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013A - 북어채 제조기 - Google Patents

북어채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013A
KR20180059013A KR1020160158093A KR20160158093A KR20180059013A KR 20180059013 A KR20180059013 A KR 20180059013A KR 1020160158093 A KR1020160158093 A KR 1020160158093A KR 20160158093 A KR20160158093 A KR 20160158093A KR 20180059013 A KR20180059013 A KR 20180059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rame
pollack
main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수
Original Assignee
곽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현수 filed Critical 곽현수
Priority to KR102016015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9013A/ko
Publication of KR2018005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4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coacting with a rotary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33Cutting members therefor assembled from multip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북어채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자연스러운 형태로 북어채를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받침대(11)가 구비되는 후레임(10)과, 상기 후레임(10)의 선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며, 한쌍의 기어(S1)(S2)들에 의해 맞물림 방향으로 구동되는 주동로울러(20) 및 가압로울러(21)와, 후레임(10)에 축 지지된 스프라켓(31)(32)(33)들에 치차 결합되는 메인체인(30)과, 상기 스프라켓(31)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메인체인(30)에 어테치먼트(42)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로 함께 선회되며 커터핀(41)들이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되는 커팅판(40)들과, 이 커팅판(40)이 선회되는 일측에서 모터(M2)의 동력으로 회전되며 커터핀(41)에 꼽혀진 상태로 이동되는 북어부재들 분리시키는 브러쉬(50)와, 상기 주동로울러(20)를 일측 스프라켓(33)의 회전으로 정지와 회전을 반복하도록 동력을 전달하여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에 물려져 있는 북어부재를 1피치씩 공급시키는 래칫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북어채 제조기{Pollack piece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북어채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에 의해 자연스러운 형태로 북어채를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태나 황태, 노가리 등을 포함하는 북어류를 먹기 좋은 크기로 찢어서 채로 만들어 유통하고 있다.
즉, 명태는 냉수성 어류로서 주로 한겨울에 어획이 이루어지며 이를 건포 형태로 요리하기 위하여 할복과 수세 및 건조 과정을 거쳐 북어 또는 황태로 가공하게 된다.
북어는 비교적 육질이 매우 단단하여 그대로 먹기 곤란하기 때문에 건조 상태의 통북어의 육질을 부드럽게 한 상태에서 등쪽까지 칼집을 내고 뼈를 발라 만든 것이 북어포다.
그리고 북어포를 적당한 크기로 찢은 것이 북어채이다.
특허문헌 : 국내 특허 10-2013-0055898호(공개일자 2013년05월29일)
종래, 북어채는 작업자가 북어포를 하나하나 손으로 찢어 수작업으로 가공해야 하므로 북어채를 만드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인건비에 따른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일련의 작업 공정이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수작업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특허 10-2013-0055898호에서는 칼날이 구비된 한쌍의 원통형 드럼 사이로 북어를 진입시킬 때 칼날에 의해 절취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교적 단단한 육질의 북어를 절단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쉽게 칼날이 마모되어 자주 부품을 수리,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절단된 상태의 북어채가 일정한 크기와 모양을 갖추게 되므로 자연스럽지 못하여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자연스러운 형태로 연속 대량생산할 수 있는 북어채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 향상으로 인해 제조 원가를 저감할 수 있으며 상품성이 우수한 북어채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받침대(11)가 구비되는 후레임(10)과,
상기 후레임(10)의 선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며, 한쌍의 기어(S1)(S2)들에 의해 맞물림 방향으로 구동되는 주동로울러(20) 및 가압로울러(21)와,
후레임(10)에 축 지지된 스프라켓(31)(32)(33)들에 치차 결합되는 메인체인(30)과,
상기 스프라켓(31)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메인체인(30)에 어테치먼트(42)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로 함께 선회되며 커터핀(41)들이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되는 커팅판(40)들과,
이 커팅판(40)이 선회되는 일측에서 모터(M2)의 동력으로 회전되며 커터핀(41)에 꼽혀진 상태로 이동되는 북어부재들 분리시키는 브러쉬(50)와,
상기 주동로울러(20)를 일측 스프라켓(33)의 회전으로 정지와 회전을 반복하도록 동력을 전달하여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에 물려져 있는 북어부재를 1피치씩 공급시키는 래칫수단(6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래칫수단(60)은 주동로울러(20)의 외측에 일방향 클러치(62)를 수용하고 있는 회전판(61)의 편심위치로 링크(63)를 핀(65)으로 연결하고, 일측 스프라켓(33)의 외측에서 편심되게 힌지(66)로 연결된 로드(64)와 링크(63)가 축핀(67)으로 연결되어 일측 스프라켓(33)의 회전으로 로드(64)가 상하 운동되며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를 맞물림 방향으로 회전과 정지를 반복되게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압로울러(21)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2)를 가압부재(23)로 접촉시킨 상태로 가이더(26)에 나사 체결된 볼트(25)와 스프링(24)으로 가압시켜 북어부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로울러(21)가 주동로울러(20) 사이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개의 스프라켓들의 구동으로 무한궤도를 따라 커팅판들이 선회되면서 가압로울러(21)가 주동로울러(20) 사이에서 공급되는 북어채를 연속으로 뜯어서 분리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북어채가 자연스러운 형상으로 다양한 크기와 불규칙한 모양으로 제조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생산성이 우수하고, 작업 인력이 불필요하므로, 그 생산 원가를 낮추어 생산자는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화 공정으로 북어채를 연속 대량 생상할 수 있는 제조기로써, 북어포는 육질을 연하게 가공하는 연육기를 통과한 것을 사용하게 된다.
연육기는 알려진 바와 같이 육질이 단단한 북어를 호퍼를 통해 투입시키면, 한쌍으로 맞물리게 구동되는 로울러들 사이를 수차래 각각 통과하면서 육질이 연해지는 북어포가 된다.
이렇게 북어의 육질을 연하게 하는 연육기의 출구측에 후레임(10)의 선단측에 위치되는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를 위치시켜 도시하지 않은 콘베이어와 공급장치를 통해 북어포가 연속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연육기로부터 가공된 북어를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 사이로 공급할 수도 있다.
후레임(10)은 틀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후방에서 선단부를 향해 받침대(1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작업 공정으로 북어채가 연속으로 뜯어지면 받쳐지게 하여 용기에 담겨질 수 있도록 한다.
주동로울러(20) 및 가압로울러(21)는 도면에서와 같이 물림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외주면에는 예리한 돌기가 반복 성형되며, 샤프트의 일측 단부에는 기어(S1)(S2)들에 의해 맞물림 방향으로 구동되며 북어부재를 가압한 상태로 후레임(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후레임(10)의 내부 양쪽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스프라켓(31)(32)(33)들이 축지지된 상태로 메인체인(30)이 각각 치차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M1)에 의해 후레임(10) 외측에서부터 제2체인(C2)을 통해 일측 스프라켓(31)들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체인(30)이 스프라켓(31)(32)(33)들을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연속 선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메인체인(30)에는 커터핀(41)들이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되는 커팅판(40)들이 어테치먼트(42)를 통해 약 3-5개가 일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된 상태로 함께 선회된다.
커팅판(40)은 상부면에는 커터핀(41)들이 일정간격 다수개 고정부착되고, 하부면은 메인체인(30)과 함께 선회될 수 있도록 어테치먼트(42)에 의해 고정되며, 이 커터핀(41)들은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끝부분이 예리하게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라켓(31)(32)(33)들중 상부 꼭지점에 해당되는 스프라켓(32)을 주동로울러(20) 및 가압로울러(21)의 일측에 거리를 두고 위치시켜 스프라켓(32)의 곡면을 따라 메인체인(30)이 꺽여지는 과정에서 커터핀(41)이 북어부재를 찍어서 뜯어지는 것에 의해 자연스러운 형상의 북어포로 가공시킬 수 있는 것이며, 받침대(11)로 낙하된다.(도 4)
이때, 끝단부가 예리하게 가공된 커터핀(41)에 뜯어진 후 받침대(11)로 낙하되지 않고 꼽혀져서 커팅판(40)과 같이 선회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커팅판(40)이 선회되는 일측으로 후레임(10)에 회전 지지되도록 브러쉬(50)를 설치하고, 별도의 모터(M2)의 회전으로 제3체인(C3)을 통해 커터핀(41)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빠른 회전속도로 브러쉬(5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커터핀(41)에 꼽혀진 상태로 이동되는 북어부재들 분리시키게 된다.
한편, 기어(S1)(S2)에 의해 가압로울러(21)와 맞물리게 설치되는 주동로울러(20)는 래칫수단(60)에 의해 정지와 회전을 반복하도록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래칫수단(60)은 주동로울러(20)의 외측에 일방향 클러치(62)를 수용하고 있는 회전판(61)의 편심위치로 링크(63)를 핀(65)으로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스프라켓(33)의 외측에서 편심되게 힌지(66)로 로드(64)를 연결하고, 이 로드(64)와 링크(63)가 축핀(67)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체인(30)으로 연결되어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는 일측 스프라켓(33)가 회전될 때 힌지(66)가 상사점으로 위치될 때는 링크(63)가 상승되고, 하사점으로 위치되면 링크(63)가 하강되면서 회전판(61)을 구동시키게 된다.
회전판(61)은 내부에 일방향 클러치(62)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링크(63)와 로드(64)에 의한 굴절 작동이 이루어질 때 링크(63)가 상승될 때는 회전판(61)과 주동로울러(20)는 작동되지 않고, 링크(63)가 하강될 때만 회전판(61)이 주동로울러(20)와 함께 일정 피치만큼 회동되고, 기어(S1)(S2)와 맞물리게 작동되는 가압로울러(21)도 동시에 가동된다.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가 정지된 시간동안에는 그 사이에 물려져 있는 북어부재를 커팅판(40)이 회전되면서 커터핀(41)들로 뜯어지게 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그리고,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가 맞물림 방향으로 회전되는 피치만큼 북어부재를 커팅판(40)의 위치를 향해 전진 이동시켜 뜯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메인체인(30)을 따라 선회하는 커팅판(40)들의 설치 간격과 스프드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로울러(21)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2)를 가압부재(23)로 접촉시킨 상태로 가이더(26)에 나사 체결된 볼트(25)와 스프링(24)으로 가압시켜 북어부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로울러(21)가 주동로울러(20) 사이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두께의 북어부재가 사용되더라도 가압로울러(21)가 주동로울러(20)에 적정 탄성력으로 가압하며 북어채를 연속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볼트(25)를 이용해 스프링(24)의 탄력을 조절해 가압 탄성력을 미세 조절 할 수도 있다.
상기 브러쉬(50)와 스프라켓(31)(32)(33)들은 후레임(10)에 베어링들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래칫수단(60)의 구동으로 일정 거리만큼 가압로울러(21)와 주동로울러(20)의 일측으로 북어부재를 전진시킨 후 정지되면 메인체인(30)과 같이 회전되는 커팅판(40)의 커터핀(41)이 노출되어 있던 북어부재의 일부를 찍어서 뜯어지게 한다.
그리고, 래칫수단(60)의 작동으로 다음 1피치 만큼 가압로울러(21)와 주동로울러(20)가 맞물림 방향으로 회전되면 다시 적정 폭으로 북어부재를 이동시킨 후 정지되고, 커터핀에 의해 북어부재를 뜯어 분리하고 브러쉬(50)가 커터핀(41)에 꼽혀져서 회전되는 경우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뜯어진 북어채는 하부 받침대(11)로 낙하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자동 공정에 의해 가공되므로 상품성이 향상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북어채 제조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작업자가 손으로 일일이 뜯어지게 하는 자연스러운 형태의 북어채를 자동 공정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 후레임 20 - 주동로울러
21 - 가압로울러 22 - 샤프트
23 - 가압부재 24 - 스프링
25 - 볼트 26 - 가이더
30 - 메인체인 31,32,33 - 스프라켓
40 - 커팅판 41 - 커터핀
50 - 브러쉬 60 - 래칫수단

Claims (3)

  1. 선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받침대(11)가 구비되는 후레임(10)과,
    상기 후레임(10)의 선단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며, 한쌍의 기어(S1)(S2)들에 의해 맞물림 방향으로 구동되는 주동로울러(20) 및 가압로울러(21)와,
    후레임(10)에 축 지지된 스프라켓(31)(32)(33)들에 치차 결합되는 메인체인(30)과,
    상기 스프라켓(31)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M1)와,
    상기 메인체인(30)에 어테치먼트(42)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로 함께 선회되며 커터핀(41)들이 일정간격 다수개 구비되는 커팅판(40)들과,
    이 커팅판(40)이 선회되는 일측에서 모터(M2)의 동력으로 회전되며 커터핀(41)에 꼽혀진 상태로 이동되는 북어부재들 분리시키는 브러쉬(50)와,
    상기 주동로울러(20)를 일측 스프라켓(33)의 회전으로 정지와 회전을 반복하도록 동력을 전달하여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에 물려져 있는 북어부재를 1피치씩 공급시키는 래칫수단(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어채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수단(60)은 주동로울러(20)의 외측에 일방향 클러치(62)를 수용하고 있는 회전판(61)의 편심위치로 링크(63)를 핀(65)으로 연결하고, 일측 스프라켓(33)의 외측에서 편심되게 힌지(66)로 연결된 로드(64)와 링크(63)가 축핀(67)으로 연결되어 일측 스프라켓(33)의 회전으로 로드(64)가 상하 운동되며 주동로울러(20)와 가압로울러(21)를 맞물림 방향으로 회전과 정지를 반복되게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북어채 제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로울러(21)는 양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2)를 가압부재(23)로 접촉시킨 상태로 가이더(26)에 나사 체결된 볼트(25)와 스프링(24)으로 가압시켜 북어부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로울러(21)가 주동로울러(20) 사이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북어채 제조기.
KR1020160158093A 2016-11-25 2016-11-25 북어채 제조기 KR20180059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93A KR20180059013A (ko) 2016-11-25 2016-11-25 북어채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093A KR20180059013A (ko) 2016-11-25 2016-11-25 북어채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13A true KR20180059013A (ko) 2018-06-04

Family

ID=6262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093A KR20180059013A (ko) 2016-11-25 2016-11-25 북어채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90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23A (ko) * 2017-08-22 2019-03-05 최길섭 건어물 인열 장치
CN110328695A (zh) * 2019-07-04 2019-10-15 深圳市康凯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笋干切片装置
CN113894510A (zh) * 2021-11-05 2022-01-07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破碎辊加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898A (ko) 2011-11-21 2013-05-29 김승현 북어채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5898A (ko) 2011-11-21 2013-05-29 김승현 북어채 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23A (ko) * 2017-08-22 2019-03-05 최길섭 건어물 인열 장치
CN110328695A (zh) * 2019-07-04 2019-10-15 深圳市康凯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笋干切片装置
CN110328695B (zh) * 2019-07-04 2024-03-08 深圳市康凯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笋干切片装置
CN113894510A (zh) * 2021-11-05 2022-01-07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破碎辊加工方法
CN113894510B (zh) * 2021-11-05 2023-03-10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破碎辊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9013A (ko) 북어채 제조기
US1983708A (en) Box blank mechanism
CN103202517B (zh) 一种倾斜式青核桃剥皮机
CN107030829B (zh) 柳条脱皮机
CN203245915U (zh) 一种珍珠棉切割装置
US8187060B1 (en) Apparatus for skinning poultry products
US1656063A (en) Machine for cutting up scrap steel
KR101628745B1 (ko) 생육 세절 또는 연육 가공기
CN101245826B (zh) 输送带剥胶机
DE102008012724B4 (de) Schredder
US1538066A (en) Pulpwood-chipping machine
US1787657A (en) Cutting machine
US2080557A (en) Chain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wood chips or shavings
CN210259110U (zh) 用于分切塑料勺包装带的冷切机
CN101758510A (zh) 一种两轮剥胶机
CN205111970U (zh) 自动化槟榔切籽设备
KR20170074408A (ko) 북어채 제조장치
CN201257680Y (zh) 有间歇装置的切纸机
CN214639912U (zh) 一种半自动编带切割装置
CN205464556U (zh) 一种金属薄板对滚剪切装置
US907979A (en) Machine for making toothpicks.
CN205072633U (zh) 一种芦荟去皮榨汁机
US2621345A (en) Machine for making tacks
CN211221057U (zh) 一种易排出废料且易更换模具的平压平模模切机
CN212096481U (zh) 一种食品加工用切断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