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510B1 -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510B1
KR101528510B1 KR1020140050218A KR20140050218A KR101528510B1 KR 101528510 B1 KR101528510 B1 KR 101528510B1 KR 1020140050218 A KR1020140050218 A KR 1020140050218A KR 20140050218 A KR20140050218 A KR 20140050218A KR 101528510 B1 KR101528510 B1 KR 101528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tubular body
tubes
bodie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민영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0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forces exerted by the fluid on solid bodies, e.g. anemo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관체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보조관체를 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키면서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MET MAST FOR THE INSTALLATION OF WIND TOWER STRUCTURE}
본 발명은 관체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보조관체를 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키면서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상관측장비는 섬, 산간 또는 해상 지역에서 자동으로 기상 관측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기도 하지만, 풍력발전장치를 위해서도 사용되며, 최근에는 기상관측을 위한 센서가 설치된 붐대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센서의 교체 또는 수리가 용이한 기상관측장비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272648호로 제안된 바 있다.
즉, 풍력발전장치의 설치 예정지 주변에 기상관측탑(met mast)을 설치하고, 기상 관측을 위한 센서들을 설치하여 장기간 기상 관측 데이터를 수집 및 평가함으로서, 조성 예정지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성능시험을 위해서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는 풍력타워 주변에 기상관측탑(met mast)을 설치하여야 한다.
IEC 규정에 따르면 풍속계의 경우에는 풍력발전기의 허브 높이의 ±2.5%의 범위 내에 장착되어야 하며, 풍속계는 공인기관의 검정 및 교정, 제품 노후에 따라 매년 교정 절차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상관측탑(met mast)의 설치 및 교체를 위해서는 번거롭게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27264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관체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보조관체를 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키면서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보조관체와;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를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관체의 하부가 상부에 축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관체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체의 전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체의 표면에 상기 관체의 상부에서 상기 관체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는 상기 관체의 내부에서 상기 관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하부보조관체와;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중간보조관체와;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상부보조관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 사이마다 연결슬리브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슬리브는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관체의 내부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슬리브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보조관체의 내부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슬리브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축부재는 상기 판부재 사이마다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연결슬리브의 외주면에 상기 관체,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 및 상기 축부재를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줄부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줄부재는 와이어, 밧줄,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관체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보조관체를 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키면서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베이스플레이트 및 지지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복수의 보조관체가 관체의 내부에서 관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관체, 보조관체 및 축부재가 해상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체(10), 보조관체(20) 및 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관체(10)는 상기 관체(10)의 하측에서 상기 관체(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관체(20)는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축부재(도 2의 30)는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를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도 3은 베이스플레이트(40) 및 지지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40)와 지지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면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는 브라켓(410)의 중심부에는 상기 관체(10)의 하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체(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면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대(50)는 상기 관체(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체(10)의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전측방향에 수직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체(10)의 하부를 중심으로 상기 관체(10)의 상부는 상기 관체(10)의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지지대(50)의 상부방향으로 사선(\)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50)의 상부가 상기 관체(10)의 상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50)는 상기 관체(10)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복수의 보조관체(20)가 관체(10)의 내부에서 관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표면 후측에는 상기 관체(10)의 상부에서 상기 관체(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슬릿(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 및 상기 축부재(30)는 상기 슬릿(110)을 통과하여 상기 관체(10)의 내부로 각각 인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하부보조관체(210), 복수의 중간보조관체(220) 및 복수의 상부보조관체(23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하부보조관체(210), 상기 중간보조관체(220) 및 상기 상부보조관체(230)가 각각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 상기 중간보조관체(220) 및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개수가 반드시 각각 2개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는 상기 축부재(30)에 의해 상기 관체(10)의 내부에서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는 상기 축부재(30)에 의해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는 상기 축부재(30)에 의해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 사이마다 연결슬리브(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슬리브(60)는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사이마다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슬리브(60)는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 사이마다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슬리브(60)는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 사이마다 구비되어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슬리브(60)는 판부재(610), 상부슬리브부재(620) 및 하부슬리브부재(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610)의 외경크기는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외경크기,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외경크기 및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외경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각각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사이,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 및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 사이마다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슬리브부재(620)는 상기 판부재(610)의 상부에 환형 형상 등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슬리브부재(620)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내부 하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슬리브부재(620)는 상기 판부재(610)의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내부 하측,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내부 하측 및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내부 하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부재(630)는 상기 판부재(610)의 하부에 환형 형상 등으로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리브부재(630)는 다른 하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내부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슬리브부재(630)는 상기 판부재(610)의 하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내부 상측,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내부 상측 및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내부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0)가 상기 판부재(610) 사이마다 수직구비된 상태로 상기 축부재(30)의 상부는 상기 축부재(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하부슬리브부재(6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축부재(30)의 하부는 상기 축부재(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슬리브부재(6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0)의 상부와 상기 축부재(30)의 하부가 상기 하부슬리브부재(630)의 내부 및 상기 상부슬리브부재(620)의 내부에서 너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부슬리브부재(630)의 내주면 및 상기 상부슬리브부재(6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축부재(30)의 상부 외주면 및 상기 축부재(30)의 하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부재가 일체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관체(10)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가 상기 축부재(30)를 통해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관체(10)의 상부가 상기 지지대(5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관체(10)가 일정각도로 사선(\)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 어느 하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 모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관체(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 어느 하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 모두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관체(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되어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축부재(3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복수의 상기 연결슬리브(60)의 상부슬리브부재(620)의 내부와 하부슬리브부재(630)의 내부에 각각 순차적으로 수용시키면서 작업자는 복수의 상기 축부재(30)를 상기 관체(10)의 상측 외부로 반복적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로서, 복수의 하부보조관체(210), 복수의 중간보조관체(220) 및 복수의 상부보조관체(230)로 구성되는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는 상기 관체(10)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안테나식으로 점차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상기 축부재(30) 중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축부재(30)의 하부는 상기 관체(10),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가 후술할 상기 고정줄부재(70)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고정될 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면과 접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가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최하부 외주면과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최상부 내주면에는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탈방지턱(8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가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최하부 외주면과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최상부 내주면에도 환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이탈방지턱(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80)은 하부이탈방지턱(810)과 상부이탈방지턱(8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이탈방지턱(810)은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최하부외주면에서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내주면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이탈방지턱(810)은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최하부외주면에서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내주면 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이탈방지턱(820)은 상기 하부이탈방지턱(8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최상부 내주면에서 복수의 상기 상부보조관체(230)의 외주면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이탈방지턱(820)은 상기 하부이탈방지턱(8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30)의 최상부 내주면에서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외주면방향으로 수평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연결슬리브(60) 중 복수의 하부보조관체(210)의 외부, 복수의 중간보조관체(220)의 외부 및 복수의 상부보조관체(2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슬리브(60)의 판부재(6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관체(10),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 및 상기 축부재(30)를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줄부재(70)가 등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줄부재(70)로서 와이어, 밧줄, 체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관체(10),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 및 상기 축부재(30)를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1인 이상의 작업자는 상기 고정줄부재(70)를 점차 당기면서 사선(\)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인 상기 관체(10)와 함께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와 상기 축부재(30)를 수직으로 점차 세울 수 있다.
상기 고정줄부재(70)의 상부와 상기 고정줄부재(70)의 하부에는 각각 후크부재(90)가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줄부재(70)의 상부에 연결된 상기 후크부재(90)는 상기 연결슬리브(9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평으로 일체형성되는 호형상의 걸림고리(110)의 내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줄부재(70)의 하부에 연결된 상기 후크부재(9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의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수직으로 일체형성되는 호형상의 걸림고리(420)의 내측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관체(10), 보조관체(20) 및 축부재(30)가 해상(3)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는 산악지역의 지면 또는 해상(3)에 위치할 수 있도록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상철탑구조물(5)의 상부에 각각 앵커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외주면에는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계, 풍향을 측정하는 풍향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를 상기 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출시키면서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사용하여 기상관측탑(met mast)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관체, 20; 보조관체,
30; 축부재.

Claims (7)

  1. 관체(10)와;
    상기 관체(10)의 내부에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보조관체(20)와;
    판부재(610)와, 상기 판부재(6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61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내부 하측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슬리브부재(620)와, 상기 판부재(6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6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내부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하부슬리브부재(630)로 구성되어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 사이마다 구비되는 연결슬리브(60)와;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를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시키면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판부재(610) 사이마다 구비되는 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0)의 하부가 상부에 축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40)와;
    상기 관체(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체(10)의 전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관체(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0)의 표면에 상기 관체(10)의 상부에서 상기 관체(10)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는 상기 관체(10)의 내부에서 상기 관체(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하부보조관체(210)와;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하부보조관체(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중간보조관체(220)와;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내부에서 복수의 상기 중간보조관체(220)의 외부로 인출되는 복수의 상부보조관체(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슬리브(60)의 외주면에 상기 관체(10), 복수의 상기 보조관체(20) 및 상기 축부재(30)를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줄부재(7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줄부재(70)는 와이어, 밧줄, 체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7. 삭제
KR1020140050218A 2014-04-25 2014-04-25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KR101528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218A KR101528510B1 (ko) 2014-04-25 2014-04-25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218A KR101528510B1 (ko) 2014-04-25 2014-04-25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510B1 true KR101528510B1 (ko) 2015-06-15

Family

ID=53504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218A KR101528510B1 (ko) 2014-04-25 2014-04-25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5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57Y1 (ko) * 2016-03-25 2017-08-29 박재홍 날씨관측용 기상타워
CN107942408A (zh) * 2017-12-29 2018-04-20 天津青年志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气象传感器
KR20180059730A (ko) * 2018-05-16 2018-06-05 한현희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WO2019147348A1 (en) * 2018-01-26 2019-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wind turbine
KR20220019351A (ko) * 2020-08-10 2022-02-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의 연결구조
KR20220019349A (ko) * 2020-08-10 2022-02-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의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98U (ko) * 1998-06-08 2000-01-15 권재원, 김정원 교량 상판의 처짐량 측정장치
KR100808468B1 (ko) * 2007-11-08 2008-03-03 (주) 일신하이텍 지형측량 장치
JP2008521540A (ja) * 2004-12-02 2008-06-26 カイム シムカ アムセル 電動式開閉機構を有する折り畳み式傘
KR20100092110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필엔지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98U (ko) * 1998-06-08 2000-01-15 권재원, 김정원 교량 상판의 처짐량 측정장치
JP2008521540A (ja) * 2004-12-02 2008-06-26 カイム シムカ アムセル 電動式開閉機構を有する折り畳み式傘
KR100808468B1 (ko) * 2007-11-08 2008-03-03 (주) 일신하이텍 지형측량 장치
KR20100092110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필엔지 풍력발전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57Y1 (ko) * 2016-03-25 2017-08-29 박재홍 날씨관측용 기상타워
CN107942408A (zh) * 2017-12-29 2018-04-20 天津青年志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气象传感器
WO2019147348A1 (en) * 2018-01-26 2019-08-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wind turbine
US10676952B2 (en) 2018-01-26 2020-06-0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wind turbine
KR20180059730A (ko) * 2018-05-16 2018-06-05 한현희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KR101905629B1 (ko) 2018-05-16 2018-10-08 한현희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KR20220019351A (ko) * 2020-08-10 2022-02-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의 연결구조
KR20220019349A (ko) * 2020-08-10 2022-02-1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의 연결구조
KR102384318B1 (ko) * 2020-08-10 2022-04-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의 연결구조
KR102384314B1 (ko) * 2020-08-10 2022-04-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구조물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510B1 (ko) 풍력타워설치를 위한 맷마스트 구조
US4151534A (en) Antenna telescoping tower
CA2960487C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nd/or installing a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US20100189531A1 (en) Lifting device for the assembly of a wind turbine
CN102761083B (zh) 安装线缆的布置结构和方法
BRPI0608824B1 (pt) conjunto de plataforma de trabalho
EP2458198A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aintenance device on a wind turbine
US11268490B2 (en) Method and an assembly for handling wind turbine blades
CN206187300U (zh) 一种简易航标灯桩
CN105766543A (zh) 一种树木防风防倒固定支撑装置
WO201207560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mbling wind turbine tower
CN104481194B (zh) 一种直立式筒状设备的倒装方法
DK3047083T3 (en) VARIABLE HALF TAG
RU107247U1 (ru) Радиомачта сотовой связи,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 осветительной опорой
CN203224232U (zh) 土体分层沉降监测设备的套环压簧式沉降板安装装置
CN105888529B (zh) 一种窨井口爬梯
CN103321468A (zh) 拉线式三角形桁架测风塔
CN104535044B (zh) 变位式土体分层沉降变形监测系统
JP2004311083A (ja) 昇降機構を備えた雷雲感知装置付き避雷鉄塔
CN108914990B (zh) 一种大高差高填土条件下的沉降监测设备的安装方法
KR101905629B1 (ko) 무인기상관측장비용 승하강식 지주대 구조
CN112103772B (zh) 一种便携式接闪杆及避雷方法
JP6919877B2 (ja) 風況観測塔およびその設置方法
CN202474756U (zh) 跨越网
CN217981540U (zh) 一种可升降风向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