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86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868A
KR20180062868A KR1020160163041A KR20160163041A KR20180062868A KR 20180062868 A KR20180062868 A KR 20180062868A KR 1020160163041 A KR1020160163041 A KR 1020160163041A KR 20160163041 A KR20160163041 A KR 20160163041A KR 20180062868 A KR20180062868 A KR 2018006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control signal
input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박효승
김경진
김민형
박가민
유소연
이상준
이준우
정경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868A/ko
Priority to US15/827,610 priority patent/US10437349B2/en
Publication of KR2018006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aving fewer capabilities than the client, e.g. thin client having less processing power or no tuning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5/4403
    • H04N5/445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키 패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화면을 시청하므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내용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공유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를 수초 내에 특수문자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화면을 통한 비밀번호의 유출 위험성이 있다.
최근, 리모컨이 소형화되어 적은 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추세이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용이한 키 패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원격 제어 장치의 적은 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조작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구성되는 키 패드의 키 오브젝트들 중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구성되는 키 패드의 키 오브젝트들 중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수의 버튼의 조작으로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키 패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를 포함하는 제1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x5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x2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x4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x3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12)은 원격 제어 장치(1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는 블루투스, NFC 또는 IR 통신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 그룹은 제1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1 버튼과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2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버튼 그룹은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3 버튼과 제3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4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그룹이 상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1 버튼(111)(이하, '상 버튼'이라고 함)과 하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2 버튼(113) (이하, '하 버튼'이라고 함)을 포함하면, 제2 버튼 그룹은 좌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3 버튼(115) (이하, '좌 버튼'이라고 함)과 우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4 버튼(117)(이하, '우 버튼'이라고 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버튼 그룹이 제2 버튼 그룹은 좌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좌 버튼(115)과 우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우 버튼(117)을 포함하면, 상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상 버튼(111)과 하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하 버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 그룹과 제2 버튼 그룹은 연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 버튼(111)과 하 버튼(113) 사이의 제1 영역과 좌 버튼(115)과 우 버튼(117) 사이의 제2 영역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 있다. 제2 버튼 그룹은 제7 버튼(120)('이하 '확인 버튼'이라고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 버튼(120)은 제1 버튼 그룹과 제2 버튼 그룹의 사이 영역에 위치하며, 예를 들어, 확인 기능에 할당된 버튼일 수 있다. 이 같이, 제1 버튼 그룹과 제2 버튼 그룹은 원격 제어 장치(10)에 저장된 기본 명령에 따라 특정 기능에 할당된 버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키 입력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키 입력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실행할 때,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21)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 입력을 필요로 하는 기능은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기능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1 제어 신호를 확인하면, 키 패드(21)에서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2 제어 신호를 확인하면,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오브젝트 중에서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입력 키를 인식하면, 입력 키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브젝트는 입력 키와 상이한 지정된 키 오브젝트(예: 특수 문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화면 상에 입력 키를 직접적으로 표출하지 않고, 하나의 키가 입력됨을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하나의 특수 문자를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키를 화면 상에 노출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로 하여금 키 입력을 인지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공유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비밀번호와 같이 보안성을 요하는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할 때 유익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키 패드(21)와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 버튼 그룹 간의 상관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은 키 패드(21)에서 강조되어 표시되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에 조작될 수 있다.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은 키 패드(21)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행 또는 열의 배열 방향에 대한 이동 기능에 할당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은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 중에서 하나의 키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제2 버튼 그룹은 키 패드(21)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의 배열 방향에 대한 이동 기능에 할당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키 패드(21)의 행이 열보다 긴 경우에 제1 버튼 그룹은 좌 버튼(115)과 우 버튼(117)이고, 제2 버튼 그룹은 상 버튼(111)과 우 버튼(117)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키 패드(21)의 열이 행보다 긴 경우에는 제1 버튼 그룹은 상 버튼(111)과 우 버튼(117)을 포함하고, 제2 버튼 그룹은 좌 버튼(115)과 우 버튼(11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에 적은 개수의 버튼이 구비된 경우에도, 다양한 키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디스플레이(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방식은 블루투스, NFC 또는 IR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버튼 중 하나를 조작하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프로세서(240)에 의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제1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40)에 의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 제2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210)는 프로세서(240)에 의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 그룹과 제2 버튼 그룹은 각기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므로, 제1 제어 신호와 제2 제어 신호는 사실상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다소 다른 신호일 수 있다. 하지만, 이하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키 오브젝트들의 강조 표시를 위한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1 제어 신호로 칭하고, 강조 표시된 키 오브젝트들 중에서 하나를 입력으로 선택하기 위한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제2 제어 신호로 칭하기로 한다.
메모리(220)는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각 제어 신호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 및 각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하는데 필요한 이미지(예: 키 패드, 키 오브젝트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키 패드 상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와 대응되는 입력 키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는 프로세서(240)의 지시에 따라 키 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키 패드에 대해서는 프로세서(240)와 함께 후술한다.
프로세서(24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키 입력을 필요로 하는 기능을 실행할 때, 디스플레이(230)에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포함하는 제1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도 3a 내지 3c 참조). 제1 화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3c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기능은 예컨대,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상기 키 패드는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키 오브젝트는 숫자 키 오브젝트, 문자 키 오브젝트, 기호 키 오브젝트, 공(blank) 키 오브젝트 및 기능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숫자 키 오브젝트, 문자 키 오브젝트, 기호 키 오브젝트 및 공(blank)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는 중복되어 표시될 수 있다. 숫자 키 오브젝트, 문자 키 오브젝트, 기호 키 오브젝트, 공(blank)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배열될 수 있고, 랜덤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사용자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입력 키 유출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기능 키 오브젝트는 지우기, 초기화, 보여주기 등과 같이 입력 정정 또는 확인 기능에 대해 할당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키 오브젝트는 키 패드의 재배열 기능에 대해 할당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키 오브젝트는 보안을 요하지 않는 키이므로, 지정된 규칙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1 화면을 표시할 때 키 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예를 들어, 키 패드의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강조되어 표시되는 키 패드의 행 또는 열은 키 패드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40)는 디폴트 설정되거나, 선택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설정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은 메모리(220) 상에 저장된 키들로서, 예컨대, 키 패드의 첫 번째 행 또는 열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은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프로세서(240)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제1 화면을 표출할 때 키 패드에서 디폴트 설정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하던 중 제1 제어 신호를 확인하면,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키 패드에서 강조되어 표시되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변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또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를 다양한 형태로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40)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의 크기를 크게 하면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의 하단에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형상 이미지를 표시함에 따라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이후, 도 3a의 참조). 제2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40)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다른 키 오브젝트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로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상기 다른 키 오브젝트와 구분되는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4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40)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다른 키 오브젝트보다 굵게 표시할 수 있다. 제5 실시예로서, 프로세서(240)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둘러싸는 굵은 테두리를 다른 키 오브젝트들의 테두리보다 굵게 표시할 수 있다. 제6 실시예로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에 배경색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은 다양한 형태로 강조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키 패드상에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중에 제2 제어 신호를 확인하면, 강조된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 중에서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2 버튼 그룹은 복수 개이므로 제2 제어 신호는 복수의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 중에서 어떤 버튼이 조작되었는지에 따라서 각기 다른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에 포함된 코드를 확인함에 따라 강조 표시되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 중에서 선택된 키 오브젝트를 키 입력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40)는 입력 키를 인식하면, 사용자가 키가 입력됨을 의식할 수 있도록 입력 키에 대응하는 제1 오브젝트를 제1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브젝트는 입력 키로 인식된 키 오브젝트에 포함된 내용(예: 문자, 숫자)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입력 키와 상이한 지정된 오브젝트(예: 특수 문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키가 '1'이면 프로세서(240)는 제1 화면에 제1 오브젝트로서, '1'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오브젝트로서 '1'을 대신하는 '*'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숫자 키 오브젝트, 문자 키 오브젝트 및 기호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선택된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공 키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공 키 오브젝트를 키 입력으로 인식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지우기 기능에 할당된 지우기 키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이전에 입력된 키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초기화 기능에 할당된 키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이전에 입력된 모든 키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보여주기 기능에 할당된 키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입력된 키들을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보안을 위하여 입력된 키를 일괄 보여주지 않고 일 부분씩 보여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40)는 입력된 키를 지정된 순서가 아닌 랜덤 순서로 보여줄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40)는 입력된 모든 키를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재배열 기능에 할당된 키 오브젝트가 선택됨을 확인하면, 키 패드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에 따르면, 프로세서(240)는 제1 화면에 입력된 키와 총 입력 키의 개수(또는, 총 입력 키의 개수)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제1 화면에 키 패드와 별개로 총 입력 키의 개수에 대응하는 서로 이어지는 네모 블록을 표시하고, 네모 블록 안의 제1 오브젝트를 표시함에 따라 입력된 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화면 상에 입력된 키(예: 비밀번호)를 직접적으로 노출하지 않고도 키 입력을 의미하는 대체 문자만을 노출할 수 있어, 보안을 요하는 키 입력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한 입력 키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를 포함하는 제1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화면(300)은 제목 필드(310), 입력 확인 필드(320) 및 키 패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 도시된 제1 화면(300)은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목 필드(310)에는 제1 화면(300)의 개요, 기능 또는, 목적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300)이 비밀번호(PIN; Personal Identity Number)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일 경우, “Enter PIN Code”와 같은 제1 화면(300)의 개요가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확인 필드(320)에는 총 입력될 키의 개수와 총 입력된 키의 개수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a과 같이, 총 입력될 키의 개수는 나란히 이어지는 네모 블록의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예컨대, 총 입력될 비밀번호가 4개인 경우, 입력 확인 필드(320)에는 4개의 네모 블록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총 입력된 비밀번호의 개수는 네모 블록상에 포함된 대체 문자(예: 특수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비밀번호의 개수가 2개인 경우에 4개의 네모 블록 중에서 2개의 네모 블록에 특수 문자(*)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b 및 3c와 같이, 총 입력될 키의 개수는 네모 블록 안의 밑줄 개수로 표현될 수도 있다. 총 입력된 키의 개수는 밑줄 위에 표시된 입력 키 또는 특수 문자로서 표시될 수 잇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패드(330)는 복수 행과 복수 열로 이루어진 행렬로 배치된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키 오브젝트는 도 3a 및 3b와 같이 숫자 키 오브젝트(예: 335) 및 기능 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b와 같이, 기능 키 오브젝트는 지우기(331), 재배열(332) 및 보여주기(show)(333)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할당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열 기능은 예를 들어, 키 패드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의 위치를 재배열하는 기능일 수 있다. 상기 보여주기 기능은 예를 들어, 대체 문자로 표시된 입력된 키들을 보여주는 기능일 수 있다. 도 3a 내지 3c와 같이, 기능 키 오브젝트(예: 331~333)는 사용자에 의해 식별되기 용이하도록 지정된 규칙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3b와 같이, 복수의 키 오브젝트는 공(blank) 키 오브젝트(예: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 키 오브젝트(334)는 내용이 포함되지 않는 키로서, 선택되더라도 입력으로 인식되지 않는 키일 수 있다. 상기 키 오브젝트는 문자 키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와 같이, 키 패드는 문자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행렬 형태로 다소 변경하여 행렬 형태로 배치한 것일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키 패드는 숫자 키 오브젝트와 문자 키 오브젝트의 조합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d의 키 패드에 이어서 도 3b의 키 패드가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키 패드(330)의 강조 표시 형태는 도 3a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0)의 제1 및 제2 버튼 그룹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에서 원하는 입력에 대응하는 키 오브젝트를 입력하기 위해 조작해야 할 버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키 패드(330)의 강조 형태는 도 3b 및 3c와 같이, 키 패드(330)의 강조 형태는 입력 후보 키 오브젝트들에 배경색을 표시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키 패드에 2x5행렬 형태로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랜덤으로 배열된 숫자 키 오브젝트들과 규칙적으로 배열된 기능 키 오브젝트들을 포함하며, 총 입력될 키 개수를 직사각형 블록 안의 밑줄로 표시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복수의 키 오브젝트가 2x5 행렬 형태로 배치된 경우, 프로세서(24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좌 버튼(115)과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를 확인하면,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을 강조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4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 버튼(111)과 하 버튼(113)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확인하면,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 중에서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작 41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1 기능을 실행할 때, 첫 번째 열의 “1”과 “8”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입력 키 후보들에 배경색을 표시하는 형태로 강조하여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동작 420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우 버튼(117)을 2회 조작하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우 버튼(117)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2회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우 버튼(117)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2회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30에서, 프로세서(240)는 2회의 제1 제어 신호로부터 2회의 우 버튼(117)의 코드를 확인하고, 2회의 우 버튼(117)의 코드에 대응하여 키 패드에서 강조 표시되는 키 오브젝트들의 위치를 우 방향으로 2열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240)는 키 패드상의 세 번째 열의 키 오브젝트 “5”, “2”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작 440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 버튼(111)을 1회 조작하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상 버튼(111)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1회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상 버튼(111)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5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상 버튼(111)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 버튼(111)의 코드에 대응하는 키 오브젝트 “5”를 입력 키로 인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 키 “5”를 화면 상에 직접 표시하지 않고, 입력 확인 필드(320)에 대체 문자 *를 표시하여 키 “5”를 입력 받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동작 460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좌 버튼(115)을 1회 조작하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좌 버튼(115)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1회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좌 버튼(115)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7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1 제어 신호로부터 1회 좌 버튼(115)의 코드를 확인하고, 1회 좌 버튼(115)의 코드에 대응하여 키 패드에서 강조 표시되는 키 오브젝트의 위치를 우 방향으로 1열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세서(240)는 키 패드상의 세 번째 열의 키 오브젝트 “3”, “4”를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동작 480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하 버튼(113)을 1회 조작하면, 원격 제어 장치(10)는 하 버튼(113)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1회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변환하여 하 버튼(113)의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490에서, 프로세서(240)는 제2 제어 신호로부터 하 버튼(113)의 코드를 확인하고, 하 버튼(113)의 코드에 대응하는 키 오브젝트 “4”를 입력 키로 인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입력 확인 필드(320)에 대체 문자 *를 표시하여 키 “4”를 입력 받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10)의 조작 등의 방식으로 키 입력을 필요로 하는 기능의 실행을 취소하지 않는다면, 프로세서(240)는 총 입력된 키의 개수에 대응하는 키가 입력될 때까지 도 4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의 제1 화면에서, 프로세서(240)는 6번째 열의 기능키들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6번째 열의 기능키들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중에 상 방향키가 입력되면, 상대적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입력된 비밀번호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취소하면, 입력 확인 필드(320)에서 입력된 비밀번호의 개수에 대응하는 대체 문자 *을 지울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40)는 6번째 열의 기능키들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중에 상 방향키가 입력되면, 입력된 모든 비밀번호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40)는 비밀번호 입력 내용을 초기화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키 패드와 원격 제어 장치의 버튼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x5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x2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x4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x3 행렬로 배치된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에서는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이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의 테두리를 다른 키 오브젝트들의 테두리보다 굵게 표시하는 형태로 강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도 5a 및 5b와 같이, 키 패드를 구성하는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이 2행 또는 2열을 넘지 않는 경우에, 프로세서(240)는 키 패드에서 상대적으로 긴 행 또는 열에 대응하는 제1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을 강조될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으로 인식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에 대응하는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을 입력될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키 오브젝트가 2x5 행렬 형태로 배치될 때 프로세서(24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좌 버튼(115)과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를 강조될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로 인식하고,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 버튼(111)과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입력될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키 오브젝트가 5x2 행렬 형태로 배치될 때 프로세서(240)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 버튼(111)과 하 버튼(113)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를 강조될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로 인식하고, 원격 제어 장치(10)의 좌 버튼(115)과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입력될 키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프로세서(240)는 키 오브젝트 “5, 6”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의 좌 버튼(115)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5”를 입력 키로 인식하고,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6”을 입력 키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강조용 키에 의해 강조되는 키 위치의 이동방향과 강조용 키의 배치 방향을 통일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버튼 중에서 강조용 키와 입력용 키를 인식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c 및 5d를 참조하면, 키 패드를 구성하는 키 오브젝트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이 3행 또는 3열이면, 입력 후보 오브젝트들에서 입력 키를 선택한 제2 버튼 그룹은 3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 및 5d와 같이, 키 패드의 행렬의 구성요소의 총합이 키 오브젝트로 표시되는 내용(예: 숫자)의 개수를 초과하면, 키 패드에는 중복되는 키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c와 같이 키 패드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열이 짧을 경우에는 제1 버튼 그룹은 행 방향의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상 버튼(111)과 하 버튼(113)을 포함하고, 제2 버튼 그룹은 열 방향의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좌 버튼(115), 확인 버튼(120) 및 우 버튼(1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서 프로세서(240)의 상 버튼(111)과 하 버튼(113)에 대응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강조될 키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강조된 키 오브젝트들 중에서 좌 버튼(115), 확인 버튼(120) 및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 키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복수의 키 오브젝트 “3, 4, 7”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좌 버튼(115)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3”에 대응하는 숫자 “3”을 입력으로 인식하고, 확인 버튼(120)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4”에 대응하는 숫자 “4”를 입력으로 인식하고, 우 버튼(117)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7”에 대응하는 숫자 “7”을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5d와 같이, 키 패드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행이 짧을 경우에는 제1 버튼 그룹은 열 방향에 대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상 버튼(111)과 하 버튼(113)을 포함하고, 제2 버튼 그룹은 행 방향에 대한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좌 버튼(115), 확인 버튼(120) 및 우 버튼(11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복수의 키 오브젝트 “2, 4, 6”이 강조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의 상 버튼(111)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2”에 대응하는 숫자 “2”를 입력으로 인식하고, 확인 버튼(120)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4”에 대응하는 숫자 “4”를 입력으로 인식하고, 하 버튼(113)에 대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키 오브젝트 “6”에 대응하는 숫자 “6”을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0)의 4개 이상 5개 이하의 버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표시된 키 패드를 조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에, 키 오브젝트가 행렬 행태로 배치된 키 패드의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은 3행 또는 3열을 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와 달리, 원격 제어 장치(10)에서 5개를 초과하는 버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에 표시된 키 패드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키 패드의 행과 열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키 패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1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제2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버튼 그룹은, 제1 방향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1 버튼과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2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 그룹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3 버튼과 상기 제3 방향에 반대되는 제4 방향으로의 이동 기능에 할당된 제4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은, 상기 키 패드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행 또는 열의 배열 방향이며,
    상기 제3 및 제4 방향은, 상기 키 패드의 행과 열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의 배열 방향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2 버튼 그룹에 포함된 버튼의 개수는,
    상기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의 개수에 대응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키 오브젝트는,
    숫자 키 오브젝트, 문자 키 오브젝트 및 기호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키 오브젝트는,
    랜덤으로 배열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키 오브젝트는,
    상기 입력 키로 인식되지 않는 공(blank)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일부는,
    중복 표시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패드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을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의 크기, 색상, 두께, 테두리, 배경색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키 오브젝트와 달리하여 상기 상기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을 강조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강조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키를 인식하면, 인식된 상기 입력 키와 상이한 지정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키 패드는, 재배열 기능에 할당된 기능 키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가 상기 기능 키 오브젝트이면, 상기 키 패드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키 오브젝트를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구성되는 키 패드의 키 오브젝트들 중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키 오브젝트는,
    숫자 키 오브젝트, 문자 키 오브젝트 및 기호 키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키 오브젝트는,
    랜덤으로 배열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4항에서, 상기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키 패드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행 또는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의 크기, 색상, 두께, 테두리, 배경색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키 오브젝트와 달리하여 상기 상기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을 강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4항에서, 상기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상기 한 행 또는 한 열에 포함된 키 오브젝트들을 상기 제1 및 제2 버튼 그룹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강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4항에서,
    상기 입력 키를 인식하면, 상기 입력 키와 상이한 지정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제1 버튼 그룹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제2 버튼 그룹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복수의 행과 복수의 열로 구성되는 키 패드의 키 오브젝트들 중에서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object)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동작;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버튼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제2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키 오브젝트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키 오브젝트를 입력 키로 인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60163041A 2016-12-01 2016-12-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80062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41A KR20180062868A (ko) 2016-12-01 2016-12-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5/827,610 US10437349B2 (en) 2016-12-01 2017-11-30 Display device for interfacing by using smaller number of buttons of key pad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041A KR20180062868A (ko) 2016-12-01 2016-12-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868A true KR20180062868A (ko) 2018-06-11

Family

ID=6224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041A KR20180062868A (ko) 2016-12-01 2016-12-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37349B2 (ko)
KR (1) KR201800628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5341A (zh) * 2020-03-12 2020-07-1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控件显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1803629B2 (en) * 2020-11-13 2023-10-31 Google Llc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obfuscated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entry on media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0477B2 (en) * 1995-10-02 2014-09-30 Starsight Telecas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television viewers with advertisers and broadcasters
JP2004242284A (ja) * 2002-12-04 2004-08-2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45489B1 (ko) 2005-07-19 2007-08-02 소프트포럼 주식회사 키입력 해킹방지 방법
KR100912955B1 (ko) 2007-10-10 2009-08-20 김진우 가상키보드 해킹 방지 입력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1151294B1 (ko) * 2010-11-19 2012-06-08 황영만 능동형 보안 인증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
CN103793668A (zh) * 2014-01-22 2014-05-14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密码输入装置
US20160092103A1 (en) * 2014-09-30 2016-03-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Display, management, and use of on-screen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7349B2 (en) 2019-10-08
US20180157339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4445B2 (ja) 英数字を入力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JP2013238935A (ja) 入力装置、入力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025980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30291955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23705A (ko) 추가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와 그를 사용한 추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10929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 of keys for virtual keyboard
KR20190063853A (ko) 입력 필드의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1800628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1360664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software keyboard without overlap with plural field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control program stored thereon
US11726580B2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US20230009807A1 (en) Text entry method and mobile device
US20150062038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10080841A (ko)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17023185A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на сенсорном дисплее
US98111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based on hand gesture
US12013987B2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KR102038660B1 (ko) 이동 단말기의 키보드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KR102411909B1 (ko) Hmd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0912736B1 (ko) 텃치 폰의 문자입력 장치 및 이의 문자입력 방법
KR20130054146A (ko) 터치 스크린 장치용 키패드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20180024305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입력 시스템
KR20180124373A (ko) 사용자 입력 패턴에 따른 원고 용지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50286812A1 (en) Automatic capture and entry of access codes using a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