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506A -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506A
KR20180062506A KR1020160161405A KR20160161405A KR20180062506A KR 20180062506 A KR20180062506 A KR 20180062506A KR 1020160161405 A KR1020160161405 A KR 1020160161405A KR 20160161405 A KR20160161405 A KR 20160161405A KR 20180062506 A KR20180062506 A KR 20180062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raw material
dust
hop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342B1 (ko
Inventor
김학준
김용진
한방우
우창규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3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65G69/182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with aspir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08B5/04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는 내부에 원료가 야적되어 있고, 이송 차량에 의해 원료를 지하의 원료 이송 시스템으로 전달하도록 바닥면에 복수의 호퍼가 형성된 원료 저장창고 내부의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있어서, 호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비산먼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덕트, 덕트와 호퍼 사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비산먼지의 비산을 억제시키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APPARATUS FOR REMOVING LOCAL DUST}
본 발명은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의 원료 저장창고 내부에서 야적된 원료를 이송 차량에 의해 원료 저장창고 바닥면에 형성된 호퍼로 이송시킬 때 발생하는 비산먼지를 억제시킬 수 있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가 사용되는 원료 저장창고(1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80m, 40m, 14m가 될 정도의 대형의 창고(100)이고, 창고(100) 내부에는 야적된 원료(110)가 위치하고 있고, 창고(100)의 일측 바닥면에는 지하의 원료 이송 시스템(150)과 연결하도록 하는 복수의 호퍼(120)가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포크레인과 같은 이송 차량(130)에 의해 야적된 원료(110)를 호퍼(120)를 통해 지하의 원료 이송 시스템(150)에 전달할 수가 있고, 원료 이송 시스템(150)에 의해 전달된 원료(110)는 다시 또 다른 공정을 위한 곳으로 이송될 수가 있다.
이때, 호퍼(120)를 통해 지하의 원료 이송 시스템(150)으로 원료(110)를 전달할 때 호퍼(120)에서 다량의 먼지가 비산되어 원료 저장창고(100) 내부의 공기를 오염시킨다.
도 2는 도 1의 원료 저장창고(100) 내부에서 작업 시간에 따른 먼지 크기 별 농도 변화를 도시하고 있는데, 작업 시 수분 동안 먼지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알 수 있고, 작업 시 원료 저장창고(100) 내부의 먼지 농도는 대기 미세먼지(PM10) 규제 농도보다 수십 배 이상 높게 나타남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료 저장창고(100) 내부의 공기질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은 종래의 고정형 덕트(180)를 이용한 원료 저장창고(100) 내부의 공기질 개선장치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종래에는 각 호퍼(120)의 상부에 덕트(180)를 각각 고정시키고, 각각의 덕트(180)를 원료 저장창고(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대형의 공조 필터 시스템(190)을 통해 비산 먼지를 흡입 후 정화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고정형 덕트(180)를 사용하는 경우 적재 및 이송 과정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대형의 공조 필터 시스템(190)을 통해 복수의 덕트(180)에서 동시에 흡입력을 가함으로써 비산의 비중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해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없어서 비산먼지의 제거 효율이 떨어졌으며, 장치의 설치에 비용이 많이 들어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235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덕트와 호퍼 사이를 둘러싸도록 가림막을 형성하여 비산먼지의 비산을 막고 가림막의 내부에 대하여 덕트에 의해 집중적으로 비산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산먼지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원료가 야적되어 있고, 이송 차량에 의해 상기 원료를 지하의 원료 이송 시스템으로 전달하도록 바닥면에 복수의 호퍼가 형성된 원료 저장창고 내부의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비산먼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상기 호퍼 사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비산먼지의 비산을 억제시키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막은 세로 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비닐 또는 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림막은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유체로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유체는 공기 또는 물 중 어느 하나일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로부터 흡인된 비산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덕트 및 필터부를 장착하여 상기 원료 저장창고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따르면 가림막에 의해 호퍼에서 발생한 비산먼지의 비산을 막고, 가림막의 내부에 대하여 덕트에 의한 흡입력을 집중시킬 수 있어서 덕트에 의한 비산먼지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림막으로 세로로 구획된 비닐 또는 천을 사용하거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 또는 유체를 사용함으로써, 이송 차량이 자유롭게 가림막 내외부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는 고정형이 아니고 이동형이기 때문에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하여 국부적인 여과를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호퍼 각각에 대하여 비산먼지 흡입을 위한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를 이용하여 가림막을 형성하는 경우 분사되는 액체를 통해서도 비산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가 사용되는 원료 저장창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원료 저장창고 내부에서 작업 시간에 따른 먼지 크기 별 농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종래의 고정형 덕트를 이용한 원료 저장창고 내부의 공기질 개선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으로 형성된 가림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형성된 가림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튼으로 형성된 가림막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형성된 가림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가 사용되는 곳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대형의 원료 저장창고(100)로, 내부에 황화아연(ZnS)과 같은 원료(110)가 야적되어 있고, 야적된 원료(110)를 외부로 이송시키도록 원료 저장창고(100) 바닥면의 일측에는 복수의 호퍼(120)가 일렬로 형성될 수가 있다. 원료 저장창고(100)의 지하에는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형성된 원료 이송 시스템(150)이 형성되어 이송 차량(130)에 의해 각 호퍼(120)를 통해 원료(110)를 전달받아 이를 다른 곳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는 덕트(210) 및 가림막을 포함할 수가 있다. 또한, 이동부(25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덕트(210)는 호퍼(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대형 송풍기(220)에 의한 흡입력으로 덕트(210) 하단부의 비산먼지를 흡입하고, 덕트(210)의 상단에는 비산먼지와 함께 흡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관(212)이 형성될 수가 있다. 배관(212)의 일단에는 전술한 송풍기(220)가 연결되고, 흡입된 비산먼지를 필터링하는 백필터, 전기집진기, 스트러버 등으로 형성된 필터부(230)가 형성될 수가 있다.
가림막은 덕트(210)와 호퍼(120) 사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비산먼지의 비산을 억제시키도록 한다. 가림막은 일차적으로 호퍼(120)에서 발생한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장하여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가림막에 의해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이 분리되기 때문에 가림막의 상부에 형성된 덕트(210)에 의한 흡입력이 가림막의 내부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송풍기(220)에 의한 흡입력으로 가림막의 내부의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림막은 비닐 또는 천(241)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덕트(210)의 가장자리에 상기 비닐 또는 천(241)이 고정되어 아래로 펼쳐지되 바닥면에 형성된 호퍼(12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비닐 또는 천(241)이 덕트(210)와 호퍼(120) 사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가림막이 형성되어 가림막 외부의 공간과 가림막 내부의 공간을 구획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비닐 또는 천(241)으로 형성되는 가림막은 세로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비닐 또는 천(241)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도 4에서는 호퍼(120)의 각 면에 2 개의 비닐 또는 천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더 많은 개수의 비닐 또는 천(241)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가림막이 복수의 비닐 또는 천(241)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비닐 또는 천(241)의 하단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 구속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이송 차량(230)의 버켓이 자유롭게 비닐 또는 천(241)의 내외부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가림막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덕트(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노즐(242)을 일렬로 형성하고 노즐(242)에 소형의 송풍기(222)를 연결하여 노즐(242)을 통해 공기와 같은 기체를 분사시킴으로써 가림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분사되는 기체에 의한 에어커튼(243)은 전술한 비닐 또는 천(241)과 마찬가지로 호퍼(120)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기체를 분사시켜 형성함으로써, 덕트(210)와 호퍼(120) 사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에어커튼(24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어커튼(243)에 의한 가림막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호퍼(120)에서 발생한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장하여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에 형성된 덕트(210)에 의한 흡입력이 에어커튼(243)의 내부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송풍기(220)에 의한 흡입력으로 에어커튼(243) 내부의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차량(130)의 버켓이 자유롭게 에어커튼(243) 내외부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가림막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덕트(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노즐(242)을 일렬로 형성하고 노즐(242)에 소형의 펌프(224)를 연결하여 노즐(242)을 통해 물과 같은 액체를 분사시킴으로써 가림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호퍼(120)의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물과 같은 액체를 분사시킴으로써, 덕트(210)와 호퍼(120) 사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분사되는 액체에 의한 가림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의 가림막의 경우에도 일차적으로 호퍼(120)에서 발생한 비산먼지가 외부로 확장하여 퍼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상부에 형성된 덕트(210)에 의한 흡입력이 가림막의 내부에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송풍기(220)에 의한 흡입력으로 내부의 비산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차량(130)의 버켓이 자유롭게 가림막 내외부를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나아가, 노즐(242)로부터 분사되는 액체를 이용하여 가림막을 형성하는 경우, 덕트(210)에 의한 비산먼지의 흡입과 별개로 분사되는 액체를 통해 비산먼지를 제거시킴으로써 비산먼지의 제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로 설명을 하면, 전술한 덕트(210), 필터부(230), 송풍기(220) 등을 장착시키고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부(250)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는 이동부(2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원료 저장창고(100)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가 있다.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각 호퍼(120)의 상부에 덕트(180)를 고정 형성하여 적재 및 이송 과정에 불편을 초래하였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동식으로 형성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호퍼(120)의 위치로 본 발명의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가 직접 이동하여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 국부적인 비산먼지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원료 저장창고 110: 원료
120: 호퍼 130: 이송 차량
150: 원료 이송 시스템 180: 덕트
190: 공조 필터 시스템 210: 덕트
212: 배관 220: 송풍기
222: 송풍기 224: 펌프
230: 필터부 241: 비닐 또는 천
242: 노즐 243: 에어커튼
250: 이동부

Claims (6)

  1. 내부에 원료가 야적되어 있고, 이송 차량에 의해 상기 원료를 지하의 원료 이송 시스템으로 전달하도록 바닥면에 복수의 호퍼가 형성된 원료 저장창고 내부의 비산먼지 억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비산먼지를 흡입하도록 하는 덕트;
    상기 덕트와 상기 호퍼 사이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비산먼지의 비산을 억제시키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세로 방향으로 구획된 복수의 비닐 또는 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호퍼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림막은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유체로 형성되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 또는 물 중 어느 하나인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로부터 흡인된 비산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및 필터부를 장착하여 상기 원료 저장창고 내부에서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KR1020160161405A 2016-11-30 2016-11-30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KR10191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05A KR101914342B1 (ko) 2016-11-30 2016-11-30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05A KR101914342B1 (ko) 2016-11-30 2016-11-30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506A true KR20180062506A (ko) 2018-06-11
KR101914342B1 KR101914342B1 (ko) 2018-11-02

Family

ID=6260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405A KR101914342B1 (ko) 2016-11-30 2016-11-30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8191B (zh) * 2020-07-31 2022-03-15 张红新 一种农业用传动式二段打散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920B2 (ja) * 1995-02-22 2000-09-18 東洋熱工業株式会社 動物飼育ラック
KR101542351B1 (ko) 2014-05-08 2015-08-07 크린에어테크(주) 항만용 비산먼지 발생 억제 호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32B1 (ko) * 2012-09-19 2013-03-18 (주)인성테크 독립 공간의 확장 및 신축이 가능한 재배 하우징을 구비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591390B1 (ko) * 2015-08-21 2016-02-04 주식회사 서도기업 항만용 비산 먼지 억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8920B2 (ja) * 1995-02-22 2000-09-18 東洋熱工業株式会社 動物飼育ラック
KR101542351B1 (ko) 2014-05-08 2015-08-07 크린에어테크(주) 항만용 비산먼지 발생 억제 호퍼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088920호(2000.09.1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342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3941B2 (ja) 液体塗料の過剰噴霧を分離するデバイス
TWI483813B (zh) 噴砂加工機的研磨料回收機構
US7219964B2 (en) Milling machine as well as method for working ground surfaces
US4024815A (en) Device for spraying powder
JP2008536661A5 (ko)
US20200215751A1 (en) Shrouds to transport additive manufacturing build material
KR101914342B1 (ko) 국부 비산먼지 억제장치
JP2006181529A (ja) 粉塵除去装置
US20200062513A1 (en)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JPS62227461A (ja) 粉末ブ−ス
JP5879423B1 (ja) 破砕機の粉塵飛散防止用カバー
RU2536573C1 (ru) Бункер-пылеподавитель
KR101591390B1 (ko) 항만용 비산 먼지 억제 장치
JP2017202441A (ja) 除塵装置
KR101736400B1 (ko) 비산먼지 제거용 벌크호퍼
JP2008055533A (ja) チップ搬送コンベヤ装置
JP5599206B2 (ja) 木屑ピットの粉塵飛散抑止装置
KR101808383B1 (ko) 분진처리장치
TW201321543A (zh) 用於基材及/或基材載體的清潔模組及清潔方法
JP5795033B2 (ja) 粉体塗装装置
US5313744A (en) Water screen for blast media dust containment
US3849091A (en) Closed loop air filtration system
US20230356359A1 (en) Blast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last Machine
US9303370B1 (en) Spreader truck vacuum system
JP5350054B2 (ja) 粉体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