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320B1 - 이중 캔 - Google Patents

이중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320B1
KR101387320B1 KR1020130008553A KR20130008553A KR101387320B1 KR 101387320 B1 KR101387320 B1 KR 101387320B1 KR 1020130008553 A KR1020130008553 A KR 1020130008553A KR 20130008553 A KR20130008553 A KR 20130008553A KR 101387320 B1 KR101387320 B1 KR 10138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wall
double
communication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기
Original Assignee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기 filed Critical 박홍기
Priority to KR102013000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벽으로 분리된 이중 캔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나의 캔에 적어도 2개이상의 별도의 따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음료의 섭취는 물론 믹서하여 혼합물을 겁취 할 수 있도록한 이중 캔에 관한 것으로, 제 1실시 예로써, 원통형 몸체의 상하부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를 구비한 이중 캔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연통 따개부를 갖는 격벽; 및 상부 커버의 따개와, 상기 격벽의 연통 따개부 사이에 연동대가 설치되는 이중 캔으로 구성된다.
제 2 실시 예로써, 원통형 몸체의 상하부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를 구비한 이중 캔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연통 따개부를 갖는 격벽; 및
상기 격벽의 연통 따개부와, 일측의 원통형 몸체 내벽 사이에는 연동대가 설치되는 이중 캔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잔이 필요없이 캔에서 섞음 음료 및 주류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하나의 용기에 격벽으로 구획된 두개의 공간의 체적을 다르게함으로써, 다양한 취향에 따른 농도를 달리 할 수 있는 섞음 음료 및 주류를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 캔{Dual cans}
본 발명은 격벽으로 분리된 이중 캔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나의 캔에 적어도 2개이상의 별도의 따개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음료의 섭취는 물론 믹서하여 혼합물을 겁취 할 수 있도록한 이중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알루미늄과 같은 원통형 함체에 따개를 구비한 한몸으로 되어 그 내부도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캔에는 한가지 종류의 내용물 밖에는 충입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소량으로 두사람 이상이 서로 다른 음료수를 마시고져 하거나 혼자라도 사이다 및 콜라 등과 같이 두가지 음료를 마시고 싶을 때는 두가지 음료를 구입하여 마셔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나의 캔의 내부에 격벽을 형성하여 그 격벽 사이에 두 공간부를 구획하여 각각의 공간부에 해당하는 캔의 상부 또는 상하부에 때개를 구비하여 하나의 캔에서 두가지의 음료를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대한민국 공개특허에서 제10-1999-0046777호 (1999년 7월 5일 공개) 명칭: 상하 이중캔 및 공개특허 제10-1998-081984호 (1998년 11월 25일 공개) 명칭 수직분할 이중 캔으로 제공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46777호 (1999년 7월 5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81984호 (1998년 11월 25일 공개)
없음
그러나 이는 두가지의 음료를 하나의 캔에서 섭취하는 목적은 달성했지만 근래의 술 문화에서 주로 주류에서 서로 다른 술을 섞어 마시는 문화에서 예컨데 이중캔의 제 1공간부에 소주를 그리고 제 2공간부에 맥주를 저장한 상태에서 섞어 마심을 하기 위해서는 역시 종래와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공간부에 내용물을 각각의 따개를 따낸 후, 그러나 이는 두가지의 음료를 하나의 캔에서 섭취하는 목적은 달성했지만 근래의 술 문화에서 주로 주류에서 서로 다른 술을 섞어 마시는 문화에서 예컨데 이중캔의 제 1공간부에 소주를 그리고 제 2공간부에 맥주를 저장한 상태에서 섞어 마심을 하기 위해서는 역시 종래와 같이 컵을 이용하여 각각의 제1 및 제2공간부에 내용물을 각각의 따개를 따낸 후, 여전히 술 잔을 이용하여 적당한 비율로 섞어 마시는 술을 제조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잔이 필요 없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음료를 섞어 마실 수 있도록 이중캔을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인 격벽에 따개 또는 캔의 몸체를 따거나 누르는 동작에 의해 격벽을 개통시켜서 서로 다른 공간 내에 구비된 두가지의 음료가 혼합되어 혼합된 하나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이중 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실시 예로써, 원통형 몸체의 상하부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를 구비한 이중 캔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연통 따개부를 갖는 격벽;
상부 커버의 따개와, 상기 격벽의 연통 따개부 사이에 연동대가 설치되는 이중 캔으로 달성된다.
제 2 실시 예로써, 원통형 몸체의 상하부에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를 구비한 이중 캔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연통 따개부를 갖는 격벽;
상기 격벽의 연통 따개부와, 일측의 원통형 몸체 내벽 사이에는 연동대가 설치되는 이중 캔으로 달성된다.
제 1 실시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연동대가 구비된 공간부 측의 커버에는 하나의 음료 섭취를 위한 따개가 더 구비된 이중 캔으로 달성된다.
제 1 및 제 2실시 예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연통 따개부는 불연속 절취구간을 구비한 절취선이 형성된 이중 캔으로 달성된다.
제 1 및 제 2실시 예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연동대가 구비된 제 1 공간부는 적어도 제 2공간부 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게 형성된 이중 캔으로 달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별도의 잔이 필요없이 캔에서 섞음 음료 및 주류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용기에 격벽으로 구획된 두개의 공간의 체적을 다르게함으로써, 다양한 취향에 따른 농도를 달리 할 수 있는 섞음 음료 및 주류를 취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의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중 캔을 설명한다.
[제 1 실시 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도면들이다.
도 1은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에에 따른 이중 캔(10)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원통형 몸체(B)의 상하부에 커버(C1, C2) 각각에 형성된 따개(11, 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원통형 몸체(B)의 상하부에 커버(C1, C2)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C1, C2)에 각각 하나의 따개(11, 12)를 구비하며, 몸체(B)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A1, A2)를 구비한 이중 캔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연통 따개부(14)를 갖는 격벽(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커버(C1)의 따개(11)와, 상기 격벽(13)의 연통 따개부 사이에 연동대(15)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꼭 혼합음료를 취식하기 위한 한정된 목적만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상부 커버(C1)에 하나의 따개(11)가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석음 취식을 하지 않고 싶을 때를 위하여, 따개(11)는 섞지 않음 취식을 위한 제 1공간부(A1)의 음료 만을 취식할 따개(11)로만 사용되어지고, 그 일 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섞음 따개(11A)를 별도로 더 구비해야 한다.
즉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섞음 따개(11A)와, 상기 섞음 따개(11A)의 직하부의 격벽(13)에 연통 따개부(14)를 구비한 후, 연동대(15)를 연결 설치한다.
[제 2 실시 예]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도면들이다.
도 4는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에에 따른 이중 캔(20)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원통형 몸체(B)의 상하부에 커버(C1, C2) 각각에 형성된 따개(21, 2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원통형 몸체(B)의 상하부에 커버(C1, C2)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21, 22)를 구비하며, 몸체(B)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A1, A2)를 구비한 이중 캔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연통 따개부(24)를 갖는 격벽(23)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23)의 연통 따개부(24) 안쪽과, 일측의 원통형 몸체 내벽(29) 사이에는 연동대(25)가 설치되는 이중 캔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2 실시 예에 있어서, 공히 상기 연통 따개부(14, 24)는 불연속 절취구간을 구비한 절취선(14L, 24L)이 형성된다.
또한 연동대(15, 25)가 구비된 제 1 공간부(A1)는 적어도 제 2공간부(A2) 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게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섭취함에 따른 양식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중캔(10, 20)의 두개의 공간부(A1, A2) 각각에 담긴 예를 들어 콜라와 사이다 또는 양주와 토닉워터 및 소주와 맥주, 칵테일용과일액기스 및 소주등 여러 케이스가 선택되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주와 맥주가 담긴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두 공간부(A1, A2)에 서로다른 음료를 각각 별도로 섭취하고자 할 때에에는 각각의 용기(10, 20)의 섭취하고자 하는 측의 따개(11, 12, 21, 22) 중 어느하나를 따서 취식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석어서 마시고 싶을 경우에는 제 1실시 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부(A1)에 소주가 들어 있고, 석음 따개(11A)를 따면, 따개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연동대(15)를 하부로 눌러주기 때문에 연동대가 고정연결된 연통 따개부(14)의 절취선(14L)을 따라 연통 따개부(14)가 하향되면서 두 공간부(A1, A2)의 소주와 맥주가 혼합되어 일명 소맥이 제조되어 기호에 따라 소맥을 마실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부(A1)에 소주가 들어 있고, 연동대(25)가 지지 고정되어 있는 부위의 용기 몸체(20)를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통상 알루미늄캔으로 형성된 용기가 쉽게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찌그러진다.
그러면 연동대(25)가 경사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연통 따개부(24)를 누르게되고 이에 따라 절취선(24L)을 따라 연통 따개부(24)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두 공간부(A1, A2)의 소주와 맥주가 혼합되어 일명 소맥이 제조되어 기호에 따라 소맥을 마실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캔의 용기 내벽(29)의 연동대(25)가 고정된 부위를 중심으로 용기 몬체(20)의 외벽에는 일정 형태의 구획선을 형성하여 누름표시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는 기능을 활용함에 있어서 쉽게 유도하는 작용외에, 제조사의 마크 내지는 심볼을 도안하면 홍보효과도 좋을 것을 것이다.
그리고 용기(10, 20)의 두공간부(A1, A2)의 용적비는 1:10 에서 4:5 사이에서 담기는 음료 및 주류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 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원통형 몸체 C1, C2: 상하부 커버
11, 12, 21, 22: 따개 11A: 섞음따개
13, 23: 격벽 29: 내벽
14, 24: 연통 따개부 14L, 24L:
15, 25: 연동대 A1, A2: 공간부

Claims (4)

  1. 원통형 몸체(10)의 상하부에 커버(C1, C2,)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11, 12)를 구비하며,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13)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A1, A2)를 구비한 이중 캔(10)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절취선(14L)을 형성한 연통 따개부(14)를 갖는 격벽(13); 및
    상부 커버(C1)의 따개(11) 일측에 형성된 따개(11A)와, 상기 격벽(13)의 연통 따개부(14) 사이에 설치되는 연동대(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 캔.
  2. 원통형 몸체(20)의 상하부에 커버(C1, C2)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 각각 하나의 따개(21, 22)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격벽(23)으로 구획하여 적어도 2 이상의 공간부(A1,A2)를 구비한 이중 캔(20)에 있어서,
    일정 위치에 절취선(24L)을 형성한 연통 따개부(24)를 갖는 격벽(23); 및
    상기 격벽의 연통 따개부(24)와, 원통형 몸체(20)의 일측 내벽(29) 사이에는 연동대(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 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따개부(14, 24)는 불연속 절취구간을 구비한 절취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 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연동대(15, 25)가 구비된 제 1 공간부(A1)는 적어도 제 2공간부(A2) 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 캔.
KR1020130008553A 2013-01-25 2013-01-25 이중 캔 KR10138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53A KR101387320B1 (ko) 2013-01-25 2013-01-25 이중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553A KR101387320B1 (ko) 2013-01-25 2013-01-25 이중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320B1 true KR101387320B1 (ko) 2014-04-18

Family

ID=5065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553A KR101387320B1 (ko) 2013-01-25 2013-01-25 이중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3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21A (ko) * 2016-11-30 2018-06-11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형 음료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032U (ja) * 1992-04-07 1993-11-02 浩史 渡辺 飲料罐詰め
KR200199541Y1 (ko) 2000-04-12 2000-10-02 김정수 음료수 캔
KR200256167Y1 (ko) 2001-08-08 2001-12-13 김상열 이중 음료수 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032U (ja) * 1992-04-07 1993-11-02 浩史 渡辺 飲料罐詰め
KR200199541Y1 (ko) 2000-04-12 2000-10-02 김정수 음료수 캔
KR200256167Y1 (ko) 2001-08-08 2001-12-13 김상열 이중 음료수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521A (ko) * 2016-11-30 2018-06-11 안동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분리형 음료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311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recessed top and method for using same
US9642497B2 (en)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US20090272747A1 (en) Multi-compartment fluid storage device
US10196190B2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can or bottle
JP4300483B2 (ja) 二室を有する飲料用ボトル
KR101387320B1 (ko) 이중 캔
US20130200086A1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Bottle
EP2786944A1 (en) Beverage or alcohol container
KR101349435B1 (ko) 다중 컵
US20110266247A1 (en) Mixed drink system
US20230105236A1 (en) Multilayer drinking can system
KR200271146Y1 (ko) 혼합주를 제조하기 위한 이중용기구조의 캔
KR200491426Y1 (ko) 테이크아웃 용기
US20200377281A1 (en) Multiple compartment containers for mixed drinks
JP2009089842A (ja) 飲料用容器
KR200359540Y1 (ko) 식품용기
US11839317B1 (en) Multi-chambered drinking vessel
CN208217460U (zh) 一种多功能的双层结构饮料桶
KR20170047895A (ko) 상하 분리형 음료 용기
KR200306690Y1 (ko) 주류 배합용 용기
CN201718930U (zh) 可同时饮用多种饮料的杯子
CN201160731Y (zh) 隔层式多功能杯
KR200284517Y1 (ko) 수용공간이 두개 이상인 컵
US20170283109A1 (en) Bottle
CN108209407A (zh) 两用酒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