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971A -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8971A KR20180058971A KR1020160157977A KR20160157977A KR20180058971A KR 20180058971 A KR20180058971 A KR 20180058971A KR 1020160157977 A KR1020160157977 A KR 1020160157977A KR 20160157977 A KR20160157977 A KR 20160157977A KR 20180058971 A KR20180058971 A KR 201800589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arch web
- flange
- upper flange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에 대응하여 상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상부 플랜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간에 외벽체를 구성하는 복부판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강박스;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간에 내벽체를 구성하고 복부판을 향하여 만곡된 아치 웨브; 아치 웨브와 복부판에 의해 구획된 벽체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부 플랜지에 천공된 충진구; 벽체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철근; 아치 웨브와 복부판의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드 및; 벽체 공간에 충진되어 일체로 합성되는 충진콘크리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의 정모멘트 구간에서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의 부모멘트 구간에서의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의 인장철근의 배근 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2 : 교대
3 : 교량하부구조
10: 하부 플랜지
20: 상부 플랜지
30: 복부판
40: 아치 웨브
50: 충진구
60: 인장철근
70: 스터드
80: 충진콘크리트부
90: 인장보강철근
100: 다이아프램
110: 인장보강재
Claims (6)
- 하부 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에 대응하여 상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간에 외벽체를 구성하는 복부판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강박스;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간에 내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복부판을 향하여 만곡된 아치 웨브;
상기 아치 웨브와 상기 복부판에 의해 구획된 벽체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에 천공된 충진구;
상기 벽체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철근;
상기 아치 웨브와 상기 복부판의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스터드 및;
상기 벽체 공간에 충진되어 일체로 합성되는 충진콘크리트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구는 부모멘트구간을 회피하여 상기 상부 플랜지에 천공하되, 정모멘트구간에서는 콘크리트의 충진이 용이하도록 장홀형태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공간에는 부모멘트구간에서 상부에 인장보강철근이 더 배근되고, 정모멘트구간에서는 하부에 인장보강철근이 더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상기 아치 웨브와 상기 복부판의 대향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 교각과 교대 사이에 교량하부구조를 설치하고,
하부 플랜지, 상기 하부 플랜지에 대응하여 상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상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간에 외벽체를 구성하는 복부판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강박스로써,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간에 내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복부판을 향하여 만곡된 아치 웨브; 상기 아치 웨브와 상기 복부판에 의해 구획된 벽체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플랜지에 천공된 충진구; 상기 벽체 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배근된 인장철근; 상기 아치 웨브와 상기 복부판의 대향면에 일정 간격으로 스터드가 설치된 강박스 거더를 제작하여 상기 교량하부구조에 안착 설치하되, 상기 충진구를 통해 상기 벽체 공간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충진콘크리트부를 일체로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시공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스 거더 제작 과정에서, 상기 벽체 공간에는 부모멘트구간에서 상부에 인장보강철근을 더 배근하고, 정모멘트구간에서는 하부에 인장보강철근을 더 배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977A KR102174574B1 (ko) | 2016-11-25 | 2016-11-25 |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7977A KR102174574B1 (ko) | 2016-11-25 | 2016-11-25 |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8971A true KR20180058971A (ko) | 2018-06-04 |
KR102174574B1 KR102174574B1 (ko) | 2020-11-05 |
Family
ID=6262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7977A KR102174574B1 (ko) | 2016-11-25 | 2016-11-25 |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4574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54834A (zh) * | 2020-02-13 | 2020-06-09 | 桂林理工大学 | 一种方钢梁桥及其拼接方法 |
CN111622078A (zh) * | 2020-05-25 | 2020-09-04 | 杭州萧山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便于拼装的曲线型景观桥用钢箱梁及其吊装施工工艺 |
CN111691284A (zh) * | 2020-07-21 | 2020-09-22 |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 一种扁圆变截面钢管拱及其制作工艺 |
CN111877130A (zh) * | 2020-08-28 | 2020-11-03 | 东南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哑铃型钢管混凝土拱肋及其施工方法 |
CN113152298A (zh) * | 2021-04-23 | 2021-07-23 | 兰州理工大学 | 一种用于防止预应力小箱梁端部锚固区腹板斜裂缝的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47273A (ja) * | 1998-02-26 | 1999-09-14 | Nippon Samikon Kk | 組立式コンクリート構造体 |
KR20120077529A (ko) * | 2010-12-30 | 2012-07-10 | 산이건설 주식회사 | 연속형 강상자형교의 설치구조 |
KR101182682B1 (ko) * | 2012-05-07 | 2012-09-1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이중 복부판형 콘크리트 충진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와, 그 제작 및 가설방법 |
KR101257941B1 (ko) * | 2012-02-06 | 2013-04-24 | 삼표건설 주식회사 | 강 박스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2016
- 2016-11-25 KR KR1020160157977A patent/KR1021745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47273A (ja) * | 1998-02-26 | 1999-09-14 | Nippon Samikon Kk | 組立式コンクリート構造体 |
KR20120077529A (ko) * | 2010-12-30 | 2012-07-10 | 산이건설 주식회사 | 연속형 강상자형교의 설치구조 |
KR101257941B1 (ko) * | 2012-02-06 | 2013-04-24 | 삼표건설 주식회사 | 강 박스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KR101182682B1 (ko) * | 2012-05-07 | 2012-09-18 |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 이중 복부판형 콘크리트 충진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와, 그 제작 및 가설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54834A (zh) * | 2020-02-13 | 2020-06-09 | 桂林理工大学 | 一种方钢梁桥及其拼接方法 |
CN111622078A (zh) * | 2020-05-25 | 2020-09-04 | 杭州萧山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便于拼装的曲线型景观桥用钢箱梁及其吊装施工工艺 |
CN111622078B (zh) * | 2020-05-25 | 2021-07-13 | 杭州萧山水利建筑工程有限公司 | 一种便于拼装的曲线型景观桥用钢箱梁及其吊装施工工艺 |
CN111691284A (zh) * | 2020-07-21 | 2020-09-22 |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 一种扁圆变截面钢管拱及其制作工艺 |
CN111877130A (zh) * | 2020-08-28 | 2020-11-03 | 东南大学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哑铃型钢管混凝土拱肋及其施工方法 |
CN113152298A (zh) * | 2021-04-23 | 2021-07-23 | 兰州理工大学 | 一种用于防止预应力小箱梁端部锚固区腹板斜裂缝的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4574B1 (ko) | 2020-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4220B1 (ko) | 교량용 강관 거더 | |
KR20180058971A (ko) |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
JP5406563B2 (ja) |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 |
KR101228135B1 (ko) |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182682B1 (ko) | 이중 복부판형 콘크리트 충진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와, 그 제작 및 가설방법 | |
KR101547629B1 (ko) | 단부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 |
KR101816142B1 (ko) | 아치형 합성 거더를 이용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948812B1 (ko)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
KR20130047403A (ko) |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 |
KR101105404B1 (ko) |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0870068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1397131B1 (ko) |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12259B1 (ko) |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 |
KR101814750B1 (ko) | 상부 충전 플랜지 튜브를 갖는 하이브리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 교량의 시공방법 | |
KR101752285B1 (ko) |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JP2008063805A (ja) | フル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接合構造 | |
KR20090001754U (ko) | 홈을 가지는 전단연결재 | |
KR102031915B1 (ko) | 복합 거더 | |
KR20140063920A (ko) |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 |
KR20060032968A (ko) |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 |
KR101834423B1 (ko) |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 |
KR200436478Y1 (ko) | 바닥판 콘크리트가 생략된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물 | |
JP4392379B2 (ja) | 角形鋼管を用いた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902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80424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20011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201007 Appeal identifier: 2020101000078 Request date: 20200110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0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110 Effective date: 20201007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0100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00110 Decision date: 20201007 Appeal identifier: 2020101000078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028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