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019A -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 Google Patents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019A
KR20180060019A KR1020160159011A KR20160159011A KR20180060019A KR 20180060019 A KR20180060019 A KR 20180060019A KR 1020160159011 A KR1020160159011 A KR 1020160159011A KR 20160159011 A KR20160159011 A KR 20160159011A KR 20180060019 A KR20180060019 A KR 2018006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plate
block
visually impaired
grou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재성
Original Assignee
전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성 filed Critical 전재성
Priority to KR102016015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019A/en
Publication of KR2018006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0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directional road guid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an RFID, which provides a road guide service to enable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safely and accurately move to a destinatio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oltage plate; a braille block; a ground plate; a plurality of diodes; an RFID transmission module; an RFID receiving module; and a user terminal.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 블록의 접지 판에 접촉하는 신발 방향에 맞게 RFID 통신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GPS 기반으로 하는 장비 사용으로 인한 오차를 방지하고 지하 및 건물 내에서 사용 불가능했던 단점을 개선하고, 시각장애인이 보도 블록을 밟는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나 위험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서비스를 RFID 통신을 기반으로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을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ance service through RFID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hoe contacting the ground plate of the sidewalk block, thereby preventing an error caused by the use of the existing GPS-based equipment, And RFID based on RFID communication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r risk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s of the blind people on the press block, so as to move blind people more safely and accurately to the destination To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disabled person.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이동을 하기 위해서는 지팡이로 바닥에 있는 유도블록의 돌출부를 감지하여 위치 및 위험을 인지하여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방법으로는 정확한 현재의 위치 및 가고자하는 진행 방향을 알 수 없으며, 처음 가는 곳에서는 그 위치 정보를 주위의 사람으로부터 얻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처음 가는 곳은 위치를 가이드 해 줄 타인을 필요로 하고 있다.In general,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mov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guide block on the floor is sensed by the staff to recognize the position and the danger.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know the precise current posi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wants to go, and it is inevitable to obtain the positional information from the surrounding people in the first place. Therefore, the first place needs someone to guide the location.

현재로서는 건널목이나 지하철 승하차 출입문, 계단 등과 같이 주의를 요하거나 특정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해 보도블록 중간에 유도블록을 추가하여 이용하고 있다.At present, attention is required such as crossing gate, subway entrance and exit, stairs, etc., and guidance blocks are added in the middle of the sidewalk blocks to guide them to specific location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도블록은 고무, 스테인리스 스틸, 플라스틱, 자기질 등과 같은 일반 바닥 재질과는 다른 재질을 사용하게 되어 있으며 시각장애인들이 돌출된 부분을 지팡이나 발로 감지하게 하였다. 또한, 시각 장애인이 소지한 지팡이를 두드리거나, 끌면서 소리나 감각을 통하여 감지하게 된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guide block is made of materials different from general floor materials such as rubber, stainless steel, plastic, and magnetism, and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perceive the protruding portion with a stick or a foot. In addition, he or she visually senses the sense of touch by tapping or dragging the stick.

시각 장애인들이 지팡이로 이리저리 흔들어서 부딪치는 블록 상의 돌출형상만으로 감각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이와 같이 형상에 의해 시각 장애인에게 전달되는 메시지의 종류는 크게 분류하여 3종류의 형태로 매우 제한되어 있으며, 실제 시각 장애인이 보행시 이들 메시지만으로 원하는 장소까지 유도되는 것과 안전하게 유도되는 것에는 감지의 속도가 느리고 불편하며, 또한 정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way, the types of messages conveyed to the blind according to the shape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d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lind person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tection speed is slow, inconvenient, and inaccurate to be guided and safely guided to a desired place by only these messages when walking.

선행기술문헌 : 공개특허공보 제2013-0086861호(2013.8.5 공개)Prior Art Document: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3-0086861 (published Aug. 5,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GPS 기반으로 하는 장비 사용으로 인한 오차를 방지하고 지하 및 건물 내에서 사용 불가능했던 단점을 개선하며, 시각장애인이 보도 블록을 밟는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나 위험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을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n error caused by using an existing GP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to provide a guidance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anger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move to a destination more safely and accurately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신발의 앞쪽과 뒤쪽에 판 형상으로 바닥면에 각 설치되고, 전원부로부터 각각 다른 전하를 공급받아 발생시키며, 앞쪽 판에 양(+)전하를 공급받아 발생시키면, 뒤쪽 판은 음(-)전하를 발생시키는 전압 판; 다각형 형상의 보도 블록의 상면 꼭짓점을 대각으로 잇고, 이를 돌출시켜 보도 블록의 방향을 구분한 점자 블록; 보도 블록의 상측 점자 블록의 사이에 구리동판을 포함하는 도체로 각 배치되고, 신발의 바닥면에 설치된 전압 판이 접촉할 경우, 전압 판의 양(+) 전하가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접지 판; 접지 판과 연결되어 접지 판의 전류가 순 방향(ON)일 때 전류를 흐르게 하고, 역방향(OFF)일 때 전류를 멈추게 하는 다수의 다이오드; 다이오드로부터 순 방향의 전류가 감지되면,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RFID 방식으로 발신하는 RFID 발신 모듈; RFID 발신 모듈로부터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RFID 수신모듈; 및 방향에 따른 고유 정보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받아 음성 안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using RFI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nstalled on a floor surface in front of and behind a shoe, (+) Electric charge is supplied to the front plate, the rear plate generates a negative charge; A polygonal braille block having diagonal upper edges of the polygonal press block and protruding the polygonal corner blocks to divide the direction of the press block; A ground plate disposed on the upper braille block of the sidewalk block, the ground plate including a copper copper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raille blocks and generating positive current when the voltage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contacts the positive plate; A plurality of diodes connected to the ground plate to allow the current to flow when the ground plate current is in the ON state and to stop the current when the ground plate is in the OFF state; An RFID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direction specif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a direction in an RFID manner when a current in a forward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diode; An RFID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oute guidance unique information data from the RFID originating module; And a user terminal receiving the uniqu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direction by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 service including voice guidance.

또한,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은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평형방향으로 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can be guided along the equilibrium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s forming the outer frame.

또한,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의 접지 판에 전압 판이 접촉되면, 신발의 앞쪽 또는 뒤쪽의 전압 판 중 양(+)전하가 접지 판과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순 방향 이동하고, 이 전류 흐름의 시작점에 따라 보도 블록 위의 신발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지 알 수 있고, 신발의 앞쪽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RFID 발신 모듈에서 RFID 방식으로 발신하여 RFID 수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voltage pl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plate of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a positive electric charge in the voltage plate at the front or rear of the shoe moves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ground plate and the diod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direction the shoe is pointing on the sidewalk block, and the unique information data of the route along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oe is transmitted from the RFID originating module to the RFID method, And the like.

본 발명에 의하면 보도 블록의 접지 판에 접촉하는 신발 방향에 맞게 RFID 통신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GPS 기반으로 하는 장비 사용으로 인한 오차를 방지하고 지하 및 건물 내에서 사용 불가능했던 단점을 개선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guidance service through the RFID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hoe contacting the ground plate of the sidewalk bloc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rror caused by the use of the existing GPS-based equipmen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또한, 시각장애인이 보도 블록을 밟는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나 위험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을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Also, it provides the guidance service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ang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steps on the walk block, thereby enabling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 move to the destination more safely and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보도 블록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신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류에 흐름에 따른 RFID 통신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다각형의 보도 블록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와 실내에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ding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walk block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the blind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hoe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h of an RFI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current flow in a system for providing an orientation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lygonal sidewalk block in a system for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route guidanc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for outdoor use and indoor 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보도 블록(2)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신발(1)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류에 흐름에 따른 RFID 통신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다각형의 보도 블록(2)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와 실내에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ystem 100 for providing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1 of a system 100 for providing an orientation-guided ser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h of an RFID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current flow in a system 100 for providing an airsthetic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an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olygonal sidewalk block 2 of a system 100 for providing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And, Figure 6 is used to illustrate the use of the outdoor and indoor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보도 블록(2)의 접지 판(30)에 접촉하는 신발(1) 방향에 맞게 RFID 통신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GPS 기반으로 하는 장비 사용으로 인한 오차를 방지하고 지하 및 건물 내에서 사용 불가능했던 단점을 개선하고, 시각장애인이 보도 블록(2)을 밟는 방향에 따라 위치 정보나 위험 정보를 포함하는 길안내 서비스를 RFID 통신을 기반으로 제공하여 시각장애인을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100)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rror caused by the use of the existing GPS-based equipment by providing the RFID communication guidance 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hoe 1 contacting the ground plate 30 of the sidewalk block 2, It improves the disadvantages that can not be used and provides guidance service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anger information based on RFID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visually handicapped presses on the press block 2 to move blind people more safely and accurately to the dest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보다 상세하게는,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2)의 접지 판(30)에 전압 판(10)이 접촉되면, 신발(1)의 앞쪽 또는 뒤쪽의 전압 판(10) 중 양(+)전하가 접지 판(30)과 다이오드(40)를 통해 전류가 순 방향 이동하고, 이 전류 흐름의 시작점에 따라 보도 블록(2) 위의 신발(1)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지 알 수 있고, 신발(1)의 앞쪽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RFID 발신모듈(50)에서 RFID 방식으로 발신하여 RFID 수신모듈(6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70)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voltage plate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plate 30 of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2, positive (+) charge of the voltage plate 10 on the front or rear side of the shoe 1 It is possible to know in which direction the shoes 1 on the sidewalk block 2 are pointing in accordance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e current flow through the ground plate 30 and the diode 40, 1 in the RFID direction from the RFID originating module 50 and provides the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70 through the RFID receiving module 6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압 판(10), 점자 블록(20), 접지 판(30), 다이오드(40), RFID 발신모듈(50), RFID 수신모듈(60), 및 사용자 단말기(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 system 100 for providing an orientation-guided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RF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ltage plate 10, a braille block 20, a ground plate 30, a diode 40, an RFID originating module 50, an RFID receiving module 60, and a user terminal 70.

이하, 전압 판(1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oltage plate 10 will be described.

전압 판(10)은 신발(1)의 앞쪽과 뒤쪽에 판 형상으로 바닥면에 각 설치되고, 전원부로부터 각각 다른 전하를 공급받아 발생시키며, 앞쪽 판에 양(+)전하를 공급받아 발생시키면, 뒤쪽 판은 음(-)전하를 발생시킨다.The voltage plate 1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in the form of a plate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shoe 1, and receives and supplies different electric charges from the power source unit. When positive electric charges are supplied to the front plate, The back plate generates negative (-) charges.

또한, 상기의 전원부<미도시>는 신발(1)에 설치되고, 전압 판(10)과 연결되어 전압 판(10)에 양, 음 전하를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shoe 1 and is connected to the voltage plate 10 to supply positive and negative electric charges to the voltage plate 10.

점자 블록(20)은 시각 장애인의 길 안내 수단으로, 다각형 형상의 보도 블록(2)의 상면 꼭짓점을 중심을 가로질러 대각으로 잇고, 이를 돌출시켜 보도 블록(2)의 방향을 구분한다.The braille block 20 connects the vertex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2 diagonally across the center as a means for guiding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protrudes it to divide the direction of the sidewalk block 2.

특히,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2)은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평형방향으로 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2 can be guided along the equilibrium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s forming the outer frame.

접지 판(30)은 보도 블록(2)의 상측 점자 블록(20)의 사이에 구리동판을 포함하는 도체로 각 배치되고,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2)의 상면 선분의 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신발(1)의 바닥면에 설치된 전압 판(10)이 접촉할 경우, 전압 판(10)의 양(+), 음(-) 전하가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킨다.The ground plate 3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braille blocks 20 of the sidewalk block 2 with conductors including a copper copper plate and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upper surface line segments of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2 (+) And negative (-) charges of the voltage plate 10 move and generate a current when the voltage plate 1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1 makes contact.

또한, 접지 판(30)이 보도 블록(2)의 상면 선분의 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은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2)의 상면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평형 방향으로 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며, 사각형일 경우 4가지의 각 다른 방향의 길을 안내하기 위해 4개의 접지 판(30) 중 신발(1)의 앞쪽과 뒤쪽, 2개의 전압 판(10)이 2개의 접지 판(30)에 접촉하여 전압 판(10) 중 양(+) 전하가 발생하는 전압 판(10) 쪽이 음(-)다이오드(40)를 통해 순 방향 이동하여 전류가 발생하고, 해당 방향으로 RFID 통신으로 길 안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한다.The reason why the ground plate 30 is provided to be equal to the number of top surface line segments of the sidewalk block 2 is to make the path guide in the equilibrium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s forming the top surface of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2 The two voltage plates 10 are connected to the two ground plates 30 in front of and behind the shoes 1 of the four ground plates 30 in order to guide the four different directions in the case of a quadrangle The voltage plate 10 on which the positive (+) charge is generated in the voltage plate 10 mov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negative (-) diode 40 to generate a current, Service is provided.

신발(1)의 앞 뒤 압력 판이 보도 블록(2)의 상면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였을 경우 신발(1)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안내되도록 한다.When the front and back pressure plates of the shoe 1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wall block 2, the length is gu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1.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형태의 보도 블록(2)의 평면도로 보도 블록(2) 상면 꼭짓점을 중심을 가로질러 대각으로 이어 이를 돌출시켜 구분하여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 등으로 점자 블록(20)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길 안내가 필요한 방향으로 보도 블록(2)의 접지 판(30)에 신발(1)의 전압 판(10)의 양(+) 전하 측이 위치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고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신발(1)의 앞 뒤 압력 판이 보도 블록(2)의 상면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였을 경우 신발(1)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안내되도록 한다.5, a plan view of a sidewalk block 2 in the form of a triangle, a quadrangle, or a pentagon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cross a center of a top edge of the sidewalk block 2, So that the positive (+) charge side of the voltage plate 10 of the shoe 1 is connected to the ground plate 30 of the sidewalk block 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 20 is preferably sensed, When the front and rear pressure plates of the shoes 1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walk block 2, the length of the shoes 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다이오드(40)는 보도 블록(2)에 설치되고, 접지 판(30)과 연결되어 접지 판(30)의 전류가 순 방향(ON)일 때 전류를 흐르게 하고(전류가 +에서 -로 흐름) , 역방향(OFF)일 때 전류를 멈추게 하며 보도 블록(2)의 상면을 구성하는 선분에 +극 1개 -극 1개를 설치하여 길 안내가 필요한 방향의 면에 다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ode 40 is installed in the sidewalk block 2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plate 30 to allow current to flow when the current of the ground plate 30 is in the forward direction (current flows from + to -),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 number of + pole and one pole on the line segment constitu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walk block 2 so as to stop the current when it is in the reverse direction (OFF) and to install a large number on the surface in the direction requiring the guidance.

RFID 발신모듈(50)은 보도 블록(2)에 설치되고, 다이오드(40)로부터 순 방향의 전류가 감지되면,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RFID 방식으로 발신한다.The RFID originating module 50 is installed in the sidewalk block 2, and when a current in the forward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diode 40, it emits the route guidance uniqu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an RFID manner.

RFID 수신모듈(60)은 신발(1)에 구비되어 RFID 발신모듈(50)로부터 방향에 따른 고유 정보 데이터, 즉 길안내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RFID receiving module 60 is provided in the shoe 1 and receives unique information data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RFID originating module 50, that is, route guidance data.

도 4를 참조하면, 보도 블록(2)이 사각형의 모양일 때 신발(1) 위치에 따른 고유 정보 데이터를 선별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0°일 때를 참조하면, 신발(1)의 앞쪽 압전 판이 양(+) 전하를 띄도록 하고, 양(+)극에서 음(-)극으로 전류가 흐름에 따라 양(+) 전하가 접지 판(30)을 거쳐 - 다이오드(40)를 통해 RFID #3 데이터를 선별하고, 이를 통해 신발(1)의 방향마다 상이한 길 안내 데이터를 RFID 발신모듈(50)로 발신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줄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selecting uniqu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hoe 1 when the sidewalk block 2 is in the shape of a quadrangle is shown. Referring to the case of 0 °, (+) Electric charge flows through the ground plate 30 and the diode 40 as the electric current flows from the positive (+) pole to the negative (-) pole. 3 data, so that different way guidance data for each direction of the shoe 1 can be sent to the RFID originating module 5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data.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형태의 보도 블록(2)의 평면도로 보도 블록(2) 상면 꼭짓점을 중심을 가로질러 대각으로 이어 이를 돌출시켜 구분하여 시각 장애인이 지팡이 등으로 점자 블록(20)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2)의 상면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평형 방향으로 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5, a plan view of a sidewalk block 2 in the form of a triangle, a quadrangle, or a pentagon is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across a center of a top surface of the sidewalk block 2 to protrude therefrom,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block 20 and guide the road in the equilibrium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wall block 2 of the polygonal shape.

바람직하게는 길 안내가 필요한 방향으로 보도 블록(2)의 접지 판(30)에 신발(1)의 전압 판(10)의 양(+) 전하 측이 위치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고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며, 신발(1)의 앞 뒤 압력 판이 보도 블록(2)의 상면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수직방향으로 위치하였을 경우 신발(1)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안내되도록 한다.When the positive (+) charge side of the voltage plate 10 of the shoe 1 is positioned on the ground plate 30 of the sidewalk block 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ute guidance is required, And when the front and back pressure plates of the shoe 1 are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wall block 2, the length is gu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1.

사용자 단말기(70)는 방향에 따른 고유 정보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으로 수신받아 음성 안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The user terminal 70 receives the uniqu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direc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provides a service including voice guidance.

또한, 사용자 단말기(70)는 도 1에서처럼 스마트폰으로 사용가능하며, 시각장애인에게 길을 안내시켜주기 위한 블루투스 이어폰도 사용할 수 있으며,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는 모든 기기의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Also, the user terminal 70 can be used as a smart phone as shown in FIG. 1, and can use a Bluetooth earphone for guiding a path to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can use all devices capable of receiving guidance, I never do that.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시각 장애인 및 길 안내가 필요한 사용자는 전원부로부터 양,음 전하를 공급받아 신발(1) 앞쪽과 뒤쪽에 전압 판(10)이 구비된 신발(1)을 신고, 신발(1)에는 RFID 수신모듈(60)이 구비되어 보도 블록(2)의 RFID 발신모듈(50)과의 통신으로 길 안내 데이터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기(70)로 길 안내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본 발명은 RFID 통신으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GPS 기반으로 하는 장비 사용으로 인한 오차를 방지하고 지하 및 건물 내에서도 통신 장애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6, a blind person and a user who needs guidance are suppli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electric charges from a power source unit to wear shoes 1 equipped with voltage plates 1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hoe 1, The RFID receiving module 60 is provided with the RFID receiving module 60 to receive the route guidance data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RFID originating module 50 of the sidewalk block 2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route guidance to the user terminal 70,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an error due to the use of an existing GPS-based equipment by providing a route guidance service by RFID communication and using it without undergoing communication trouble even in a basement or a building.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신발
2 - 보도 블록
10 - 전압 판
20 - 점자 블록
30 - 접지 판
40 - 다이오드
50 - RFID 발신모듈
60 - RFID 수신모듈
70 - 사용자 단말기
100 -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 - Shoes
2 - Sidewalk blocks
10 - Voltage plate
20 - Braille block
30 - Ground plate
40 - Diodes
50 - RFID originating module
60 - RFID Receiver Module
70 - User terminal
100 -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blind people using RFID

Claims (3)

신발의 앞쪽과 뒤쪽에 판 형상으로 바닥면에 각 설치되고, 전원부로부터 각각 다른 전하를 공급받아 발생시키며, 앞쪽 판에 양(+)전하를 공급받아 발생시키면, 뒤쪽 판은 음(-)전하를 발생시키는 전압 판;
다각형 형상의 보도 블록의 상면 꼭짓점을 대각으로 잇고, 이를 돌출시켜 보도 블록의 방향을 구분한 점자 블록;
보도 블록의 상측 점자 블록의 사이에 구리동판을 포함하는 도체로 각 배치되고, 신발의 바닥면에 설치된 전압 판이 접촉할 경우, 전압 판의 양(+) 전하가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는 접지 판;
접지 판과 연결되어 접지 판의 전류가 순 방향(ON)일 때 전류를 흐르게 하고, 역방향(OFF)일 때 전류를 멈추게 하는 다수의 다이오드;
다이오드로부터 순 방향의 전류가 감지되면,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RFID 방식으로 발신하는 RFID 발신 모듈;
RFID 발신 모듈로부터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RFID 수신모듈; 및
방향에 따른 고유 정보 데이터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받아 음성 안내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 Electric charge is supplied to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receives the negative charge (-) and the negative plate Generating voltage plate;
A polygonal braille block having diagonal upper edges of the polygonal press block and protruding the polygonal corner blocks to divide the direction of the press block;
A ground plate disposed on the upper braille block of the sidewalk block, the ground plate including a copper copper plate dis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raille blocks and generating positive current when the voltage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contacts the positive plate;
A plurality of diodes connected to the ground plate to allow the current to flow when the ground plate current is in the ON state and to stop the current when the ground plate is in the OFF state;
An RFID transmitting module for transmitting direction specific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a direction in an RFID manner when a current in a forward direction is sensed from the diode;
An RFID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the route guidance unique information data from the RFID originating module;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 unique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a direc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 service including voice guidance
A method of providing an orientation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using an RFID comprising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은 외곽을 형성하는 선분의 평형방향으로 길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gonal sidewalk block can be guided in the equilibrium direction of the line segments forming the outer frame
Wherein the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is provided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다각 형상의 보도 블록의 접지 판에 전압 판이 접촉되면, 신발의 앞쪽 또는 뒤쪽의 전압 판 중 양(+)전하가 접지 판과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순 방향 이동하고, 이 전류 흐름의 시작점에 따라 보도 블록 위의 신발이 어느 방향을 가리키고 있는 지 알 수 있고, 신발의 앞쪽 방향에 따른 길 안내 고유 정보 데이터를 RFID 발신 모듈에서 RFID 방식으로 발신하여 RFID 수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방향 지향성 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a voltage pl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ground plate of a polygonal sidewalk block, a positive electric charge in the voltage plate on the front or rear of the shoe moves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ground plate and the diode,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direction the shoe on the block is pointing to, and to transmit the route guidance specific information data along the front direction of the shoe in the RFID originating module in the RFID manner and to provide the route guidance service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FID receiving module that
Wherein the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is provided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20160159011A 2016-11-28 2016-11-28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KR201800600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11A KR20180060019A (en) 2016-11-28 2016-11-28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011A KR20180060019A (en) 2016-11-28 2016-11-28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019A true KR20180060019A (en) 2018-06-07

Family

ID=6291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011A KR20180060019A (en) 2016-11-28 2016-11-28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0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354A (en) * 2019-05-30 2019-07-30 漳州卫生职业学院 A kind of blind man navigation alarm set and air navigation a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565A (en) * 1998-12-19 2000-04-25 로버트 알. 홀콤브 Method of improving efficacy and sensory tolerance with a continuous pulse, nonmodulated nonburst mode nerve stimulator
KR20090131814A (en) * 2008-06-19 2009-12-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zing a gait pattern using magnetic sensor array
KR100998263B1 (en) * 2009-12-01 2010-12-03 (주) 부성 리싸이클링 Manufacture method and rfid tag of brailleblock for walking guidance for a blind person thereof
KR20110003100A (en)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Navigation device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with direction indicating by vibration
KR20130130285A (en) * 2012-05-22 2013-12-02 엄태준 Recharging device of potable phon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2565A (en) * 1998-12-19 2000-04-25 로버트 알. 홀콤브 Method of improving efficacy and sensory tolerance with a continuous pulse, nonmodulated nonburst mode nerve stimulator
KR20090131814A (en) * 2008-06-19 2009-12-3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analyzing a gait pattern using magnetic sensor array
KR20110003100A (en) * 2009-07-03 2011-01-11 (주)와이앤에이치 이앤씨 Navigation device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with direction indicating by vibration
KR100998263B1 (en) * 2009-12-01 2010-12-03 (주) 부성 리싸이클링 Manufacture method and rfid tag of brailleblock for walking guidance for a blind person thereof
KR20130130285A (en) * 2012-05-22 2013-12-02 엄태준 Recharging device of potable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8354A (en) * 2019-05-30 2019-07-30 漳州卫生职业学院 A kind of blind man navigation alarm set and air navigation aid
CN110068354B (en) * 2019-05-30 2023-12-29 漳州卫生职业学院 Navigation reminding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for blind pers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009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using rfid blocks
KR20110071728A (en) Insole type navig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869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KR20110003102A (en) Navigation system using rf beacon
WO2014137016A1 (en) Visually-impaired-person guidance system and guide method using algorithmic tactile block having unique number and characters ascribed to rfid/nfc tag
WO2009001991A1 (en)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KR20180060019A (en) D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KR101196203B1 (en) Location Gu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43336B1 (en) Footpath Block and System for guiding Visual Disability with Pedestrian guide Light Lamp
KR101799391B1 (en) A smart block system
JP2001190589A (en) Information guidance instruction system
JP6688926B2 (en) Route guidance system, mobile terminal, and route guidance method
JPH08191853A (en) Guiding apparatus by recognition of individual
KR20180060021A (en) irectional guidance service provis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RFID
KR20130115042A (en) Pedestrian obstacle warning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warning method thereof
JP2005032205A (en) Report device for pedestrian
KR20140104122A (en) Guide apparatus for blind person
JP2012221481A (en) Walking support device for vision-impaired person
KR20130115040A (en) Traffic light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84409A (en) A route guidance device and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a wireless tag map
KR20090099111A (en) System for guiding blind person
KR20190097906A (en) Waiking staff for visually handicapped
KR20210028315A (en) Guide device for blind people using electronic stick and smartphone
KR101980007B1 (en) A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210025248A (en) User responsive smart sidewal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