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330A - 골프 볼 - Google Patents

골프 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330A
KR20180062330A KR1020170111649A KR20170111649A KR20180062330A KR 20180062330 A KR20180062330 A KR 20180062330A KR 1020170111649 A KR1020170111649 A KR 1020170111649A KR 20170111649 A KR20170111649 A KR 20170111649A KR 20180062330 A KR20180062330 A KR 20180062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less
paint layer
cov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야 가미노
히데타카 이노우에
도시유키 다라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330A/ko
Priority to KR102022014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2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2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 A63B37/00222Physical properties, e.g. 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2Dimple profile, i.e. cross-sectional view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19Specified dimple dep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2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 A63B37/00221Coatings, e.g. paint films;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63B37/0029Physical properties
    • A63B37/0031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63B37/0029Physical properties
    • A63B37/0033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3Hard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38Intermediate layers, e.g. inner cover, outer core, mantle
    • A63B37/004Physical properties
    • A63B37/0045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4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3Solid, i.e. formed of a singl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4Two piece balls, i.e. cov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5Three piece balls, i.e. cover, intermediate lay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8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2Special coverings, i.e. outer laye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8Devices for measuring or verifying bal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polydienes homopolymers or poly-halodienes hom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6Multi-piece balls, i.e. having two or more 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51/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과제] 스핀 성능이 우수한 골프 볼 (2) 의 제공.
[해결 수단] 골프 볼 (2) 은, 본체 (4) 와, 이 본체 (4) 의 외측에 위치하는 페인트층 (6) 을 갖고 있다. 본체 (4) 는, 구상의 코어 (8) 와, 이 코어 (8) 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간층 (10) 과, 이 중간층 (10) 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 (12) 를 갖고 있다. 골프 볼 (2) 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이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페인트층이 30 ㎎f 의 힘으로 눌렸을 때의 압입 깊이는 300 ㎚ 이상 3000 ㎚ 이하이다. 페인트층 (6) 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골프 볼{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 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그 표면에 페인트층을 갖는 골프 볼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으로 타격하면, 골프 볼은 백 스핀을 수반하여 비행한다. 백 스핀의 속도가 크면, 낙하 후의 골프 볼의 런이 작다. 백 스핀의 속도가 큰 골프 볼을 사용함으로써, 골프 플레이어는 이 골프 볼을 목표 지점에 정지시킬 수 있다. 사이드 스핀의 속도가 크면 골프 볼은 휘기 쉽다. 사이드 스핀의 속도가 큰 골프 볼을 사용함으로써, 플레이어는 이 골프 볼을 의도적으로 휘게 할 수 있다. 플레이어에게 있어서, 골프 볼의 스핀 성능은 중요하다.
플레이어는 스핀 성능과 함께, 골프 볼의 타구감을 중시한다. 플레이어는 소프트한 타구감을 선호한다.
대개의 골프 볼은 그 표면에 페인트층을 갖고 있다. 페인트층의 역할은 골프 볼의 외관을 높이는 것, 및 골프 볼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페인트층은 또한 스핀 성능 및 타구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7820 에는, 소정 마텐스 경도 및 소정 모듈러스를 갖는 페인트층을 포함하는 골프 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골프 볼은 웨트 상태에서의 스핀 성능이 우수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1 에는, 소정 영률을 갖는 페인트층을 포함하는 볼프 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골프 볼은 스핀 성능이 우수하다. 동일한 골프 볼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2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3 에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4383 에는, 소정 저장 탄성률 및 소정 손실 정접을 갖는 페인트층을 포함하는 골프 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골프 볼은 어프로치 샷에서의 스핀 성능이 우수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3632 에는, 소정 탄성률을 갖는 페인트층을 포함하는 골프 볼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골프 볼은 내오염성이 우수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782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438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3632
페인트층은 얇기 때문에, 이 페인트층의 물성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곤란함이 따른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7820호에 개시된 마텐스 경도 및 모듈러스는, 페인트층의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슬래브에 의해서 측정된다. 따라서, 측정 결과는 골프 볼에 있어서의 페인트층의 거동을 정확히는 반영하지 못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17820호에 개시된 골프 볼의 스핀 성능은 충분하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1 에 개시된 영률은 두께가 2 ㎜ 인 시트에 의해서 측정된다. 따라서, 측정 결과는 골프 볼에 있어서의 페인트층의 거동을 정확히는 반영하지 못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1 에 개시된 골프 볼의 스핀 성능은 충분하지는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2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26543 에 개시된 골프 볼의 스핀 성능도 충분하지는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4383 에 개시된 저장 탄성률 및 손실 정접은, 페인트층의 조성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필름에 의해서 측정된다. 따라서, 측정 결과는, 골프 볼에 있어서의 페인트층의 거동을 정확히는 반영하지 못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4383 에 개시된 골프 볼의 스핀 성능은 충분하지는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3632 에 개시된 탄성률은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에 의해서 측정된다. 따라서, 측정 결과는 페인트층 아래에 있는 커버의 물성의 영향을 받는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23632 에 개시된 골프 볼의 스핀 성능은 충분하지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핀 성능, 타구감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골프 볼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페인트층의 진정한 물성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볼은, 본체와, 이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페인트층을 구비하고, 이 골프 볼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이 단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페인트층이 30 ㎎f 의 힘으로 눌렸을 때의 압입 깊이는 300 ㎚ 이상 3000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압입 깊이는 400 ㎚ 이상 3000 ㎚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페인트층의 두께는 5 ㎛ 이상 50 ㎛ 이하이다.
본체가, 코어와 이 코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를 가져도 된다. 페인트층은 이 커버에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의 쇼어 D 경도는 20 이상 50 이하이고, 압입 깊이는 400 ㎚ 이상 3000 ㎚ 이하이다. 커버의 쇼어 D 경도가 50 이상 80 이하이고, 압입 깊이가 300 ㎚ 이상 2500 ㎚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볼 평가 방법은, 페인트층을 갖는 골프 볼을 절단하는 스텝, 및 이 절단에 의해서 노출된 페인트층의 단면을 가압하고, 이 페인트층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볼은, 스핀 성능, 타구감 및 내오염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가 방법에 의해서, 골프 볼의 페인트층의 물성이 객관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볼이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골프 볼이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적절히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에 나타낸 골프 볼 (2) 은, 본체 (4) 와, 이 본체 (4) 의 외측에 위치하는 페인트층 (6) 을 갖고 있다. 본체 (4) 는, 구상의 코어 (8) 와, 이 코어 (8) 의 외측에 위치하는 중간층 (10) 과, 이 중간층 (10) 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 (12) 를 갖고 있다. 이 골프 볼 (2) 은 이른바 쓰리 피스 구조를 갖는다. 이 골프 볼 (2) 은 그 표면에 복수의 딤플 (14) 을 갖고 있다. 골프 볼 (2) 의 표면 중 딤플 (14) 이외의 부분은 랜드 (16) 이다. 이 골프 볼 (2) 이 마크층을 가져도 된다. 이 마크층은, 커버 (12) 와 페인트층 (6) 사이에 위치하면 되고, 페인트층 (6) 의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 골프 볼 (2) 의 직경은, 40 ㎜ 이상 45 ㎜ 이하가 바람직하다. 미국 골프 협회 (USGA) 의 규격이 충족된다는 관점에서, 직경은 42.67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기 저항 억제의 관점에서, 직경은 44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2.8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골프 볼 (2) 의 질량은, 40 g 이상 5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큰 관성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질량은 44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0 g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USGA 의 규격이 충족된다는 관점에서, 질량은 45.93 g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 (8) 는 고무 조성물이 가교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고무 조성물의 기재 고무로서,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및 천연 고무를 예시할 수 있다. 2 종 이상의 고무가 병용되어도 된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폴리부타디엔이 바람직하고, 특히 하이시스폴리부타디엔이 바람직하다.
코어 (8) 의 고무 조성물은 공가교제를 함유하고 있다. 반발 성능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공가교제는, 아크릴산아연, 아크릴산마그네슘, 메타크릴산아연 및 메타크릴산마그네슘이다. 고무 조성물이, 공가교제와 함께 유기 과산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기 과산화물로서, 디쿠밀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코어 (8) 의 고무 조성물이, 충전제, 황, 가황 촉진제, 황 화합물, 노화 방지제, 착색제, 가소제 및 분산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고무 조성물이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염을 함유해도 된다. 고무 조성물이 합성 수지 분말 또는 가교된 고무 분말을 함유해도 된다.
코어 (8) 의 직경은 3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8.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 (8) 의 직경은 4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1.5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 (8) 가 2 이상의 층을 가져도 된다. 코어 (8) 가 그 표면에 리브를 가져도 된다. 코어 (8) 가 중공이어도 된다.
중간층 (10) 은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의 바람직한 기재 폴리머는 아이오노머 수지이다. 바람직한 아이오노머 수지로서, α-올레핀과, 탄소수가 3 이상 8 이하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이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아이오노머 수지로서, α-올레핀과, 탄소수가 3 이상 8 이하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과, 탄소수가 2 이상 22 이하인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에스테르의 삼원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이원 공중합체 및 삼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바람직한 α-올레핀은 에틸렌및 프로필렌이고, 바람직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다. 이 이원 공중합체 및 삼원 공중합체에 있어서, 카르복실기의 일부는 금속 이온으로 중화되어 있다. 중화를 위한 금속 이온으로서,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리튬 이온, 아연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알루미늄 이온 및 네오디뮴 이온을 예시할 수 있다.
아이오노머 수지 대신에,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와 함께, 중간층 (10) 의 수지 조성물이 다른 폴리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폴리머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이 2 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해도 된다.
중간층 (10) 의 수지 조성물이, 이산화티탄과 같은 착색제, 황산바륨과 같은 충전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형광제, 형광 증백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비중 조정의 목적에서, 이 수지 조성물이 텅스텐, 몰리브덴 등의 고비중 금속의 분말을 함유해도 된다.
중간층 (10) 의 쇼어 D 경도는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 (10) 의 쇼어 D 경도는 80 이하가 바람직하고, 7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 (10) 의 두께는 0.2 ㎜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 (10) 의 두께는 2.5 ㎜ 이하가 바람직하고, 2.2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 (10) 의 비중은 0.90 이상이 바람직하고, 0.9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 (10) 의 비중은 1.1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5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층 (10) 이 2 이상의 층을 가져도 된다.
커버 (12) 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의 바람직한 기재 폴리머는 폴리우레탄이다. 수지 조성물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해도 되고,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을 함유해도 된다. 생산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하드 세그먼트로서의 폴리우레탄 성분과, 소프트 세그먼트로서의 폴리에스테르 성분 또는 폴리에테르 성분을 함유한다. 기재가 폴리우레탄인 커버 (12) 는, 골프 볼 (2) 의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커버 (12) 는 골프 볼 (2) 의 타구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분자 내에 우레탄 결합을 갖는다. 이 우레탄 결합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우레탄 결합의 원료인 폴리올은 복수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다. 저분자량폴리올 및 고분자량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는 주사슬에 이중 결합을 갖지 않기 때문에, 커버 (12) 의 황변이 억제된다.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로서,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시클로헥산 (H6X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트랜스-1,4-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CHDI) 를 예시할 수 있다. 범용성 및 가공성의 관점에서, H12MDI 가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대신에, 커버 (12) 의 수지 조성물이 다른 폴리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폴리머로서,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이 2 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해도 된다.
커버 (12) 의 수지 조성물이, 이산화티탄과 같은 착색제, 황산바륨과 같은 충전제, 분산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형광제, 형광 증백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커버 (12) 의 경도 Hc 는 20 이상 50 이하가 바람직하다. 경도 Hc 가 20 이상인 커버 (12) 는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경도 Hc 는 2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4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도 Hc 가 50 이하인 커버 (12) 를 갖는 골프 볼 (2) 은 스핀 성능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경도 Hc 는 4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6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커버 (12) (또는 중간층 (10)) 의 경도는, 「ASTM-D 2240-68」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자동 경도계 (H. 바레이스사의 상품명 「데지테스트 Ⅱ」) 에 장착된 쇼어 D 형 경도계에 의해서 경도가 측정된다. 측정에는, 열 프레스로 성형된, 커버 (12) (또는 중간층 (10)) 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약 2 ㎜ 인 시트가 사용된다. 측정에 앞서, 시트는 23 ℃ 의 온도 하에 2 주간 보관된다. 측정시에는 3 장의 시트가 겹쳐진다.
스핀 성능의 관점에서, 커버 (12) 의 두께는 0.1 ㎜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4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골프 볼 (2) 의 비행 성능의 관점에서, 이 두께는 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는 랜드 (16) 의 바로 아래에서 측정된다.
커버 (12) 가 2 이상의 층을 가져도 된다.
골프 볼 (2) 이, 중간층 (10) 과 커버 (12) 사이에 보강층을 구비해도 된다. 보강층은 중간층 (10) 과 견고하게 밀착되고, 커버 (12) 와도 견고하게 밀착된다. 보강층은 중간층 (10) 으로부터의 커버 (12) 의 박리를 억제한다. 보강층은 폴리머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보강층의 기재 폴리머로서, 2 액 경화형 에폭시 수지 및 2 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페인트층 (6) 은 커버 (12) 에 적층되어 있다. 이 페인트층 (6) 은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의 기재로서,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 비닐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기재 수지는 폴리우레탄이다. 폴리우레탄은 골프 볼 (2) 의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페인트층 (6) 은 폴리우레탄 도료로 형성된다. 이 도료는 폴리올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함유한다. 이 도료에서는, 폴리올이 주제 (主劑) 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경화제이다.
상기 폴리올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을 함유한다. 폴리올 화합물은 분자 중에 2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다. 폴리올 화합물이 분자의 말단에 수산기를 가져도 되고, 분자의 말단 이외에 수산기를 가져도 된다. 폴리올 조성물이 2 종 이상의 폴리올 화합물을 가져도 된다.
분자의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 화합물에는, 저분자량 폴리올 및 고분자량 폴리올이 함유된다.
저분자량 폴리올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1,6-헥산디올과 같은 디올 ; 그리고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헥산트리올과 같은 트리올을 예시할 수 있다.
고분자량의 폴리올로서,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우레탄폴리올 및 아크릴폴리올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PEG),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PPG) 및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PTMG) 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PEA),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PBA) 및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PHMA) 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서, 폴리-ε-카프로락톤 (PCL) 을 예시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서, 폴리헥사메틸렌카보네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도료의 경화 시간이 짧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폴리올 화합물은 우레탄폴리올이다. 우레탄폴리올은 2 이상의 우레탄 결합을 갖고, 또한 2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다. 우레탄폴리올은, 폴리올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이, 폴리올 성분의 수산기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대해서 과잉이 되는 조건에서 반응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우레탄폴리올의 출발 원료인 폴리올 성분으로서,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카프로락톤디올 및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 성분은 폴리에테르디올이다. 폴리에테르디올로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에테르디올은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이다.
상기 폴리에테르디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55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분자량이 550 이상인 폴리에테르디올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분자량은 6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63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분자량은 3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분자량이 3000 이하인 폴리에테르디올은, 페인트층 (6) 의 내오염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분자량은 25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올 성분의 수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서 측정된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표준 물질 : 폴리스티렌
용리액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칼럼 : 유기 용매계 GPC 용 칼럼 (쇼와 전공사의 상품명 「Shodex KF 시리즈」)
우레탄폴리올에 있어서의 폴리에테르디올의 함유율은, 6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함유율이 60 질량% 이상인 우레탄폴리올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함유율은 62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탄폴리올의 출발 원료인 폴리올 성분으로서, 저분자량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저분자량 폴리올로서,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1,6-헥산디올와 같은 디올 ; 그리고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헥산트리올과 같은 트리올을 예시할 수 있다. 출발 원료로서, 2 종 이상의 저분자량 폴리올이 사용되어도 된다.
우레탄폴리올의 출발 원료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NDI), 3,3'-비토릴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TO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XDI),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및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PDI) 와 같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H6X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 (NBDI) 와 같은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그리고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출발 원료로서 2 종 이상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되어도 된다.
우레탄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 분자량이 4000 이상인 우레탄폴리올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분자량은 430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분자량은 200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분자량이 20000 이하인 우레탄폴리올은, 페인트층 (6) 의 내오염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분자량은 18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600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우레탄폴리올의 수산기가는, 10 ㎎KOH/g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KOH/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KOH/g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가는 200 ㎎KOH/g 이하가 바람직하고, 190 ㎎KOH/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80 ㎎KOH/g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기가는 「JIS K 1557-1」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측정에는 아세틸화법이 채용된다.
도료에 있어서의 경화제액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TDI),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MDI),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NDI), 3,3'-비토릴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TODI),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XDI),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MXDI) 및 파라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PPDI) 와 같은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H12MDI), 수소 첨가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H6X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및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 (NBDI) 와 같은 지환식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 그리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알로파네이트체,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및 어덕트체와 같은 트리이소시아네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2 종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해도 된다.
바람직한 트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체, 및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를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전체량에 대한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비율은, 50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6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만을 함유해도 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함유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네이트기량 (NCO%) 은, 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질량%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량은 4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5 질량%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량 (NCO%) 은 하기 수식에 의해서 산출된다.
NCO = (100 × Mi × 42)/Wi
Mi :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몰수
42 : NCO 의 분자량
Wi :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총질량 (g)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구체예로서, DIC 사의 상품명 「바노크 D-800」, 「바노크 DN-950」 및 「바노크 DN-955」 ; 스미카 바이엘 우레탄사의 상품명 「데스모듀어 N75MPA/X」, 「데스모듀어 N3300」, 「데스모듀어 L75(C)」, 「데스모듀어 Z4470」 및 「스미쥬르 E21-1」 ;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사의 상품명 「콜로네이트 HX」 및 「콜로네이트 HK」 ;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의 상품명 「듀라네이트 24A-100」, 「듀라네이트 21S-75E」, 「듀라네이트 TPA-100」 및 「듀라네이트 TKA-100」 ; 그리고 데구사사의 상품명 「VESTANAT T1890」을 예시할 수 있다.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있어서, 주제가 갖는 수산기 (OH 기) 와 경화제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 (NCO 기) 의 몰비 (NCO 기/OH 기) 는, 0.1 이상이 바람직하다. 몰비 (NCO 기/OH 기) 가 0.1 이상인 조성물로부터, 내오염성이 우수한 페인트층 (6) 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몰비는 0.2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몰비는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몰비가 2.0 이하인 조성물은, 골프 볼 (2) 의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이 비율은 1.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6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페인트층 (6) 은, 본체 (4) 의 표면에 도료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료가 중첩 도포되어도 된다. 중첩 도포의 경우, 먼저 도포되는 도료와 다음에 도포되는 도료가 동종이어도 되고, 이종이어도 된다..
페인트층 (6) 의 두께 Tp 는 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 Tp 가 5 ㎛ 이상인 페인트층 (6) 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두께 Tp 는 6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 Tp 가 50 ㎛ 이하인 페인트층 (6) 은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두께 Tp 는 4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료가 중첩 도포되는 경우, 복수 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된다.
페인트층 (6) 의 압입 깊이는 300 ㎚ 이상 30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압입 깊이가 300 ㎚ 이상인 페인트층 (6) 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압입 깊이는 4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입 깊이가 3000 ㎚ 이하인 페인트층 (6) 은 내오염성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압입 깊이는 25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0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압입 깊이의 측정에서는, 골프 볼 (2) 이 갈라져, 반구가 얻어진다. 이 반구에는 골프 볼 (2) 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이 노출된다. 이 단면은 페인트층 (6) 의 단면을 포함하고 있다. 크라이오마이크로톰에 의해서, 이 반구의 단면이 수평이 된다. 이 단면의 페인트층 (6) 에 나노인덴터의 압자가 대어지고, 단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가압된다, 가압에 의해서 압자는 진행한다. 압자의 하중과 진행 거리가 계측된다. 측정시의 조건은, 이하와 같다.
나노인덴터 : 주식회사 엘리오닉스의 「ENT-2100」
온도 : 30 ℃
압자 : 베르코비치 압자 (65.03°As(h) = 26.43h2)
분할수 : 500 스텝
스텝 인터벌 : 20 msec (100 ㎎f)
압자의 하중은 50 ㎎f 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높아진다. 하중이 30 ㎎f 일 때의 압자의 진행 거리가 계측된다.
이 압입 깊이의 측정에 의해서, 커버 (12) 의 경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페인트층 (6) 의 경도가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가 방법은,
(1) 페인트층 (6) 을 갖는 골프 볼 (2) 을 절단하는 스텝, 및
(2) 상기 절단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페인트층 (6) 의 단면을 가압하고, 이 페인트층 (6) 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2 에 나타낸 골프 볼 (20) 은, 본체 (22) 와, 이 본체 (22) 의 외측에 위치하는 페인트층 (24) 을 갖고 있다. 본체 (22) 는, 구상의 코어 (26) 와, 이 코어 (26) 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 (28) 를 갖고 있다. 이 골프 볼 (20) 은 이른바 투 피스 구조를 갖는다. 이 골프 볼 (20) 은 그 표면에 복수의 딤플 (30) 을 갖고 있다. 골프 볼 (20) 의 표면 중, 딤플 (30) 이외의 부분은 랜드 (32) 이다. 이 골프 볼 (20) 이 마크층을 가져도 된다. 이 마크층은, 커버 (28) 와 페인트층 (24) 사이에 위치해도 되고, 페인트층 (24) 의 외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 골프 볼 (20) 의 직경은 40 ㎜ 이상 45 ㎜ 이하가 바람직하다. 미국 골프 협회 (USGA) 의 규격이 충족된다는 관점에서, 직경은 42.67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기 저항 억제의 관점에서, 직경은 44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42.8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골프 볼 (20) 의 질량은, 40 g 이상 50 g 이하가 바람직하다. 큰 관성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질량은 44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0 g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USGA 의 규격이 충족된다는 관점에서, 질량은 45.93 g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 (26) 는 고무 조성물이 가교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코어 (26) 에는, 도 1 에 나타낸 코어 (8) 의 고무 조성물과 동일한 고무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코어 (26) 의 직경은 30.0 ㎜ 이상이 바람직하고, 38.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 (26) 의 직경은 4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1.5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코어 (26) 가 2 이상의 층을 가져도 된다. 코어 (26) 가 그 표면에 리브를 가져도 된다. 코어 (26) 가 중공이어도 된다..
커버 (28) 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28) 에는, 도 1 에 나타낸 중간층 (10) 의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의 바람직한 기재 폴리머는 아이오노머 수지이다.
아이오노머 수지 대신에,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와 함께, 커버 (28) 의 수지 조성물이, 다른 폴리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폴리머로서,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이 2 종 이상의 폴리머를 함유해도 된다.
커버 (28) 의 경도 Hc 는 50 이상 80 이하가 바람직하다. 경도 Hc 가 50 이상인 커버 (28) 는 반발 성능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경도 Hc 는 52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4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도 Hc 가 80 이하인 커버 (28) 를 갖는 골프 볼 (20) 은 타구감 및 스핀 성능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경도 Hc 는 78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6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커버 (28) 의 경도 Hc 는, 「ASTM-D 2240-68」의 규정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자동 경도계 (H. 바 레이스사의 상품명 「데지테스트 Ⅱ」) 에 장착된 쇼어 D 형 경도계에 의해서 경도 Hc 가 측정된다. 측정에는, 열 프레스로 성형된, 커버 (28) 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두께가 약 2 ㎜ 인 시트가 사용된다. 측정에 앞서, 시트는 23 ℃ 의 온도 하에 2 주간 보관된다. 측정시에는 3 장의 시트가 겹쳐진다.
내구성의 관점에서, 커버 (28) 의 두께 Tc 는 0.5 ㎜ 이상이 바람직하고, 0.8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타구감의 관점에서, 이 두께 Tc 는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7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 Tc 는 랜드 (32) 의 바로 아래에서 측정된다.
페인트층 (24) 은 커버 (28) 에 적층되어 있다. 이 페인트층 (24) 은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의 기재로서, 폴리우레탄,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비닐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기재 수지는 폴리우레탄이다. 폴리우레탄은 골프 볼 (20) 의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페이트층 (24) 에는, 도 1 에 나타낸 페인트층 (6) 의 수지 조성물과 동일한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페인트층 (24) 은 본체 (22) 의 표면에 도료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료가 중첩 도포되어도 된다. 중첩 도포의 경우, 먼저 도포되는 도료와 후에 도포되는 도료가 동종이어도 되고 이종이어도 된다..
페인트층 (24) 의 두께 Tp 는 5 ㎛ 이상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 Tp 가 5 ㎛ 이상인 페인트층 (24) 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두께 Tp 는 6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7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 Tp 가 50 ㎛ 이하인 페이트층 (24) 은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두께 Tp 는 4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료가 중첩 도포되는 경우, 복수의 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된다.
페인트층 (24) 의 압입 깊이는 300 ㎚ 이상 30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압입 깊이가 300 ㎚ 이상인 페인트층 (24) 은, 스핀 성능에 기여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압입 깊이는 40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5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입 깊이가 3000 ㎚ 이하인 페인트층 (24) 은 내오염성이 우수하다. 이 관점에서, 압입 깊이는 280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00 ㎚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커버의 경도와 압입 깊이의 바람직한 조합]
경도 Hc 가 20 이상 50 이하인 커버와, 압입 깊이가 400 ㎚ 이상 3000 ㎚ 이하인 페인트층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경도 Hc 가 50 이상 80 이하인 커버와, 압입 깊이가 300 ㎚ 이상 2500 ㎚ 이하인 페인트층의 조합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효과가 명확해지지만, 이 실시예의 기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100 질량부의 하이시스폴리부타디엔 (JSR 사의 상품명 「BR-730」), 23.5 질량부의 아크릴산아연, 5 질량부의 산화아연, 적당량의 황산바륨 및 0.95 질량부의 디쿠밀퍼옥사이드를 혼련하여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고무 조성물을 함께 반구상 캐비티를 구비한 상형 및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투입하고, 155 ℃ 의 온도 하에서 18 분간 가열하여, 직경이 38.7 ㎜ 인 코어를 얻었다. 소정 질량의 코어가 얻어지도록, 황산바륨의 양을 조정하였다.
55 질량부의 아이오노머 수지 (미츠이 듀퐁 폴리케미컬사의 상품명 「하이밀란 AM7329」), 45 질량부의 다른 아이오노머 수지 (미츠이 듀퐁 폴리케미컬사의 상품명 「하이밀란 1555」), 적당량의 황산바륨 및 3 질량부의 이산화티탄을 이축 혼련 압출기로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법에 의해서 코어 주위에 피복하여, 커버를 형성하였다. 이 커버의 두께는 2.0 ㎜ 였다.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PTMG, 수 평균 분자량 650)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TMP) 을 용제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 에 용해시켰다. 몰비 (PTMG : TMP) 는 1.8 : 1.0 이었다. 이 용액에, 촉매로서, 주제 전체량에 대해서 0.1 질량% 의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이 폴리올 용액을 80 ℃ 로 유지하면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를 적하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의 몰비 (NCO/OH) 는 0.6 이었다. 적하 후에 이소시아네이트가 없어지기까지 교반을 계속하고, 그 후 상온에서 냉각시켜 우레탄폴리올 조성물인 주제를 얻었다. 이 주제의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고형분 : 30 질량%
PTMG 의 함유율 : 67 질량%
고형분의 수산기가 : 67.4 ㎎KOH/g
우레탄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 : 4867
30 질량부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의 상품명 「듀라네이트 TKA-100」, NCO 함유율 : 21.7 질량%), 30 질량부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변성체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의 상품명 「듀라네이트 21S-75E」, NCO 함유율 : 15.5 질량%), 및 40 질량부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BAYER 사의 상품명 「데스모듀어 Z4470」, NCO 함유율 : 11.9 질량%) 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n-부틸 및 톨루엔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인 경화제를 얻었다. 이 경화제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농도는 60 질량% 였다.
전술한 주제 (우레탄폴리올 조성물) 와 경화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를 혼합하여, 도료를 얻었다.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 (질량비) 는 6.4/1 이었다. 전술한 코어 및 커버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표면을 샌드 블라스트에 의해서 처리하고, 이 커버의 둘레에 도료를 도포하였다. 이 도료를 40 ℃ 의 온도 하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페인트층을 갖는 골프 볼을 얻었다. 이 골프 볼에서는, 직경은 약 42.7 ㎜ 이고, 질량은 약 45.6 g 이었다.
[실시예 2 및 3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우레탄폴리올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혼합비를, 하기의 표 3 및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및 3 그리고 비교예 1 및 2 의 골프 볼을 얻었다.
[실시예 4 및 5]
커버의 조성을 하기의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 및 5 의 골프 볼을 얻었다. 커버 조성의 상세한 것이,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어져 있다.
[실시예 6]
100 질량부의 하이시스폴리부타디엔 (JSR 사의 상품명 「BR-730」), 30.5 질량부의 아크릴산아연, 10 질량부의 산화아연, 적당량의 황산바륨, 0.1 질량부의 2-티오나프톨, 0.3 질량부의 펜타브로모디페닐디술파이드, 0.7 질량부의 디쿠밀퍼옥사이드 및 2 질량부의 벤조산을 혼련하여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이 고무 조성물을 함께 반구상 캐비티를 구비한 상형 및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에 투입하고, 150 ℃ 의 온도 하에서 19 분간 가열하여, 직경이 39.7 ㎜ 인 코어를 얻었다. 소정 질량의 코어가 얻어지도록, 황산바륨의 양을 조정하였다.
55 질량부의 아이오노머 수지 (미츠이 듀퐁 폴리케미컬사의 상품명 「하이밀란 AM7329」), 45 질량부의 다른 아이오노머 수지 (미츠이 듀퐁 폴리케미컬사의 상품명 「하이밀란 1555」), 적당량의 황산바륨 및 3 질량부의 이산화티탄을 이축 혼련 압출기로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법에 의해서 코어 둘레에 피복하여, 중간층을 형성하였다. 이 중간층의 두께는 1.0 ㎜ 였다.
2 액 경화형 에폭시 수지를 기재 폴리머로 하는 도료 조성물 (신토 도료사의 상품명 「폴린 750LE」) 을 조제하였다. 이 도료 조성물의 주제액은 30 질량부의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수지와, 70 질량부의 용제를 함유한다. 이 도료 조성물의 경화제액은, 40 질량부의 변성 폴리아미드 아민과, 55 질량부의 용제와, 5 질량부의 이산화티탄을 함유한다. 주제액과 경화제액의 질량비는 1/1 이다. 이 도료 조성물을 중간층의 표면에 스프레이건으로 도포하고, 23 ℃ 의 분위기 하에서 12 시간 유지하여 보강층을 얻었다. 이 보강층의 두께는 10 ㎛ 였다.
100 질량부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BASF 재팬사의 상품명 「엘라스토란 NY80A」), 4 질량부의 이산화티탄 및 0.04 질량부의 울트라마린 블루를 이축 혼련 압출기로 혼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수지 조성물로부터, 압축 성형법에 의해서 하프 셸을 얻었다. 이 하프 셸 2 장과, 코어, 중간층 및 보강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체를 피복하였다. 이들 하프 셸 및 구체를, 각각이 반구상 캐비티를 구비하고, 캐비티면에 다수의 핌플을 구비한 상형 및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파이널 금형에 투입하여, 압축 성형법에 의해서 커버를 얻었다. 커버의 두께는 0.5 ㎜ 였다.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PTMG, 수 평균 분자량 650)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TMP) 을 용제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 에 용해시켰다. 몰비 (PTMG : TMP) 는 1.8 : 1.0 이었다. 이 용액에, 촉매로서, 주제 전체량에 대해서 0.1 질량% 의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를 첨가하였다. 이 폴리올 용액을 80 ℃ 로 유지하면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를 적하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의 몰비 (NCO/OH) 는, 0.6 이었다. 적하 후에 이소시아네이트가 없어지기까지 교반을 계속하고, 그 후 상온에서 냉각시켜 우레탄폴리올 조성물인 주제를 얻었다.
이 조성물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고형분 : 30 질량%
PTMG 의 함유율 : 67 질량%
고형분의 수산기가 : 67.4 ㎎KOH/g
우레탄폴리올의 중량 평균 분자량 : 4867
30 질량부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의 상품명 「듀라네이트 TKA-100」, NCO 함유율 : 21.7 질량%), 30 질량부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변성체 (아사히 화성 케미컬즈사의 상품명 「듀라네이트 21S-75E」, NCO 함유율 : 15.5 질량%), 및 40 질량부의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체 (BAYER 사의 상품명 「데스모듀어 Z4470」, NCO 함유율 : 11.9 질량%) 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용매로서,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n-부틸및 톨루엔의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경화제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농도는 60 질량% 였다.
전술한 주제 (우레탄폴리올 조성물) 와 경화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를 혼합하여 도료를 얻었다.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 (질량비) 는 고형분 환산으로 6.4/1 이었다. 전술한 코어, 중간층, 보강층 및 커버로 이루어지는 본체의 표면을 샌드 블라스트에 의해서 처리하고, 이 커버의 둘레에 도료를 도포하였다. 이 도료를, 40 ℃ 의 온도 하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페인트층을 갖는 골프 볼을 얻었다. 이 골프 볼에서는, 직경은 약 42.7 ㎜ 이고, 질량은 약 45.6 g 이었다.
[실시예 7 및 8 그리고 비교예 3 및 4]
우레탄폴리올 조성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혼합비를, 하기 표 5 및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 및 8 그리고 비교예 3 및 4 의 골프 볼을 얻었다.
[실시예 9]
커버의 조성을 하기의 표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 의 골프 볼을 얻었다. 커버 조성의 상세한 것이,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어져 있다.
[압축 변형량]
YAMADA 식 콤프레션 테스터에 의해서 골프 볼의 압축 변형량을 측정하고, 이 테스터에서는 골프 볼이 금속제의 강판 상에 놓여진다. 이 골프 볼을 향하여, 금속제의 원주 (圓柱) 가 서서히 강하한다. 이 원주의 바닥면과 강판 사이에 끼워진 골프 볼은 변형된다. 골프 볼에 98 N 의 최초 하중이 가해진 상태부터 1274 N 의 최종 하중이 가해진 상태까지의 원주의 이동 거리가 측정된다. 최초 하중이 가해지기까지의 원주의 이동 속도는 0.83 ㎜/s 이다. 최초 하중이 가해지고 나서부터 최종 하중이 가해지기까지의 원주의 이동 속도는 1.67 ㎜/s 이다.
[스핀 속도]
골프 레버러터리사의 스윙 머신에 샌드 웨지를 장착하였다. 헤드 속도가 16 m/sec 인 조건에서 골프 볼을 타격하여, 백 스핀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10 회의 측정에서 얻어진 데이터의 평균치가, 하기의 표 3 ∼ 6 에 나타내어져 있다.
[타구감]
30 명의 플레이어에게 웨지로 골프 볼을 타격시켜, 타구감을 청취하였다. 「타구감이 좋다」고 답한 플레이어의 수에 기초하여, 하기의 등급 설정을 행하였다.
A : 25 명 이상
B : 20 ∼ 24 명
C : 15 ∼ 19 명
D : 14 명 이하
이 결과가, 하기의 표 3 ∼ 6 에 나타내어져 있다.
[내오염성]
골프 볼의 표면의 색조 (L, a, b) 를, 색차계 (코니카 미놀타사의 「CM3500D) 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6 질량% 의 요오드와 4 질량% 의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에탄올 용액 (즉 요오드팅크) 을 준비하였다. 이 요오드팅크를 물로 40 배로 희석하였다. 이 희석액에 골프 볼을 30 초 동안 침지하였다. 희석액에서 꺼낸 골프 볼의 표면에 부착된 희석액을 닦아내었다. 이 골프 볼의 색조를 다시 측정하였다. 하기의 수식에 기초하여, 색차 ΔE 를 산출하였다.
ΔE = (ΔL2 + Δa2 + Δb2)1/2
이 색차 ΔE 에 기초하여, 하기의 등급 설정을 행하였다.
A : ΔE 가 15 이하이다.
B : ΔE 가 15 를 초과하고 20 이하이다.
C : ΔE 가 20 을 초과하고 25 이하이다.
D : ΔE 가 25 를 초과한다.
이 결과가, 하기의 표 3 ∼ 6 에 나타내어져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표 3 ∼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실시예의 골프 볼은 제성능이 우수하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우위성은 명확하다.
이상 설명된 페인트층은, 투 피스 볼 및 쓰리 피스 볼뿐만 아니라, 원 피스 볼, 포 피스 볼, 파이브 피스 볼, 식스 피스 볼, 얀 와인딩 볼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골프 볼은, 골프 코스에서의 플레이, 드라이빙 레인지에서의 프랙티스 등에 바람직하다.
2, 18 : 골프 볼
4, 22 : 본체
6, 24 : 페인트층
8, 26 : 코어
10 : 중간층
12, 28 : 커버
14, 30 : 딤플
16, 32 : 랜드

Claims (6)

  1. 본체와, 이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페인트층을 구비한 골프 볼로서,
    상기 골프 볼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이 단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페인트층이 30 ㎎f 의 힘으로 눌렸을 때의 압입 깊이가 300 ㎚ 이상 3000 ㎚ 이하인 골프 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 깊이가 400 ㎚ 이상 3000 ㎚ 이하인 골프 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인트층의 두께가 5 ㎛ 이상 50 ㎛ 이하인 골프 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코어와 이 코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를 갖고 있고,
    상기 페인트층이 상기 커버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쇼어 D 경도가 20 이상 50 이하이고,
    상기 압입 깊이가 400 ㎚ 이상 3000 ㎚ 이하인 골프 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코어와 이 코어의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를 갖고 있고,
    상기 페인트층이 상기 커버에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의 쇼어 D 경도가 50 이상 80 이하이고,
    상기 압입 깊이가 300 ㎚ 이상 2500 ㎚ 이하인 골프 볼.
  6. 페인트층을 갖는 골프 볼을 절단하는 스텝, 및
    상기 절단에 의해서 노출된 상기 페인트층의 단면을 가압하고, 이 페인트층의 압입 깊이를 측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골프 볼 평가 방법.
KR1020170111649A 2016-11-30 2017-09-01 골프 볼 KR20180062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850A KR102602815B1 (ko) 2016-11-30 2022-11-01 골프 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2270 2016-11-30
JP2016232270A JP7193906B2 (ja) 2016-11-30 2016-11-30 ゴルフボー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850A Division KR102602815B1 (ko) 2016-11-30 2022-11-01 골프 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330A true KR20180062330A (ko) 2018-06-08

Family

ID=604842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649A KR20180062330A (ko) 2016-11-30 2017-09-01 골프 볼
KR1020220143850A KR102602815B1 (ko) 2016-11-30 2022-11-01 골프 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850A KR102602815B1 (ko) 2016-11-30 2022-11-01 골프 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0569139B2 (ko)
EP (1) EP3329972B1 (ko)
JP (1) JP7193906B2 (ko)
KR (2) KR20180062330A (ko)
CN (2) CN1081144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93906B2 (ja) * 2016-11-30 2022-12-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AU2019310043A1 (en) 2018-07-22 2021-02-18 Irvin Kornel HEAR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utting training and practice device for improving putting accuracy by reducing variance
JP7124524B2 (ja) 2018-07-31 2022-08-2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7255138B2 (ja) * 2018-11-02 2023-04-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7447554B2 (ja) * 2020-03-04 2024-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用ゴム組成物の硬化物およびゴルフボール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7820A (ja) 2010-04-06 2011-11-04 Sri Sports Ltd ゴルフボール
JP2013126541A (ja) 2011-12-16 2013-06-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3126543A (ja) 2011-12-16 2013-06-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3126542A (ja) 2011-12-16 2013-06-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4014383A (ja) 2012-06-10 2014-01-30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6123632A (ja) 2014-12-26 2016-07-1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534B2 (ja) * 1993-08-06 1998-03-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H0871177A (ja) * 1994-09-09 1996-03-19 Sumitomo Rubber Ind Ltd 塗装ゴルフボール
JPH08322961A (ja) * 1995-05-31 1996-12-10 Sumitomo Rubber Ind Ltd 塗装ゴルフボール
AU721844B2 (en) * 1996-03-29 2000-07-13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Golf ball
US8182367B2 (en) * 2006-08-22 2012-05-22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JP5507305B2 (ja) * 2009-08-26 2014-05-2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20130225333A1 (en) * 2010-04-09 2013-08-29 Bridgestone Sports Co., Ltd. Multi-piece solid golf ball
JP2012139303A (ja) * 2010-12-28 2012-07-26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US9119990B2 (en) * 2011-04-20 2015-09-01 Nike, Inc. Polymer coating to cross-link underlying cover
CN202113551U (zh) * 2011-05-25 2012-01-18 东莞力威高尔夫球用品有限公司 高尔夫球
JP6057554B2 (ja) * 2012-02-03 2017-01-1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6068008B2 (ja) * 2012-05-31 2017-01-2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6061500B2 (ja) * 2012-06-01 2017-01-18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US9259618B2 (en) 2012-06-10 2016-02-16 Dunlop Sports Co. Ltd. Golf ball
US9181408B2 (en) * 2013-07-06 2015-11-10 Nike, Inc. Method of forming a cured elastomer and golf balls
JP2015073665A (ja) * 2013-10-08 2015-04-20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2015142600A (ja) * 2013-12-27 2015-08-06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2926871B1 (en) * 2014-03-31 2019-06-1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Golf ball
JP6385105B2 (ja) * 2014-03-31 2018-09-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7193906B2 (ja) * 2016-11-30 2022-12-2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7820A (ja) 2010-04-06 2011-11-04 Sri Sports Ltd ゴルフボール
JP2013126541A (ja) 2011-12-16 2013-06-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3126543A (ja) 2011-12-16 2013-06-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3126542A (ja) 2011-12-16 2013-06-27 Bridgestone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4014383A (ja) 2012-06-10 2014-01-30 Dunlop Sports Co Ltd ゴルフボール
JP2016123632A (ja) 2014-12-26 2016-07-1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14431A (zh) 2018-06-05
CN114191793A (zh) 2022-03-18
US11779813B2 (en) 2023-10-10
KR20220151588A (ko) 2022-11-15
JP7193906B2 (ja) 2022-12-21
US20180147451A1 (en) 2018-05-31
JP2018086219A (ja) 2018-06-07
US10569139B2 (en) 2020-02-25
EP3329972A1 (en) 2018-06-06
KR102602815B1 (ko) 2023-11-15
CN114191793B (zh) 2023-07-21
US20190374818A1 (en) 2019-12-12
EP3329972B1 (en) 2020-10-28
US20220212061A1 (en) 2022-07-07
US11358032B2 (en)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815B1 (ko) 골프 볼
KR102610367B1 (ko) 골프공
JP6645159B2 (ja) ゴルフボール
JP6938907B2 (ja) ゴルフボール
US11731006B2 (en) Golf ball
KR20200050850A (ko) 골프공
US10456628B2 (en) Golf ball
JP2020099669A (ja) ゴルフボール
US20180178075A1 (en) Golf ball
JP7151384B2 (ja) ゴルフボール
JP2019080771A (ja) ゴルフボール
US10874908B2 (en) Golf ball
EP3476443B1 (en)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200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1101

Effective date: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