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708A -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708A
KR20180061708A KR1020160161184A KR20160161184A KR20180061708A KR 20180061708 A KR20180061708 A KR 20180061708A KR 1020160161184 A KR1020160161184 A KR 1020160161184A KR 20160161184 A KR20160161184 A KR 20160161184A KR 20180061708 A KR20180061708 A KR 2018006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raceway
switch
fastening protrus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364B1 (ko
Inventor
정수철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세이버 filed Critical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to KR102016016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3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는, 조명등이 설치되는 몸체의 양 측면에 레이스 웨이와 걸림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에 형성되는 탈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장치는, 상기 캡의 일 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캡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의 단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의 외부로 둘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Lighting device for race way and detachable device used therefor}
본 발명은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몸체(케이스)에 형성되어 레이스 웨이와 직접 체결되는 소정의 돌출부와 별도의 걸림부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설치/해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레이스 웨이(race way)는 일반적으로 전선, 케이블, 모선 등을 수용하고 기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금속 또는 절연물의 홈을 의미한다. 이러한 레이스 웨이는 실내 주차장 등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조명장치(등기구)를 설치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레이스 웨이는 천장에 설치되며, 보통 나사선이 형성된 전산봉을 천정에 고정하고, 상기 전산봉에 ∩ 형상 또는 ㅁ형상의 지지장치를 고정, 상기 지지장치에 레이스 웨이를 체결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지지장치가 철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 ㅁ형상의 지지장치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때의 지지장치는 일 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일 측벽이 탈착가능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스 웨이 자체도 하부가 ∩ 형상으로 구현되어 일부 공간에 강선 등이 매설되며, ∩ 형상의 하부 다리부분에 레이스 웨이에 설치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가 상기 레이스 웨이에 끼워져 체결됨으로써 조명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몸체(케이스) 측면에는, 상기 레이스 웨이에 형성된 걸림턱 또는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부가 형성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수십 cm에서 길게는 1m를 훌쩍 넘는 길이를 가지는데, 보통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등) 재질로 형성되는 레이스 웨이의 틈으로 상기 조명장치의 돌출부를 끼우거나, 끼워져 있던(설치되어 있던) 조명장치를 해체하는데 큰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때, 길이가 아무리 길더라도 상기 돌출부의 가장 끝부분 즉, 레이스 웨이와 조명장치가 체결되는 가장 단부에 돌출부가 돌출되지 않는다면,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와 레이스 웨이의 체결/해제가 상당히 용이해질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일부를 아예 제거하게 되면, 레이스 웨이에 조명장치가 체결되어 있는 동안(즉,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동안)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를 레이스 웨이에 설치/해제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의 일부가 해제되어 설치/해체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평상시에는 설치되어 있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고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325780, "조명기구 설치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레이스웨이용 조명기구")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몸체(케이스)에 형성되어 레이스 웨이와 직접 체결되는 소정의 돌출부와 별도의 걸림부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설치/해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체로 길게 형성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돌출부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한 부분을 기존 돌출부와 별도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설치/해제시 작업의 원활함은 물론, 설치되어 있는 도중에는 고정의 견고함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는, 조명등이 설치되는 몸체의 양 측면에 레이스 웨이와 걸림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에 형성되는 탈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장치는, 상기 캡의 일 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캡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의 단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의 외부로 둘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면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는, 상기 캡의 내부방향 일 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 중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 측이 상기 캡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와 체결될 수 있으며, 압력에 의한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는, 상기 일 측에 탄성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캡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된 경우 각각의 상기 탄성부가 서로 맞눌렸다가, 상기 스위치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 방향으로 각각 밀어내어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원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캡의 내부방향 일 단에 소정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탈착장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몸체 양 단부에 형성되는 캡에 형성되는 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 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면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캡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가 체결되는 레이스 웨이와 걸림체결될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는, 상기 캡의 내부방향 일 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 중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 측이 상기 캡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와 체결될 수 있으며, 압력에 의한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몸체(케이스)에 형성되어 레이스 웨이와 직접 체결되는 소정의 돌출부의 일부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인입/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설치/해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일체로 길게 형성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돌출부에서, 인입/인출이 가능한 부분을 기존 돌출부와 별도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설치/해제시 작업의 원활함은 물론, 설치되어 있는 도중에는 고정의 견고함을 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탈착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는 조명등이 설치되는 몸체(200) 및 상기 몸체(200) 양 측단에 구비되는 캡(300), 및 상기 캡(300)에 형성되는 탈착장치(도 2에 도시,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는 상기 몸체(200)의 양 측면에 레이스 웨이와 걸림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부(210)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면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레이스 웨이의 하단부에 소정의 걸림턱 또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210)가 상기 걸림턱 또는 체결홈에 걸림체결됨으로써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가 레이스 웨이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상기 탈착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스위치(110)가 상기 캡(300)의 일 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캡(30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체결부(210)의 단부와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걸림부(120)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120)는 상기 체결부(210)와 동일 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유사한 길이만큼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1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즉,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돌출되었던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캡(300)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11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120)가 다시 원위치 즉, 상기 캡(3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스 웨이와 체결되는,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의 몸체(200)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기 체결부(210)의 단부가 상기 레이스 웨이의 걸림턱 또는 체결홈에 걸리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의 설치/해제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서 전술한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에서 상기 캡(300)이 제거된 내부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110)에 압력을 가하면(즉, 스위치(110)를 누르면), 상기 캡(300)의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던 걸림부(120)가 상기 캡(300)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스위치(11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캡(3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원위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 스위치(110)가 화살표 방향(도면의 상부 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걸림부(120)가 각각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캡(3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캡(300)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스위치(110)가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의 양 측면 즉, 상기 캡(30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위치(110)의 위치는 상기 캡(300)의 측면뿐 아니라 상기 캡(300)의 상면 또는 전,후면 등 필요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스위치(110)의 작동(즉, 스위치(110)에 압력이 가해져 눌림)에 따라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캡(300)으로부터 인출/인입될 수 있으면 무방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스위치(1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의 양 측면 즉, 상기 캡(30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체결부(210)와 별도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를 상기 레이스 웨이에 설치/해제하는데 용이함은 물론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를 상기 레이스 웨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에도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110)의 작동에 따른 상기 걸림부(120)의 움직임의 원리에 대해 즉,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의 탈착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탈착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1)의 탈착장치(100)는 스위치(110) 및 걸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20)는 제1체결돌기(120a) 및 제2체결돌기(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돌기(111)는 상기 스위치(110) 중 상기 캡(3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111)를 통해 상기 스위치(110)와 상기 걸림부(120) 즉, 체결돌기가 결합되는만큼, 상기 가이드 돌기(111)는 상기 걸림부(120)에 포함된 체결돌기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걸림부(120)가 상기 캡(300)의 양 측면으로 각각 하나씩 돌출되도록, 두 개의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캡(300)의 어느 한 측면에만 상기 걸림부(120)가 위치하도록 하나의 체결돌기만 구비되거나, 상기 캡(300)의 양 측면에 각각 복수 개의 걸림부(12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20)는 제1체결돌기(120a) 및 제2체결돌기(120b)가 포함될 수 있는데, 각각의 체결돌기의 일 측은 상기 캡(3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타 측에는 상기 캡(300)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11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제1체결돌기(120a)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2체결돌기(120b)의 경우, 상기 제1체결돌기(120a)를 통해 후술할 제1가이드홈(121a)이나 탄성부(122) 등과 동일한 형상에서 좌우 방향만 반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기능 및 작용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돌기(120a)의 일 측(도면상 좌측)은 상기 캡(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120)의 기능을 수행하고, 타 측(도면상 우측)은 상기 캡(300)의 내부에서 상기 스위치(110) 즉, 상기 가이드 돌기(111)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체결돌기(120a)의 타 측상에는 제1가이드홈(121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가이드홈(121a)의 너비는 상기 가이드 돌기(111)의 지름보다 소정 범위 이내만큼 크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111)와의 결합이나 움직임에 무리가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홈(121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이상의 내각(예컨대, 60도 등)을 가지도록 꺾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면에서 상기 스위치(110)에 압력이 가해져 스위치(110)가 도면의 윗방향으로 밀려올라가게 되면, 상기 제1체결돌기(120a)는 상기 제1가이드홈(121a)의 형태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111)를 타고 상기 캡(300)의 내부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위치(1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111)가 상기 제1가이드홈(121a)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체결돌기(120a)가 자연스럽게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1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면, 반대의 과정을 거쳐 상기 제1체결돌기(120a)가 상기 캡(300)의 외부로 다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110)에 압력이 가해졌다가 해제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즉, 상기 걸림부(120)가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로 되돌아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10)의 상기 캡(300) 내부측(즉, 도면의 상부방향)에 소정의 탄성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예컨대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스위치(110)가 밀리면서 스위치(110)의 몸체가 도면의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과 같이 상기 캡(300)의 내부로 밀릴 수 있다. 이때, 밀린 상기 스위치(110)의 몸체가 상기 탄성부재(130)를 누르게 되고,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130)에 의해 상기 스위치(110)가 원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110)가 원위치하면서 상기 캡(300)의 내부로 인입되었던 상기 걸림부(120) 즉, 상기 제1체결돌기(120a) 및 상기 제2체결돌기(120b)가 상기 캡(300)의 외부로 다시 돌출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체결돌기(120a) 및/또는 상기 제2체결돌기(120b)의 상기 타 측(즉, 가이드 홈이 형성된 상기 캡(300)의 내부방향측)에 각각 탄성부(1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성부(1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22)는 상기 제1체결돌기(120a) 및 상기 제2체결돌기(120b)가 각각 상기 캡(300)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는 경우, 각각의 탄성부(122)가 서로 맞눌릴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위치(110)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면, 서로 맞눌렸던 각각의 탄성부(122)가 서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제1체결돌기(120a) 및 상기 제2체결돌기(120b)가 상기 캡(300)의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110) 역시 원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탈착장치(100)의 보다 원활한 구동을 위해 상기 탄성부재(130) 및 상기 탄성부(122)가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조명등이 설치되는 몸체의 양 측면에 레이스 웨이와 걸림체결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체결부;
    상기 몸체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에 형성되는 탈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장치는,
    상기 캡의 일 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캡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의 단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캡의 외부로 둘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면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는,
    상기 캡의 내부방향 일 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 중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 측이 상기 캡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와 체결될 수 있으며,
    압력에 의한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는,
    상기 일 측에 탄성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져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상기 캡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된 경우 각각의 상기 탄성부가 서로 맞눌렸다가,
    상기 스위치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 방향으로 각각 밀어내어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원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캡의 내부방향 일 단에 소정의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상기 전산봉의 지름보다 1mm 이내의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5.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몸체 양 단부에 형성되는 캡에 형성되는 탈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 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면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스위치; 및
    상기 캡의 양 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가 체결되는 레이스 웨이와 걸림체결될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는,
    상기 캡의 내부방향 일 측에 상기 가이드 돌기 중 하나와 결합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타 측이 상기 캡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레이스 웨이와 체결될 수 있으며,
    압력에 의한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 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각각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의 탈착장치.

KR1020160161184A 2016-11-30 2016-11-30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KR101881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184A KR101881364B1 (ko) 2016-11-30 2016-11-30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184A KR101881364B1 (ko) 2016-11-30 2016-11-30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708A true KR20180061708A (ko) 2018-06-08
KR101881364B1 KR101881364B1 (ko) 2018-07-25

Family

ID=62600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184A KR101881364B1 (ko) 2016-11-30 2016-11-30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3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932Y1 (ko) * 2006-09-12 2006-11-27 주식회사 제일조명 레이스웨이의 등기구 고정구조
JP3937796B2 (ja) * 2001-10-19 2007-06-27 日東紡績株式会社 プッシュロック装置を備えた照明装置
KR101325780B1 (ko) 2013-05-08 2013-11-08 탑라이트 주식회사 조명기구 설치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레이스웨이용 조명기구
KR20150096223A (ko) * 2014-02-14 2015-08-24 주식회사 린노 조명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60105138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휴닉스 탈부착형 조명장치
KR101678108B1 (ko) * 2015-05-12 2016-11-21 유대현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7796B2 (ja) * 2001-10-19 2007-06-27 日東紡績株式会社 プッシュロック装置を備えた照明装置
KR200431932Y1 (ko) * 2006-09-12 2006-11-27 주식회사 제일조명 레이스웨이의 등기구 고정구조
KR101325780B1 (ko) 2013-05-08 2013-11-08 탑라이트 주식회사 조명기구 설치용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레이스웨이용 조명기구
KR20150096223A (ko) * 2014-02-14 2015-08-24 주식회사 린노 조명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20160105138A (ko)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휴닉스 탈부착형 조명장치
KR101678108B1 (ko) * 2015-05-12 2016-11-21 유대현 레일 콘센트용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레일 콘센트용 조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364B1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9131B1 (en) Adjustable hanger bars with detachment stop
WO2012055368A1 (zh) 灯具及其可拆卸式安装结构
US20150292649A1 (en) Sealing system for an annular space
US10520169B2 (en) Snap in retrofit panel
KR20160050865A (ko) 조명등기구의 천장 결합장치
KR20180061708A (ko) 레이스 웨이용 조명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탈착장치
JP6491533B2 (ja) バネ部材及び照明器具
KR20090106296A (ko) 파이프용 연결물
KR101521945B1 (ko) 멈춤수단을 구비한 천장 등기구용 어댑터
US7824081B2 (en) Helicoidal system for recessed light fixture assembly
KR101531496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GB2230591A (en) Electrical light fitting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EP2706284A1 (en) System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0859323B1 (ko) 공동주택단지 내의 전력선 인출용 풀링아이
JP6491529B2 (ja) バネ部材及び照明器具
CA2829522C (en) Joint strip
CN111623277A (zh) 用于灯具的安装结构和灯具
KR102126973B1 (ko) 웨지 설치장치
KR200482024Y1 (ko) 원터치 거치부재가 구비된 조명기구
KR20160049674A (ko)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KR20070093172A (ko) 할로겐램프 매입용 고정부재
US20080043476A1 (en) Fastening device for the fastening of attachment parts
KR101504075B1 (ko) 케이블 인입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