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730A -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 Google Patents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730A
KR20180059730A KR1020180055800A KR20180055800A KR20180059730A KR 20180059730 A KR20180059730 A KR 20180059730A KR 1020180055800 A KR1020180055800 A KR 1020180055800A KR 20180055800 A KR20180055800 A KR 20180055800A KR 20180059730 A KR20180059730 A KR 2018005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lifting
wir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5629B1 (ko
Inventor
한현희
Original Assignee
한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희 filed Critical 한현희
Priority to KR102018005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by clamping together two face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e.g. with bolted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기둥 형태의 지지대(10)와,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지지대(10)를 따라 승하강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와이어(1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윈치(101)를 사용하여 와이어(100)를 감으면 지지대(10)를 따라 상승하고 풀면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하강하게 설치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와,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대(100)와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최하단에는 걸림부(132)가 구비되는 기상 관측 장치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 파이프(13)와,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하단에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2 승하강 뭉치(14), 및 상기 제2 승하강 뭉치(14)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파이프(13)가 삽입되고 최상단에는 제1 파이프(13)의 걸림부(132)에 걸리는 걸림턱(152)을 구비하여 제1 파이프(13)가 완전히 상승한 이후에는 제1 파이프(13)에 의하여 당겨져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 파이프(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Elevation type support for unmanned weather observ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풍속과 풍향과 같은 기상 관측을 위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섬, 산간 또는 해상 지역에서 자동으로 기상 관측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도 하지만 풍력발전장치를 위해서도 사용된다. 즉, 풍력발전장치의 설치 예정지주변에 기상관측탑을 설치하고, 기상 관측을 위한 센서들을 설치하여 장기간 기상 관측 데이터를 수집 및 평가함으로써 조성 예정지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성능 시험을 위해서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풍력발전기 주변에 기상탑을 설치하여야 한다. IEC 규정에 따르면 풍속계의 경우에는 풍력발전기의 허브 높이의 ±2.5%의 범위 내에 장착되어야 하며, 풍속계는 공인기관의 검정 및 교정, 제품 노후에 따라 매년 교정 절차가 필요하다.
이러한 종래의 기상탑은 센서를 고정하는 붐대를 기상탑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 교정,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서는 크레인을 동원하거나, 붐대를 해체하여 지상에서 센서를 교체한 후 다시 설치하는 등으로 인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면서 기상탑이 지면 또는 수면에서 부터 60m 내지 100m까지 연장되고 있어 풍속계의 교체는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대형화되는 기상탑의 센서의 교체작업은 크레인 사용에 따른 고비용 발생 및 붐대 해체를 위해서는 안전 사고 발생의 위험 및 다수의 작업자가 참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상 관측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26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 특허에 따르면 기둥형상의 지지대와, 지지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하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붐대; 붐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부 플랜지를 관통하여 압착함으로써 붐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및 붐대의 종단부에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는 기상관측장비를 구현하여, 풍력발전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붐대가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센서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크레인을 이용하거나, 붐대를 해체하지 않더라도 붐대를 회동시켜 작업이 용이한 위치에서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리 및 교체 비용이 감소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상 풍력발전장치의 경우에는 해상으로 크레인을 운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아, 언제든 센서의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상측정장치는 여전히 작업자가 붐대의 높이까지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기상관측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및 점검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타워를 올라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유지보수 작업에 대한 맨아워를 줄일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기상관측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15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무인 기상 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높이 방향으로 랙기어(rack gear)가 설치된 철골 구조물과, 상기 철골 구조물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랙기어에 맞물려 결합된 피니언 기어(pinion gear)가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슬라이더의 양측에 설치되며,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강우량 등의 기상을 관측하는 기상관측장비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기상관측장비를 통해 관측된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해 기상관측소에 송신하는 기상관측 수집장비를 포함하고 랙기어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슬라이더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구름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며, 슬라이더의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설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재에는 가이드 레일의 전,후 양면을 따라 구름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인 기상 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는 철골구조물을 기반으로 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풍력발전소와 같이 설치를 위한 기본 금액 투자 단위가 큰 곳에 적합한 방식이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 많은 기상관측장치를 설치하여 개략적인 기상관측데이터를 얻으려는 경우에는 그 설치 비용이 높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기상관측장치 부분을 유지보수하기에 용이한 구조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승강되며 기상관측장비가 설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로서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지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입설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피뢰침(100)이 설치되고 상기 피뢰침(100) 아래쪽에는 지지대(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101)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절개부(102)가 형성되며 제1 절개부(102)의 하측 일정 거리에는 와이어(101)를 지지하는 제1 도르레(103)가 설치되고 지면측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101)의 일단이 결합되어 와이어(101)를 당기고 풀어주는 윈치(105)가 수납되는 베이스(106)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지지대(10)를 따라 승하강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와이어(1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윈치(101)를 사용하여 와이어(100)를 감으면 지지대(10)를 따라 상승하고 풀면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하강하게 설치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와;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대(100)와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최하단에는 걸림부(132)가 구비되는 기상 관측 장치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 파이프(13)와;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하단에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2 승하강 뭉치(14); 및
상기 제2 승하강 뭉치(14)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파이프(13)가 삽입되고 최상단에는 제1 파이프(13)의 걸림부(132)에 걸리는 걸림턱(152)을 구비하여 제1 파이프(13)가 완전히 상승한 이후에는 제1 파이프(13)에 의하여 당겨져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 파이프(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는,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몸체(120);
원통형 몸체(120)를 감싸며 외측에 배치되는 다각형 고정 몸체(124); 및
복수 개의 제3 절개창(125)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20)와 다각형 고정 몸체(14)의 상단과 하단을 결합시키며 외부로부터 빗물 또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차폐하는 결합 커버(12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120)는 복수 개의 제1 절개창(121)과 상기 제1 절개창(121)을 통하여 내측으로 회전 바퀴 부분이 돌출되는 도르레(122)를 포함하고,
상기 다각형 고정 몸체(124)는 복수 개의 제2 절개창(123)을 포함하고,
제2 절개창(123)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124')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파이프(13)와 제2 파이프(15)의 내부에 기상관측장치와 연결되는 전원 및 신호선(17)이 포설되고, 상기 베이스(106) 내부에는 상기 전원 및 신호선(17)이 감기고 풀리는 태엽식 릴(18)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가 접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파이프(13)와 제2 파이프(15)의 세부 구조와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것으로 와이어(101)가 윈치(105)에 의하여 감기고 풀리게 되기 위한 구조와 신호선(17)이 태엽식 릴(18)에 감기고 풀리게 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가 펼쳐진 상태를 정면도로써 개략적으로 나타내었으며, 도 2에는 도 1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는 지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입설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피뢰침(100)이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지지대(10)와 베이스(106)가 구비되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기상관측장치가 가동되고 접어진 상태에서는 기상관측장치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지보수를 위하여 고가 사다리차와 같은 특수한 장치가 필요없이도 편리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의 일 예를 저면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는 지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입설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피뢰침(100)이 설치되고 상기 피뢰침(100) 아래쪽에는 지지대(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101)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절개부(102)가 형성되며 제1 절개부(102)의 하측 일정 거리에는 와이어(101)를 지지하는 제1 도르레(103)가 설치되고 지면측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101)의 일단이 결합되어 와이어(101)를 당기고 풀어주는 윈치(105)가 수납되는 베이스(106)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지지대(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지지대(10)를 따라 승하강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와이어(1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윈치(101)를 사용하여 와이어(100)를 감으면 지지대(10)를 따라 상승하고 풀면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하강하게 설치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를 구비한다.
도 4에는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의 세부 구조를 분해 사시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5에는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의 구조를 결합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대(100)와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최하단에는 걸림부(132)가 구비되는 기상 관측 장치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 파이프(13)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하단에는 제2 승하강 뭉치(14)가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상기 제2 승하강 뭉치(14)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파이프(13)가 삽입되고 최상단에는 제1 파이프(13)의 걸림부(132)에 걸리는 걸림턱(152)을 구비하여 제1 파이프(13)가 완전히 상승한 이후에는 제1 파이프(13)에 의하여 당겨져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 파이프(15)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파이프(13)에는 기상 관측 장치가 고정되며 방사상 수평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수직 하방으로 꺾이는 지점에 두 제1 파이프(13) 사이에 결속되도록 할 수 있으며 풍향계(1) 또는 풍속계(1')와 같은 다양한 형태 및 기능의 기상관측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몸체(120)와, 원통형 몸체(120)를 감싸며 외측에 배치되는 다각형 고정 몸체(124), 및 복수 개의 제3 절개창(125)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20)와 다각형 고정 몸체(14)의 상단과 하단을 결합시키며 외부로부터 빗물 또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차폐하는 결합 커버(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승하강 뭉치(14)도 제1 승하강 뭉치(12)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 승하강 뭉치(12)에 구비되는 상기 원통형 몸체(120)는 복수 개의 제1 절개창(121)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개창(121)을 통하여 내측으로 회전 바퀴 부분이 돌출되는 도르레(122)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대(10)를 따라 승하강할 때 마찰을 줄여줌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형 고정 몸체(124)는 복수 개의 제2 절개창(123)을 포함하고, 제2 절개창(123)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124')를 포함하게 하면 도르레(122)를 정기적으로 점검 또는 교체할 때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밀폐 커버(124')와 다각형 고정 몸체(124) 사이에는 방수용 오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파이프(13)와 제2 파이프(15)의 세부 구조와 결합 상태를 단면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상기 제1 파이프(13)와 제2 파이프(15)의 내부에 기상관측장치와 연결되는 전원 및 신호선(17)이 포설되고, 제1 파이프(13)의 하단에는 걸림부(132)가 구비되고 제2 파이프의 상단에는 제1 파이프(13)의 걸림부(132)에 걸리는 걸림턱(152)을 구비하여 제1 파이프(13)가 완전히 상승한 이후에는 제1 파이프(13)에 의하여 당겨져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복수 개의 제1 파이프(13) 상단에는 기상 관측 장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파이프(13)를 하강시킨 후에는 기상관측장치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제1 파이프(13)는 지지대(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므로 제1 파이프(13) 사이에 고정용 바를 설치하고 그 고정용 바에 기상관측장치를 연결하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며 제1 파이프(13)를 통하여 신호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제1 파이프(13) 내부에 은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7에는 도 3의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에 구비되는 것으로 와이어(101)가 윈치(105)에 의하여 감기고 풀리게 되기 위한 구조와 신호선(17)이 태엽식 릴(18)에 감기고 풀리게 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타나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관측장치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상기 제1 파이프(13)와 제2 파이프(15)의 내부에 기상관측장치와 연결되는 전원 및 신호선(17)이 포설되고, 상기 베이스(106) 내부에는 상기 전원 및 신호선(17)이 감기고 풀리는 태엽식 릴(18)을 구비한다. 태엽식 릴(18)의 일측에는 전원 및 신호선(17)이 권취되고 전원 및 신호선(17)의 일단은 무인기상관측장비와 접속되고 타단은 통신함(19)과 접속되며, 유지보수를 요하는 경우에 승하강 뭉치가 내려오면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를 통해 포선된 전원 및 신호선(17)은 태엽식 릴(18)에 권취되고 유지보수를 마치고 승하강 뭉치를 올리면 풀려짐에 있어 서로 꼬이거나 주위의 구조물과 간섭하는 현상이 없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기상측정 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진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승강되며 기상관측장비가 설치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로서 적은 힘으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기상관측장비의 승하강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어는 중심 부분의 지지대 중심을 따라 통과하게 하고 기상관측장비로부터의 전원 및 신호선은 지지대가 아닌 별도의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를 통과하게 하며 베이스 부분에 태엽식 릴을 구비하게 하여 권취함으로써 비교적 강한 힘에 의하여 장력이 가해지는 금속성 와이어와 합성수지재의 피복이 되어 있는 전원 및 신호선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도 햇빛 등에 의하여 열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위 실시예들에서는 2단 구조에 해당하도록 제1 승하강 뭉치와 제2 승하강 뭉치를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승하강 뭉치 ~ 제5 승하강 뭉치와 같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원 발명의 범위내에서 필요에 따라 승하강 뭉치의 갯수를 증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0 : 지지대
100 : 피뢰침 101 : 와이어
102 : 제1 절개부 103 : 제1 도르레
105 : 윈치 106 : 베이스
12 : 제1 승하강 뭉치
120 : 원통형 몸체 124 : 다각형 고정 몸체
126 : 결합 커버
13 : 제1 파이프
132 : 걸림부
14 : 제2 승하강 뭉치
15 : 제2 파이프
152 : 걸림턱
17 : 전원 및 신호선
18 : 태엽식 릴
19 : 통신함

Claims (4)

  1. 지면에서 수직 상방으로 입설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피뢰침(100)이 설치되고 상기 피뢰침(100) 아래쪽에는 지지대(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101)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제1 절개부(102)가 형성되며 제1 절개부(102)의 하측 일정 거리에는 와이어(101)를 지지하는 제1 도르레(103)가 설치되고 지면측 하단에는 상기 와이어(101)의 일단이 결합되어 와이어(101)를 당기고 풀어주는 윈치(105)가 수납되는 베이스(106)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지지대(10);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지지대(10)를 따라 승하강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와이어(100)의 타단이 결합되어 윈치(101)를 사용하여 와이어(100)를 감으면 지지대(10)를 따라 상승하고 풀면 상기 지지대(10)를 따라 하강하게 설치되는 제1 승하강 뭉치(12);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지지대(100)와 평행하게 수직 하방으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최하단에는 걸림부(132)가 구비되는 기상 관측 장치가 고정되는 복수 개의 제1 파이프(13);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의 하단에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며 설치되는 제2 승하강 뭉치(14); 및
    상기 제2 승하강 뭉치(14)의 외측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파이프(13)가 삽입되고 최상단에는 제1 파이프(13)의 걸림부(132)에 걸리는 걸림턱(152)을 구비하여 제1 파이프(13)가 완전히 상승한 이후에는 제1 파이프(13)에 의하여 당겨져 상승하고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 파이프(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하강 뭉치(12)는,
    상기 지지대(10)의 외벽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몸체(120);
    원통형 몸체(120)를 감싸며 외측에 배치되는 다각형 고정 몸체(124); 및
    복수 개의 제3 절개창(125)가 구비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120)와 다각형 고정 몸체(14)의 상단과 하단을 결합시키며 외부로부터 빗물 또는 먼지가 유입되지 않게 차폐하는 결합 커버(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20)는 복수 개의 제1 절개창(121)과 상기 제1 절개창(121)을 통하여 내측으로 회전 바퀴 부분이 돌출되는 도르레(122)를 포함하고,
    상기 다각형 고정 몸체(124)는 복수 개의 제2 절개창(123)을 포함하고,
    제2 절개창(123)을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밀폐 커버(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13)와 제2 파이프(15)의 내부에 기상관측장치와 연결되는 전원 및 신호선(17)이 포설되고, 상기 베이스(106) 내부에는 상기 전원 및 신호선(17)이 감기고 풀리는 태엽식 릴(1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KR1020180055800A 2018-05-16 2018-05-16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KR10190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00A KR101905629B1 (ko) 2018-05-16 2018-05-16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800A KR101905629B1 (ko) 2018-05-16 2018-05-16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730A true KR20180059730A (ko) 2018-06-05
KR101905629B1 KR101905629B1 (ko) 2018-10-08

Family

ID=6263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800A KR101905629B1 (ko) 2018-05-16 2018-05-16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309A (zh) * 2020-11-18 2021-02-26 蒋大为 一种基于气象观测技术的观测辅助设备
CN114033355A (zh) * 2021-12-27 2022-02-11 西安商鼎能源科技有限公司 一体化油井及气井数据采集控制装置
KR20230021789A (ko) * 2021-08-06 2023-02-14 박재홍 기상측기탑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08B1 (ko) * 2007-05-14 2007-11-16 신영세 수직형 현수막 게시장치
KR20090001864U (ko) * 2007-08-23 2009-02-26 (주)웨더텍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관측탑
KR100996513B1 (ko) * 2010-03-30 2010-11-25 안정상 대기오염 및 기상 측정을 위한 차량용 통합마스트
KR20110001546U (ko) * 2011-01-27 2011-02-14 김왕기 풍향 관측기
KR101331565B1 (ko) * 2013-04-08 2013-11-20 임종갑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
KR101528510B1 (ko) * 2014-04-25 2015-06-15 디에스엔주식회사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KR200484357Y1 (ko) * 2016-03-25 2017-08-29 박재홍 날씨관측용 기상타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208B1 (ko) * 2007-05-14 2007-11-16 신영세 수직형 현수막 게시장치
KR20090001864U (ko) * 2007-08-23 2009-02-26 (주)웨더텍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관측탑
KR100996513B1 (ko) * 2010-03-30 2010-11-25 안정상 대기오염 및 기상 측정을 위한 차량용 통합마스트
KR20110001546U (ko) * 2011-01-27 2011-02-14 김왕기 풍향 관측기
KR101331565B1 (ko) * 2013-04-08 2013-11-20 임종갑 무인 기상관측장비용 슬라이드 타워
KR101528510B1 (ko) * 2014-04-25 2015-06-15 디에스엔주식회사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KR200484357Y1 (ko) * 2016-03-25 2017-08-29 박재홍 날씨관측용 기상타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309A (zh) * 2020-11-18 2021-02-26 蒋大为 一种基于气象观测技术的观测辅助设备
KR20230021789A (ko) * 2021-08-06 2023-02-14 박재홍 기상측기탑
CN114033355A (zh) * 2021-12-27 2022-02-11 西安商鼎能源科技有限公司 一体化油井及气井数据采集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629B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629B1 (ko)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ES2401648B1 (es) Procedimiento de acceso a la superficie exterior de torres de aerogeneradores y dispositivo de uso con el mismo
EP2383464A1 (en) Elevator for wind energy systems
DK2507514T3 (en) Wind energy system with hoisting device
US8513529B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cables
EP3077666B1 (en) An internal tower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KR20070112238A (ko) 작업 플랫폼
EP389139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ind turbine and tower of a wind turbine
KR102063151B1 (ko) 절첩식 cctv 설치 장치
US2018028335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a component of a wind turbine
KR101528510B1 (ko)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JP5584674B2 (ja) 鉄塔補修システム
CN205724379U (zh) 一种接闪杆系统
JPH02213574A (ja) マストを組み立て、解体するための機構
KR101056442B1 (ko) 씨씨티브이용 승강식 구조물
CN111111041B (zh) 一种便于调节工作范围的供电公司用高空作业安全装置
JP5729981B2 (ja) ナセル及び機器を備えた集合体
EP2631395B1 (en) Advanced system for the installation of wire-climbing lifting devices on hollow towers
CN211393761U (zh) 矿用井下传感器吊挂装置
KR101890490B1 (ko) 식물공장형 시설 하우스의 환기 장치
JP7271795B2 (ja) 風車タワーへのケーブルおよび他の構成要素の取り付け
KR200412071Y1 (ko) 골프장의 폴 인출장치
CN112730753A (zh) 一种近地大气断层监测系统及方法
CN205743222U (zh) 一种自立式测风塔
KR102656133B1 (ko)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