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454A -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 Google Patents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454A
KR20180060454A KR1020160159964A KR20160159964A KR20180060454A KR 20180060454 A KR20180060454 A KR 20180060454A KR 1020160159964 A KR1020160159964 A KR 1020160159964A KR 20160159964 A KR20160159964 A KR 20160159964A KR 20180060454 A KR20180060454 A KR 2018006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vehicle
control unit
b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홍기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454A/ko
Priority to PCT/KR2017/013684 priority patent/WO2018101702A1/ko
Publication of KR2018006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60L11/1816
    • B60L11/1811
    • B60L11/186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5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2230/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0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대차(vehicle vs vehicle) 충전을 위해 개별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인렛, 및 한 쌍의 인렛 사이에 형성되어 차대차 충전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하는 컨버터, 개별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제어부(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PORTA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FOR CHARGING VEHICLE VS VEHICLE AND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충전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이다. 그러므로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가 고갈되면 배터리를 다시 충전해야만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이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아 전기자동차를 구매하려는 고객을 망설이게 한다. 또한, 긴급한 상황에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방법이 한정적이어서 불편하다.
따라서,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시설을 널리 확충하는 것은 물론이고,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때 긴급하게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기술의 개발 또한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완성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을 이용하여 차대차(vehicle vs vehicle) 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착안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전력을 다른 전기자동차로 보내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국면은 차대차(vehicle vs vehicle) 충전을 위해 개별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인렛; 및
한 쌍의 인렛 사이에 형성되어 차대차 충전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하는 컨버터;
개별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제어부(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상기 컨버터에 연결되어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허가 신호를 수신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요청 신호 및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수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에 포함된 한 쌍의 인렛을 두 대의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에서 인가된 입력전압을 승압하는 단계; 및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충전을 개시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방법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이 없는 긴급한 상황에서 주변의 전기자동차를 이용하여 방전된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100)은 차대차(vehicle vs vehicle) 충전을 위한 충전케이블이며 휴대할 수 있는 크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충전케이블(100)은 한 쌍의 인렛(110)과 본체(120)로 구성된다.
한 쌍의 인렛(110) 중 하나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10)의 충전단자에 연결된다. 다른 인렛(110)은 전력을 공급받으려는 전기자동차(20)의 충전단자에 연결된다.
본체(120)는 한 쌍의 인렛 사이에 형성되어 차대차 충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인렛(110)과 본체(120) 사이에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케이블은 전력선과 통신선이 포함된다. 통신선은 CAN 통신 방식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체(120)는 통신부(121), 제어부(123), 역류방지회로(125), 및 컨버터(127)를 포함한다.
통신부(121)는 개별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제어부(BMS, 11, 21)와 통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부(121)는 CAN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통신부(121)를 통해 개별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제어부(BMS, 11, 21)와 통신한다. 제어부(123)는 배터리(12, 22)의 충전상태(SOC)에 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전력을 제공하는 전기자동차와 충전을 요청하는 전기자동차를 판별하여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123)는 충전방향에 따라 역류방지회로(125)를 스위칭한다. 제어부(123)는 충전을 위해 컨버터를 제어하여 승압되는 전압을 조절한다.
역류방지회로(125)는 전류가 충전방향과 반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역류방지회로(125)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로서 제너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버터(127)는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한다. 전기자동차 사이에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충전하려는 측의 전압이 충전을 받는 측의 전압보다 높아야한다. 제어부(123)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여 전압이 400V 이하인 경우 이를 400V까지 승압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인렛은 동일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하려는 측과 충전받으려는 측의 인렛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허가 신호 및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수신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요청 신호 및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역류방지회로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칭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류의 방향이 A에서 B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1)를 연결하고 제2스위칭소자(3)를 개방하여 제1역류방지용 다이오드(2)가 동작하도록 한다. 반대로 전류의 방향이 B에서 A인 경우에는 제1스위칭소자(1)를 개방하고 제2스위칭소자(3)를 연결하여 제2역류방지용 다이오드(4)가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부(123)는 충전허가 신호, 충전요청 신호, 배터리 충전상태를 종합하여 전류의 방향을 판단한 후, 제1스위칭소자(1) 및 제2스위칭소자(3)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에 포함된 한 쌍의 인렛을 두 대의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각각 연결한다(S110).
두 대의 전기자동차를 연결한 후에 차대차 충전모드를 실행한다(S120). 이를 위해 먼저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허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충전허가 신호는 전기자동차가 자신의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허여하는 신호이다. 또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충전요청 신호는 전기자동차가 충전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두 대의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충전케이블 본체의 제어부가 측정된 전압을 비교하고 승압량 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측의 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 이를 400V로 승압할 수 있다(S130).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충전을 개시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모니터링한다(S140). 충전케이블은 모니터링한 결과를 분석하여 배터리의 충전량, 주행가능거리, 충전소요시간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차대차(vehicle vs vehicle) 충전을 위해 개별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인렛; 및
    한 쌍의 인렛 사이에 형성되어 차대차 충전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공급되는 전압을 승압하는 컨버터;
    개별 전기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제어부(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컨버터에 연결되어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허가 신호를 수신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요청 신호 및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수신하는 것인,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4.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에 포함된 한 쌍의 인렛을 두 대의 전기자동차의 충전단자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제어부(BMS)로부터 충전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자동차에서 인가된 입력전압을 승압하는 단계; 및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이 충전을 개시하고, 전력을 공급받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방법.
KR1020160159964A 2016-11-29 2016-11-29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KR20180060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64A KR20180060454A (ko) 2016-11-29 2016-11-29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PCT/KR2017/013684 WO2018101702A1 (ko) 2016-11-29 2017-11-28 차량간 충전이 가능한 전기 자동차용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64A KR20180060454A (ko) 2016-11-29 2016-11-29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454A true KR20180060454A (ko) 2018-06-07

Family

ID=6262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964A KR20180060454A (ko) 2016-11-29 2016-11-29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45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158A (ko) 2018-12-06 2020-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대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33884A (ko) 2019-05-20 2020-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전력 공급 시스템
KR20210007718A (ko) * 2019-07-12 2021-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대차 충전 케이블 및 그 제어방법
US11165275B2 (en) 2019-08-30 2021-11-02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tor driving system
DE202022103449U1 (de) 2022-06-21 2022-06-28 Madhu Gopahanal Manjunath Tragbare Ladevorrichtung von Elektrofahrzeug zu Elektrofahrzeu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158A (ko) 2018-12-06 2020-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대차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133884A (ko) 2019-05-20 2020-1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모터 구동 시스템을 이용한 충전 전력 공급 시스템
US11296536B2 (en) 2019-05-20 2022-04-05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power supplying system using motor driving system
KR20210007718A (ko) * 2019-07-12 2021-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대차 충전 케이블 및 그 제어방법
US11235675B2 (en) 2019-07-12 2022-02-01 Hyundai Motor Company V2V charging cab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165275B2 (en) 2019-08-30 2021-11-02 Hyundai Motor Company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tor driving system
DE202022103449U1 (de) 2022-06-21 2022-06-28 Madhu Gopahanal Manjunath Tragbare Ladevorrichtung von Elektrofahrzeug zu Elektro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0454A (ko) 차대차 충전을 위한 휴대용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및 이를 이용한 충전방법
CN106809040B (zh) 用于对高压电池组件充电的方法和设备
KR10175589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3475072B (zh) 用于车载电池充电器的控制导向唤醒电路
JP4694399B2 (ja) 電気自動車への緊急充電システム
US9551755B2 (en) Relay weld diagnostic device
JP6107591B2 (ja) 車両電源システム
US20140159509A1 (en) Battery Boost Jump Starter
US7595607B2 (en) Battery charging system and methods
JP5604449B2 (ja) 自動車用充電装置
JP2013504291A (ja) ジャンプスタート方法、およびジャンプスタート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WO2003004315A3 (de) Vorrichtungen und/oder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verfügbarkeit von elektrischer energie insbesondere in bordnetzen mit mehreren energiespeichern
JP2011188588A (ja) 充電用ケーブルおよび充電システム
US20160072320A1 (en)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system, distribution board,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discharging device for vehicle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the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EP3530518A1 (en) Vehicle and method of notifying charging information of vehicle
KR101927124B1 (ko) 배터리 고장 방지 장치
JP5811287B2 (ja) 車両
US8564157B2 (en) Battery pack active discharge integration
EP3020591B1 (en) Power source device for vehicle
JP6710789B2 (ja) 自動車のための供給装置
CN105599624B (zh) 电动车辆以及供电系统
KR101754867B1 (ko) 전기 차량 및 그 외부기기 전원 공급방법
JP2019088140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2018052176A (ja) 車両の補機電池システム
US11760216B2 (en) Portable plug-in electric vehicle alternating current power adapter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