0631B2 (en) 2020-09-08
KR102591412B1 (ko) 2023-10-19
US20200083415A1 (en) 2020-03-12
WO2017142315A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0631B2 (en) Displ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947643B1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1461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8163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9934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21939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6366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3162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1378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68816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4449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28822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3246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86003A (ko)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8066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437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7146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70940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6148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797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6740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30357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1209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109263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2881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