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046A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046A
KR20180062046A KR1020160161894A KR20160161894A KR20180062046A KR 20180062046 A KR20180062046 A KR 20180062046A KR 1020160161894 A KR1020160161894 A KR 1020160161894A KR 20160161894 A KR20160161894 A KR 20160161894A KR 20180062046 A KR20180062046 A KR 2018006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piral
hole
fasten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4199B1 (ko
Inventor
한경열
Original Assignee
한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열 filed Critical 한경열
Priority to KR102016016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1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상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관체를 갖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관체내에 파이프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관체에 나선 체결되고, 타단은 파이프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의 나선 체결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파이프의 내주면을 긴밀히 밀착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파이프를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상태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2개 이상의 파이프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10)을 일예로 설명하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0)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파이프(200)가 고정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단순히, 상판(20)의 저면 모서리에 파이프(200)만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줄 경우 각각의 파이프가 개별적으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 되어 테이블이 흔들리거나, 심할 경우 파이프가 부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파이프 사이에 연결부재(400)를 갖추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어 흔들림을 최소화함은 물론, 이로 인해 파이프가 파손되는 일이 없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시켜 주고자 하는 파이프(200)의 양측 끝단부 외주연에 서로 다른 방향의 나선(21,21a)이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파이프(200) 양측 끝단부에 연결부재(400)에 갖추어져 있는 나선공(41)에 나선 체결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결수단은 파이프의 양측 끝단부 외주연에 서로 반대 방향의 나선을 형성시켜 준 상태에서 이들은 각각의 연결부재에 갖추어져 있는 나선공에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나선 체결시켜 주도록 하고 있어 작업자에게는 조립 작업이 번거로웠던 것이고, 수직으로 세워진 파이프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결파이프를 연결시켜 주고자 할 경우 양측의 파이프에 나선 체결되어 있는 연결부재에 연결파이프의 양측 끝단부분을 동시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파이프를 돌려 나선 체결시켜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사용도중 어느 한쪽의 파이프에 이상이 생겨 수리 및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모두 분해시켜 준 상태에서 수리 및 교체를 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재차 조립에도 많은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고자 할 때 단순한 끼움 결합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취급상의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관체를 갖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관체내에 파이프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관체에 나선 체결되고, 타단은 파이프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의 나선 체결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파이프의 내주면을 긴밀히 밀착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파이프의 양측 끝단부 내주연에 긴밀히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이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중간지점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에는 연결관체내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체결부와;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누름부중 일측의 누름부에 절개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나선공과;
상기 나선공에 나선 체결되어 절개부를 기점으로 하여 누름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선단부분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누름부의 중앙에는 육각렌치가 삽입 고정되는 있도록 육각의 모양을 갖는끼움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일측면에 나선공과 연통되어 체결나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선체결부에 절개부와 연통시켜 전선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출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관체에 고정부재의 나선체결부를 나선 체결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 나선 체결부의 선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고정부가 파이프내에 삽입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누름부에 갖추어진 나선공에 체결나사를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되면 체결나사의 조임력에 의해 절개부를 기점으로 하여 절개된 누름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이의 선단면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가 임의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안정되게 파이프를 연결시켜 줄 수 있음은 물론, 단순한 분ㅎ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누구나 취급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수리 및 교체를 하고자 할 때, 전체를 다 분해시켜 주지 않고 수리 및 교체하고자 하는 부속품만 분해시켜 수리 및 교체시켜 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4a는 본 발명이 분해된 상태도.
도4b는 본 발명중 연결관체에 고정부재의 나선체결부가 나선 체결된 상태도.
도4c는 본 발명중 고정부재의 고정부가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도.
도4d는 본 발명중 고정부가 파이프에 삽입된 상태에서 나선공에 체결나사 나선 체결되는 상태도.
도4e는 본 발명중 체결나사에 의해 누름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파이프의 내면에 접하고 있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파이프(200)와, 상기 파이프의 양측 끝단부분에 삽입에 의해 결합 되는 고정부재(300) 및 상기 파이프의 끝단에 삽입 고정된 고정부재의 일단이 나선 체결되는 연결부재(40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200)는 내부가 중공 상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양측 끝단부 일측에 통공(210)을 형성시켜 후에 설명할 고정부재(300)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나사(5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0)는 파이프(200)의 양측 끝단부 내주연에 긴밀히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310)를 갖추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이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중간지점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330)를 갖는 누름부(320)를 갖추며,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에는 연결부재(400)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체결부(340)를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320)에는 절개부(330)와 연통될 수 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나사(500)가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공(350)을 갖추어, 나선공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나사의 선단면이 절개부를 지나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타측 누름부의 내면에 면접지 된 상태에서 계속해서 체결나사를 돌려주면 나선공(350)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나사(500)에 의해 누름부(320)가 절개부(330)를 기점으로 하여 양측으로 벌어져 파이프(20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나선체결부(320)에는 절개부(330)와 연통 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출공(314)을 형성시켜 주고, 상기 누름부(320) 중앙에는 육각렌치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육각 모양을 갖는 끼움구()를 갖추어, 상기 나선체결부(320)를 연결관체에 나선 체결시켜 주고자 할 때 상기 끼움구에 육각렌치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육각렌치를 돌려주면 나선체결부(320)를 연결부재에 수월하게 나선 체결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00)는 내주연에 나선(411)이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나선체결부(320)가 나선 체결 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관체(410)를 갖추게 되는데, 상기 연결관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나, 이외에도 "I"자 형상 및 "Y"자 형상 등과 같이 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 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0), 고정부재(300), 연결부재(400)가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의 연결관체(410)의 일단을 통해 고정부재(300)를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된다.
즉,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의 나선체결부(340)의 선단부를 연결관체(410)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300)를 나선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려주면 나선체결부(340)가 연결관체(410)내에 나선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의 누름부(320) 중앙에 갖추어진 끼움구(370)에 육각렌치를 삽입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육각렌치를 돌려주면 나선체결부(340)를 연결관체(410)내에 보다 수월하게 나선 체결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0)에 갖추어진 인출공(360)을 통해 전선이 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시켜 줄 경우에는 전선이 파이프의 내부를 통해 테이블의 상판에까지 인출될 수 있어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각종의 전자제품 즉, 휴대폰 및 노트북, 태블릿PC 등의 충전 및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체(410)에 고정부재(300)의 나선체결부(340)가 나선 체결되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10)에 파이프(200)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10)는 파이프(200)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에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310) 선단에 연장되어 있는 누름부(320)는 고정부에 비하여 작은 외경을 갖고 있어 파이프(200)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00)의 일측에 갖추어진 통공(210)을 통해 누름부(320)에 갖추어진 나선공(350)에 체결나사(500)를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결나사(500)의 선단면이 나선공(350)을 관통하여 절개부(330)에 의해 절개된 나선공이 형성되지 않은 누름부의 내면에 접하는 상태에 까지는 누름부(320)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체결나사(500)를 나선 체결시켜 주게 되면 나선공(350)에 나선 체결된 체결나사(500)의 선단면이 절개부(330)에 의해 절개된 누름부(330)의 선단부를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방향으로 밀러주어 누름부의 선단면이 파이프(20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파이프(200)가 누름부(320)와 긴밀히 밀착되므로 인해 파이프가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200:파이프 210:통공
300:고정부재 310:고정부
320:누름부 330:절개부
340:나선체결부 350:나선공
360:인출공 370:끼움구
400:연결부재 410:연결관체

Claims (5)

  1. 내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연결관체를 갖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관체내에 파이프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연결관체에 나선 체결되고, 타단은 파이프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나사의 나선 체결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파이프의 내주면을 긴밀히 밀착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파이프의 양측 끝단부 내주연에 긴밀히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는 이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중간지점이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를 갖는 누름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에는 연결관체내에 나선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체결부와;
    절개부에 의해 절개된 누름부중 일측의 누름부에 절개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나선공과;
    상기 나선공에 나선 체결되어 절개부를 기점으로 하여 누름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선단부분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나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중앙에는 육각렌치가 삽입 고정되는 있도록 육각의 모양을 갖는끼움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일측면에 나선공과 연통되어 체결나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결부에 절개부와 연통시켜 전선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인출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160161894A 2016-11-30 2016-11-30 파이프 연결장치 KR101904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94A KR101904199B1 (ko) 2016-11-30 2016-11-30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894A KR101904199B1 (ko) 2016-11-30 2016-11-30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46A true KR20180062046A (ko) 2018-06-08
KR101904199B1 KR101904199B1 (ko) 2018-10-04

Family

ID=6260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894A KR101904199B1 (ko) 2016-11-30 2016-11-30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1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99A (ko) * 2020-02-04 2021-08-12 이안제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파이프 이음구조
KR20240046930A (ko)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에스엠티 반도체 설비용 유체관 커넥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706U (ko) * 1989-06-28 1991-02-21
JPH0358617U (ko) * 1989-06-19 1991-06-07
JPH11210720A (ja) * 1998-01-20 1999-08-03 Sanjou Kinzoku Kk 管体接続部材、管体骨組建造物の骨組工法
JP2013198511A (ja) * 2012-02-21 2013-10-03 Tec Power Corp 収納ボックス及び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706B2 (ja) * 1997-10-27 2000-03-13 株式会社大貴 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617U (ko) * 1989-06-19 1991-06-07
JPH0317706U (ko) * 1989-06-28 1991-02-21
JPH11210720A (ja) * 1998-01-20 1999-08-03 Sanjou Kinzoku Kk 管体接続部材、管体骨組建造物の骨組工法
JP2013198511A (ja) * 2012-02-21 2013-10-03 Tec Power Corp 収納ボックス及び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17706호(1995.11.07.)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9399A (ko) * 2020-02-04 2021-08-12 이안제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파이프 이음구조
KR20240046930A (ko) 2022-10-04 2024-04-12 주식회사 에스엠티 반도체 설비용 유체관 커넥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199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7795B2 (en) Push-on type grounding bushing
KR10190419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US9147985B1 (en) Expandable and rotatable power strip
US10775839B2 (en) Monitor stand base with integrated outlets
US10938174B2 (en) Expandable cable connector torque adapter
JP2024505608A (ja) 電子機器用アクセサリ
JP5328463B2 (ja) ケーブル引出し方向可変接栓
US10433639B2 (en) Connection adapter for music stand
US20180031020A1 (en) Joining device and assembled structure having the same
US20170250500A1 (en) Signal connector
US8202133B1 (en) Probe connector
US20020137387A1 (en) Adjustable plug
US9331401B2 (en) Multi-tap piercing connector
JPH09329283A (ja) ホースコネクタ
EP1870966A2 (en) Electrical connector
US7033231B2 (en) Radial screw connecting device for an electrical wire
TWM498988U (zh) 端子組裝工具
US7455417B1 (en) Handle device with lighting function
KR101082263B1 (ko) 링 단자 연결용 커넥터
US11431116B2 (en)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16647054U (zh) 一种照明装置
US20070024522A1 (en) Orientation adjustable RF connector
CN104473385B (zh) 钮扣
KR200474249Y1 (ko) 피메일 커넥터
KR20180000786U (ko) 휴대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