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207B1 -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207B1
KR102409207B1 KR1020210153326A KR20210153326A KR102409207B1 KR 102409207 B1 KR102409207 B1 KR 102409207B1 KR 1020210153326 A KR1020210153326 A KR 1020210153326A KR 20210153326 A KR20210153326 A KR 20210153326A KR 102409207 B1 KR102409207 B1 KR 10240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roduct
inspection item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Priority to KR102021015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8Marking de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HMD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전면 카메라로부터 검사 대상인 제품을 포함하는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 및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상기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SSISTING PRODUCT INSPECTION}
본 개시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HMD(Head Mount Display) 장비를 이용한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산 설비에 의해 생산된 제품은 자주검사 및 반복도 확인을 위해 주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제품에 대한 검사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수행하는 경우 검사의 번거로움에 의해 검사를 생략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검사를 수행하더라도 주관적인 기준과 판단에 의해 각 작업자는 검사 결과를 상이하게 판단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자동 검사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자동 검사 장치를 생산 설비에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별도의 공간 낭비를 막기 위해 이동식 자동 검사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복잡한 공장 설비 내부에서 작업자와 함께 효율적으로 이동 및 작업하지 못하여 오히려 공장 작업의 지체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다품종 소량 생산에서는 100% 자동 검사의 어려움이 있다. 생산 제품에 따라서 특정 부위, 조립 여부 등 반드시 사용자가 육안으로 검사를 하는 공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자동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검사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품의 자동 검사 장치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실 세계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디바이스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 디바이스 또는 혼합 현실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는 엔터테인먼트 영역뿐만 아니라 특수 업무 및 차량용 디바이스에 대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가 나오고 있고, 그 중 증강 현실 글래스(Augmented Reality glass, AR glass)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증강 현실 글래스 장치는 사용자의 게임, 영상 통화 등의 엔터테인먼트 또는 문서 작성 등과 같은 간단한 사무 업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즉, 현재의 증강 현실 글래스 장치는 스마트 팩토리 등과 같은 작업 공간에서 작업자의 검사 업무를 지원하기 적합하지 않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MD 장비를 이용하여 제품을 검사하는 작업자를 보조하여 원활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 검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MD(Head Mount Display) 장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은, 전면 카메라로부터 검사 대상인 제품을 포함하는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 및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자동 검사 항목인 경우,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해 자동 검사를 수행하고, 표시하는 단계는, 수행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하는 단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수동 검사 항목인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영역에 대응되는 수동 검사 내용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을 통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받은 수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하는 단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에 자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항목이 포함된 경우, 검사된 검사 항목에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내용이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는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제1 제스처 동작 또는 제2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정상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하거나,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불량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식된 제품이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상의 3차원 기준선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 변경 동작으로 기정의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에 따라,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를 변경하여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HMD 장비의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HMD 장비의 방향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제품의 수동 검사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수동 검사 항목이 확대된 제품 확대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전면 카메라,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투명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전면 카메라로부터 검사 대상인 제품을 포함하는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인식하는 단계,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 및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HMD 장비를 이용하여 제품을 자동으로 검사하는 작업자를 보조하여 원활한 검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 검사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품을 손으로 잡고 검사하는 공정에 있어 HMD 장비가 사전에 정의된 제품의 외형에 대해서 자동 검사를 진행하고, HMD 장비가 정확하게 검사하지 못하는 수동 검사 항목(예컨대, 모서리 부분, 미세한 표면 스크래치, 홈이 파인 안쪽 부품 장착 등)에 대한 부분을 증강 현실로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내용에 대해서 표시를 해주고 수동 검사가 완료가 되면 사용자 입력(예컨대, 손 끝으로 V 표기 등)을 통해 해당 수동 검사 영역에 대해서도 제품 검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품을 잡고 전면, 후면, 배면, 뒷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대해 모두 검사를 하거나 특정 부분을 반드시 사용자가 육안으로 검사가 필요한 공정에서 HMD 장비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검사를 수행하되,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서만 수동 검사를 선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HMD 장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HMD 장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가 검사 대상인 제품을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 상에 표시되는 검사 항목 및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 상에 자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항목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 상에 표시된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 기준선을 변경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 보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네트워크 상에'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라는 용어는 유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기기를 통해 검색 또는 접근 가능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에'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라는 의미는 임의의 전자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 내에 저장된 임의의 콘텐츠 및/또는 이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 또는 접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HMD 장비(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제2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및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122, 124)는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외부 또는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로, 좌측의 전면 카메라(122) 및 우측의 전면 카메라(124)를 포함한다. 후면 카메라(132, 134)는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내부 또는 안쪽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양안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좌안(192)을 촬영하는 좌측의 후면 카메라(132) 및 사용자의 우안(194)을 촬영하는 우측의 후면 카메라(134)를 포함한다. 후면 카메라(132, 134)는 사용자 눈의 움직임, 깜빡임, 동공 크기, 눈물 발생 여부 및 시선 등의 시각 정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면 카메라(132, 134)는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 카메라(132, 13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좌안(192) 및/또는 우안(194)을 촬영하여 홍채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여 보다 고정밀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로,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인식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해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를 투과해서 외부 사물을 인식할 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투과도를 낮춰 사용자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는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는 제2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는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는 제2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는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지 않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는 제2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는 사용자의 좌안(192) 앞에 배치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는 사용자의 우안(194)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투명 OLED 대신에 렌즈에 영상이 투사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빔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향해 방출되고,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사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관제 서버(240)와 주고받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42, 144)를 통해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음원의 방향을 주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미지가 표시될 때, 주방향으로 화살표 또는 나침반 이미지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사용자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외부 상황과 제1 영상을 좌안(192)으로 확인하고, 사용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를 통해 외부 상황과 제2 영상을 우안(194)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트레킹할 수 있다. 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부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영상을 보정하거나, 출력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현실감 있는 증강 현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에 의해 촬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내의 객체에 기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2, 124)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제품이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제품과 대응되는 검사 결과 이미지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좌측의 제1 마이크(142) 및 우측의 제2 마이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42, 144)는 사용자의 음성 및 외부 소리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142, 144)는 전면 카메라(122, 124) 및 후면 카메라(132, 134)의 좌우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142, 14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마이크(142, 144)는 전방을 향하고, 나머지는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이크(142, 144)로 인하여 소리가 들리는 방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142, 144)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로 제공된다. 제어부는 마이크(142, 144)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또는 음성(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표시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180)은 안경 모양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프레임(180)은 두 개의 다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80)의 다리에는 2개의 감지 센서(152, 154)가 각각의 다리에 1개씩 설치되어 사용자의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80)의 전방에는 필요에 따라 증강 현실 HMD 장비(100)를 보호하는 렌즈 또는 강화 유리(170)가 장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보호 렌즈 또는 강화 유리(170) 상에 또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증강 현실 HMD 장비(100)가 사용되는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맞게 작업 현장의 보안경 및 안전장비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레임의 양측에는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증강 현실 HMD 장비(100)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음성 명령, 제스처 명령, 눈동자 명령, 눈 깜빡인 명령,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해 증강 현실 HMD 장비(100)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영상 기록 시작/정지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포트가 프레임(18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HMD 장비(100)를 연결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외부 장치가 일부 작업(예를 들어, 특수 검사 작업)을 증강 현실 HMD 장비(100)를 대신하여 또는 함께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IMU 센서(16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된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방향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영상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변화 정도는 IMU 센서(160)를 통해 센싱된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변경 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 정도는 증강 현실 HMD 장비(100)를 착용한 사용자 머리의 흔들림 정도, 움직임 속도 또는 상하좌우의 빠른 돌림 정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카메라 모듈(212), 디스플레이 모듈(214), 통신 모듈(216), 음성 처리 모듈(218), 영상 처리 모듈(220), IMU 센서 모듈(222), 감지 센서 모듈(224), 저장 모듈(226)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네트워크(230)를 통해 관제 서버(240)와 통신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2)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2)에 의해 촬영된 외부 이미지 및 사용자 양안의 이미지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4)은 적어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주변의 조도 및 사용자의 피로도를 고려해서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밝기 제어, 재생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6)은 증강 현실 HMD 장비(100)가 네트워크(230)를 통해 관제 서버(24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통신 모듈(216)을 통해 데이터를 관제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통신 모듈(216)을 통해 관제 서버(2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6)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음성 처리 모듈(218)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처리 모듈(218)은 외부의 소리 및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하거나, 녹음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결과물을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마이크(142, 14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표시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220)은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의 인식률을 향상하기 위해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개선 처리하여 전처리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 개선 처리는 Denoise 연산 처리, Deblur 연산 처리, High Dynamic Range 연산 처리, Color Tone Mapping 연산 처리, Defog 연산 처리, Brightness 연산 처리, Contrast 연산 처리, Auto White Balance 연산 처리, Back Light Compensation 연산 처리, Decompression 연산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영상 처리 모듈(220)은 촬영된 이미지의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 개선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음성 처리 모듈(218)과 영상 처리 모듈(220)이 제어부(2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10)가 음성 처리 모듈(218)과 영상 처리 모듈(22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MU 센서 모듈(222)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IMU 센서 모듈(222)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감지 센서 모듈(224)은 사용자의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 모듈(224)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은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은 증강 현실 HMD 장비(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마이크로 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카메라 모듈(2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 모듈(226)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모듈(226)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 모듈(226)에 저장하거나 이벤트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깊이 센서(Depth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깊이 센서는 스테레오 카메라, LiDAR 센서, ToF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깊이 센서를 이용하여 사물(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인식된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4) 상에 영상을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눈동자 트레킹(즉, 좌안 및 우안의 움직임 추적)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에 따라 깊이감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도록 영상을 보정(예, 영상 틸팅 각도 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깊이감이 반영된 증강 현실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현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강 현실 HMD 장비(10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어부(210)와 각종 모듈(212 내지 226)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네트워크(230)는 관제 서버(240)와 증강 현실 HMD 장비(100)를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230)는 WLAN(Wireless LAN), 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 전력선 통신망(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망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로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310)를 착용한 사용자가 검사 대상인 제품(320)을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HMD 장비(3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비(3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320)을 인식하고, 인식된 제품(320)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하고,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비(310)는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320)의 외형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제품(320)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HMD 장비(310)는 전면 이미지 내의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제품(320)을 인식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제품(320) 상에 부착되거나, 제품(320)의 주변에 부착될 수 있다. 그 후, HMD 장비(31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 제스처 명령, 눈동자 명령, 눈 깜빡인 명령, 또는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해 제품의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HMD 장비(310)는 자동으로 검사된 자동 검사 결과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수동 검사 결과를 통합하여 자동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320)은 제조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재화를 의미할 수 있다. 제품은 전자 제품, 가전 제품, 자동차 부품, 선박 부품, 제어 장치, 반도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의 검사는 제품의 성능 검사를 받기 전 예비로 수행하는 자주 검사, 중간 검사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검사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는 HMD 장비(310)가 하나의 제품(320)을 인식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HMD 장비(310)는 복수 개의 제품(320)을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제품(320)을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거나 조작하지 않고도, 착용 중인 HMD 장비(310)를 이용하여 간단히 제품(320)을 인식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품(320)과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MD 장비(310)는 인식된 제품(320)의 ID,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제품(320)에 대한 정보를 외부 장치인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품(320)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 사전 등록된 기준 마커(fiducial marker), 비주얼 마커(visual marker), 사이니지(signage), QR 코드 등이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HMD 장비(310)는 외부 장치인 관제 서버로부터 전송한 제품(32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품(320)에 대해 검사해야 하는 검사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비(310)는 검사 항목에서 자동 검사 항목과 수동 검사 항목을 구분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310)는 이와 같이 구분된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해 자동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310)는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수동 검사 결과를 증강 현실을 통해 입력받아 수동 검사 결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내지 4번 검사 항목이 자동 검사 항목이면 HMD 장비(310)가 수행하고, 자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5번 및 6번 검사 항목이 수동 검사 항목이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HMD 장비(310)는 5번 및 6번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HMD 장비(310)는 사용자의 제스처 동작 등을 통해 5번 및 6번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 상에 표시되는 검사 항목 및 검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HMD 장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자동 검사 항목인 경우,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해 자동 검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410)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수동 검사 항목인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영역에 대응되는 수동 검사 내용(430)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 검사 항목은 HMD 장비가 정확하게 검사하지 못하는 모서리 부분, 미세한 표면 스크래치, 또는 홈이 파인 안쪽 부품 장착 등에 대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항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검사 항목이 A 항목 내지 E 항목(421 내지 425)이고, 수동 검사 항목이 F 항목(426)인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A 항목(421)은 “I/O CON”항목이고, B 항목(422)은 “LED”항목이고, C 항목(423)은 “LAN 1”항목이고, D 항목(424)은 “LAN 2”항목이고, E 항목(425)은 “POWER”항목이고, F 항목(426)은 “안테나”항목일 수 있다. 또한, HMD 장비는 각 항목에 대한 제품에서의 검사 항목 위치를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후, HMD 장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에서 자동 검사 항목인 A 내지 E 항목(421 내지 425)에 대해 자동 검사를 진행하고, 각 자동 검사 결과를 정상(PASS) 또는 불량(FAIL)로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에서 수동 검사 항목인 F 항목(426)에 대해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영역에 대응되는 수동 검사 내용(430)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MD 장비는 수동 검사 항목인 F 항목((426, F: 안테나)에 대해 “제품 볼트 고정 확인”, “최종 방향은 위로 향하기”, “안테나 색상은 흰색”등이 포함된 수동 검사 내용(430)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MD 장비의 화면 좌측에 비전 검사를 통한 자동 검사 결과(410)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의 화면 가운데에는 사람이 눈으로 보는 장면에 증강현실 화면(420)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HMD 화면 가운데에는 비전 자동 검사를 위해 제품을 놓아야 할 가상의 3차원 기준선이 차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HMD 화면 우측에 수동 검사가 필요한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내용(730)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검사해야 하는 수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설명뿐만 아니라,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정상(PASS) 및 불량(FAIL)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510) 상에 자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항목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MD 장비(510)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에 자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항목이 포함된 경우, 검사된 검사 항목에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내용이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는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영역은 자동 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제1 영역(520)과 수동 검사 항목에 해당하는 제2 영역(530)이 될 수 있다. 제1 영역(520)에는 자동으로 검사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 검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520)에는 LAN1 포트 외형 조립 확인 항목(521), LAN2포트 외형 조립 확인 항목(522) RUN, ERR, PWR 외형 조립 확인 항목(523), Power 포트 외형 조립 확인 항목(524)이 포함될 수 있고, 각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해 자동 검사 결과가 “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530)에는 수동으로 검사해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동 검사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530)에는 무선 Wifi 안테나 조립 확인 항목(531)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각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체크 박스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이 위치되어야 하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상의 3차원 기준선(540)이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MD 장비(510)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시, 만약 불량이 발생하면 X로 손으로 표기할 수 있다. 그러면, HMD 장비(510)는 가상으로 예상되는 불량에 대해서 1, 2, 3 ... N 개까지 불량 예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HMD 장비(510) 상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끝으로 가상 공간에 표시된 불량 예상 정보의 메뉴 위에 누르는 동작으로 선택하거나, 손끝으로 숫자를 기재하거나, 음성으로 숫자를 입력하는 동작 등을 통해서 각 부분에 대해 수동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품을 공간 위에서 잡고 검사 시에 증강 현실로 표기된 가이드 라인 생성에 대해서 HMD 장비(510)를 착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용된 HMD 장비(510)를 통해 기존 사람 육안으로 검사하는 일반적인 부분을 신속하게 HMD 장비(510)를 통해 자동으로 검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510)는 작업자가 세부적으로 검사를 해야 하는 수동 검사 항목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검사 후에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수동 검사 결과 자료에 대해서 공정 검사 결과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 상에 표시된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MD 장비는, 인식된 제품의 검사 항목 중에서 수동 검사 항목(610)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 검사 항목(610)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는 체크 박스(620)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 검사 항목(610)이 무선 Wifi 안테나 조립 확인 항목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수동으로 무선 Wifi 안테나 조립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고, 수동 검사 결과에 따라 정상 또는 불량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HMD 장비에 입력할 수 있다.
HMD 장비는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2초 등) 동안 사용자가 제1 제스처 동작(630) 또는 제2 제스처 동작(640)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후, HMD 장비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예컨대, 2초 등) 동안 제1 제스처 동작(630)을 유지하는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정상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스처 동작(630)은 정상 제스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HMD 장비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제스처 동작(640)을 유지하는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불량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스처 동작(640)은 불량 제스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HMD 장비는 서로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제1 제스처 동작(630)과 제2 제스처 동작(640)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작에 따라 수동 검사 결과를 서로 다르게 체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결과를 손가락 제스처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 제스처가 아닌 음성 명령을 이용하여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각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정상” 또는 “불량” 등의 음성 명령을 입력하여 빠르게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가 3차원 기준선을 변경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HMD 장비는 인식된 제품이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상의 3차원 기준선(720)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표시된 3차원 기준선(72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기정의된 제3 제스처 동작(710)을 취할 수 있다. 그러면, HMD 장비는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 변경 동작으로 기정의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710)을 인식할 수 있다. 이어서, HMD 장비는 인식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710)에 따라, 표시된 3차원 기준선(720)의 위치를 변경하여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HMD 장비의 화면 가운데에 표시되는 가상의 3차원 기준선(720)의 위치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세 개의 손가락을 3축과 대응시키는 손 제스처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의 위치를 옮기면, HMD 장비는 이동된 손의 위치에 따라 3차원 기준선(72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엄지는 z축, 검지는 y축, 중지는 x측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에는 사용자가 제3 제스처 동작(710)을 취한 상태에서 손을 이동시켜 3차원 기준선(720)의 위치를 변경하는 예시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3 제스처 동작(710)을 취한 상태에서 손을 회전시켜 3차원 기준선(7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제스처 동작(710)을 취한 상태에서 손을 이동시키고 회전시켜 3차원 기준선(720)을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동/회전된 3차원 기준선과 함께 이동/회전된 3차원 기준선에 따라 변경된 제품의 이미지가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회전된 3차원 기준선에 맞춰 실제 제품을 배치하는 경우, HMD 장비는 실제 제품을 인식하고, 자동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HMD 장비는 자동 검사 수행 결과 및 수동 검사 항목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HMD 장비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HMD 장비는 수신된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HMD 장비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MD 장비는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HMD 장비는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HMD 장비는 HMD 장비의 방향,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제품의 수동 검사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HMD 장비는 결정된 수동 검사 항목이 확대된 제품 확대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HMD 장비는 HMD 장비의 방향, 사용자의 응시 방향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특정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제품의 수동 검사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HMD 장비는 수동 검사 항목이 미세하여 확대가 필요한 경우, 이를 확대시켜 사용자가 더욱 정확하게 수동 검사 항목을 검사할 수 있게 보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검사 보조 방법(8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품 검사 보조 방법(800)은, HMD 장비(예를 들어, 증강 현실 HMD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품 검사 보조 방법(800)은, 프로세서가 전면 카메라로부터 검사 대상인 제품을 포함하는 전면 이미지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810).
프로세서는, 수신된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인식할 수 있다(S820). 여기서의 검사 항목은, HMD 장비에 의해 자동으로 검사되는 자동 검사 항목과 HMD 장비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검사해야 하는 수동 검사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할 수 있다(S830).
그 후, 프로세서는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S840). 이 때,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자동 검사 항목인 경우,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해 자동 검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수동 검사 항목인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영역에 대응되는 수동 검사 내용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로부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을 통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입력받은 수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에 자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항목이 포함된 경우, 검사된 검사 항목에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내용이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는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검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제1 제스처 동작 또는 제2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정상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하거나,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불량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인식된 제품이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상의 3차원 기준선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 변경 동작으로 기정의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인식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에 따라,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를 변경하여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는 HMD 장비의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후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고, HMD 장비의 방향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제품의 수동 검사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결정된 수동 검사 항목이 확대된 제품 확대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제품 검사 보조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 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 증강 현실 HMD 장비
112, 114 : 투명 디스플레이
122, 124 : 전면 카메라
132. 134 : 후면 카메라
142, 144 : 마이크
152, 154 : 감지 센서
160 : IMU 센서
170 : 강화 유리
180 : 프레임
210 : 제어부
212 : 카메라 모듈
214 : 디스플레이 모듈
216 : 통신 모듈
218 : 음성 처리 모듈
220 : 영상 처리 모듈
222 : IMU 모듈
224 : 감지 센서 모듈
226 : 저장모듈
230 : 네트워크
240 : 관제 서버

Claims (11)

  1. HMD(Head Mount Display)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으로서,
    전면 카메라로부터 검사 대상인 제품을 포함하는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상기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하고,
    상기 인식된 제품이 배치되어야 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상의 3차원 기준선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자동 검사 항목인 경우, 상기 자동 검사 항목에 대해 자동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행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이 수동 검사 항목인 경우, 상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수동 검사 영역 및 상기 수동 검사 영역에 대응되는 수동 검사 내용이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을 통해 수동 검사 결과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수동 검사 결과가 포함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에 자동 검사 항목 및 수동 검사 항목이 포함된 경우, 상기 검사된 검사 항목에서 자동 검사 항목의 자동 검사 결과와,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한 수동 검사 영역 및 수동 검사 내용이 서로 다른 영역에 위치되는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서 어느 하나의 불량 예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동으로 검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제1 제스처 동작 또는 제2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1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정상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제스처 동작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수동 검사 항목에 대해 불량으로 수동 검사 결과를 체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 변경 동작으로 기정의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제3 제스처 동작에 따라, 상기 표시된 3차원 기준선의 위치를 변경하여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10. HMD(Head Mount Display)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으로서,
    전면 카메라로부터 검사 대상인 제품을 포함하는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전면 이미지 내의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제품에 대한 검사 항목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HMD 장비의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HMD 장비의 방향 및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제품의 수동 검사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수동 검사 항목이 확대된 제품 확대 영상을 포함하는 제2 영상을 HMD 장비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상기 검사된 검사 항목의 검사 결과와 연관된 제1 영상을 함께 확인하는, 제품 검사 보조 방법.
  11. 제1항 내지 7항, 9항 및 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53326A 2021-11-09 2021-11-09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KR10240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326A KR102409207B1 (ko) 2021-11-09 2021-11-09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326A KR102409207B1 (ko) 2021-11-09 2021-11-09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207B1 true KR102409207B1 (ko) 2022-06-15

Family

ID=8198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326A KR102409207B1 (ko) 2021-11-09 2021-11-09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2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700A (ja) * 1992-08-21 1994-03-11 Fujitsu Ltd プリント板ユニット外観検査システム
KR20190004880A (ko) * 2017-07-05 2019-01-15 (주)소닉스 디스플레이모듈에 관련된 검사대상물을 검사하기 위한 인라인 검사시스템
KR101995691B1 (ko) * 2019-04-03 2019-07-02 김권진 Led 조명장치 제조 자동화 시스템
WO2019152572A1 (en) * 2018-02-01 2019-08-08 Redzone Robotics, Inc. Augmented reality (ar) display of pipe inspection data
KR20200025960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버넥트 지능형 인지기술기반 제조현장의 증강현실시스템
KR102266990B1 (ko) * 2019-11-08 2021-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증강현실 기반 철도시설물 점검업무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700A (ja) * 1992-08-21 1994-03-11 Fujitsu Ltd プリント板ユニット外観検査システム
KR20190004880A (ko) * 2017-07-05 2019-01-15 (주)소닉스 디스플레이모듈에 관련된 검사대상물을 검사하기 위한 인라인 검사시스템
WO2019152572A1 (en) * 2018-02-01 2019-08-08 Redzone Robotics, Inc. Augmented reality (ar) display of pipe inspection data
KR20200025960A (ko) * 2018-08-31 2020-03-10 주식회사 버넥트 지능형 인지기술기반 제조현장의 증강현실시스템
KR101995691B1 (ko) * 2019-04-03 2019-07-02 김권진 Led 조명장치 제조 자동화 시스템
KR102266990B1 (ko) * 2019-11-08 2021-06-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증강현실 기반 철도시설물 점검업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08832A1 (en) Augmented Reality Content Creation
US11995774B2 (en)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using speech and text captions
US20160231573A1 (en) Dynamic lighting for head mounted device
US20170193302A1 (en) Tas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devices
US11809620B2 (en) Focus-based debugging and inspection for a display system
KR102499354B1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된 제 1 콘텐트에 대해 제 2 콘텐트를 외부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60227868A1 (en) Removable face shield for augmented reality device
US20210407205A1 (en) Augmented reality eyewear with speech bubbles and translation
US202300604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893836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remote product inspection
US11042226B2 (en) Constellation-based augmentation of mouse form-factor for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US20210406542A1 (en) Augmented reality eyewear with mood sharing
KR102409207B1 (ko)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JP6686319B2 (ja) 画像投影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337908B1 (ko) 작업 보조 방법 및 장치
KR102339044B1 (ko)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AU2019294492B2 (en) View-based breakpoints
KR102377988B1 (ko) 로봇과의 협업 보조 방법 및 장치
JP2017111081A (ja) 運送点検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運送点検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プログラム
KR20220096877A (ko) 증강 현실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증강 현실 장치
KR20220058277A (ko) 스테레오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US119662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gging visible errors in a videogame
US20230410344A1 (en) Detection of scale based on image data and position/orientation data
US20220103745A1 (en) Image capture eyewear with context-based sending
KR20230100538A (ko) 스마트 글래스 기반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