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044B1 -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044B1
KR102339044B1 KR1020210064683A KR20210064683A KR102339044B1 KR 102339044 B1 KR102339044 B1 KR 102339044B1 KR 1020210064683 A KR1020210064683 A KR 1020210064683A KR 20210064683 A KR20210064683 A KR 20210064683A KR 102339044 B1 KR102339044 B1 KR 10233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es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진엑스텍
Priority to KR1020210064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상 상황 통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EMERGENCY SITUATION}
본 개시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한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실 세계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디바이스 또는 혼합 현실(Mixed Reality)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 디바이스 또는 혼합 현실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는 엔터테인먼트 영역뿐만 아니라 특수 업무 및 차량용 디바이스에 대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신체에 착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웨어러블 장치가 나오고 있고, 그 중 증강 현실 글래스(Augmented Reality glass, AR glass)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치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증강 현실 글래스 장치는 사용자의 게임, 영상 통화 등의 엔터테인먼트 또는 문서 작성 등과 같은 간단한 사무 업무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즉, 현재의 증강 현실 글래스 장치는 스마트 팩토리 등과 같은 작업 공간에서 작업자의 업무를 지원하기 적합하지 않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글래스 장치는 스마트 팩토리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사용하기 쉽지 않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비상 상황 통제 방법,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함께 확인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상황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인식된 객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계산된 경로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계산된 경로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미니맵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MU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인식된 객체 및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인식된 객체는 사전 등록된 마커(marker)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MU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인식된 객체 및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야각 외부의 사각지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사각지대 내의 위험 물체와 연관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특정 장비와 연관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포함한다.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특정 장비와 연관된 복수의 조작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는, 복수의 조작 영역을 조작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술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함께 확인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탈출 경로, 특정 장비까지의 경로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필요한 작업을 완료하고 작업 공간을 탈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거나 조작하지 않고도, 착용중인 스마트 글래스를 이용하여 간단히 객체를 인식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 상에 표시되는 표시, 미니맵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및 탈출 경로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에 필요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이 사용자의 응시 방향, 영역에 따라 적응적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미리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장비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사용자의 눈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주시안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주시안이 결정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교차로 재생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간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한 사용자가 객체를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 상에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 상에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상황 통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 상에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기초로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추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보상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맞춤형 튜토리얼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보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네트워크 상에'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라는 용어는 유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전자 기기를 통해 검색 또는 접근 가능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에'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라는 의미는 임의의 전자 기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임의의 장치 내에 저장된 임의의 콘텐츠 및/또는 이와 연관된 정보를 검색 또는 접근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데이터 또는 정보를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시각적 형태로 표시한 코드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턴 판독기, 스마트폰,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이 카메라가 내장된 장치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스캔/판독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시각적으로 코딩된 1차원 패턴과 시각적으로 코딩된 2차원 패턴을 포함한다. 시각적으로 코딩된 1차원 패턴은 각기 다른 너비와 간격의 평행선으로 이루어지며, UPC(Universal Product C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으로 코딩된 2차원 패턴은 사각형, 점, 육각형 등의 기하학적 패턴들로 이루어지며, Data Matrix, MaxiCode,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패턴' 또는 '마커'로도 지칭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제2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및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면 카메라(122, 124)는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외부 또는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로, 좌측의 전면 카메라(122) 및 우측의 전면 카메라(124)를 포함한다. 후면 카메라(132, 134)는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내부 또는 안쪽으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양안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좌안(192)을 촬영하는 좌측의 후면 카메라(132) 및 사용자의 우안(194)을 촬영하는 우측의 후면 카메라(134)를 포함한다. 후면 카메라(132, 134)는 사용자 눈의 움직임, 깜빡임, 동공 크기, 눈물 발생 여부 및 시선 등의 시각 정보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후면 카메라(132, 134)는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면 카메라(132, 13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좌안(192) 및/또는 우안(194)을 촬영하여 홍채 인식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진행하여 보다 고정밀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전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육안으로 인식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해서 사용자가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를 투과해서 외부 사물을 인식할 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투과도를 낮춰 사용자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보다 선명하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는 제1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는 제2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는 사용자의 좌안(192) 앞에 배치되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는 사용자의 우안(194)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투명 OLED 대신에 렌즈에 영상이 투사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프로젝터로부터 빔이 투명 디스플레이를 향해 방출되고,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투사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중앙 서버(240)와 주고받는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42, 144)를 통해 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명령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음원의 방향을 주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미지가 표시될 때, 주방향으로 화살표 또는 나침반 이미지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사용자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외부 상황과 제1 영상을 좌안(192)으로 확인하고, 사용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를 통해 외부 상황과 제2 영상을 우안(194)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의 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시안(dominant eye)을 결정할 수 있다. 주시안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중 사용자의 주시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제1 시간 기간 동안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사용자의 비-주시안(non-dominant eye)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재생을 제1 시간 기간 동안 중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시안의 피로도를 결정할 수 있다. 주시안의 피로도에 따라, 제어부는 제1 시간 기간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 기간(또는 조정된 제1 시간 기간)이 경과한 후, 제어부는 사용자의 비-주시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를 제2 시간 기간 동안 재생하고, 사용자의 주시안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의 재생을 제2 시간 기간 동안 중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비-주시안의 피로도를 결정하고, 비-주시안의 피로도에 기초하여 제2 시간 기간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132, 134)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트레킹할 수 있다. 눈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부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영상을 보정하거나, 출력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현실감 있는 증강 현실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122, 124)에 의해 촬영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내의 객체에 기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영상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2, 124)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QR 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QR 코드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및/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좌측의 제1 마이크(142) 및 우측의 제2 마이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42, 144)는 사용자의 음성 및 외부 소리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142, 144)는 전면 카메라(122, 124) 및 후면 카메라(132, 134)의 좌우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마이크(142, 144)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어느 하나의 마이크(142, 144)는 전방을 향하고, 나머지는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마이크(142, 144)로 인하여 소리가 들리는 방향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142, 144)에서 수신된 신호는 제어부로 제공된다. 제어부는 마이크(142, 144)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또는 음성(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표시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프레임(180)은 안경 모양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프레임(180)은 두개의 다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80)의 다리에는 2개의 감지 센서(152, 154)가 각각의 다리에 1개씩 설치되어 사용자의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80)의 전방에는 필요에 따라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를 보호하는 렌즈 또는 강화 유리(170)가 장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12, 114)는 보호 렌즈 또는 강화 유리(170) 상에 또는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가 사용되는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맞게 작업 현장의 보안경 및 안전장비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레임의 양측에는 터치 센서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음성 명령, 제스처 명령, 눈 동자 명령, 눈 깜빡인 명령, 터치 입력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통해 영상 기록 시작/정지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포트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를 연결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하여, 외부 장치가 일부 작업(예를 들어, 고부하 작업)을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를 대신하여 또는 함께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IMU 센서(160)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사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방향의 변화 정도를 기초로 영상의 송출을 제어할 수 있다. 변화 정도는 IMU 센서(160)를 통해 센싱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변경 각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변화 정도는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 머리의 흔들림 정도, 움직임 속도 또는 상하좌우의 빠른 돌림 정도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212), 디스플레이 모듈(214), 통신 모듈(216), 음성 처리 모듈(218), 영상 처리 모듈(220), IMU 센서 모듈(222), 감지 센서 모듈(224), 저장 모듈(226) 및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네트워크(230)를 통해 중앙 서버(240)와 통신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2)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 및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2)에 의해 촬영된 외부 이미지 및 사용자 양안의 이미지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14)은 적어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주변의 조도 및 사용자의 피로도를 고려해서 디스플레이의 투명도, 밝기 제어, 재생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6)은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가 네트워크(230)를 통해 중앙 서버(240)와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통신 모듈(216)을 통해 데이터를 중앙 서버(240)로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통신 모듈(216)을 통해 중앙 서버(2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6)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음성 처리 모듈(218)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처리 모듈(218)은 외부의 소리 및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제어부(210)로 전송하거나, 녹음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처리된 결과물을 제어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마이크(142, 144)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또는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중 적어도 하나 상에 표시할 영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220)은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의 인식률을 향상하기 위해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개선 처리하여 전처리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 개선 처리는 Denoise 연산 처리, Deblur 연산 처리, High Dynamic Range 연산 처리, Color Tone Mapping 연산 처리, Defog 연산 처리, Brightness 연산 처리, Contrast 연산 처리, Auto White Balance 연산 처리, Back Light Compensation 연산 처리, Decompression 연산 처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영상 처리 모듈(220)은 촬영된 이미지의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 개선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음성 처리 모듈(218)과 영상 처리 모듈(220)이 제어부(210)와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10)가 음성 처리 모듈(218)과 영상 처리 모듈(22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MU 센서 모듈(222)은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IMU 센서 모듈(222)에 의해 센싱된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감지 센서 모듈(224)은 사용자의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감지 센서 모듈(224)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은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은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될 수 있다. 저장 모듈(226)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마이크로 SD,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212)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 모듈(226)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모듈(226)은 비휘발성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 모듈(226)에 저장하거나 이벤트 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깊이 센서(Depth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깊이 센서는 스테레오 카메라, LiDAR 센서, ToF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깊이 센서를 이용하여 사물(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인식된 객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14) 상에 영상을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눈동자 트레킹(즉, 좌안 및 우안의 움직임 추적)을 수행하고, 움직임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에 따라 깊이감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도록 영상을 보정(예, 영상 틸팅 각도 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깊이감이 반영된 증강 현실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 현실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어부(210)와 각종 모듈(212 내지 226)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네트워크(230)는 중앙 서버(240)와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를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다. 네트워크(230)는 WLAN(Wireless LAN), Bluetooth 및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 전력선 통신망(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망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로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사용자의 눈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3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제어부(2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300)은 프로세서가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를 재생하는 것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S310).
프로세서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를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의 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320).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눈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S330).
사용자의 눈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 및 제2 투명 디스플레이의 재생을 계속할 수 있다(S310). 반면, 사용자의 눈 상태가 비정상이라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주시안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제1 투명 디스플레이)를 재생하고, 사용자의 비주시안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제2 투명 디스플레이)를 재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눈이 피로한 경우, 한쪽 눈에만 증강 현실 이미지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주시안을 결정하는 방법(4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방법(4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제어부(2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400)은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내의 도미넌트 객체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S410).
그 후,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S420). 좌안과 우안의 움직임을 추적한 결과, 프로세서는 인식된 외부의 도미넌트 객체를 먼저 바라보는 눈을 주시안으로 결정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외부에 새로운 객체가 나타나고, 사용자가 오른쪽 눈으로 새로 나타난 객체를 먼저 응시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을 주시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주시안이 결정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제1 후면 카메라(132) 및 제2 후면 카메라(134)는 각각 사용자의 좌안(192)과 우안(194)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안을 결정하기 위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각각 제1 객체(510)와 제2 객체(52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좌안(192)이 주시안인 경우, 제1 객체(510)를 바라볼 때, 주시안(192)의 인지 거리(R)는 비-주시안의 인지 거리(R')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객체(510)를 바라볼 때, 주시안(192) 동공의 초점이 비-주시안(194) 동공의 초점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맞춰질 수 있다. 따라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 상에 제1 객체(510)를 표시하였을 때의 좌안(192) 동공의 움직임과 우안(194) 동공의 움직임, 그리고,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제2 객체(520)를 표시하였을 때의 좌안(192)의 동공의 움직임과 우안(194)의 동공 움직임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주시안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는 제1 투명 디스플레이(112)와 제2 투명 디스플레이(114) 상에 각각 제1 객체(510)와 제2 객체(520)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더 선명하게 또는 더 진하게 보이는 객체를 선택하라고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객체(510) 방향을 손으로 선택하는 제스처(530)를 취하는 경우,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는 좌안(192)을 사용자의 주시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에게 주시안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직접 좌안 또는 우안을 주신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교차로 재생되는 예시(600)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는 후면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주시안(dominant eye)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안이 결정되는 경우,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는 사용자의 주시안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를 제1 시간 기간(T1) 동안 재생하고, 사용자의 비-주시안(non-dominant eye)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의 재생을 제1 시간 기간(T1) 동안 중지할 수 있다. 제1 시간 기간(T1)이 경과한 후,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는 사용자의 비-주시안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제2 시간 기간(T2) 동안 재생하고, 사용자의 주시안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의 재생을 제2 시간 기간(T2) 동안 중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익숙한 주시안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재생 시간(T1)이 더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시간 기간(T1)과 제2 시간 기간(T2)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100)는 사용자 눈의 피로도에 따라 제1 시간 기간(T1) 및 제2 시간 기간(T2)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를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 주시안의 피로도가 제1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1 시간 기간(T1)을 감소시킨 조정된 제1 시간 기간(T1') 동안 주시안에 대응하는 제1 디스플레이를 재생할 수 있다. 반면, 제2 디스플레이를 재생하는 동안, 사용자 비-주시안의 피로도가 제2 임계치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제2 시간 기간(T2)을 증가시킨 조정된 제2 시간 기간(T2') 동안 비-주시안에 대응하는 제2 디스플레이를 재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공간(700)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공간(7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서, 복수의 비상 탈출구(730)를 포함하는 임의의 실내 공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외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술된 스마트 글래스를 착용한 작업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공간(700) 내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 상황은 사용자의 탈출, 대피 등이 요구되는 임의의 상황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 공간(700) 내의 화재, 유해 화학 물질의 누출, 산소 포화도의 감소 등의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작업 공간(700) 내의 사용자들이 착용한 스마트 글래스의 촬영 영상은 자동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중앙 관제 시스템은 비상 상황 발생 지역 인근에 있는 사용자(또는 모든 사용자)의 스마트 글래스로부터 현장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되거나 저장된 촬영 영상은 추후 비상 상황에 대한 윈인 분석 및 보험 증빙 제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비상 상황과 연관된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는 작업 공간(700)을 관리하는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안내 메시지는 스마트 글래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수신된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가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응시하는 실제 장면과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글래스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객체(예를 들어, QR 코드 등과 같은 식별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는 비상 상황을 인지했음을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응답을 나타내는 눈의 움직임, 음성 명령, 제스처(예: 손 동작, 얼굴 표정, 동공 제스처 등) 등을 이용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눈을 깜빡이는 경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작(눈의 움직임, 음성, 제스처 등)은 사전에 미리 정해지거나, 수신된 안내 메시지 상에 필요한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안내 메시지를 통해 비상 상황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으며, 중앙 관제 시스템은 각 사용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비상 상황을 인지했는지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중앙 관제 시스템은 각 사용자들의 스마트 글래스와 통신 등으로 연결되어 각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중앙 관제 시스템은 각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비상 상황 발생 지점 등을 기초로, 각 사용자의 담당 업무를 원격으로 지시할 수 있다. 즉, 비상 상황 시 중앙 관제 시스템은 작업 공간(700) 내의 모든 사용자들에 대한 통제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각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초로 각 사용자에 대한 최적의 비상 탈출구(730_1, 730_2) 까지의 경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탈출구(730_1, 730_2)까지의 경로는 각 사용자의 현재 위치, 사용자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주변의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 탈출구(730_1, 730_2)까지의 경로는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사용자(710)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의 탈출구는 제2 비상 탈출구(730_2)로 결정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720)의 현재 위치에서 최적의 비상 탈출구는 제1 비상 탈출구(730_1)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710)는 결정된 제2 비상 탈출구(730_2)까지의 경로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상 탈출구(730_2)까지의 경로가 제1 사용자(710)의 스마트 글래스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710)는 제2 비상 탈출구(730_2)까지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상 탈출구로 이동하는 동안에, 스마트 글래스는 해당 사용자의 사각 지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는 사각지대 내의 위험 물체가 있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1 사용자(710)가 제2 비상 탈출구(730_2)로 이동하는 도중 사각지대에서 작업 차량(740)이 접근하는 경우, 스마트 글래스는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는 IMU 센서,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사각지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는 IMU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식된 객체(QR 코드 등의 코드; 각 코드는 실내 위치와 연관될 수 있음) 및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IMU 센서는 보행자 또는 이동 물체 등의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 등을 측정하는 장치이고, IMU 데이터는 IMU 센서에 의해 측정되거나 추정된 보행자 또는 이동 물체의 이동 상황 등과 연관된 임의의 데이터일 수 있다. 즉, 스마트 글래스는 IMU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속도, 이동 방향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는 IMU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대략적인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마커(marker) 등을 인식한 후 인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방향을 보정하여, 더욱 정밀하게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또는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글래스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마커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연재 위치 및/또는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과 함께, 스마트 글래스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후면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글래스는 사용자의 동공이 향하는 방향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응시 방향, 시야각 등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글래스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야각 외부의 사각지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각 외부의 사각지대를 결정하기 위한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비상 상황에 따른 설비의 제어(예를 들어, 작업 공간(700) 내의 전력의 차단 등의 응급 조작)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사용자에게 제어가 필요한 특정 장비 및/또는 특정 장비까지의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는 사용자들 중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장비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사용자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현재 위치로부터 특정 장비(750)까지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 사용자(720)에게 특정 장비 및/또는 특정 장비까지의 경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장비 및/또는 특정 장비까지의 경로는 제2 사용자(720)가 착용한 스마트 글래스의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 사용자(720)는 특정 장비(750)를 조작한 후, 제1 비상 탈출구(730_1)를 통해 탈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탈출 경로, 특정 장비까지의 경로 등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필요한 작업을 완료하고 작업 공간(700)을 탈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820)를 착용한 사용자(810)가 객체(830)를 인식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82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글래스(82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객체(830)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830)와 연관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830)는 작업 공간 내의 특정 위치에 부착되거나, 특정 장비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820)는 인식된 객체(830)에 기초하여 사용자(810)의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820)는 인식된 객체(830)의 ID, 위치 정보 등을 기초로 사용자(810)의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810)의 위치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객체(830)는 객체의 위치 또는 자세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시자로서, 특정 패턴을 포함하는 사전 등록된 기준 마커(fiducial marker), 비주얼 마커(visual marker), 사이니지(signage), QR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글래스(820)는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객체(830)를 기초로 사용자(810)의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전면 이미지 내에 포함된 객체(830)의 크기, 위치, 모양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810)의 현재 위치가 추정되는 경우, 스마트 글래스(820)는 사용자(810)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는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810)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820)는 인식된 객체(830)에 기초하여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영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객체(830)는 특정 장비와 연관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식된 객체(830)와 연관된 영상은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830)는 특정 장비의 표면 등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810)가 스마트 글래스(820)를 통해 객체(830)를 응시하는 경우,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이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스마트 글래스(820)가 하나의 객체(830)를 인식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마트 글래스(820)는 복수의 객체(830)를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810)는 객체(830)를 인식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거나 조작하지 않고도, 착용중인 스마트 글래스(820)를 이용하여 간단히 객체(830)를 인식하고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인식된 객체(830)와 연관된 영상/이미지 등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910) 상에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910)는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글래스(910)를 착용한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는 화살표로 표시되는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920), 이동해야 하는 거리(930) 및 이동 경로가 표시된 미니맵(9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는 화살표로 표시되는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920), 이동해야 하는 거리(930) 및 이동 경로가 표시된 미니맵(9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해야 하는 방향(920)은 직진, 우회전, 좌회전, 유턴 등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니맵(940)이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는데, 미니맵은 작업 공간 내의 작업자의 현재 위치, 설비 등의 위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시각화된 경로 등을 포함하는 간략화된 지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910) 상에 표시되는 표시, 미니맵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및 탈출 경로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910)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응시 방향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910)는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에 사용자가 이동해야 하는 방향(920), 이동해야 하는 거리(930)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에 표시되는 지시자, 미니맵 등은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의 영역에 기초하여 크기, 각도 등이 조절되어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작업 공간 내의 벽을 응시하고 있는 경우, 해당 벽에 지시자, 미니맵 등이 실제로 부착된 것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스마트 글래스(910)는 사용자가 응시하는 방향의 영역에 기초하여 객체와 연관된 영상의 보정하기 위한 크기, 각도, 표시 영역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크기, 각도, 표시 영역 등을 이용하여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가 스마트 글래스(910)의 오른쪽 렌즈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는 스마트 글래스(910)의 왼쪽 렌즈에 표시되거나, 양쪽 렌즈에 동시에 표시되거나, 임의의 기준에 따라 양쪽 렌즈에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좌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지시자를 왼쪽 렌즈에 표시하고, 우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지시자를 우측 렌즈에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한쪽 렌즈에 지시자를 표시하고, 반대쪽 렌즈에 미니맵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상 상황에 필요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이 사용자의 응시 방향, 영역에 따라 적응적으로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1010) 상에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010)는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글래스(1010)를 착용한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010)는 특정 장비와 연관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예를 들어, QR 코드 등)을 인식하고,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특정 장비와 연관된 표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장비의 표면 및/또는 특정 장비와 연관된 임의의 다른 영역에 부착되거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는 특정 장비의 조작 순서, 조작 영역 등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0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특정 장비와 연관된 복수의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는, 복수의 조작 영역을 조작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010)는 특정 장비에서 A 버튼(1030), B 버튼(1040) 및 C 버튼(1050)에 해당하는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글래스(1010)는 특정 장비의 조작 순서에 따라 A 버튼(1030)을 음영 처리(1032) 등으로 표시하고, A 버튼(1030)의 조작과 연관된 "비상 상황입니다. A 버튼을 누르세요."와 같은 메시지(1034)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조작 영역 및/또는 조작 순서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특정 장비를 응시하는 방향 등에 따라 표시 위치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가 스마트 글래스(1010)의 오른쪽 렌즈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1020)는 스마트 글래스(1010)의 왼쪽 렌즈에 표시되거나, 양쪽 렌즈에 동시에 표시되거나, 임의의 기준에 따라 양쪽 렌즈에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미리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1010) 상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장비를 효과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상황 통제 방법(11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비상 상황 통제 방법(1100)은 스마트 글래스(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비상 상황 통제 방법(1100)은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S1110).
프로세서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객체를 인식할 수 있다(S1120). 또한, 프로세서는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S1130). 이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상황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인식된 객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계산된 경로에 따라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계산된 경로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미니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IMU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인식된 객체 및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인식된 객체 및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후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이동 방향 및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야각 외부의 사각지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사각지대 내의 위험 물체와 연관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는 특정 장비와 연관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포함하고, 인식된 객체와 연관된 영상은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특정 장비와 연관된 복수의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는, 복수의 조작 영역을 조작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1210) 상에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210)는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1220)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영상(1220)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1210)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특정 장비와 연관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식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에 기초하여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은 특정 장비의 조작 순서, 조작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장비의 복수의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은 복수의 조작 영역을 조작하는 순서와 관련된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210)는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인식하고, 특정 장비에서 A 버튼(1230), B 버튼(1240) 및 C 버튼(1250)에 해당하는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글래스(1210)는 특정 장비의 조작 순서에 따라 A 버튼(1230), B 버튼(1240) 및 C 버튼(1250)을 음영 처리 등으로 표시하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A 버튼을 누르세요."와 같은 메시지(1232)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음영 처리 등으로 스마트 글래스(1210) 상에 표시되는 조작 영역, 메시지 등은 사용자가 특정 장비를 응시하는 방향 등에 따라 표시 위치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기초로 경고 메시지(1342)가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310)는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1320)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영상(1320)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12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310)는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인식하고, 특정 장비에서 A 버튼(1330), B 버튼(1340) 및 C 버튼(1350)에 해당하는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순서에 따라 A 버튼(1330), B 버튼(1340), C 버튼(1350) 등을 음영 처리하고, 조작 방법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1310)를 통해 표시되는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에 따라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글래스(1310) 상에 표시된 메시지(예를 들어, 도 12의 1232)에 기초하여 조작 순서에 따라 A 버튼(1330)을 먼저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고 특정 장비를 제어하거나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글래스(13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 장비를 조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3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 장비를 조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동작 정보를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1310)는 동작 정보가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임계치 이상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은 해당 사용자의 과거 작업에 따른 동작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되거나, 특정 장비를 정상적으로 조작하는 작업자들의 동작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임계치는 특정 장비 마다 임의로 정해지거나, 레퍼런스 동작과 함께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310)는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정보와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1310)는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연관된 이미지와 사용자의 동작 정보와 연관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손 동작 등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예를 들어, 손의 뼈대 정보 등)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310)는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을 기초로 특정 장비의 조작이 완료되는 시간과 사용자의 동작 정보를 기초로 특정 장비의 조작이 완료되는 시간 등을 비교하여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는 특정 장비의 조작 순서와 상이하게 A 버튼(1330)을 먼저 선택하지 않고, B 버튼(1340)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거나 선택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글래스(1310)는 B 버튼(1340)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하는 또는 선택하려는 사용자의 동작 정보(1360)를 추출하고, 동작 정보(1360)가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임계치 이상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1342)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의※ A 버튼을 누르지 않았습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1342)가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경고 메시지(1342)와 함께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이 잘못되었음을 나타내는 별도의 음성, 이미지, 영상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3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장비와 비정상적으로 조작하는 경우,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으로 상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작이 미리 정해진 레퍼런스 동작과 작업 방법, 작업 속도, 손 동작 등이 임계치 이상 차이나는 임의의 경우에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특정 장비를 정상적/효율적으로 조작하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1410)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 정보가 추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4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420)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 장비를 조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동작 정보를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비교하고, 동작 정보가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임계치 이상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4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420)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14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420)로부터 사용자의 손에 해당하는 영역(1430)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에 해당하는 영역(1430)을 검출하기 위한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를 추출하는 것은 아래의 과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i)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ii)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에 히스토그램 세그맨테이션(histogram segmentation)을 수행하여 바이너리 이미지를 생성하고, (iii) 바이너리 이미지에 형태학적 개선(morphological enhancement) 처리와 홀 필링(hole filling)을 수행하고, (iv) 손 영역을 인식하고, (v) 기울기 거리(chamfer distance)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울기 거리 이미지로부터 손 영역의 중간값의 축(median axis)을 추출(로컬 최대 값; local maxima)하고, 결과 세트를 연결하여 손 토폴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는 챔퍼 거리 변환(거리 변환 기반 방법 중 하나)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글래스(1410)는 검출된 사용자의 손에 해당하는 영역(1430)을 기초로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골격 정보는 직선과 곡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의 크기, 길이, 방향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1410)는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에 해당하는 영역(1430)을 기초로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역(1430)을 검출하고, 골격 정보(1440)를 추출하기 위한 하나의 기계학습 모델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410)는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사용자의 작업 내역으로서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작업 내역을 검수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하고 외부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전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그대로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과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글래스(1410)는 검수 결과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의 손목이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에 비해 임계치 이상의 각도로 꺾인 경우, “※주의※ 손목이 지나치게 꺾였습니다."와 같은 메시지(1450)가 검수 결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마트 글래스(1410)는 사용자의 작업 내역을 직접 검수하고, 검수 결과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4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420)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1410)는 시간에 따른 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상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스마트 글래스(1410)는 사용자의 부상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상 가능성은 사용자의 손목, 손가락 등이 꺾인 각도가 클수록 높게 산출되고, 손목, 손가락 등이 꺾인 지속 시간이 길수록 높게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임계치는 사용자 마다 정해지거나, 특정 장비 마다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의 골격 정보(1440)를 기초로 산출된 사용자의 부상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이상인 경우, 경고 메시지(1460)가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목이 꺾인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 지속된 경우, 부상 가능성이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정될 수 있으며, “※주의※ 손목 부상 가능성이 있습니다."와 같은 경고 메시지(1460)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두 개의 경고 메시지(1450, 1460)가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메시지(1450, 1460)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마트 글래스(1410)는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이용하여 부상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작업 동안 정확하고 부상 위험이 낮은 자세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산업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151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보상(1530)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5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1510)는 추출된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할 보상(153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510)는 시간에 따른 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작업량(152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량(1520)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예를 들어, 하루, 일주일, 한달 등)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의 총량을 나타낼 수 있다. 스마트 글래스(1510)는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주기를 기초로 작업과 연관된 사용자의 손 동작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량(152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1510)는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 등을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가 수행한 작업량(1520)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510)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고, 결정된 작업량(1520)을 수신할 수도 있다.
스마트 글래스(1510)는 결정된 작업량(1520)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보상(153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글래스(1510)는 결정된 보상(1530)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1530)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급여/보너스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작업에 따라 작업을 완료한 정도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작업을 100% 완료한 경우, 100,000원의 금액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작업을 사용자가 89%완료한 경우, 89,000원의 금액이 제1 작업에 대한 보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작업의 완성도를 기초로 산출된 보상이 모두 합산되어 사용자의 작업 보상(153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작업량(1520)이 각 작업별로 작업 완성도와 함께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량은 완료된 작업의 리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모든 작업에 대한 합산된 보상(1530)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작업별로 결정된 보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작업 내역을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도, 스마트 글래스(1510)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작업량(1520) 및 작업 보상(1530)을 통해 자신이 작업을 수행한 만큼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글래스(1610)를 통해 맞춤형 튜토리얼이 표시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글래스(16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620)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마트 글래스(1610)는 시간에 따른 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숙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숙련도는 사용자가 특정 장비의 조작 등에 익숙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치 값으로 표시되거나, 임의의 등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1610)는 사용자의 동작 속도, 동작 정확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숙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글래스(1610)는 임의의 알고리즘, 기계학습 모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동작 속도, 동작 정확도 등을 기초로 사용자의 숙련도를 결정할 수 있다.
스마트 글래스(1610)는 결정된 숙련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튜토리얼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맞춤형 튜토리얼은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정보는 사용자의 작업 패턴에 대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정 업무에 따라 상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튜토리얼은 사용자의 손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1630) 및 안내 메시지(16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영역(1630)은 실시간 AI 학습 등을 통해 출력된 자세 교정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1630)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다음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새로운 가이드 영역 및 안내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이드 영역(1630)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영역 및 안내 메시지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표시되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된 후 사라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의 숙련도에 기초하여 작업과 연관된 복수의 가이드 영역 및 안내 메시지가 모두 표시되거나, 복수의 가이드 영역 및 안내 메시지 중 일부만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6에서는 맞춤형 튜토리얼이 스마트 글래스(1610)의 오른쪽 렌즈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맞춤형 튜토리얼은 스마트 글래스(1610)의 왼쪽 렌즈에 표시되거나, 양쪽 렌즈에 동시에 표시되거나, 임의의 기준에 따라 양쪽 렌즈에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스마트 글래스(1610)가 사용자의 숙련도를 결정하여 맞춤형 튜토리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글래스(1610)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620)를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관제 시스템(또는 중앙 관제 시스템의 관리자)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1620)에 포함된 사용자의 손 동작 등을 확인하고, 자세 교정을 위한 텍스트, 음성, 영상 등을 스마트 글래스(16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작업에 대한 숙련도가 부족한 경우에도 스마트 글래스(1610)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시되는 맞춤형 튜토리얼을 이용하여,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보조 방법(17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작업 보조 방법(1700)은 스마트 글래스(예를 들어,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작업 보조 방법(1700)은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전면 카메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수신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1710).
프로세서는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 내의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S1720). 여기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은 특정 장비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인식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과 연관된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S1730). 이 경우, 사용자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영상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에 포함된 특정 장비의 복수의 조작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장비의 조작 방법을 안내하는 영상은 복수의 조작 영역을 조작하는 순서와 관련된 안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특정 장비를 조작하는 동작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추출된 동작 정보를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비교할 수 있다. 동작 정보가 미리 저장된 레퍼런스 동작과 제1 임계치 이상의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제1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사용자의 작업 내역으로서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작업 내역을 검수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검수 결과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작업 내역을 직접 검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하고, 시간에 따른 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상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상 가능성이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는 제2 경고 메시지를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하고, 시간에 따른 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작업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결정된 작업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결정된 보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전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골격 정보를 추출하여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손 동작 정보를 결정하고, 시간에 따른 손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숙련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결정된 숙련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튜토리얼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
112, 114: 투명 디스플레이
122, 124: 전면 카메라
132, 134: 후면 카메라
142, 144: 마이크
152, 154: 감지 센서
160: IMU 센서
170: 강화 유리
180: 프레임

Claims (10)

  1.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스마트 글래스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으로서,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상황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비상 상황과 연관된 메시지는 상기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및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에 따라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1 객체를 포함하는 제1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상기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및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위치를 경유하도록 설정됨 -;
    상기 계산된 경로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영상을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후면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 외부의 사각지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각지대 내의 위험 물체와 연관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객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장비와 연관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증강 현실로 표시되는 영상을 함께 확인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상기 계산된 경로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미니맵을 더 포함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로부터 상기 장비와 연관된 복수의 조작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는, 상기 복수의 조작 영역을 조작하는 순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상황 통제 방법.
  9. 제1항, 제3항,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로서,
    외부 상황을 촬영하도록 구성된 전면 카메라;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하도록 구성된 후면 카메라;
    IMU 센서;
    영상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투명 디스플레이;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상황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 상기 비상 상황과 연관된 메시지는 상기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및 상기 비상 상황의 발생에 따라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1 객체를 포함하는 제1 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IMU 센서로부터 IMU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IMU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이동 방향을 추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상기 비상 상황이 발생한 위치 및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를 계산하고 -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비상 탈출구까지의 경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위치를 경유하도록 설정됨 -,
    상기 계산된 경로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방향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영상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고,
    후면 카메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를 촬영한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사용자의 응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 외부의 사각지대를 결정하고,
    상기 사각지대 내의 위험 물체와 연관된 경고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 영상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하고,
    상기 전면 카메라로부터 제2 객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응급 조작이 필요한 장비의 조작 방법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영상을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 증강 현실로 표시 - 상기 제2 객체는 상기 장비와 연관된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임 -
    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증강 현실로 표시되는 영상을 함께 확인하는,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KR1020210064683A 2021-05-20 2021-05-20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KR10233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83A KR102339044B1 (ko) 2021-05-20 2021-05-20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683A KR102339044B1 (ko) 2021-05-20 2021-05-20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044B1 true KR102339044B1 (ko) 2021-12-14

Family

ID=7890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683A KR102339044B1 (ko) 2021-05-20 2021-05-20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0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119A (ko) * 2011-12-20 2013-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강현실구현 안전보안경을 이용한 위험지역 표시시스템 및 방법
KR101709611B1 (ko) * 2014-10-22 2017-03-08 윤영기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안경과 이를 이용한 공간 터치 입력 및 보정 방법
KR20180051306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나무가 3d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안경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 방법
KR101898088B1 (ko) * 2017-12-27 2018-09-12 주식회사 버넥트 객체 추적기반의 프레임 영역 녹화 및 재생기술이 적용된 증강현실 시스템
KR20190052351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비엠이코리아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판단 방법
KR20210019168A (ko) * 2019-08-12 2021-02-2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119A (ko) * 2011-12-20 2013-06-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증강현실구현 안전보안경을 이용한 위험지역 표시시스템 및 방법
KR101709611B1 (ko) * 2014-10-22 2017-03-08 윤영기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장착된 스마트 안경과 이를 이용한 공간 터치 입력 및 보정 방법
KR20180051306A (ko)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나무가 3d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안경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 방법
KR20190052351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비엠이코리아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판단 방법
KR101898088B1 (ko) * 2017-12-27 2018-09-12 주식회사 버넥트 객체 추적기반의 프레임 영역 녹화 및 재생기술이 적용된 증강현실 시스템
KR20210019168A (ko) * 2019-08-12 2021-02-22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상구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5638B (zh) 用于向头戴式显示器用户报警的方法和装置
US11087538B2 (en) Pres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images at display locations that do not obstruct user's view
US9405977B2 (en) Using visual layers to aid in initiating a visual search
JP6770536B2 (ja) 仮想画像生成システムにおけるテキストをより効率的に表示するための技法
JP6177872B2 (ja) 入出力装置、入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入出力方法
US20160171778A1 (en) Smart tools and workspaces for do-it-yourself tasks
JPWO2014128749A1 (ja) 形状認識装置、形状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形状認識方法
KR101455200B1 (ko) 학습 모니터링 장치 및 학습 모니터링 방법
CN105659200A (zh) 用于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设备和系统
EP31634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erting to head mounted display user
JP6250024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669322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604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6250025B2 (ja) 入出力装置、入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入出力方法
JP6522092B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10042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147459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US11137600B2 (en)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KR102339044B1 (ko) 비상 상황 통제 방법 및 장치
KR102337908B1 (ko) 작업 보조 방법 및 장치
KR102337907B1 (ko) 증강 현실 스마트 글래스 장치
KR20180051306A (ko) 3d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안경 및 이를 이용한 비상 상황 대처 방법
JP6496391B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KR102377988B1 (ko) 로봇과의 협업 보조 방법 및 장치
KR102409207B1 (ko) 제품 검사 보조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