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533A - 자동차 래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533A
KR20180059533A KR1020187012169A KR20187012169A KR20180059533A KR 20180059533 A KR20180059533 A KR 20180059533A KR 1020187012169 A KR1020187012169 A KR 1020187012169A KR 20187012169 A KR20187012169 A KR 20187012169A KR 20180059533 A KR20180059533 A KR 20180059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atch
splay
latch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렉 드라곤
알렉산더 그로스만
토마스 발트만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5116805.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5116805A1/d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59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0Allowing opening in case of deformed bodywork, e.g. by preventing deformation of lock par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캐치(19), 폴(17) 및 래치 플레이트(14)를 갖는 자동차 래치(15)로서, 캐치(19)와 폴(17)은 래치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치 플레이트(14)는 자동차 래치(15)의 장착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개구(21, 22)를 가지며, 래치 플레이트(14)는 래치 홀더(28)를 위한 도입 슬롯(25)을 갖고, 도입 슬롯(25)에 반대되는 스플레이(20)가 래치 플레이트(14)에 제공되되, 스플레이(20)는 적어도 도입 슬롯(25)에 반대되는 반원형 단면(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래치(15)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래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캐치, 폴 및 래치 플레이트를 갖는 자동차 래치에 관한 것으로, 캐치와 폴은 래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치 플레이트는 자동차 래치의 장착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개구를 가지며, 래치 플레이트는 래치 홀더를 위한 도입 슬롯을 갖고,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에 제공된다.
특정한 위치에서, 자동차에서 움직이는 부분들을 고정하는 래치는 예컨대 자동차 도어, 플랩 또는 슬라이딩 도어를 닫기 위해 사용된다. 대개 래치 시스템 또는 장치는 예컨대 자동차 도어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예컨대 자동차 섀시에 부착된 래치 홀더를 감싸기 위해, 서로 걸릴 수 있는 캐치와 적어도 하나의 폴로 이루어진 잠금 메커니즘을 갖는다. 잠금 메커니즘, 즉 캐치와 폴은 래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래치 플레이트 및 잠금 메커니즘 부품들을 통합하는 잠금 메커니즘 부품 축들은 금속, 특히 강(steel)으로 이루어진다. 잠금 메커니즘과 래치 시스템의 베어링 부품들이 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래치 시스템 또는 자동차 래치는 급격한 상황에서도 충분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자동차의 래치 시스템에 대한 급격한 상황은 예컨대 사고 시 일어나며, 이로써 래치 시스템은 통상 응력의 배를 넘는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심각한 상황에서도 충분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자동차 래치는 사고 시 발생하는 응력을 받는 인장 시험이 수행된다. 이처럼 시뮬레이션된 급격한 조건하에서, 자동차 래치는 잠금 메커니즘의 파괴 시까지 인장 응력을 받는다. 파괴란 예컨대 잠금 메커니즘 평면의 방향의 래치 홀더와 잠금 메커니즘 사이의 인장 응력 동안, 자동자 래치와 래치 홀더를 포함하는 래치 유닛이 자동차 래치 및/또는 래치 홀더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 멀리 당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래치 유닛이 자동차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래치 유닛은 래치 유닛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의 파괴가 일어나기 이전에 차량 제조사의 사양을 넘어서는 인장 응력을 견뎌야 한다.
자동차 제조사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래치 플레이트나 자동차를 안정화하기 위해 몇몇 다른 방안들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DE 20 2012 007 326 U1은 래치 케이스, 래치 케이스에 장착되어 캐치와 폴을 포함하는 장금 장치 및 추가적인 보강 요소를 갖는 자동차 래치를 개시하는데, 보강 요소는 래치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캐치와 폴의 양 회전축을 연결하는 보강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래치 케이스 또는 래치 플레이트는 단면이 U자형인데, 래치 케이스와 래치 플레이트는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된다. U자형 래치 케이스의 레그가 자동차를 가로지르는 방향 또는 Y 방향에 근본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래치 케이스의 사양은 직사각형 지지 구조물이 이러한 Y 방향에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보장한다. 자동차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힘은 잠금 메커니즘이나 지지 구조물에 의해 흡수되어 래치 케이스로 전달된다. 이에 래치 케이스와 보강 플레이트는 잠금 메커니즘을 위한 저장 케이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변형력은 충돌 시 탄성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L자형으로 래치 케이스를 형성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DE 10 2010 002 736 A1에 개시되어 있다. L자형 래치 케이스의 긴 암(arm)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잠금 메커니즘을 수용하는데, L자형 래치 케이스의 짧은 암은 차량의 길이 방향에서 래치 홀더의 도입 영역을 감싸며 안정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짧은 L자 레그에 반대되는 추가적인 래치 케이스 벽이 본 공개로부터 제공된다. 래치 케이스는 베이스 면과 두 개의 측벽을 갖는다. 래치 케이스의 측벽들은 직각인 베이스 면을 포함한다. 만약 두 측벽이 서로 반대되도록 제공된다면 래치 케이스는 U자형이 된다. 만약 측벽이 없으면 래치 플레이트로 언급된다.
이하 일반적으로 래치 케이스가 언급되면, 이는 래치 플레이트를 아우른다.
U자형 래치 케이스가 DE 10 2011 076 704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는데,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측벽이 원호 형상이다. 원호 형상은 레그 스프링을 위한 축을 가지며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들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서 레그 스프링의 축을 부착하거나 고정한다.
자동차 래치의 다른 발전예에 항상 제기되는 문제는 한편으로는 특정한 응력 한계가 얻어질 수 있도록 요구 조건들을 충족하는 안전성이 보장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자동차 산업은 자동차를 전반적으로 더 가볍게 만들려고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선된 자동차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그 과제는 자동차 분야의 안전 요구 조건과 응력을 만족함과 동시에 경량인 자동차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과제는 단순한 구성의 비용 효율적인 자동차 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은 하위 청구항들에서 특정된다. 이하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발명의 설명과 하위 청구항들에 서술된 특징의 가능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과제는 적어도 하나의 캐치, 폴 및 래치 플레이트를 갖고, 캐치와 폴은 래치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래치 플레이트는 자동차 래치의 장착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개구를 갖고, 래치 플레이트는 래치 홀더를 위한 도입 슬롯을 가지며,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에 제공되고, 스플레이는 적어도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단면에서 반원형을 갖는 자동차 래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래치의 설계는 경량으로 가장 높은 응력을 흡수할 수 있는 개선된 자동차 래치를 제공하는 옵션을 제시한다. 본질적으로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단면의 스플레이는 인장 하중에 관한 안정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자동차 래치에 대해 언급된다면, 이는 측 방향 도어 래치, 슬라이딩 도어 래치, 후드 래치 및 테일게이트 래치를 의미한다. 모든 자동차 래치들은 예컨대 사고 시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급격한 응력에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래치 플레이트, 즉 기본적으로 평평한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서로 맞물리게 배열된 캐치와 적어도 하나의 폴을 갖는 자동차 래치에 관한 것이다. 캐치와 적어도 하나의 폴은 래치 홀더 또는 잠금 볼트와 상호 작용하는 잠금 메커니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래치 홀더에 대해 언급된다면, 이는 한 편으로는 브래킷형 래치 홀더 및 볼트로 설계된 잠금 볼트를 의미한다. 래치 홀더는 섀시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자동차 래치는 예컨대 측 방향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상응하게 역으로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치와 폴은 잠금 메커니즘을 형성하며, 래치 플레이트에서 회전 가능하게 래치 플레이트에 평행한 평면에 장착된다.
열린 자동차 래치에서 캐치의 인피드(infeed) 구역은 래치 홀더에 반대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자동차 래치가 닫힐 때, 래치 홀더는 캐치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래치 홀더는 캐치를 돌리거나 회전시켜 자동차 래치의 닫힘 위치에서 그 걸림 위치에 캐치를 고정할 수 있다. 자동차 래치의 응력 방향은 예컨대 자동차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자동차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Y 방향이라 지칭한다. 만약 자동차 래치가 측 방향 도어와 예컨대 운전석 도어에 관한 것이라면, 사고 시 Y 방향으로 자동차 래치에 불균형적인 응력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자동차 래치의 잠금 메커니즘은 Y 방향으로 응력을 받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래치 플레이트에 평행하고 잠금 메커니즘에도 평행하다. 특히 래치 플레이트에 평행하거나 잠금 메커니즘에 평행한 방향의 자동차 래치의 응력 동안, 스플레이는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단면에서 자동차 래치에 관한 안정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플레이는 캐치와 폴의 방향으로 형성된다. 잠금 메커니즘 또는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의 방향의 스플레이는 래치 플레이트가 자동차의 나사 장착 면을 형성하여, 예컨대 자동차 섀시가 자동차 래치의 장착을 위한 평평한 면에 반대될 때 유리하다. 나아가 스플레이는 잠금 메커니즘의 방향의 탄성을 유리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에서 캐치와 폴의 배열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출된다. 만약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에서 잠금 메커니즘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면, 래치 플레이트에서 잠그 메커니즘 구성요소나 그밖에 다른 래치 구성요소의 운동을 위한 공간이 더 많이 마련된다. 스플레이는 래치의 움직이는 부분의 자유로운 공간에 관해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를 때 만약 래치 플레이트의 끝단이 스플레이를 갖는 것으로 언급된다면, 래치 플레이트의 그 영역은 래치 플레이트의 인피드 영역 끝단에 반대되는 것을 의미한다. 캐치의 도입 영역 또는 인피드 구역은 래치의 닫힘 동안 래치 홀더가 맞물리는 영역이다. 도입 영역에 반대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단면은 예컨대 래치 플레이트의 방향, 즉 예컨대 래치 플레이트의 Y 방향의 인장 응력 동안 급격한 응력을 받는다. 래치 플레이트 또는 스플레이의 반원 형태는 스플레이가 반원 형상으로 래치 홀더의 도입 영역을 감쌀 정도로 반원 형태의 래치 플레이트를 안정화한다. 놀랍게도 래치 플레이트의 반원형 스플레이는 훨씬 더 많은 응력이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흡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플레이가 적어도 장착 개구 주변으로 이어질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출된다. 스플레이가 장착 개구를 감쌀 때 추가적인 안정화가 일어난다. 여기서 장착 개구란 자동차에서 래치를 고정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장착 개구는 래치 플레이트에 몰드된 나사산 개구일 수 있으나, 예컨대 단순히 나사가 장착되는 그 뒤쪽 개구일 수도 있다. 따라서 장착 개구는 래치 플레이트와 자동차 섀시 사이의 압박 끼워 맞춤 및/또는 형상 끼워 맞춤 연결부를 형성한다. 만약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에서 장착 개구가 제공된 래치 플레이트의 영역에 제공된다면, 스플레이는 래치 플레이트와 래치 플레이트에 장착되거나 배열된 잠금 구성요소를 지지하거나 안정화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래치에 관해 추가적인 안정화 영향을 갖는다. 여기서 둘러싼다는 것은 스플레이의 반원 형상이 장착 개구의 영역으로 이어지거나 장착 개구의 영역 주변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플레이는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 끝단, 적어도 래치 홀더의 도입 영역에 반대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끝단을 형성한다.
스플레이가 장착 개구로부터 래치 홀더에 반대되는 래치 플레이트의 끝단 영역까지 연장될 경우,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도출된다. 래치 플레이트는 본질적으로 평평한 설계를 갖는다. 래치 플레이트는 래치 홀더가 잠금 메커니즘과 맞물릴 수 있도록 도입 슬롯이 있는 래치 홀더에 반대되는 방향의 전단을 갖는다. 이러한 전단은 래치 홀더에 반대되며, 바람직하게는 도입 슬롯에 의해 중단된 직선 끝단 또는 직선 구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플레이는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영역에서 특히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와 함께 끝나도록 적어도 전방 영역, 즉 래치 플레이트의 직선 모서리로 일방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플레이는 적어도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영역으로 일방적으로 연장되는데, 스플레이의 다른 끝단도 래치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끝날 수 있으며, 스플레이의 이러한 다른 끝단이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장착 개구는 장착 개구의 영역으로 스플레이의 연장에 의해 보강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래치 플레이트의 안정성을 개선하며, 래치 플레이트와 스플레이는 장착 개구에 의해 추가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레이와 장착 개구에 의해 강화된 래치 플레이트의 영역에서, 예컨대 특히 높은 응력을 받는 래치 플레이트의 영역을 지지할 수 있는 개선된 안정화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장착 개구는 잠금 메커니즘의 영역 또는 잠금 메커니즘의 지지 점(bearing point)에 배열된 장착 개구일 수 있다.
캐치가 래치 홀더와 상호 작용하고, 캐치와 폴이 자동차의 닫힘 위치, 적어도 메인 래칫 위치에서 래치 홀더를 고정하며, 두 장착 개구의 연결 선이 도입 슬롯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캐치와 맞물린 래치 홀더의 뒤쪽 영역으로 이어질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출된다. 연결 선으로서 래치 플레이트의 두 장착 개구 사이의 선이 고려되어, 래치 플레이트를 통해 장착 개구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선이 래치 플레이트를 통해 연장된 연결 선을 형성하도록 장착 개구가 래치 플레이트에 삽입된다. 연결 선은 두 장착 개구 사이에서 도입 슬롯 너머로 연장된다. 래치 홀더는 잠금 메커니즘의 닫힘 상태에서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고정되어 견고하게 배치되며, 잠금 메커니즘으로 래치 홀더의 체결 영역은 래치 플레이트의 전단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연결 선 뒤쪽에 위치한다. 이는 캐치가 래치 홀더 또는 잠금 볼트를 둘러싸고, 캐치에 의해 둘러싸인 래치 홀더의 영역은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이러한 연결 선 뒤쪽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연결 선 뒤쪽에서 잠금 메커니즘의 닫힘 상태의 잠금 볼트의 배열 또는 래치 홀더의 영역은 래치 플레이트로 최적화된 힘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이 경우 스플레이는 래치 홀더와 자동차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 시스템에 관해 안정화 효과를 갖는다. 만약 인장 응력이 래치 홀더에 의해 자동차 래치에서 Y 방향으로 가해지면, 예컨대 래치 홀더는 잠금 메커니즘상에서 직접적으로 동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배열에서 적어도 캐치 축이 두 장착 개구의 연결 선 뒤쪽에 배치된다. 캐치 축의 배열과 연결 선 뒤쪽 래치 홀더의 체결 영역에 의해, 자동차 래치의 래치 홀더에 의한 힘의 작용은 래치 플레이트가 연결 선을 통해 절곡되거나 휘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이러한 래치 플레이트의 휘어짐이나 변형은 원형으로 래치 플레이트를 감싸는 스플레이에 의해 유리하게 방지된다. 만약 폴 축이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결 선 앞쪽에 위치한다면, 매우 안정적인 닫힘 유닛이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면은 캐치, 폴 및 장착 개구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대칭적이라는 것은 캐치 축과 폴 축의 장착을 위한 영역이 평면에 배열되며, 래치 플레이트가 평면의 후단에서 전단으로부터 스플레이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래치 플레이트의 전단은 래치 홀더를 위한 도입 슬롯을 갖는 끝단을 말하고, 래치 플레이트의 후단은 적어도 도입 슬롯에 반대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대향은 바람직하게는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 주변으로 둘레를 따라 반원형으로 연장될 시 래치 플레이트의 도입 슬롯의 영역에 관한 것으로, 자연적으로 스플레이가 래치 플레이트의 전방 영역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장착 영역의 대칭적인 형태는 비용 효율적인 제작과 구조적으로 단순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래치 플레이트는 자동차 섀시에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장착 면은 적어도 하나의 주름을 갖는다. 안정성 개선의 방편으로서 스플레이에 더하여, 주름, 즉 래치 플레이트의 자국이 자동차의 안정성을 추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주름이 장착 면에 원호 형상으로 삽입되면 유리하다. 만약 주름이 스플레이를 따라 이어지면, 예컨대 래치 플레이트의 추가적인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다. 다만 주름은 다른 곳에서 잠금 메커니즘 구성요소의 회전 축의 장착 점에 의해 배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자동차 래치, 특히 구조적으로 적은 노력이 들고 저렴한 제작 비용이 드는 래치 플레이트를 안정화할 수 있다.
스플레이가 일정한 또는 적어도 대체적으로 일정한 반경을 가질 경우,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가 도출된다. 스플레이의 일정한 반경 또는 주로 일정한 반경은 제작에 비용 효율적이며, 이에 래치 플레이트 전체에 걸쳐 일정한 하중 분배 또는 개선된 안정성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반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더 설명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단지 유리한 실시예를 이룬다. 설명된 특징은 청구항과 같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또는 설명의 다른 특징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래치 홀더와 맞물린 자동차 래치를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홀더와 맞물린 자동차 래치를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의 상단은 인장 응력을 받는 종래 기술에 따른 래치 홀더와 맞물린 자동차 래치를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평면도이고, 그 하단은 인장 응력이 가해짐에 따른 인장-팽창 특성 선도로서, 그 힘의 작용은 사전 래칫 위치에서 재현되어 있다.
도 4는 메인 래칫 위치에서, 래치 홀더와 함께 인장 응력하에 있는 종래 기술의 자동차 래치를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평면도 및 그에 관한 인장-팽창 선도이다.
도 5의 상단은 사전 래칫 위치에서, 래칫 홀더에 의한 인장 응력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래치의 평면도이고, 그 하단은 그에 관한 인장-팽창 선도이다.
도 6의 상단은 메인 래칫 위치에서, 래치 홀더와 맞물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래치를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입체도이고, 그 하단은 인장 응력하에서 인장-팽창 추이를 재현한 그래프이다.
도 1은 메인 래칫 위치에서 래치 홀더(2)와 맞물린 자동차 래치(1)를 부분적으로만 도시한 입체도이다. 래치 플레이트(3)는 캐치(4)와 폴(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래치 플레이트(3)는 장착 개구(6, 7), 둘레에 걸쳐 연장된 주름(9) 및 장착 면(8)을 구비한다. 잠금 메커니즘은 서로 맞물리는 캐치(4)와 폴(5)로 이루어지는데, 잠금 메커니즘의 메인 래칫 위치가 도 1에 재현되어 있다. 래치 홀더(2)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래치 홀더 브래킷(11)을 갖는다. 또한 지지 금속 시트가 캐치(4)나 캐치 축(12)에 연결되어, 캐치 축(12)의 안정화를 보장한다. 도 1은 자동차 래치의 이론적인 구성을 보여주는데, 본 발명의 기능의 설명을 위해 주요한 구성요소만 재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14)가 도 2에 입체도로 재현되어 있다. 그 구성에서 자동차 래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은 종래 기술에 나타난 구성에 대응된다. 즉 자동차 래치(15)가 메인 래칫 위치(16)로 도 2에 재현되어 있는데, 폴(17)은 캐치(19)의 로드 암(18)과 맞물려 캐치(19)의 회전 운동을 차단한다. 래치 플레이트(14)는 반원형으로 래치 플레이트(14) 주변으로 연장된 스플레이(20)를 갖는다.
장착 개구(21, 22)의 양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 선(V)은 래치 플레이트(14) 너머로 연장된다. 한 편으로는 캐치 축(23)이, 다른 한 편으로는 래치 홀더 암(24)이 도입 슬롯(25)의 시작점이 위치한 연결 선(V)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전방 영역은 캐치 축(23)과 래치 홀더 암(24)이 위치한 연결 선(V) 뒤쪽 영역으로서 후방 영역으로부터 구별된다. 또한 스플레이(20)는 연결 선(V) 뒤쪽에서 주요하게 배열되는데, 즉 스플레이는 연결 문(V) 뒤쪽에서 본 발명에 주요한 구성요소들과 함께 배치된다. 전방 에지(26)는 바람직하게는 도입 슬롯(25)에 의해 중단된 직선으로 형성된다. 래치 플레이트(14)의 후방 영역(27)은 스플레이(20)에 의해 한정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1)가 도 3의 상단에 나타나 있다. 캐치(4)는 폴(5)과 맞물리는데, 캐치(4)의 어레스팅 암이 폴(5)과 맞물린다. 이러한 사전 래칫 위치에서 래치 홀더(2)는 캐치(4)와 래치 홀더(5)로 이루어진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고정되며, 자동차 산업 분야의 안전 요구 조건(6)에 따라 충분한 안정성을 가져야 한다. 여기서 안정성이란 자동차 래치(1)와 래치 홀더(2) 사이에서 Y 방향의 상대적인 힘이 흡수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래치(1)의 충분한 안정성은 인장 시험으로 확인된다.
도 3의 하단에서 인장-팽창 추이가 자동차 래치(1)의 파괴(failure) 시까지 재현되어 있다. 여기서 x축은 시간적 추이를 나타내고, y축은 가해진 힘을 나타낸다. 자동차 래치의 파괴가 일어난 후 최대값은 Y 방향의 약 7.3kN의 인장 하중이다. 최대값(M1)은 그래프에 표시되어 있으며, 약 0.0045초 이후에 얻어졌다. 이는 일반적으로 5mm/분의 속도에 의한 근정적 인장 시험(near-static tensile test)에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래치(1)가 도 4의 상단에 나타나 있는데, 캐치(4)와 폴(5)은 메인 래칫 위치에 있다. 래치 홀더(2)는 래치 플레이트(3)로 완전히 이동해 있으며, 캐치(4)와 폴(5)로 이루어진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래치(1)는 Y 방향, 즉 자동차 래치(1)가 측 방향의 도어일 때 자동차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힘에 의해 자동차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자동차 래치(1)의 파괴가 일어나기 이전에 약 0.05초 이후에 약 13.6kN의 최대값(M2)이 얻어졌다.
다음으로 도 5의 상단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래치(15)가 재현되어 있다. 캐치(19)가 폴(17)과 맞물린 사전 래칫 위치로 나타나 있다. 다만 자동차 래치(15)는 아직 완전히 닫혀 있지 않다. 자동차 래치(15)는 Y 방향의 응력으로 작용하는데, 자동차 래치(15)가 파괴되기 이전에 약 7.4kN의 최대값(M3)이 얻어졌다.
도 6의 상단에 자동차 래치(16)가 메인 래칫 위치로 입체도로 재현되어 있다. 자동차 래치(15)는 Y 방향, 즉 래치 플레이트(14)의 평면에 평행한 방향이자 래치 홀더(28)의 방향의 인장 응력으로 작용한다. 자동차의 파괴가 일어나기 이전에 16.7kN의 최대값(M4)이 결정될 수 있었다. 다른 래치 구성요소의 동일한 구성에서도 단지 래치 플레이트(14)의 스플레이(20)로 자동차 래치(15)의 안정성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래치(1)의 파괴 동안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래치(1)의 파괴가 13.6kN의 인장 응력에서 이미 일어난다면, 자동차 래치(1)의 파괴가 궁극적으로 일어나도록 연결 선(V) 뒤쪽 영역이 상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3)의 절곡은 스플레이(20)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 플레이트(14)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와 6에 명백히 나타난 바와 같이 스플레이(20)는 래치 플레이트(14) 주변을 따라 반원형으로 연장되어 장착 개구(22)를 둘러싼다.
1: 자동차 래치(Motor vehicle latch)
2: 래치 홀더(Latch holder)
3: 래치 플레이트(Latch plate)
4: 캐치(Catch)
5: 폴(Pawl)
6, 7: 장착 개구(Mounting openings)
8: 장착 면(Mounting surface)
9: 주름(Corrugations)
10: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11: 래치 홀더 브래킷(Latch holder bracket)
12: 캐치 축(Catch axis)
13: 지지 금속 시트(Supporting sheet metal)
14: 래치 플레이트(Latch plate)
15: 자동차 도어 래치(Motor vehicle door latch)
16: 메인 래칫 위치(Main ratchet position)
17: 폴(Pawl)
18: 로드 암(Load arm)
19: 캐치(Catch)
20: 스플레이(Splay)
21, 22: 장착 개구(Mounting openings)
23: 캐치 축(Catch axis)
24: 래치 홀더 암(Latch holder arm)
25: 도입 슬롯(Inlet slot)
26: 전방 에지(Front edge)
27: 후방 영역(Rear area)
28: 래치 홀더(Latch holder)
V: 연결 선(Connecting line)
M: 최대값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캐치(19), 폴(17) 및 래치 플레이트(14)를 갖는 자동차 래치(15)로서,
    캐치(19)와 폴(17)은 래치 플레이트(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래치 플레이트(14)는 자동차 래치(15)의 장착을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개구(21, 22)를 가지며,
    래치 플레이트(14)는 래치 홀더(28)를 위한 도입 슬롯(25)을 갖고,
    도입 슬롯(25)에 반대되는 스플레이(20)가 래치 플레이트(14)에 제공되되,
    스플레이(20)는 적어도 도입 슬롯(25)에 반대되는 반원형 단면(2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래치(15).
  2. 제1항에 있어서,
    스플레이(20)는 캐치(19)와 폴(17)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래치(1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플레이(20)는 래치 플레이트(14)에서 캐치(19)와 잠금 클램프(17)의 배열을 마주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자동차 래치(1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플레이(20)는 적어도 장착 개구(21, 22) 주변으로 이어지는 자동차 래치(1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플레이(20)는 장착 개구(21, 22)로부터 래치 홀더(28)에 반대되는 방향인 래치 플레이트(14)의 끝단 영역으로 연장되는 자동차 래치(15).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캐치(19)가 래치 홀더(28)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캐치(19)와 폴(17)이 자동차 래치의 닫힘 위치, 적어도 메인 래칫 위치(16)에서 래치 홀더(28)를 고정하고, 두 장착 개구(21, 22)의 연결 선(V)은 도입 슬롯(25)으로부터 바라보았을 때 캐치(19)와 맞물린 래치 홀더(28)의 영역 뒤쪽에서 이어지는 자동차 래치(15).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착 면은 캐치(19), 폴(17) 및 장착 개구(21, 22)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래치(15).
  8.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장착 면은 적어도 하나의 주름을 갖는 자동차 래치(15).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름은 장착 면에 원호 형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래치(15).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스플레이(20)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래치(15).
KR1020187012169A 2014-12-18 2015-12-09 자동차 래치 KR201800595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8992 2014-12-18
DE102015116805.7 2015-10-02
DE102015116805.7A DE102015116805A1 (de) 2014-12-18 2015-10-02 Kraftfahrzeugschloss
PCT/DE2015/100525 WO2017054790A1 (de) 2014-12-18 2015-12-09 Kraftfahrzeugsch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533A true KR20180059533A (ko) 2018-06-04

Family

ID=6394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169A KR20180059533A (ko) 2014-12-18 2015-12-09 자동차 래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56623B1 (ko)
JP (1) JP6705093B2 (ko)
KR (1) KR20180059533A (ko)
CN (1) CN108291411B (ko)
WO (1) WO2017054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1752B2 (en) 2017-09-20 2021-03-30 Kiekert Ag Motor vehicle latch
US11377879B2 (en) 2019-12-19 2022-07-05 Kiekert Ag Motor vehicle latch
DE102020100146A1 (de) 2020-01-07 2021-07-08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971A (ja) * 1982-09-22 1984-03-31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2557967Y2 (ja) * 1992-06-29 1997-12-1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クロージャ装置
JP4233975B2 (ja) * 2003-10-16 2009-03-0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DE102004001988A1 (de) * 2004-01-13 2005-08-04 Kiekert Ag Lagerdorn für Sperrteile und Kraftfahrzeug-Türschloss mit einem Lagerdorn
JP2007177470A (ja) * 2005-12-27 2007-07-12 Aisin Seiki Co Ltd ドアロック装置
CN201521193U (zh) * 2009-10-16 2010-07-07 河南开开特星光锁系统有限公司 汽车中央集控后门锁
DE102010002736A1 (de) 2010-03-10 2011-09-15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mit Kraftübertragung auf den Schlosskasten
DE102011076704A1 (de) 2011-05-30 2012-12-06 Kiekert Ag Schloss für eine Klappe oder Tür
JP5844075B2 (ja) * 2011-06-17 2016-01-1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ラッチ装置
JP5955516B2 (ja) * 2011-07-12 2016-07-20 株式会社ユーシン ドアロック装置
DE202012007326U1 (de) 2012-07-31 2013-11-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türschloss
EP2792829B1 (en) * 2013-04-15 2018-02-28 Inteva Products, LLC. Vehicle door latch system
DE102015000824A1 (de) * 2014-01-23 2015-07-23 Magna Closures Inc. Türschloss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6623B1 (de) 2019-11-27
WO2017054790A1 (de) 2017-04-06
JP2018531334A (ja) 2018-10-25
EP3356623A1 (de) 2018-08-08
JP6705093B2 (ja) 2020-06-03
CN108291411B (zh) 2020-08-21
CN108291411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922B2 (en) Lock of a hood of a motor vehicle
US9222288B2 (en) Integrated hood latch keeper for a grill opening reinforcement structure
JP6175448B2 (ja) シートレールのロック手段用の解放装置
JP6277472B2 (ja) ロックボルトの挿入領域にバネプレートを有する自動車ドア用ロック
KR20180059533A (ko) 자동차 래치
JP6227659B2 (ja) 浮かんでいる位置決め要素を備えた、2つの構造部分を互い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JP5115701B2 (ja) 車体前部構造
US9550447B2 (en) Headlamp retaining bracket assembly
US20160207379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decorative cover and/or a window guide on a vehicle door
JP5195657B2 (ja) バンパカバー支持構造
WO2014080901A1 (ja) 車両用ドアの補強構造
JP2018531334A6 (ja) 自動車用ラッチ
JP6717530B2 (ja) 自動車ドア用ラッチ
KR102630469B1 (ko) 차량 래치
JP6380779B2 (ja) 車両のバッテリ取付部構造
JP2002225748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US11214989B2 (en) Motor vehicle lock
JP6057157B2 (ja) シートバックのヒンジ構造
KR101389600B1 (ko) 틸트 또는 틸트 앤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05178498A (ja) 車両用フードロック取付構造
KR102552166B1 (ko) 인너리스 b필러 구조
KR102611091B1 (ko) 차량용 프론트 크로스 멤버
JP2017212479A (ja) 車両用アンテナ取付構造
WO2015087563A1 (ja) 車両用ガーニッシュ
KR100820138B1 (ko) 차량용 사이드 언더 미러 마운팅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