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096A - 조작면의 열적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조작면의 열적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096A
KR20180063096A KR1020187008871A KR20187008871A KR20180063096A KR 20180063096 A KR20180063096 A KR 20180063096A KR 1020187008871 A KR1020187008871 A KR 1020187008871A KR 20187008871 A KR20187008871 A KR 20187008871A KR 20180063096 A KR20180063096 A KR 2018006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levator system
user
control data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토 추퍼트
마르틴 쿠쎄로브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6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다음의 단계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된다: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가 조작면 (29) 상에서 사용자 (15) 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도 있도록 이미지를 투영 또는 묘사하는 단계; 조작면 (29) 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 (29) 의 영역을 검출한 후,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 (37) 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로 그리고 시간에 걸쳐 주변 영역들 (37) 의 온도와 동일해지는 온도로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서 소면적 영역 (31) 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에 대한 조작면 (29) 의 사용자 (15) 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의 함수로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제어 디바이스 (11) 로 송신하는 단계.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프로젝터 (19) 및 적외선 카메라 (21) 가 장착되고 사용자 (15) 에 의해 지니게 될, 이를테면 스마트 안경 (17)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 (16) 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어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 종래의 조작 패널들을 더 이상 제공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조작면의 열적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련된다.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 그리고 이와 함께 제공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이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련된다. 또한, 발명은 그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에 관련된다.
엘리베이터는 특히, 빌딩 내의 상이한 층들 사이에서 승객들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승객은 인간-머신 인터페이스 (HMI) 를 통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전할 수 있어야 하며,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한 승객이 취하고픈 층을 표시할 수 있는 카 조작 패널 (car operating panel; COP) 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보통 제공된다. 또한, 승객이 현재 위치되어 있는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되어야 하는 것을 승객이 표시할 수도 있는 랜딩 조작 패널 (landing operating panel; LOP) 들이 제공된다.
보통, 카 조작 패널 및 랜딩 조작 패널 모두는 별도로 제공될 디바이스들로서 일반적으로 구현되고 이에 의해 승객은 예를 들어 조작면들을 수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그의 커맨드들을 표시할 수도 있다. 조작면들은 보통,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또는 용량성으로 작동될 수도 있는 버튼들의 형태로 빈번하게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수단에 대해 조작 패널을 제공하는 것은, 특히 이에 대해 필요한 하드웨어가 제조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상당한 제조 및 설치 비용을 수반한다. 또한, 이를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마모로 인해 실패의 리스크가 있을 수도 있어서, 상당한 유지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방법 및 디바이스는 이전에 연관된 비용, 설치 비용, 및/또는 유지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구현되는 그러한 제어 디바이스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대응 방법을 구현하도록 프로세서에 명령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으며, 또한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그러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승객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필요성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한 필요성은 독립 청구항들 중 하나의 청구물에 의해 해결될 수도 있다. 이로운 실시형태들이 다음의 기재 및 종속 청구항들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되며, 이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방법 단계들을 갖는다.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조작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도록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투영된다. 그 후, 조작 패널의 이미지 내에서 조작면의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그러한 검출은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로 그리고 시간에 걸쳐 주변 영역들의 온도와 동일해지는 온도로, 조작 패널의 이미지 내에 소면적 영역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조작 패널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후 제어 데이터가 조작 패널의 이미지에 대한 조작면의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의 함수로서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된 제어 데이터는 그 후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특히 하기에 기재된 아이디어들 및 발견들에 의존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과거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는 특히 이 목적을 위해 마련된 조작 패널들을 사용하여 생성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누적되는 제조, 설치, 및/또는 유지 비용들을 감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말하면,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사용자에 대해 가시적이도록 투영되지만, 제공될 특정 구조 또는 디바이스 관련 측정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반드시 제공되지 않는 일종의 가상 조작 패널이 구현될 수도 있는 것이 제안된다. 조작면 상의 가상 조작 패널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즉 볼 수 있도록 조작 패널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가상 조작 패널은 사용자에 대한 증강 현실의 부분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조작면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표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내의 표면 또는 빌딩의 층 상의 표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도어 바로 옆의 표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조작 패널의 이미지는 예를 들어, 카 조작 패널 (COP) 의 및/또는 랜딩 조작 패널 (LOP) 의 이미지일 수도 있다.
사용자 또는 승객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그의 명령 또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 패널의 이미지 내에서 조작면의 적절한 영역을 간단히 터치할 수도 있다. 조작면의 상이한 영역들은, 사용자가 종래의 COP들 및 LOP들에 대한 노브들 및 버튼들과 유사한, 작동 표면들로서 이들을 인지할 수도 있도록 그 상에 투영된 조작 패널의 이미지에 의해 적절히 마킹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패널의 전체 이미지에 비해 영역들이 소면적을 갖는 조작면 상에서 이러한 영역들 중 하나를 터치하며, 이로써 종래 조작 패널들에 대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조작면 상의 조작 패널이 이미지의 소면적 영역을 터치한 것을 검출하기 위해서, 조작면이 예를 들어 일종의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여 광학적으로 모니터링된다.
그러한 광학적 모니터링 동안, 주변 대면적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소면적 영역이 조작면 상의 조작 패널의 이미지 내에서 발생하는지 여부가, 연속적으로 체크되거나 짧은 시간 간격으로 체크된다. 벗어난 온도는 주변 대면적 영역들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을 수도 있다. 소면적 영역의 국부적으로 벗어난 온도는, 사용자가 이전에 짧게 그의 손 또는 손가락으로 국부적으로 소면적 영역을 터치했다는 표시로서 사용될 수도 있어서, 상기 소면적 영역을 가열 또는 냉각한다. 소면적 영역은, 예를 들어 표면적이 0.5 와 20 cm²사이, 바람직하게 1 과 5 cm²사이인, 예를 들어 손의 부분들 또는 손끝의 표면적에 대응할 수도 있다.
소면적 서브 영역이 국부적 터칭에 의해 조작 패널의 투영된 이미지 내에서 "작동" 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또 다른 표시로서,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로부터 벗어나는 소면적 영역 내의 온도가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영역들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는지 여부가 모니터링된다. 이것은 소면적 영역이 이전에 짧게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고 이에 의해 그 온도가 변화되었지만, 이러한 온도 변화가 시간에 의해 사라졌고 따라서 일시적으로 제한되는 표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소면적 영역의 국부적으로 상이한 온도가 실제로 사용자로부터의 터치에 의해 야기되었고 예를 들어, 다른 일시적으로 더 영원한 효과들에 의해 야기되지 않은 것이 검출될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이 검출되면, 조작 패널의 이미지에 대한 그의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가상으로 투영된 조작 패널을 "작동" 하려고 시도했던 경우가 검출될 수도 있다. 이로부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사용하여 이송되기를 원하는 층 또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의 어떠한 다른 기능이 작동하기를 원하는지를 도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데이터가 조작 패널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의 위치의 검출에 기초하여 적절히 생성된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생성된 제어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송신되어서 제어 유닛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를 원하는 층으로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드라이브를 적절히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본 명세서에 제안된 방법에서는,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투영될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그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 또는 "구글 안경", 또는 "스마트 의복" 과 같은, 헤드 탑재형 디스플레이 (HMD) 라 또한 때때로 칭하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아이글래스 (eyeglasses) 일 수도 있다.
오늘날, 그러한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되는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들에는 이미지들을 투영하고, 면적의 영역들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며, 및/또는 연관된 데이터 또는 신호들을 분석하고, 추가로 프로세싱하며 궁국적으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송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컴팩트 컴포넌트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들에는 이미지들이 조작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도 있도록 이미지들을 투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소형 프로젝터 ("비머") 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그러한 지능형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주변 영역들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공간 분해 (spatially resolving) 및/또는 시간 분해 (temporally resolving) 카메라의 형태로 광학 센서들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한 센서들 또는 카메라들은 특히 적외선 방사 (IR) 의 형태로 열 방사를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 카메라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센서들 도는 카메라들은 특히, 예를 들어 주변의 대면적 영역들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소면적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주변들의 공간적으로 분해된 기록들을 공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들 또는 카메라들은 예를 들어, 위에 언급된 소면적 영역의 초기에 벗어난 온도가 시간에 걸쳐 주변 영역들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는 것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시간적으로 분해된 방식으로 주변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게다가,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및/또는 센서들 또는 카메라에 의해 공급된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고 추가로 프로세싱하도록 허용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및 메모리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다른 디바이스들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설계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센서들 또는 카메라에 의해 공급된 이미지 데이터의 분석에 의해 먼저 생성되었던 제어 데이터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방법에 따라 조작 패널의 이미지의 투영을 구현하는 아이디어, 및 방법에 따라 또한 제공될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의 검출 이면의 일 개념은,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영구적으로 설치되는 장비없이 행하는 것이 광범위하게 가능하다는 점에서 알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빌딩의 각 층 상에 영구 LOP 및 엘리베이터 카에 영구 COP 를 제공하여야 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제조하고, 이들을 설치하며, 특히 와이어링 및 이들을 유지하는데 상당한 자원들을 소비하는 대신, 이전에 정지식으로 설치되었던 그러한 장비의 기능들은, 엘리베이터의 사용자들이 다른 목적들을 위한 이벤트에서 보통 휴대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대체로 상정되며, 그 후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BYOD (bring your own device) 개념과 유사하게, 엘리베이터의 승객들은 그 후,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앱") 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그들 소유의 스마트 폰과 같은, 그들 소유의 익숙한 휴대용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그들의 현재 위치로 엘리베이터 카를 전송하도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명령하고,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진입한 후, 원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하도록 엘리베이터 카에 명령할 수도 있다.
종래의 COP들 또는 LOP들에 부가하여 또는 이들을 위한 대체물로서 승객들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들의 사용은 또한,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동안, 휴대용 디바이스를 지닌 승객에 대한 아이덴티티 및/또는 인증들이 고려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이롭게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소정의 사용자들만이 빌딩의 특정 층들로 이송되는 것이고 이들에 대한 액세스를 가져야 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정 인증된 사용자들은 특히,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조작자에 의해 제공될 인증 코드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지니게 될 그들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을 미리 구성할 수도 있어서, 조작 패널이 투영될 때,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이들에게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또한 빌딩의 제한된 액세스 층들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인증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그러한 제한된 액세스 층들의 존재가 심지어 식별가능하지 않거나 표시되지 않는 조작 패널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어서, 예를 들어 그러한 층들이 선택될 수 없다.
대안으로, 승객들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의 이미지는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분인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투영될 수도 있고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들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분인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검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도 있는 방식으로 조작면 상으로 조작 패널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프로젝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또는 센서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 카메라 또는 센서들에 의해 조작면이 광학적으로 모니터링될 수도 있어서 조작 패널이 투영되었던 조작면의 영역을 승객이 터치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그것을 작동하려 시도하는 때가 검출될 수도 있다. 대체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그러한 부가 하드웨어의 제공은 부가 제조 및 설치 비용들을 수반하지만, 예를 들어 투영될 각각의 엘리베이터 승객에 대해 개별적으로 맞춤화된 조작 패널들을 이롭게 허용할 수도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조작 패널의 투영된 이미지에 의해 제한된 액세스 층들에 대한 액세스를 인증된 승객들에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투영에 의해 묘사된 가상 조작 패널의 적응들은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이를 위해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하드웨어를 수정하거나 착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간단히 구현될 수도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조작 패널의 이미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디바이스에 의해 투영되거나 또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면으로서 작용하는 조작면 상으로 직접 투영되거나 그 표면 상에 직접 묘사된다. 즉, 조작 패널의 이미지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조작면에 직접 투영될 수도 있고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조작 패널의 이미지로서 일시적으로 묘사될 수도 있어서, 재생된 조작 패널이 조작면 상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면 상으로 조작 패널을 투영하는 것은,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프로젝터가 엘리베이터 시스템 상에 영구적으로 설치될 때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어서, 조작 패널의 이미지는 첨예하게 포커싱된 조작면 상에 왜곡 없이 묘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는 또한 적절한 방식으로 조작면 상으로 조작 패널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가 조작 패널에 대한 그의 위치 및/또는 배향을 결정할 수 있어서 그 후 첨예하게 포커싱되고 왜곡이 없도록 조작 패널의 이미지를 투영하는 것이 가능할 때 이로울 수도 있다.
원리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관찰될 수도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상에서 임의의 원하는 점유되지 않은 표면이 조작면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조작면의 컬러는 바람직하게 중립 (neutral) 으로 유지되며, 즉 예를 들어 단일 컬러이고, 바람직하게는 밝은 색조, 특히 흰색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그러한 조작면 상으로 투영된 조작 패널들이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된다. 조작면은 바람직하게 평탄하다. 예를 들어, 조작면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인접한 빌딩 층 상에 또는 엘리베이터 카를 커버하는 벽의 표면일 수도 있다. 조작면 또는 그것을 베어링하는 컴포넌트는 수동적일 수도 있으며, 즉 임의의 방식으로 제어가능하거나 조절가능하지 않아야 하며, 또한 결과적으로 전기적 커넥터들 등을 반드시 가져야 할 필요가 없다.
바람직하게, 조작면을 제공하는 컴포넌트는 금속으로 제작되고 구조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열적 용량이 조작면의 영역에서 생성되어서 통상적으로 짧은 방식으로 조작면을 터치하는 사용자가 조작면의 소면적 영역에서 온도의 측정가능하고 검출가능한 변화를 유도한다. 이를 위해, 금속 재료들 또는 심지어 플라스틱 재료들 또는 천연 재료들이 조작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일 실시형태에 따라,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사용자의 눈에 직접 투영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능형 안경의 프로젝터가 관찰자의 눈의 망막 상으로 직접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미지는 관찰자의 단지 하나의 눈에만 또는 대안으로 양 눈에 투영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의 사용자는 조작 패널이 조작면 상으로 투영되고 있었던 것처럼 그의 눈에 투영된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관찰자에 영향을 미치도록 이것에 대한 조작면으로서 적당한, 나타나는 표면 영역을 볼 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 후, 조작 패널 상에 묘사된 제어 기능들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할 층을 선택하기 위해서, 투영된 조작 패널의 특정 소면적 서브 영역들을 수동으로 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눈에 투영된 이미지가 오로지 사용자에게만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하다는 사실을 유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작 패널은 사용자에 대한 조작면 상에서 가시적이지만, 그 면적에 있는 다른 사람들은 이 조작 패널을 볼 수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가 더 잘 보호될 수도 있으며, 이는 면적에 있는 다른 사람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층으로 이동하기를 원하는지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한된 액세스 층들로 이동하도록 사용자가 인증되는 경우, 그는 특히 이것에 관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고, 엘리베이터 카에 있는 다른 승객들이 이것을 검출할 수 없다.
일 실시형태에 따라, 제어 데이터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무선으로 송신된다.
그러한 무선 데이터 송신은 특히,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가 조작 패널의 이미지를 투영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을 검출하며, 및/또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때, 이로울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그 후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어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디바이스에 그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물리적으로 불편하게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WL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직접 송신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로서 사용된 스마트 폰은 대응 데이터를 예를 들어 인터넷 액세스를 통해, "클라우드" 로 송신할 수도 있고, 이로부터 데이터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조작자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포워드될 수도 있다.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제안되며, 이 디바이스는 이전에 설명된 발명의 제 1 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도록 실시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는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조작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도록 그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조작면의 광학적 모니터링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 패널의 이미지 내에서 조작면의 영역들을 검출하고, 조작 패널의 이미지 내에서 소면적 영역들이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로 그리고 시간에 걸쳐 주변 영역들의 온도와 동일해지는 온도로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공간 분해 적외선 카메라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조작 패널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조작면의 영역들의 위치의 함수로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을 가질 수도 있고,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엘리베이터의 제어 유닛으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유닛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구현될 방법의 맥락으로 상기에서 기재되었던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에는 특히 프로젝터로서 작용하는 제어가능한 광원들로 그리고 공간 분해 적외선 카메라로서 작용하는 광 센서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은 조작 패널의 이미지가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되도록 그 이미지를 투영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프로젝터를 적절히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작면에 대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상대적 포지셔닝이 고려될 수도 있다. 게다가, 중앙 프로세싱 유닛은 공간 분해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공급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장착될 수도 있어서, 예를 들어 열적 이미지의 작은 서브 영역이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보다 더 따뜻하거나 더 차가운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로부터 검출하지만, 그 온도는 주변 영역의 온도와 이후 동일하게 되어서, 이로부터 사용자가 이전에 이 영역을 터치했고 이러한 방식으로 그 온도를 수정했다는 결론이 내려질 수도 있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영역이 조작 패널의 투영된 이미지 내에서 미리 특정된 영역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정 기능이 활성화된다. 그 후 프로세싱 유닛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적절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유닛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유닛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는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휴대용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하드웨어를 적절히 제어하고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제공된 소프트웨어 ("앱) 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에 기재된 발명의 제 1 양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의한 위에 언급된 제어 데이터의 생성에 부가하여, 방법은 또한 송신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서, 위에 언급된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생성된 제어 데이터는 이를 위해, 즉 예를 들어 제어 디바이스에 대해 인에이블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생성될 뿐만 아니라 그 후 수신되어서, 그 후 이러한 수신된 제어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명의 일 실시형태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제어 데이터에 부가하여 인증 코드가 수신된다는 점에서 인증될 수도 있다. 그러한 인증 코드는, 예를 들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휴대용 디바이스를 프로세싱하는 사람이 예를 들어, 제한된 액세스 층들에 액세스하는 것과 같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소정의 기능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증되는 것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미리 적절한 인증 코드가 저장된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는 예를 들어, 그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또는 대안으로 제한을 받은 엘리베이터 기능의 실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원하는 경우, 투영된 조작 패널을 통해, 인증 코드를 입력하기 위해 프롬프트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와 함께 휴대하거나 그의 휴대용 디바이스에 별도의 컴포넌트를, 예를 들어 토큰의 형태로 커플링하여야 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토큰은 그 후 인증 코드를 생성 및/또는 방출할 수도 있다.
발명의 제 4 양태에 다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가 기재된다. 상기에 기재된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디바이스에 부가하여, 이 제어 디바이스는 송신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유닛 및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갖는다.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라, 상기에 기재된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에 부가하여, 조작면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되며, 조작면은 목표된 방식으로 조작면의 표면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온도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다.
온도 제어 디바이스 이외에, 조작면은 어떠한 별도의 장비 또는 컴포넌트들을 갖지 않는다. 온도 제어 디바이스는 가열 또는 냉각 유닛일 수도 있다. 온도 제어 디바이스는 특히 넓은 표면적에 걸쳐, 바람직하게 전체 조작면에 걸쳐 균질하게 조작면의 표면 온도를 변화시키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조작면은 사용자의 손의 전형적인 온도와 현저하게 상이한 표면 온도, 즉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의 피부 온도보다 현저히 차가운, 예를 들어 25℃ 보다 더 차가운 표면 온도로 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온도 제어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이와 달리 높은 주변 온도가 존재할 때에도, 적절히 냉각된 온도, 예를 들어 거의 30 ℃ 로 되게 할 수도 있어서, 터치로 인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소면적 영역들이, 주변 영역들로부터 검출가능하게 벗어나는 온도를 일시적으로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그 후 예를 들어 적외선 카메라에 의해 검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발명의 제 1 또는 제 3 양태의 실시형태들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제어하도록 프로세서에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안된다.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일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휴대용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되도록 설계되는 어플리케이션 ("앱") 일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은 발명의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또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 또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데이터 송신 유닛과 같은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에 접속된 컴포넌트들을 적절히 제어하도록 이러한 디바이스의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에 명령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따라,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안된다.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방식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될 수도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도 있다. 특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이 전기적으로 및/또는 자기적으로 취출될 수도 있도록 명령들을 저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를 들어 CD, DVD, 플래시 메모리, EPROM, EEPROM 또는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다운로드될 수도 있는 인터넷 서버들과 같은 부분들일 수도 있다.
발명의 제 8 양태에 따라, 발명의 제 1 또는 제 3 양태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이 제안되며, 이 휴대용 디바이스는 프로젝터 및 적외선 카메라를 갖는다. 즉,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또는 궁국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프로젝터 및 적외선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이 제안된다.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의 일부가 상이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여기에 기재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일부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방법에 대해 기재되고 일부는 디바이스에 대해 기재되며, 방법 및 디바이스는 그 자신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그리고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설계된다. 당업자는 기재된 특징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들을 산출하기 위해서 적절히 결합, 적응, 교환 또는 송신될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재되며, 도면들도 그리고 설명들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또는 디바이스가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는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로서 구현되는 스마트 안경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일정 비율로 단지 개략적일 뿐이고 사실이 아니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같은 참조 부호들은 같은 또는 유사한 피처들을 지칭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2) 가 구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예를 들어, 케이블들 또는 벨트들의 형태로 서스펜션 (suspension) 수단 (5) 으로부터 서스펜드되는 카 (3) 를 가지며, 드라이브 (7) 를 통해 엘리베이터 샤프트 (9)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드라이브 (7) 는 예를 들어, 빌딩 내에서 원하는 층 (13) 으로 카 (3) 를 이동하기 위해서 제어 유닛 (11) 에 의해 적절히 제어된다.
종래, 엘리베이터 카 (3) 에는 사용자 (15) 가 예를 들어, 누름 버튼들에 의해 이송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카 조작 패널 (COP) 가 제공된다. 층 (13) 상에서 대기하는 사용자 (15) 는 랜딩 조작 패널 (LOP) 상의 버튼을 적절히 작동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3) 의 도달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러한 LOP들 및 COP들을 별도로 제공하고 설치하는 것을 회피하고, 이로써 연관된 제조 및 설치 비용들을 회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일종의 가상 조작 패널에 의해 LOP 및 COP 의 기능들이 상정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향후에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사용자들이 LOP 또는 COP 의 그러한 기능들을 상정, 에뮬레이트, 및/또는 가상화할 수 있는 그들 자신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을 보통 가질 것이라는 것이 상정된다. 사용자에 의해 지니게 될 그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17), 또는 의류의 스마트 물품과 같은 소위 "웨어러블" 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는 스마트 안경 (17) 의 형태로 휴대용 디바이스 (16) 를 도시한다. 스마트 안경 (17) 은 통상의 안경처럼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될 수도 있고, 또한 통상의 안경처럼 시력을 수정하기 위해 및/또는 태양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안경 (17) 은 프로젝터 (19), 공간 및 시간 분해 적외선 카메라 (21), 중앙 프로세싱 유닛 (23), 및 데이터 송신 유닛 (25) 을 갖는다. 최신 마이크로 전자기기들을 사용하여, 이들 컴포넌트들 모두가 매우 작은 설치 공간으로 구현되고 따라서 아이글래스 (17) 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 (19)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들 (LED) 의 형태로 제어가능한 광원, 및/또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의 형태로 투영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도 있어서, 공간적으로 분해된 이미지들이 프로젝터 (19) 를 사용하여 아이글래스 (17) 의 전면에 배치된 표면 상으로 투영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젝터 (19) 는 사용자 (15) 의 눈에 직접 이미지들을 투영하기 위해 구현될 수도 있다.
공간 분해 적외선 카메라 (21) 는 아이글래스 (17) 앞에 배치된 표면의 적외선 이미지를 기록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들을 전기 신호들의 시퀀스로 변환하도록, 예를 들어, CCD 칩 또는 서모컬럼 (thermocolumn) 어레이를 사용하여 설계될 수도 있다.
중앙 프로세싱 유닛 (23) 은, 한편으로 예를 들어 프로젝터 (19) 를 제어할 수 있도록, 및/또는 다른 한편으로 적외선 카메라 (21) 에 의해 공급된 이미지를 프로세싱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중앙 데이터 프로세싱 유닛 (CPU)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저장 유닛들을 가질 수도 있다.
대응하여, 추가 프로세싱된 데이터 및 신호들은 최종적으로, 송신 유닛 (25) 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수신기 (39) 와 같은 다른 장비에, 예를 들어 무선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일 발명의 방법에 따라,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태스크, 즉 COP 또는 LOP 에 의해 이전에 상정된 태스크를 에뮬레이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는, 조작면 (29) 상에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사용자 (15) 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 즉 보여질 수 있도록 투영될 수도 있다.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는 프로젝터 (21) 를 사용하여 조작면 (29) 상으로 직접 투영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으로 조작면 (29) 상에서 사용자가 이미지를 보도록 사용자 (15) 의 눈에 투영될 수도 있다.
프로젝터 (21) 는 사용자 (15) 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 (16) 의 부분, 즉 예를 들어 스마트 안경 (17) 의 부분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젝터 (21) 는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컴포넌트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3) 에 또는 엘리베이터 도어 근방의 층 (13) 상의 영역에 견고하게 탑재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기를 원하는 사용자 (15) 는 조작면 (29) 상에서 그에 대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된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를 볼 수도 있으며, 종래 COP 또는 LOP 와 유사하게, 종래의 제어 버튼들을 광학적으로 나타낼 수도 있는 소면적 표면들 (31) 을 검출할 수도 있다. 종래의 조작 패널들에 대하여, 사용자 (15) 는 그의 손 (33) 으로 그러한 소면적 영역들 (31) 을 터치하고 따라서 의사 종래 방식으로 가상 조작 패널 (21) 을 "작동"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작동되는 것은 실제 구조적으로 제공된 버튼들이 아니라, 대신 이에 대해 특별히 별도로 준비되지 않은 표면 상의 영역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서 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상에서 터치된다.
이러한 소면적 영역들 (31) 은,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서 터치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방식으로 가열되지만, 이는 사용자 (15) 의 손 (33) 이, 예를 들어 조작면 (29) 으로서 작용하는 엘리베이터 카 (3) 의 벽보다 보통 더 따뜻하기 때문이다. 특정 경우들에서, 조작면 (29) 은 또한 사용자 (15) 의 손 (33) 보다 따뜻할 수도 있어서, 소면적 영역들 (31) 은 사용자 (15) 의 손 (33) 에 의해 터치될 때 국부적으로 냉각된다.
목표된 방식으로 조작면 (29) 의 표면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조작면 (29) 이 냉각 또는 가열될 수도 있는 온도 제어 디바이스 (35) 가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온도 제어 디바이스 (35) 는 가능한 많은 표면적에 걸쳐 사전 특정가능한 온도로 균질하게 조작면 (29) 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제 작동하는 버튼형 소면적 영역들 (31) 중 사용자가 어느 것을 터치했는지를 검출하고 이로써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 의한 원하는 이송을 표시하기 위해서, 조작면 (29) 은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서, 이들 소면적 영역들 (31) 중 하나가 주변 대변적 영역들 (37) 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광학적으로 모니터링된다.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경우이면, 이것은 이러한 소면적 영역 (31) 이 사용자 (15) 에 의해 이전에 터치되었다는 제 1 표시로서 평가될 수도 있다.
부가적인 표시로서, 이러한 소면적 영역 (31) 의 온도가 시간에 걸쳐 주변 영역 (37) 의 온도와 동일하게 되는지 여부가 모니터링될 수도 있다. 동일하게 되는 경우가 아니면, 국부적으로 증가된 온도는 아마도 이전에 그것을 터치한 사용자 (15) 에 의해 야기되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영향들에 의해 야기되었다는 것이 상정될 수도 있다.
전체적으로, 조작면 (27) 의 기재된 광학 모니터링을 사용하면, 사용자 (15) 가 조작면 (29) 을 터치했는지 여부가 높은 신뢰성으로 검출될 수도 있다. 그 후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 대한 제어 데이터가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에 대한 조작면 (29) 의 사용자 (15) 에 의해 터치된 영역 (31) 의 위치의 분석의 함수로서 생성된다.
이러한 제어 데이터는 그 후 최종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제어 유닛 (11) 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 (11) 은, 휴대용 디바이스 (16) 의 데이터 송신 유닛 (25) 에 의해 송신된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예를 들어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수신기 유닛 (39)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유닛 (11) 은 그 후 엘리베이터 카, 즉 특히 드라이브 (7) 를 적절히 제어하여, 예를 들어 원하는 위치로 엘리베이터 카 (3) 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포함하는" 등과 같은 용어들은 다른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않으며, "a" 또는 "하나" 와 같은 용어들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위의 실시형태들 중 하나를 참조하여 기재한 피처들 또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의 다른 피처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또한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청구항들에서의 참조 부호들이 제한하려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1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3 엘리베이터 카
5 지지 수단
7 드라이브
9 엘리베이터 샤프트
11 제어 유닛
13 층
16 휴대용 디바이스
17 아이글래스
19 프로젝터
21 적외선 카메라
23 중앙 프로세싱 유닛
25 데이터 송신 유닛
27 조작 패널의 이미지
29 조작면
31 소면적 영역
33 손
35 온도 제어 디바이스
37 주변 영역
39 수신 유닛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가 조작면 (29) 상에서 사용자 (15) 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를 투영 또는 묘사하는 단계;
    상기 조작면 (29) 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서, 상기 사용자 (15) 에 의해 터치된, 상기 조작면 (29) 의 영역을 검출한 후,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 (37) 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로 그리고 시간에 걸쳐 상기 주변 영역들 (37) 의 온도와 동일해지는 온도로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 소면적 영역 (31) 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조작면 (29) 의 상기 사용자 (15) 에 의해 터치된 영역의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제어 디바이스 (11) 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가 투영 또는 묘사되고 상기 사용자 (15) 에 의해 터치된 상기 조작면 (29) 의 영역은 상기 사용자 (15) 에 의해 지니게 될 휴대용 디바이스 (16) 에 의해 검출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16) 는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17), 및 스마트 의류를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디바이스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는 상기 조작면 (29) 상에 투영 또는 묘사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15) 의 적어도 하나의 눈으로 직접 투영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데이터는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제어 유닛 (11) 에 무선으로 송신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7.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설계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가 조작면 (29) 상에서 사용자 (15) 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도 있도록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를 투영 또는 묘사하기 위한 프로젝터 (19);
    상기 조작면 (28) 을 광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서, 상기 사용자 (15) 에 의해 터치된, 상기 조작면 (29) 의 영역들을 검출한 후, 대면적의 주변 영역들 (37) 로부터 벗어나는 온도로 그리고 시간에 걸쳐 상기 주변 영역들 (37) 의 온도와 동일해지는 온도로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 내에 소면적 영역 (31) 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공간 분해 (spatially resolving) 적외선 카메라 (21);
    상기 조작 패널 (27) 의 이미지에 대한 상기 조작면 (29) 의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상기 영역들의 위치의 함수로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중앙 프로세싱 유닛 (23);
    생성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제어 디바이스 (11) 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송신 유닛 (25)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9.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송신된 상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인증 코드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제어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로서,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디바이스;
    송신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39); 및
    수신된 상기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11)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
  12.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으로서,
    제 11 항에 기재된 제어 디바이스; 및
    조작면 (29) 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면 (29) 은, 상기 조작면 (29) 의 표면 온도를 목표한 방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온도 제어 디바이스 (35) 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13.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6 항, 제 9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제어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제 13 항에 기재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또는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적외선 카메라 (21) 및 프로젝터 (19) 가 장착된 휴대용 디바이스의 사용.
KR1020187008871A 2015-09-30 2016-09-09 조작면의 열적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80063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87668 2015-09-30
EP15187668.7 2015-09-30
PCT/EP2016/071248 WO2017055054A1 (de) 2015-09-30 2016-09-0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enerieren von steuerdaten zum steuern einer aufzuganlage durch wärmebildüberwachung einer bedienfläc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096A true KR20180063096A (ko) 2018-06-11

Family

ID=5425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871A KR20180063096A (ko) 2015-09-30 2016-09-09 조작면의 열적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82116A1 (ko)
EP (1) EP3356271A1 (ko)
KR (1) KR20180063096A (ko)
CN (1) CN108137267B (ko)
AU (1) AU2016332504B2 (ko)
HK (1) HK1250027A1 (ko)
WO (1) WO2017055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5241A1 (en) * 2015-05-21 2016-11-24 Otis Elevator Company Lift call button without contact
EP3315443B1 (en) * 2016-10-26 2021-03-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virtual hall call panel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SG11202000430WA (en) * 2017-07-18 2020-02-27 Chun Ming Lau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monitoring lifting systems and building facilities
EP3483104B1 (en) * 2017-11-10 2021-09-01 Otis Elevator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elevator systems
CN109928281B (zh) * 2017-12-15 2021-12-31 奥的斯电梯公司 乘客运输系统的维护
US20200324998A1 (en) * 2019-04-11 2020-10-15 Otis Elevator Company Management of elevator service
JP7306572B2 (ja) * 2020-03-30 2023-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EP4172088A1 (en) * 2020-06-29 2023-05-03 KONE Corporation Controlling of elevator system
CN113233266A (zh) * 2021-06-03 2021-08-10 昆山杜克大学 一种无接触式电梯交互系统及其方法
WO2023274683A1 (de) * 2021-06-28 2023-01-05 Inventio Ag Aufzugsanlage und ein bedienverfahr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32A (ja) * 1995-06-28 1997-01-1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呼び登録システム
FR2779559B1 (fr) * 1998-06-09 2000-07-21 Otis Elevator Co Procede et dispositif d'affichage d'une image virtuelle, notamment du tableau de commande d'une cabine d'ascenseur
JP2005263378A (ja) * 2004-03-17 2005-09-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登録ボタン
JP2006076697A (ja) * 2004-09-08 2006-03-2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用個人認証手段
JP2008013299A (ja) * 2006-07-05 2008-01-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CN200981779Y (zh) * 2006-09-22 2007-11-28 广州迪信机电有限公司 投影式电梯控制装置
JP2010143683A (ja) * 2008-12-17 2010-07-01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内呼び登録装置
CN202058091U (zh) * 2011-02-17 2011-11-30 瑞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携式通讯装置
JP2013073434A (ja) * 2011-09-28 2013-04-22 Seiko Epson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CN102701033A (zh) * 2012-05-08 2012-10-03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图像识别技术的电梯按键及方法
FI124166B (fi) * 2013-01-08 2014-04-15 Kone Corp Hissin kutsunantojärjestelmä ja menetelmä hissikutsujen antamiseksi hissin kutsunantojärjestelmässä
US10268276B2 (en) * 2013-03-15 2019-04-23 Eyecam, LLC Autonomous computing and telecommunications head-up displays gla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6271A1 (de) 2018-08-08
WO2017055054A1 (de) 2017-04-06
AU2016332504B2 (en) 2019-07-25
AU2016332504A1 (en) 2018-04-12
CN108137267B (zh) 2021-02-09
HK1250027A1 (zh) 2018-11-23
US20180282116A1 (en) 2018-10-04
CN108137267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325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by monitoring a thermal image of an operating surface
US10955912B2 (en) Protection of and access to data on computing devices
CN105809073B (zh) 用于保护在移动设备上显示的内容的方法和系统
US20170123491A1 (en) Computer-implemented gaze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30355A1 (en) Head-wearable user interface device for lighting related operations
CN106796020A (zh) 灯控系统和方法
US9754094B2 (en) Programmabl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110140109A (ko) 자동적으로 선택가능한 디스플레이 표면들을 사용하는 콘텐츠 보호 방법
EP2833289A1 (en) Programmable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70083082A1 (en) Image processing virtual reality controller system and method
JP2022177247A (ja) 顔認証装置及び顔認証装置の制御方法
US9465250B2 (en) Shutter glasses,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201503512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members of a lighting system
US11416600B2 (en) Unlocking passwords in augmented reality based on look
US10728258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CN105164738A (zh) 警备装置、警备系统及警备模式设定方法
WO2023230291A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ser authentication and device management
CN110058675B (zh) 安全锁定系统
JP6440906B1 (ja) 人物表示制御装置、人物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人物表示制御方法
US10810867B2 (en) Remote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0022646A1 (en) User-aware remote control for shared devices
WO20151995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interaction of a human with at least one device to be controlled
KR102538056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건물 관리 시스템
KR102307726B1 (ko) 근접 통신을 이용한 건물 자동화 시스템
KR102409207B1 (ko)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