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142A -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142A
KR20180058142A KR1020160156890A KR20160156890A KR20180058142A KR 20180058142 A KR20180058142 A KR 20180058142A KR 1020160156890 A KR1020160156890 A KR 1020160156890A KR 20160156890 A KR20160156890 A KR 20160156890A KR 20180058142 A KR20180058142 A KR 20180058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auxiliary brake
braking
speed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송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태 filed Critical 송종태
Priority to KR102016015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142A/ko
Publication of KR2018005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An Escalator Sub-brak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체인이 파단된 이후에도 에스컬레이터 스텝 또는 핸드레일의 속도를 순시 검출하여 제동 진행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제동 진행상태에 따른 제동력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고, 모터 구동토크 부족이나 감속기 이상 등 모터 구동부의 고장으로 역주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검출하고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급제동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종래 에스컬레이터는 시스템 구동을 위한 모터구동부와, 모터구동부의 구동력을 구동체인(15)을 통하여 전달받아 구동되는 스텝구동부 및 핸드레일 구동부를 포함한다.
도 2와 3에서, 모터구동부는 시스템 구동을 위한 모터(11)와, 모터(11)의 구동력을 각 장치로 전달하는 구동기어(12)와, 구동기어(12)에 대향 위치에 놓여지는 터미널기어(13)와, 구동기어(12)의 회전구동력을 터미널기어(13)로 전달하는 구동체인(15)을 포함한다.
스텝구동부는 터미널기어(13)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구동 샤프트(23)의 양단에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23)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상기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대향 위치에 설치되는 스텝 종동기어(27), 그리고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회전 구동력을 스텝 종동기어(27)로 전달하는 스텝체인(21)과, 스텝체인(21)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다수의 스텝(22)을 포함한다.
핸드레일 구동부는 상기 구동 샤프트(23)의 중앙에 설치되어 구동 샤프트(23)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는 핸드레일 구동기어(32)와, 상기 핸드레일 구동기어(32)와 대향 위치에 놓여지는 핸드레일 종동기어(33)와, 상기 핸드레일 구동기어(32)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핸드레일 종동기어(33)로 전달하는 핸드레일 구동체인(35)과, 핸드레일 종동기어(33)의 축상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샤프트(31)와, 핸드레일 샤프트(31) 양단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구동풀리(37)와, 상기 핸드레일 구동풀리(37)와 대향 위치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종동풀리(38)와, 핸드레일 구동풀리(37)와 핸드레일 종동풀리(38) 사이에 설치되어 순회 이동하는 핸드레일(36)을 포함한다.
모터(11)에 전기가 인가되어 모터구동부가 동작하면, 구동체인(15)에 의해 터미널기어(13)가 회전하며, 터미널기어(13)와 함께 구동 샤프트(23) 양단의 스텝체인 스프라켓(25) 및 핸드레일 구동기어(32)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회전에 의해 스텝체인(21)이 이동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스텝 종동기어(27)가 회전하며 스텝체인(21)에 의한 스텝(22) 이동이 이루어지며, 핸드레일 구동기어(32)의 회전에 의해 핸드레일 구동체인(35)이 순회 이동을 시작하며 일정시간 경과 후 핸드레일 종동기어(33) 및 핸드레일 구동풀리(37)가 회전을 하여 핸드레일(36)의 순회 이동이 시작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및 정지를 위한 동력전달이 구동체인(15)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동체인(15)에 파단이 발생하면 주브레이크에 있는 브레이크 드럼(20)과 브레이크 레버(30)에 부착되어 있는 라이닝에 의해 모터(11)는 정지하더라도, 구동체인(15) 파단으로 터미널기어(13)를 정지시킬 수 없기 때문에, 동일 축상에 연결되어 있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 스텝체인(21), 스텝(22)을 정지시킬 수가 없어서 아래 방향으로 스텝(22)이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구동체인 파단 즉전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이 상승방향이냐 하강방향이냐에 따라서 흘러내리는 방법도 다른데, 하강운전 중에 구동체인(15)이 파단되면 스텝 및 승객 부하에 의해 하강방향으로 점차 가속되며 스텝(22)이 흘러내리게 되며, 상승운전 중에 구동체인이 파단되면 상승방향으로 얼마 정도 이동하다가 정지하고 다시 하방으로 미끌어져 내리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승객의 부하 및 중력가속도에 의해 점차 가속되어 흘러내리게 된다.
종래 에스컬레이터는 이와 같이 스텝(22)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터미널 기어(13)에 보조브레이크를 설치하여 제동을 함으로써 구동체인(15)이 파단이 발생하더라도 터미널기어(13) 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14-0127171 (발명의 명칭: 수평행기의 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 및 수평행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압식 보조브레이크(800)를 사용하고, 구동체인 파단 즉전 모터부하·운전방향·상승 또는 하강 운전의 속도·승객 부하와 수평보행기의 설치각도 등에 따라서 제동거리를 달리 설정하는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구동체인 파단 즉전의 운행정보 즉 구동체인 파단 즉전의 모터부하·상승/하강 속도·탑승객수 등의 운행정보운행정보에 의해 제동거리 및 제동력을 산출하며, 일단 구동체인(15)이 파단되고 난 후의 운행정보는 반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동체인 파단 즉전의 모터부하·상승/하강 속도·설치각도·탑승객 수 등의 요소에 따라 제동력을 산정하지만, 실제 제동력이 제대로 반영되어 감속하고 있는지 제어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지 못하므로 산출된 바와 실제 슬립거리, 감속도, 제동력과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구동체인 파단 이후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부하변동·승객수 증감· 운전방향 및 운전속도 변동 등의 요소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급변하는 상황에 따라 승객을 위험에 노출시킬 우려가 있다.
즉, 종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구동체인 판단 즉전의 상승/하강 속도, 설치각도, 모터부하 등의 요소에 따라 한 번 산출된 제동력으로만 계속 제어하기 때문에 2차, 3차 급감속이 발생하고 탑승객의 쇼크가 발생하거나 제동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콤(COMB) 등에 걸려 승객이 전도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승방향 운전시에 구동체인 파단 또는 모터 구동토크 부족, 감속기 이상에 의해 하강방향으로 미끄러져 흘러내리는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터미널 기어 또는 다른 장소에 역주행 감지를 위한 별도의 역주행 감지 센서를 부착함으로써 원가상승 및 설치공간 확보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스텝에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이 진행중에도 에스컬레이터 스텝 또는 핸드레일의 속도를 순시 검출하여 제동 진행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제동 진행상태에 따른 제동력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스텝에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도 에스컬레이터 스텝 또는 핸드레일의 속도를 순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역주행 발생을 검출하고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급제동 및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구동체인 파단 즉전 상기 에스컬레이터 운행상태에 따른 제동력을 산출하여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대한 제동을 진행하며 그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검출하는 역주행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주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체인 스프라켓이 소정각도 회전시마다 이를 검출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펄스를 카운트하여 스텝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입력하는 속도 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구동체인 파단 즉전 상기 에스컬레이터 운행상태에 따른 제동력을 산출하여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대한 제동을 진행하며 그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검출하는 역주행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주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은, 핸드레일 이동 가이드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레일 이동 가이드 롤러의 회전시마다 펄스를 발생시켜 카운트하고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브레이크는 제동과정의 진행상황에 따라 제동력의 증감이 가능한 유압식 보조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전 정상운행속도에 대응하여 제동 진행에 따른 스텝 속도 변화에 대한 이상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운행중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스텝에 작용되지 못하여 보조브레이크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에,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진행중에도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또는 핸드레일의 속도 등을 순시 검출하여 제동 진행상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스텝체인 스프라켓 제동 진행상태에 따라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므로, 구동체인 파단 이후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제동력으로 스텝체인 스프라켓에 대한 제동이 수행될 수 있고, 보조브레이크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토크 부족이나 감속기 이상 등 모터 구동부의 고장으로 역주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이나 스텝 속도 검출수단에 의해 스텝 또는 핸드레일의 속도를 순시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발생을 검출할 수 있고,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급제동 및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므로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는 장치를 활용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구조를 예시한 개요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를 예시한 개요도.
도 4는 종래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주요부를 예시한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유압식 보조브레이크를 예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을 예시한 제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제어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서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역주행을 검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단일 펄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서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을 이용하여 역주행을 검출 상태를 예시한 개요도(2개 펄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구동체인(15)의 파단을 검출하는 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101)과, 상기 구동체인 파단시에 제동동작을 하여 스텝을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800)와, 상기 보조브레이크 제동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과, 보조브레이크의 동작을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수단(180)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15)은 에스컬레이터 모터(11)와 터미널 기어(13)를 연결하여 모터(11)의 구동력을 터미널 기어(13)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인데, 터미널 기어(13)에는 에스컬레이터 스텝(22)을 이동시키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이 연결되어 있어서 터미널 기어(13)와 일체로 회전을 하며, 핸드레일(36)을 구동하는 핸드레일 구동기어(32)가 터미널기어(13) 및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동축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체인(15)이 파단 되면 처음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이 회전관성에 의해 움직이다가 중력가속도에 의해 스텝(22) 및 핸드레일(36)이 미끌어져 내리며 가속이 일어나 사고위험이 있으므로 승객 보호를 위해 보조브레이크(800)에 의한 스텝체인 스프라켓(25) 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101)은 어떤 이유로 구동체인(15) 파단이 발생하면 이를 검출하여 제어수단(180)으로 입력하여, 제어수단(180)이 보조브레이크(800)를 제어하여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의 보조브레이크(800)는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15) 파단시 터미널 기어(13) 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직접 제동력을 인가하여 터미널 기어(13) 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제동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조브레이크(8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설치상태나 운행상태에 따라 보조브레이크 제동력을 자동조절할 수 있는 유압식 보조브레이크로서, 구동체인(15) 파단 즉전의 상태는 물론 구동체인(15) 파단 이후 시시각각 변화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상태에 대응하여 보조브레이크(800) 제동력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다.
예컨대, 보조브레이크(800)는,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동축상에 설치되어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821)와, 상기 디스크(821) 일측에 거치되며 상기 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101)이 구동체인(15) 파단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디스크(821)를 제동시키는 것에 의해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을 제동시키는 보조브레이크 액츄에이터(8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보조브레이크 액츄에이터(830)는 디스크(821)의 외주 일 지점에 거치되는 캘리퍼(831)와, 캘리퍼(831) 내측에 설치되어 마찰력에 의해 디스크(821)를 제동하는 브레이크 라이닝(832)과, 브레이크 라이닝(832)에 디스크(821) 제동을 위한 압력을 인가하는 피스톤(840)과, 상기 피스톤(840)의 동작을 위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수단(83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브레이크(800)는 유압공급방식 제동에 의하는 유압식 보조브레이크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유압을 변화시켜 보조브레이크 라이닝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보조브레이크(800) 제동력의 크기와 제동속도 또는 제동거리를 상황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동력의 크기를 순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제하에서 유압식이 아닌 다른 방식의 보조브레이크를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한 부분이며, 본 발명의 보조브레이크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은, 핸드레일(36)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210)에 의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텝속도 검출수단(230)(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회전 각속도 검출수단)에 의할 수도 있으며,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에 의해 검출된 제동 진행상태 정보는 제어수단(180)으로 입력되며 제어수단(180)은 보조브레이크(800)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으로 종래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210)에 의하고 있는데, 이는 핸드레일(36)의 상태가 정상적인 경우에는 핸드레일(36)의 이동속도와 스텝(22)의 이동속도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드레일(36) 속도 정보를 이용해서도 보조브레이크(800)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기어(32)는 터미널기어(13)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스텝체인 스프라켓(25)과 함께 회전하며, 모터(11)의 회전수에 의해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회전수 및 스텝(22)의 정확한 이동속도를 알 수 있고, 구동체인 파단 즉전까지 스텝(22)의 속도는 모터(11)의 회전수나 구동기어 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각속도로 결정되므로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별다른 검출수단을 요하지 않는다.
하지만, 구동체인(15)의 파단이 발생한 경우에는 모터(11)의 회전수나 구동기어의 회전수에 대한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회전수 공식이 깨지기 때문에 스텝체인 스프라켓(25)의 회전 각속도나 스텝(22)의 이동속도를 알 수 없게 된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36)은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탑승객이 붙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고, 스텝(22)의 이동속도와 핸드레일(36)의 이동속도는 일치하도록 조정되므로, 핸드레일(36)이 파단되거나 늘어나서 텐션이 감소하는 경우 등 이상이 발생한 경우가 아니라면 핸드레일과 스텝은 동행하게 되며 스텝(22)과 핸드레일(36)의 이동속도는 거의 일치하게 된다.
즉 종래 에스컬레이터는 핸드레일 속도검출수단(210)을 구비하여 핸드레일(36) 이동속도 증감을 검출할 수 있고, 핸드레일(36) 이동속도를 스텝(22)의 이동 속도와 비교하여 속도 차가 일정 오차범위 이내가 유지되도록 하며, 어떤 문제가 발생하여 이동속도가 일정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킨 후 핸드레일(36) 수리나 교체를 하여 상기 일정 오차 범위를 유지하도록 관리된다.
따라서 구동체인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스텝(22)의 속도와 핸드레일(36)의 속도는 일정 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한다고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체인 파단시 핸드레일(36)의 속도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스텝(22)의 이동속도(또는 즉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각속도나 회전속도)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210)은 도 4에 도시된 핸드레일 가이드 롤러(39) 등에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하며 센서에서 가이드 롤러(39)의 회전시마다 펄스를 발생시키면 이를 받아서 펄스를 카운트하여 핸드레일(36) 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이를 제어수단(180)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210)의 구성과 동작방식에는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210)을 이용하여 별개의 추가장치 없이 스텝(22)의 이동속도(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회전 각속도)를 산출하여 제어수단(180)으로 입력함으로써 스텝체인 스프라켓(25) 제동과정에서 제어수단(180)에 의한 보조브레이크(800) 피드백제어를 가능케 하고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은 스텝 속도 검출수단(230)에 의할 수 있는데, 스텝속도 검출수단(230)은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구비되어 스텝체인 스프라켓(25) 회전 각의 변동에 따라 센서에서 펄스를 발생시키면 이를 카운트하여 스텝속도를 검출하는 장치에 의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수단(180)은, 상기 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101)이 검출한 구동체인(15) 파단 즉전의 상기 수평보행기의 운행상태를 검출하는 파단 전 운행상태 검출수단(150)과, 상기 파단 전 운행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브레이크(180)의 제동력 값(또는 액츄에이터 라이닝압력)을 계산하는 제동력 산출수단(130), 상기 제동력 산출수단(130)의 계산 결과에 따라 상기 보조브레이크 액츄에이터(830)를 동작시켜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제동을 수행하는 보조브레이크 제어수단(170), 제동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으로부터 피드백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800)의 제동력을 순시 가감할 수 있도록 하는 피드백 제어수단(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파단 전 운행상태 검출수단(150)은 구동체인 파단 즉전의 운행상태, 예컨대, 모터부하·정상이동속도·운행방향·운행모드·스텝 설치각도·상승 또는 하강이동에 따른 제동거리 등의 정보를 검출하여 제동력 산출수단(130)으로 입력한다.
예컨대, 모터부하는 스텝(22) 및 핸드레일(36) 중량에 따른 기본 부하와 탑승객 수 변동에 의한 스텝(22) 및 핸드레일(36) 부하변동을 반영하며, 최초 제동력의 크기와 제동력의 인가방식은 모터부하 및 상승운전이냐 하강운전이냐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강운전의 경우는 모터부하가 크면 에스컬레이터를 멈추기 위한 제동력 자체도 커지고 멈춘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인가되는 제동력의 크기도 커진다. 하지만 상승운전의 경우에는 구동체인(15)이 파단된 경우 관성에 의해 잠깐 상승하다가 일시 멈춘 상태에서 보조브레이크(800) 제동력이 충분하지 않게 되면 중력가속도에 의해 미끌어지게 되므로 제동력의 산출과정에서 에스컬레이터를 멈추는 과정의 제동력 및 멈춘 이후 최종상태의 제동력을 산출하여 보조브레이크(800)를 동작시켜야 하며, 최종상태의 제동력은 모터부하 및 에스컬레이터 설치각도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구동체인 파단 즉전 정상이동속도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모드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파단 즉전 정상이동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제동거리가 커지므로 제동력을 서서히 인가할 수 있고, 파단 즉전 정상이동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제동력이 즉시로 인가될 수 있으며 파단 즉전 정상이동속도에 따라 순간적으로 인가되는 제동력이 크기가 변동되며 제동력을 인가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 피드백 제어수단(160)은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200)으로부터 구동 체인 파단 후의 핸드레일 이동 속도(또는 스텝의 이동속도나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회전각속도)를 순시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제동 진행상태 정보를 통해 에스컬레이터 제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적절한 제동거리 확보를 위해 제동력 피드백 제어를 수행한다.
즉, 구동체인 파단 이후에 모터부하는 승객 하차 등에 의해 급감하거나 승객 추가 탑승에 의해 급증할 수 있으며, 구동체인(15)이 파단된 경우 제동력 인가에 의해 멈추었으나 구동체인 파단 이후 추가탑승한 승객이나 어떤 이유로 인해 제동력이 충분하지 않아 스텝(22)이 중력가속도에 의해 미끌어지는 경우처럼 구동체인 파단 이후 발생하는 상황에 의해 제동력과 제동거리가 수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의 피드백 제어수단(160)은 제동과정 진행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며 피드백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피드백 제어수단(160)은 상기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제동이 수행됨에 따라 상기 스텝속도 검출수단(230)으로부터 스텝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스텝이동속도가 기준보다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동력이 과도한 것으로 보고 순간 제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기준보다 스텝이동속도가 감소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동력이 과소한 것으로 보고 순간 제동력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수단(180)은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즉전 정상이동속도나 상승하강 운전여부, 제동시간 경과에 따른 스텝의 속도(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 회전 각속도), 설치각도, 제동거리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18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제동력 산출수단(130)은 데이터베이스(182)의 각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모터부하에 대응하는 제동력을 산출하여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제동과정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즉전 정상이동속도나 상승하강 운전여부, 모터부하 등에 대응하는 최초 제동력 및 제동시간 경과에 따른 스텝의 속도(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 회전 각속도)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182)에 저장되며, 구동체인(15) 파단이 있게 되면 일단 최초 제동력을 검출하여 이에 의한 제동이 개시되며, 이후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보조브레이크(800)에 의한 제동이 진행됨에 따라 매순간 핸드레일 이동 속도(또는 스텝 이동 속도나 스텝체인 스프라켓의 회전 각속도 등) 검출치와 데이터베이스(182)에 저장된 제동시간 경과에 따른 스텝(22)의 이동속도 등 데이터를 비교하여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인가하는 제동력을 피드백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서 구동체인 파단시 제동이 진행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스컬레이터의 정상운행상태에서 제어수단(180)은 대기상태에서 구동체인 파단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제300단계).
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101)에서 구동체인 파단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수단(180)은 구동체인 파단 즉전 모터부하 및 정상운전 속도에 대응하는 제동력을 산출하거나 데이터베이스(182)에서 검출하고 보조브레이크(800)를 제어하여 스텝체인 스프라켓(25)에 대한 제동동작을 개시한다(제303단계,제305단계).
스텝 속도 검출수단(230) 또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210)으로부터 이동속도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182)에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한다(제308단계,제310단계).
기준치보다 실제 이동속도가 큰 경우에는 제동력이 약한 경우이므로 보조브레이크(800)의 제동력이 커지도록 제어하며(제309단계), 기준치보다 실제 이동속도가 작은 경우에는 제동력이 강한 경우이므로 보조브레이크(800)의 제동력을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제311단계).
보조브레이크(800) 제동동작에 의해 스텝체인 스프라켓이 멈추면, 에스컬레이터의 설치각도에 대응하도록 최종상태 제동력을 인가한다(제315단계).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에스컬레이터에서 안전운행을 위해 스텝과 핸드레일 이동속도 편차를 검출하기 위해 핸드레일 가이드 롤러 등에 설치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또는 스텝체인 스프라켓 등에 설치되어 구동체인 파단 후에도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속도 검출수단)을 활용하여 에스컬레이터 역주행을 검출하고, 역주행 발생시에는 보조브레이크에 의해 급제동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속도 검출수단이나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에서 발생된 펄스의 진행방향과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을 비교하거나 2개의 펄스의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에스컬레이터 제동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동체인 파단이나 역주행 검출시에 제동동작을 하여 에스컬레이터 스텝체인 스프라켓을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스텝체인 스프라켓을 급제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구동체인 파단이나 역주행 시에 제동동작을 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후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검출하는 역주행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주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이나 스텝속도검출수단은, 기존의 터미널기어 등에 설치되던 단순 역주행 신호만을 검출하는 센서를 대체함으로써, 스텝의 이동속도를 측정함으로서 에스컬레이터 역주행을 검출함은 물론 제 1 실시예의 경우처럼 스텝(또는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여 제어수단으로 입력함으로써,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급제동 수행시 적절한 제동력과 제동거리에 의하여 에스컬레이터 제동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보조브레이크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가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의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 및 스텝속도 검출수단과 관련한 다른 사항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 및 스텝속도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근거한 피드백제어와 관련한 사항도 상기 제 1실시예와 동등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주 브레이크를 대신하여 또는 주브레이크와 함께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브레이크는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주브레이크를 대신하거나 주브레이크와 함께 제동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보조브레이크는 감속기 이상, 주 브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해 주 브레이크 코일에 전원공급을 하는 전자접축기가 융착되는 경우, 주브레이크의 기구적 결함이나 고장 등과 같이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는 경우나, 주브레이크의 구동체인 파단이나, 콤스위치 동작, 주브레이크의 동작오류, 주브레이크 제동력 부족 등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적절하게 작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은 스텝속도 검출수단이나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에 의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스텝속도 검출수단이나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의 구성과 작용은 상기 제 1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스텝속도 검출수단이나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진행과정 중 스텝이나 핸드레일의 속도를 검출하여 제동동작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검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동진행을 알 수 있는 다른 지표에 의해 의할 수도 있는 것이며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브레이크가 동작하는 이유 및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상이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제어수단에서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과정은 제 1 실시예와 동등한 과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지며, 특허청구범위 기재사항과 균등범위에서 당업자가 행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포함함은 당연하다.
11.....모터 13.....터미널기어
15.....구동체인 22.....스텝
25.....스텝체인 스프라켓 36.....핸드레일
32.....핸드레일 구동기어 39.....핸드레일 가이드 롤러
101....구동체인 파단 검출수단 130....제동력 산출수단
150....파단 전 운행상태 검출수단 160....피드백 제어수단
170....보조브레이크 제어수단 180....제어수단
182....데이터베이스 200....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
210....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 230....스텝 속도 검출수단

Claims (13)

  1.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진행상태를 검출하는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제동 진행상태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피드백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2.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3.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구동체인 파단 즉전 상기 에스컬레이터 운행상태에 따른 제동력을 산출하여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대한 제동을 진행하며 그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4.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검출하는 역주행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주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텝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6.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속도 검출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체인 스프라켓이 소정각도 회전시마다 이를 검출하여 펄스를 발생시키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펄스를 카운트하여 스텝속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입력하는 속도 산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7.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8.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동작 진행 중 상기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스텝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구동체인 파단 즉전 상기 에스컬레이터 운행상태에 따른 제동력을 산출하여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대한 제동을 진행하며 그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9.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제동동작을 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는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검출하는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의 검출사항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검출하는 역주행검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역주행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시에 상기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제동과정 진행 중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순시 입력받아 상기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에 대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 속도 검출수단은,
    핸드레일 이동 가이드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핸드레일 이동 가이드 롤러의 회전시마다 펄스를 발생시켜 카운트하고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12. 청구항 1 내지 4,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는 제동과정의 진행상황에 따라 제동력의 증감이 가능한 유압식 보조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4,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체인 파단 전 정상운행속도에 대응하여 제동 진행에 따른 스텝 속도 변화에 대한 이상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KR1020160156890A 2016-11-23 2016-11-2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KR20180058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90A KR20180058142A (ko) 2016-11-23 2016-11-2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890A KR20180058142A (ko) 2016-11-23 2016-11-2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142A true KR20180058142A (ko) 2018-05-31

Family

ID=6245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890A KR20180058142A (ko) 2016-11-23 2016-11-2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1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76A (ko) * 2018-09-13 2020-03-23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20200145309A (ko) * 2019-06-21 2020-12-30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검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73547B1 (ko) * 2021-02-19 2021-07-07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의 늘어난 길이 측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876A (ko) * 2018-09-13 2020-03-23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20200145309A (ko) * 2019-06-21 2020-12-30 (주)에이치피엔알티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검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73547B1 (ko) * 2021-02-19 2021-07-07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의 늘어난 길이 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7790B1 (en) Elevator device
EP3334674B1 (en) Anti-lock braking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5079517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停止システム
CN101636340B (zh) 电梯的制动装置
EP2048103B1 (en) Elevator device
WO20101256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US10654683B2 (en) Monitored braking blocks
CN105283404A (zh) 用于人员运送设备的制动方法、用于执行制动方法的制动控制装置以及具有制动控制装置的人员运送设备
WO2010050434A1 (ja) エレベーター
KR20180058142A (ko)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WO2007108068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6157369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WO2019167212A1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性能評価装置
JP71406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101749382B1 (ko) 수평보행기의 구동체인 파단 검출장치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EP1767483B1 (en) Control system for elevator
KR102273547B1 (ko)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의 늘어난 길이 측정 장치
JP597765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228775B1 (ko) 승객용 컨베이어 시스템의 동작 검출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2166905A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KR102027882B1 (ko) 에스컬레이터 제동 제어시스템
KR20160075389A (ko) 수평보행기의 구동체인 파단 검출장치 및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CN113993807B (zh) 电梯装置
KR101925569B1 (ko) 듀얼 모터 에스컬레이터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JP6460920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