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21A - 분리형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21A
KR20180062521A KR1020160161550A KR20160161550A KR20180062521A KR 20180062521 A KR20180062521 A KR 20180062521A KR 1020160161550 A KR1020160161550 A KR 1020160161550A KR 20160161550 A KR20160161550 A KR 20160161550A KR 20180062521 A KR20180062521 A KR 2018006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beverage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정
이주원
강성인
남재현
김용환
엄상운
한주열
이한기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6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2521A/ko
Publication of KR2018006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단계적 음료 섭취가 가능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본체와 유사하게 크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고, 본체에 담긴 음료를 먼저 마시고 난 다음 뚜껑에 구비된 마개를 열고 뚜껑에 채워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사용자가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음료를 마시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음료를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음료 용기{A BEVERAGE CONTAINER WITH SEPARABLE TYPE}
본 발명은 단계적 음료 섭취가 가능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본체와 유사하게 크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고, 본체에 담긴 음료를 먼저 마시고 난 다음 뚜껑에 구비된 마개를 열고 뚜껑에 채워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사용자가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음료를 마시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음료를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를 구입하여 섭취할 때, 한 번에 모든 음료를 다 섭취하기에 부담이 있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즉 많은 량의 음료가 하나의 용기에 들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용기에 포함된 음료를 한 번에 또는 단시간에 모두 섭취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한 번에 섭취할 수 없을 경우 음료를 폐기하는 등 낭비가 심한 경우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또한, 구입한 음료수를 조금 섭취하고 나머지를 보관하는 경우, 보관한 음료는 신선도가 떨어져 추후 계속하여 섭취하기에 부적합하거나, 부패되어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산음료의 경우 뚜껑을 닫아 보관하더라도 내부의 탄산이 증발해버려 맛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뚜껑을 열고 보관하게 되는 경우 음료가 외부와 접촉되어 세균에 오염되거나 부패될 수 있다.
또한, 계절적으로 더운 여름철에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료를 마시는 것이 중요하지만, 하나의 음료를 여러 사람이 나누어 마실 경우 하나의 출구에 입을 대고 마셔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으며, 입을 맞대고 마시지 않기 위해 음료 용기의 출구에서 거리를 두고 음료를 마실 때 음료를 흘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음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고, 혼자서 마시더라도 본체에 담긴 음료를 먼저 마시고 난 다음 추후 신선하고 깨끗한 상태에서 뚜껑에 구비된 마개를 열고 뚜껑에 담긴 음료를 추가로 마실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51318호(2001.11.16.공고)는 음료용 캔이나 팩의 내부에 칸막이를 하여 내용물을 나누어 마시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음료수의 양이 많아 나누어 마실 때, 보관과 이동이 편리하고, 맛의 변질을 막을 수 있고,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응하여 각기 다른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음료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따로따로 개봉하여 마실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고 뚜껑과 본체 각각에 음료를 채워 넣어 복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시거나 하나의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시간 간격을 두고 마실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선행기술은 캔의 내부에 칸막이를 형성하여 내용물을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뚜껑과 본체의 크기를 유사하게 제작하여 각각에 음료를 담아 제작한 본 발명과 음료 용기 자체를 두 부분으로 구획한 선행기술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387320호(2014.04.18.공고)는 격벽으로 분리된 이중 캔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나의 캔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별도의 따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음료의 섭취는 물론 믹서하여 혼합물을 섭취 할 수 있도록 한 이중 캔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별도의 잔이 필요없이 캔에서 섞음 음료 및 주류를 섭취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용기에 격벽으로 구획된 두개의 공간의 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다양한 취향에 따른 농도를 달리할 수 있는 섞음 음료 및 주류를 취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별도로 구획된 음료를 따로 섭취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뚜껑과 본체 각각에 음료를 채워 넣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에, 상기 선행기술은 하나의 캔에 따개를 2개 이상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음료를 섭취하거나 연동 따개를 통해 양 측의 음료를 믹서하여 혼합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므로, 뚜껑과 본체 각각에 음료를 담아 제작한 본 발명과 하나의 음료 용기를 두 부분으로 구획하여 연동 따개 동작에 의해 음료를 혼합하도록 한 선행기술은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분명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227279호(2013.01.28.공고)는 이종의 용액을 담거나 혼합할 수 있는 이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와 하부로 각각 분할 구획된 수용부들을 가지어 각기 다른 이종의 용액을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을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수용부들을 연통시켜 이종의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수용부들을 연통시키는 것이 단순한 동작으로 이루어져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이중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몸체를 외면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분리판의 형상을 변형시키어 절개부의 절개홈이 파괴되도록 하여 절개부를 분리판에서 절개시켜 상하수용공간이 서로 연통되게 한 후 파괴된 절개부의 파괴공간을 통해 이종의 용액이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어, 사용자가 본체에 담긴 음료를 먼저 마시고 난 다음, 뚜껑에 구비된 마개를 열고 뚜껑에 담긴 음료를 추가로 마시도록 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 차이점이 분명함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각각의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하나의 음료 용기를 복수 개로 구획하여 음료를 담거나, 두 부분으로 구획된 음료를 혼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단순히 음료용기 본체를 복수로 나누는 것이 아닌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는 차이점이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단순히 음료용기 본체를 복수로 나누는 것이 아닌,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음으로써,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본체에 담긴 음료를 먼저 마시고 난 다음, 뚜껑에 구비된 마개를 열고 뚜껑에 담긴 음료를 추가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나누어 마시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하나의 음료 용기에 담기는 음료 용량을 유지하면서 분리된 뚜껑과 본체에 각각 담아 제조함으로써, 적은 용량의 음료를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하나의 음료를 구입하더라도 시차를 두고 나누어 음료를 섭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섭취하는 경우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음료를 나누어 섭취할 수 있는 분리형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음료 용기는, 내부 공간에 음료가 채워진 본체; 및 음료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독립적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을 분리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에 채워진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양의 음료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은, 동일한 음료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가 각각 독립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는, 상기 뚜껑의 결합이 해제되면 음료를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오픈 구조,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손으로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 원터치 캔 따개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구조의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은,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손으로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 원터치 캔 따개 구조, 주름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할 때 주름을 통해서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구조의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상기 본체의 마개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상기 본체의 마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며, 돌출된 상기 본체의 마개 외측과 상기 뚜껑의 홈 내측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을 통해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상기 본체의 마개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상기 본체의 마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마개를 상기 뚜껑의 홈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뚜껑을 들어 올려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의 마개를 모두 원터치 캔 따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마개를 서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결합하며, 상기 뚜껑을 상기 본체에서 분리할 때 상기 본체의 마개가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단순히 음료용기 본체를 복수로 나누는 것이 아닌, 뚜껑의 크기를 본체의 크기와 유사하게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어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나누어 마시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으므로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뚜껑과 본체로 구분하여 음료를 각각 담아 제작하기 때문에 적은 용량의 음료를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하나의 음료를 구입하더라도 음료의 낭비 없이 본체에 담긴 음료를 우선 마신 후 신선하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두고 뚜껑에 담긴 음료를 나중에 마실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섭취하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하나의 음료 용기의 출구에 입을 대고 마실 필요 없이 본체와 뚜껑에 따로 담긴 음료를 마시기 때문에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음료를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료를 구매한 사용자가 한 번에 또는 단시간에 모두 섭취하여야 하고, 하나의 용기에 포함된 음료를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 폐기하여야 하고, 여러 사람이 섭취할 경우 서로 입을 대고 마서야 하고, 입을 맞대고 마시지 않기 위해 음료 용기의 출구에서 거리를 두고 음료를 마실 때 음료를 흘릴 수 있는 등의 문제를 일거에 해결함으로써, 음료의 오염을 막고, 항상 신선한 상태로 여러 사람이 나누어 섭취할 수 있으며, 탄산음료의 경우 장시간 보관으로 인해 탄산이 증발하여 맛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음료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음료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에 구비된 마개에 밀폐막을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뚜껑에 구비된 마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체와 뚜껑을 동시에 구비한 복합용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용기를 3 개 이상으로 분리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음료 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형 음료 용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본체에 구비된 마개에 밀폐막을 결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뚜껑에 구비된 마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는, 본체(100) 및 뚜껑(200)으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음료 용기를 본체(100)와 뚜껑(200)으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구성하면서, 본체(100)는 물론 뚜껑(200)에도 음료를 채워 넣고, 본체(100) 및 뚜껑(200) 각각에 별도의 음료 출구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본체(100)와 뚜껑(200)을 분리한 후 본체(100) 또는 뚜껑(200)에 채워진 음료를 선택적 또는 단계적으로 섭취하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본체(100)와 뚜껑(200) 부분을 서로 나누어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가격이 상승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알루미늄 캔, 플라스틱 페트병, 종이팩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0)은 플라스틱, 알루미늄, 함석 등의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 공간(120)에 음료가 채워져 있으며, 마개(110)가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마개(110)는 통상적으로 뚜껑(200)의 결합이 해제되면 음료를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오픈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공지된 모든 방식의 구조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마개(110)의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130)으로 막아 밀폐함으로써, 사용자가 밀폐막(130)을 손으로 쉽게 걷어낼 수 있도록 하거나 빨대(straw)를 꽂아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0)의 저면 부분에 형성된 원터치 캔 따개와 동일한 형태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개(110)는 어느 하나의 구조가 아닌, 여러 개의 구조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뚜껑(200)은 내부 공간(220)이 형성되어 음료가 채워지며,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뚜껑(200)을 분리함으로써, 본체(100) 또는 뚜껑(200)에 채워진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200)에 형성된 내부 공간(220)은 상기 본체(100)와 동일한 양의 음료를 채울 수 있는 부피를 가진 공간이다.
또한, 상기 뚜껑(200)은 본체(100)에 담겨진 음료와 동일한 음료를 채우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채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부(즉 본체(100)와 결합되는 방향)의 소정 위치에 음료가 배출되는 마개(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마개(210)는 본체(100) 부분의 마개(110)를 설명한 도 3과 마찬가지로 마개(210)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 캔 따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210)는 주름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100)와 결합할 때 주름을 통해서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공지되어 있는 모든 방식이나 구조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 및 상기 뚜껑(200)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의 마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본체(100)의 마개와 뚜껑(200)의 홈을 나사 형태로 회전시켜 결합하고 해제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외측으로 돌출 형성(도면에서 상부 방향)되는 본체(100)의 마개 외측면과 상기 본체(100)의 마개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뚜껑(200)의 홈 내측면 각각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본체(100)와 뚜껑(200)을 나사산을 따라 회전시켜 결합하고, 결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체(100)와 뚜껑(200)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는 본체(100)의 마개 부분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본체(100)의 마개를 뚜껑(200)의 홈에 끼워 결합하고 뚜껑(200)을 잡고 힘을 가해 본체(100)에서 분리시켜 해제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100)의 마개를 돌출시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200)의 상기 본체(100)의 마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한 후, 본체(100)의 마개를 뚜껑(200)의 홈에 끼워 결합하며, 뚜껑(200)을 들어 올리면 본체(100)와 뚜껑(200)이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는 보관이나 관리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되는 부분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일부가 서로 붙은 상태로 만들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본체(100)와 뚜껑(200)을 각각 잡고 힘을 주면 손쉽게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형 음료 용기는 본체(100)와 뚜껑(200) 각각 구비된 마개 부분을 서로 맞물리게 제작함으로써, 본체(100)와 뚜껑(200)을 분리할 때(예를 들어, 뚜껑(200)을 들어 올리는 동작), 본체(100) 부분의 마개가 자동으로 오픈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본체(100)와 뚜껑(200)에 구비된 마개를 모두 통상적인 원터치 캔 따개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 뚜껑(200)에 구비된 마개와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마개를 서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상기 뚜껑(200)을 상기 본체(100)에서 분리할 때 본체(100)의 마개가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음료 용기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음료를 단계적으로 섭취하거나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음료 용기를 전체 용량을 늘리지 않는 범위에서 본체(100)와 뚜껑(200)의 크기, 상호 간의 결합 및 해제 방식을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크기, 결합 및 해제 방식에 따라 본체(100)와 뚜껑(200)의 형상을 제작하되, 본체(100) 상부 및 뚜껑(200) 하부 각각에 음료가 배출되는 마개를 형성하며, 본체(100) 및 뚜껑(200) 각각의 내부 공간에 음료를 채워 넣는다. 이때 본체(100)와 뚜껑(200) 각각에 채워지는 음료의 양은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00) 및 뚜껑(200) 모두에 동일한 음료를 채우거나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를 채워 넣는다.
마개를 형성할 때, 본체(100)의 경우에는 뚜껑(200)의 결합이 해제되면 음료를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오픈 구조,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손으로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 원터치 캔 따개 구조 등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한다.
또한, 뚜껑(200)의 경우에도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손으로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 원터치 캔 따개 구조, 주름형태로 형성하여 본체(100)와 결합할 때 주름을 통해서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구조 등의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하여 마개를 구성한다.
이처럼, 본체(100) 및 뚜껑(200)을 각각 독립적인 구조로 형성하여 음료를 채운 이후에는, 본체(100) 및 뚜껑(200) 상호간을 결합하여 분리형 음료 용기를 완성한다.
예를 들어, 본체(100)와 뚜껑(200)을 나사 방식을 사용하여 결합시키거나 또는 본체(100)의 돌출된 마개를 뚜껑(200)의 홈에 끼워 결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 및 뚜껑(200) 각각에 형성한 원터치 캔 따개 형태의 마개를 서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하여 뚜껑(200)이 본체(100)에서 분리될 때 본체(100)의 마개가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체와 뚜껑을 동시에 구비한 복합용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용기를 3 개 이상으로 분리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와 뚜껑(200)을 하나로 결합하여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복합용기에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복합용기는 복수개가 서로 캐스케이딩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다양한 음료를 각 복합용기에 담아서 하나의 용기로 다시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체와 뚜껑을 동시에 구비한 복합용기를 이용하여 하나의 용기를 3 개 이상으로 분리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의 구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 음료가 채워지는 본체에 상기 본체가 다른 본체의 뚜껑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합용기를 포함하며, 복수의 독립적으로 형성된 상기 복합용기가 서로 연쇄적으로 케스캐이딩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많은 용량을 복수의 작은 용량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복합용기에 채워진 음료를 독립적이고 선택적으로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본체를 단순히 복수로 나누는 것이 아닌, 본체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로 뚜껑을 만들어 음료를 채워 넣기 때문에, 하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시간을 두고 순차적으로 나누어 마시거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뚜껑과 본체로 나누어진 음료를 각각 나누어 마실 수 있어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료를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적은 용량의 음료를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하나의 음료를 구입하더라도 음료의 낭비 없이 본체에 담긴 음료를 우선 마신 후 시차를 두고 뚜껑에 담긴 음료를 마실 수 있으며, 다수의 사용자가 섭취하는 경우 하나의 음료 용기의 출구에 입을 대고 마실 필요 없이 본체와 뚜껑에 따로 담긴 음료를 마시기 때문에 신선하고 청결한 상태로 음료를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한 번에 또는 단시간에 음료를 섭취할 필요가 없고, 여러 사람이 서로 입을 대고 마실 필요가 없고, 입을 맞대지 않고 마실 때 음료를 흘릴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탄산음료의 경우 장시간 보관으로 인해 탄산이 증발하여 맛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마개
120 : 내부 공간 130 : 밀폐막
200 : 뚜껑 210 : 마개
220 : 내부 공간 300 : 복합용기

Claims (9)

  1. 내부 공간에 음료가 채워진 본체; 및
    음료가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독립적으로 형성된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을 분리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뚜껑에 채워진 음료를 선택적으로 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본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양의 음료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은,
    동일한 음료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가 각각 독립적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뚜껑의 결합이 해제되면 음료를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오픈 구조,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손으로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 원터치 캔 따개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구조의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출구를 연성재질의 밀폐막으로 밀폐하여 손으로 걷어내거나 빨대를 꽂을 수 있는 구조, 원터치 캔 따개 구조, 주름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할 때 주름을 통해서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는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구조의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상기 본체의 마개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상기 본체의 마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며, 돌출된 상기 본체의 마개 외측과 상기 뚜껑의 홈 내측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을 통해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상기 본체의 마개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뚜껑의 상기 본체의 마개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의 마개를 상기 뚜껑의 홈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뚜껑을 들어 올려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이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음료 용기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뚜껑의 마개를 모두 원터치 캔 따개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와 상기 본체에 구비된 마개를 서로 엇갈려 맞물리도록 결합하며, 상기 뚜껑을 상기 본체에서 분리할 때 상기 본체의 마개가 자동으로 오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9. 내부 공간에 음료가 채워지는 본체에 상기 본체가 다른 본체의 뚜껑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 용기를 포함하며, 복수의 독립적으로 형성된 상기 용기가 서로 연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하나의 용기를 복수의 작은 크기의 용기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용기에 채워진 음료를 독립적이고 선택적으로 섭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음료 용기.
KR1020160161550A 2016-11-30 2016-11-30 분리형 음료 용기 KR20180062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50A KR20180062521A (ko) 2016-11-30 2016-11-30 분리형 음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550A KR20180062521A (ko) 2016-11-30 2016-11-30 분리형 음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21A true KR20180062521A (ko) 2018-06-11

Family

ID=6260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550A KR20180062521A (ko) 2016-11-30 2016-11-30 분리형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252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603U (ko) * 1989-12-15 1991-08-28
JP3084603U (ja) * 2001-09-10 2002-03-29 勇 中村 携帯用飲料容器
KR20140022665A (ko) * 2012-08-14 2014-02-25 김윤우 다중 혼합 용기
KR101387320B1 (ko) * 2013-01-25 2014-04-18 박홍기 이중 캔
KR101528869B1 (ko) * 2014-03-05 2015-06-15 그린보 주식회사 적층 및 뚜껑 개폐가 가능한 음료수 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4603U (ko) * 1989-12-15 1991-08-28
JP3084603U (ja) * 2001-09-10 2002-03-29 勇 中村 携帯用飲料容器
KR20140022665A (ko) * 2012-08-14 2014-02-25 김윤우 다중 혼합 용기
KR101387320B1 (ko) * 2013-01-25 2014-04-18 박홍기 이중 캔
KR101528869B1 (ko) * 2014-03-05 2015-06-15 그린보 주식회사 적층 및 뚜껑 개폐가 가능한 음료수 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84603호(2002.03.29.)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2017A (en) Beverage mixing dispenser device
US5588550A (en) Compartmented container including closure with access to individual compartments
US6450351B1 (en) Compartmented container
US7975868B1 (en) Compartmentalized beverage container
US7866183B2 (en) Drink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446888B2 (en) Multi-compartmented flowable-foodstuff storage container plus dispenser and related methods
US20030178433A1 (en) Beverage can cap with an ice compartment
US20160123786A1 (en) Dual lid container-dispenser apparatus
KR20150045473A (ko) 적층 가능한 용기 시스템
US8376134B1 (en) Drink bottle with multiple drink dosage device
US20120199546A1 (en) Dual Compartment Drinking System
US20160244237A1 (en) Two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making a two component beverage
KR101348415B1 (ko) 2액형 음료용기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EP2398718A1 (en) Double containment capacity container
AU2018234458B2 (en) Doser cap for liquid container
KR100980768B1 (ko) 이중용기
WO2007034466A1 (en) Stackable multi-compartment drinking cup
KR20180062521A (ko) 분리형 음료 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20130061060A (ko) 음료 및 주류 용기
JP3055120B2 (ja) 詰替式容器
KR101538373B1 (ko) 이종물질 보관 병뚜껑
KR101392957B1 (ko) 저장부를 갖는 용기 뚜껑
US10624501B2 (en) Self-contained beverage unit for transporting and creating a mixed beve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