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76A -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876A
KR20200030876A KR1020180109667A KR20180109667A KR20200030876A KR 20200030876 A KR20200030876 A KR 20200030876A KR 1020180109667 A KR1020180109667 A KR 1020180109667A KR 20180109667 A KR20180109667 A KR 20180109667A KR 20200030876 A KR20200030876 A KR 20200030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auxiliary brake
braking
braking forc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4254B1 (ko
Inventor
송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피엔알티 filed Critical (주)에이치피엔알티
Priority to KR102018010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데이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제동력 산출부; 및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력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ESCALATOR SUB-BREAKE CONTROL DEVICE AND METHID THEREOF}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에 대한 것으로, 주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여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제동력을 조절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정지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주위환경, 탑승객의 부하,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을 고려하여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사람(또는 화물)이 탑승한 발판(스텝)이 경사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사람을 위아래 층으로 이동시키는 운송 수단이다.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대중교통 시설 및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도 1a를 참조하면, 먼저 주 브레이크(2) 역할을 수행하는 브레이크드럼(2a), 브레이크레버(2b), 브레이크코일(2c)가 먼저 개방되고 구동모터(1)가 회전하면 감속기(3)가 회전하고, 그 일축에 연결된 구동 스프로켓(4a)이 회전하고, 구동체인(4b)을 통해 터미널 기어(4c)로 동력이 전달되어 터미널기어(4c)가 회전하면 일축에 설치되어 있는 스텝체인 스프로켓(5b)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텝체인스프로켓(5b)과 연결되어 있는 스텝체인(5c)이 회전하고, 스텝체인(5c)과 연결된 스텝(5a)이 회전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가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주브레이크(2)가 동작을 개시하면, 구동스프로켓(4a)이 정지하고, 정지된 구동 스프로켓(4a)에 의해 구동체인(4b) 및 터미널기어(4c)가 정지하여 동력이 스텝(5a)으로 전달되지 못해 에스컬레이터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다음과 같은 이동 속도 및 방향 제어 상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5a)의 속도가 공칭 또는 정격속도보다 일정한 값 이상을 초과 즉, 1.2~1.39배로 과속하는 경우나, 터미널기어(4c)와 구동모터(1)를 연결하는 구동체인(4b)의 파단이 발생하거나, 운전지령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역주행이 발생하거나, 감속기(3) 고장으로 주 브레이크(2)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등이다. 이러한 사고를 대비하여, 에스컬레이터는 도 1b와 같이 보조브레이크(6)를 구비하여 급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 스프로켓(4a)과 터미널기어(4c)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체인(4b)의 파단되는 경우 역주행 또는 속도 검출센서(8)에 의해 역주행 검출되면, 에스컬레이터는 주 브레이크에(2) 의해 제동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이에, 보조브레이크(6)에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하여 보조브레이크(6)를 작동(OFF)시켜, 즉 구속 상태를 만들면 보조브레이크(6)의 마찰력에 의해 에스컬레이터는 급제동할 수 있다.
즉, 터미널기어(4c)가 보조브레이크(6)로 동력을 전달하지 못해 터미널기어(4c)와 스텝 체인 스프로켓(5b)과 일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축(7a)을 정지시켜 클램프(7b)와 일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주 스포로켓(8a)과 증속기 스프라켓(8b) 사이에 위치하는 증속기(7c) 및 체인(9)의 회전을 정지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공개특허 제10-2016-0035496호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에스컬레이터의 제동 브레이크를 한 번 설정된 제동 토크만 가지고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마찰력과 탑승 부하에 대응하는 안전하고 부드러운 제동에 의한 감속 정지를 할 수 없는 문제점에 의해 급정지에 의한 전도 안전사고 및 제동력 부족에 의한 제동 불가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주브레이크와 함께 설치된 보조 브레이크는 일반적으로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브레이크가 1개만 설치되는 경우 보조 브레이크가 고장 나거나 제동 마찰력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제동에 의한 정지를 하지 못하는 잠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는 상승 또는 하강 방향으로 한 번 정해지면 한쪽 방향으로 계속 연속운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운행방향에 따라 관성력이 달라지고 방향에 따른 제동해야 할 벡터 합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데도 불구하고 1개의 보조 브레이크로 제동하는 경우, 급제동에 의한 전도사고 또는 제대로 제동하지 못하여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모터제어를 하는 주 브레이크가 정상동작을 할 수 없거나 상기 주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스텝에 작용되지 못하는 경우에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구비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구동체인 파단 또는 역주행 검출, 과속 검출 내용에 따라 구비된 복수의 보조 브레이크 제어 동작을 달리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보조 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간의 온도 및 습도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과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실제 탑승한 승객의 인원수에 대한 중량에 따른 보조브레이크의 마찰력 변화를 고려하여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제동 진행 중에도 제동진행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제동진행상태에 따른 제동력 피드백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는,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데이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제동력 산출부; 및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력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는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과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는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검출부는 구동체인이 파단된 경우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과속을 검출하는 역주행 및 속도검출센서;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변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주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주위환경 검출센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속운행시간을 감지하여 운행시간정보를 검출하는 운행시간 검출센서;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실제 탑승한 승객의 인원수를 감지하여 감지된 승객의 중량에 따른 부하값이 포함된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탑승객부하 검출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한 후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제동진행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는 전자기 브레이크 제동방식으로 구성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제1 코일여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여자부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상측에서 눌러 제동하는 제1 제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2 코일여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일여자부가 여자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하측에서 눌러 제동하는 제2 제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동부 및 상기 제2 제동부는 상기 회전부를 동시에 또는 각각 제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은,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피드백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역주행 및 스텝속도, 주위환경정보, 운행시간정보 및 탑승객부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동일하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동일하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한 후,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신호가 검출되는 단계; 및 상기 역주행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은,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과속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과속 검출 시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 주위환경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위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주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탑승객부하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실제 탑승한 인원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인원수의 중량에 따른 부하 값이 포함된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운행시간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속운행시간이 포함된 상기 연속운행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위환경정보, 탑승객부하정보 및 연속운행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승객의 수와 하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하거나, 하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승객의 수와 상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실제 탑승한 인원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구비함으로써, 역주행 또는 과속의 경우를 고려하여 각각의 보조브레이크를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간의 주변환경,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인원수 및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의한 마찰력 변화를 고려하여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의 보조브레이크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 중에도 제동진행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제동 진행상태에 따른 제동력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은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탑승객부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동슬립거리 측정부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른 제동슬립거리정보를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의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역주행 및 스텝속도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위환경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탑승객 부하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주위환경정보, 운행시간정보, 탑승객부하정보 및 제동슬립거리정보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탑승객부하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동슬립거리 측정부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른 제동슬립거리정보를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의 다른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도 6(a)는 보조브레이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 내지 도 6(d)는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는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 데이터 검출부(20), 제동슬립거리 측정부(30), 제동력 산출부(40), 브레이크 제어부(50) 및 제동진행 검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는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면 주브레이크(52)를 미작동(ON)시키고, 모터(12)를 구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상승 방향 또는 하강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승객을 이동시킬 수 있다.
데이터 검출부(20)는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검출부(20)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 주위환경 검출센서(24), 운행시간 검출센서(26) 및 탑승객부하 검출센서(28)를 포함할 수 있다.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는 스텝 및/또는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구동체인이 파단된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신호 또는 과속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가 역주행신호 또는 과속신호를 검출할 때 스텝 또는 핸드레일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주위환경 검출센서(24)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위환경 예를 들어,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주위환경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운행시간 검출센서(26)는 모터(12)가 구동된 후, 에스컬레이터가 연속적으로 운행하는 운행시간을 감지하여 운행시간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탑승객부하 검출센서(28)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실제 탑승한 인원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인원수의 중량에 따른 부하 값이 포함된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전체 수에서 하차한 승객의 수를 뺀 실제 탑승 승객의 인원수를 감지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중량에 따른 부하 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탑승객의 중량은 실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설치된 측정계(미도시)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의 측정계 설치 없이 표준 체중표를 기준으로 인원수에 표준 체중을 곱하여 탑승객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탑승객의 중량을 구하기 위해 표준 체중표를 이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가 하강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 상부에 설치된 상부 멀티 포스트를 통해 탑승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하고, 하부에 설치된 하부 멀티 포스트를 통해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함으로써, 실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에스컬레이터가 상승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 하부에 설치된 하부 멀티 포스트를 통해 탑승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하고, 상부에 설치된 상부 멀티 포스트를 통해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함으로써, 실제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상부 멀티 포스트를 통해 확인된 승객의 수가 10명이고, 하부 멀티 포스트를 통해 확인된 승객의 수가 3인 경우 실제 탑승한 승객의 수는 7명일 수 있다. 이에, 기설정된 표준 몸무게(1인 60kg)를 기준으로 현재 탑승한 7명에 대한 탑승객 중량은 420kg일 수 있다.
여기서, 포토 센서가 구비된 멀티 포스트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가 일 방향으로만 운행하는 경우에 1라인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포토 센서가 구비된 멀티 포스트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으로 즉,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에 2라인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탑승 및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탑승객부하 검출센서(28)는 모터(12)가 동작하면서 생성되는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부하전류 값은 모터(12)에 가해지는 부하를 측정하는 측정용 전류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수가 많을수록 모터(12)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므로 부하전류 값이 증가하고,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탑승한 승객의 수가 적을수록 모터(12)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하므로 부하전류 값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하 전류 값에 비례하게 탑승객의 부하 정보가 변화하므로, 탑승객부하 검출센서(28)는 부하전류 값에 매칭되는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여 좀더 정확한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탑승객 부하정보에 기초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을 정확/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제동력이 부족하여 에스컬레이터가 정지하지 못하거나 제동력이 과도하여 에스컬레이터가 급정지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제동슬립거리 측정부(30)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보조브레이크(54)가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제동슬립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른 제동슬립거리 측정방법은 도 4를 참조하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시작한 후(S100),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이 제1 운행시간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110).
제1 운행시간에 도달한 경우, 예를 들어 1분의 운행시간에 도달하면 복수의 보조브레이크(54)를 모두 작동(OFF)시켜 제1 운행시간에 대한 제1 제동슬립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120, S130). 이때, 측정된 제1 제동슬립거리는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제1 운행시간인 1분 운행시간에 따른 제1 제동슬립거리는 200 ~1000m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시작한 후(S100),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이 제2 운행시간에 도달한 경우(S150), 예를 들어 10분의 운행시간에 도달하면 복수의 보조브레이크(54)를 작동(OFF)하여 제2 운행시간에 대한 제2 제동슬립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S160, S170). 이때, 측정된 제2 제동슬립거리는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10분 운행시간에 따른 제2 제동슬립거리는 60c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동력 산출부(40)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이 개시되면 데이터 입력부(20)로부터 검출되는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력 산출부(40)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로부터 수신된 역주행신호 및 스텝속도와, 주위환경 검출센서(24)로부터 수신된 온도 및 습도가 포함된 주위환경정보와, 운행시간 검출센서(26)로부터 수신된 연속운행시간이 포함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와, 승객부하 검출센서(28)로부터 수신된 탑승객부하정보와, 제동슬립거리 측정부(30)로부터 수신된 제동슬립거리정보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동력 산출부(40)는 데이터 검출부(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및 제동진행 검출부(6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42)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와 같이 제동력 산출부(40)는 에스컬레이터가 과속 운행하는 경우 온·습도범위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필요한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온·습도범위(30℃~50℃/60%~9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50(N)이고, 제2 온·습도범위(0℃~30℃/30%~6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100(N)이고, 제3 온·습도범위(-30℃~0℃/0%~3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150(N)일 수 있다.
온·습도범위
제1 온·습도범위
(30℃~50℃/60%~90%)
제2 온·습도범위
(0℃~30℃/30%~60%)
제3 온·습도범위
(-30℃~0℃/0%~30%)
제1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50(N))
작동(OFF) 미작동(ON) 작동(OFF)
제2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100(N))
미작동(ON) 작동(OFF) 작동(OFF)
산출된 제동력값 50(N) 100(N) 150(N)
또한, 하기 [표 2]와 같이 제동력 산출부(40)는 에스컬레이터가 과속 운행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필요한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100(N)이고,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지 않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50(N)일 수 있다.
기설정된 운행시간 초과 기설정된 운행시간 미만
제1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50(N))
미작동(ON) 작동(OFF)
제2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100(N))
작동(OFF) 미작동(ON)
산출된 제동력값 100(N) 50(N)
또한, 하기 [표 3]과 같이 제동력 산출부(40)는 에스컬레이터가 과속 운행하는 경우 탑승객부하정보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필요한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객의 수가 0~10일때 제1 탑승객부하범위(0kg~600kg)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50(N)이고,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객의 수가 10~20일때 제2 탑승객부하범위(600kg~1200kg)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100(N)이고,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객의 수가 20~30일때 제3 탑승객부하범위(1200kg~1800kg)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은 150(N)일 수 있다.
탑승객부하정보
제1 탑승객부하범위
(0kg~600kg)
제2 탑승객부하범위
(600kg~1200kg)
제3 탑승객부하범위
(1200kg~1800kg)
제1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50(N))
작동(OFF) 미작동(ON) 작동(OFF)
제2 보조브레이크
(제동력 100(N))
미작동(ON) 작동(OFF) 작동(OFF)
산출된 제동력값 50(N) 100(N) 150(N)
그리고, 제동력 산출부(40)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라 측정된 제동슬립거리정보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필요한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면 미작동되는 주브레이크(52)와, 주브레이크(52)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한 상태에서 제동력 산출부(40)로부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보조브레이크(5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브레이크(54)는 2~n개의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에서는 보조브레이크(54)가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 즉, 2개의 보조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동력 산출부(40)에서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작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작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이 작동한 후 제2 보조브레이크(542)가 작동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이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동력 산출부(40)에서 산출된 제동력값이 40(N)이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50(N)으로 동일한 경우,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즉,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동일하므로, 어떤 보조브레이크의 작동 여부에 상관없이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이때, 제동력 산출부(40)에서 산출된 제동력이 변경되어 기산출된 제동력값보다 큰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80(N)의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부(50)가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모두 구동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제동력 산출부(40)에서 산출된 제동력값이 40(N)이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이 50(N)이고,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100(N)인 경우,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2)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이때, 제동력 산출부(40)에서 산출된 제동력값이 변경되어 기산출된 제동력보다 큰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120(N)의 제동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브레이크 제어부(50)가 제1 보조브레이크(540) 작동시킨 후,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역주행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제동력에 상관없이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모두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아래로 미끄러져 역주행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모두 동시에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과속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산출된 제동력값이 40(N)이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50(N)으로 동일한 경우,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이때, 제동진행 검출부(60)의 제동진행상태정보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작동시킨 후,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과속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산출된 제동력값이 40(N)이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이 50(N)이고,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100(N)으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제동력이 서로 상이한 경우,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이때, 제동진행 검출부(60)의 제동진행상태정보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작동시킬 후,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과속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주위환경정보에 따라 산출된 제동력값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표 1]와 같이 제1 온·습도범위(30℃~50℃/60%~9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4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제2 온·습도범위(0℃~30℃/30%~6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10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제3 온·습도범위(-30℃~0℃/0%~3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15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모두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과속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운행시간정보에 따라 산출된 제동력값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표 2]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10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지 않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5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과속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탑승객부하정보에 따라 산출된 제동력값에 의해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표 3]과 같이 제1 탑승객부하범위(0kg~600kg)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5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제2 탑승객부하범위(600kg~1200kg)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10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고, 제3 탑승객부하범위(1200kg~1800kg)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값이 150(N)이므로, 브레이크 제어부(50)는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모두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브레이크가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구비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 2개 이상의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의 보조브레이크를 구비하는 경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브레이크 제어부(50)가 6개의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더욱 정밀하게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산출된 제동력값이 10N인 경우 6개의 보조브레이크가 2(N)으로 동일한 제동력을 가지면, 선택적으로 5개 또는 6개의 보조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6개의 보조브레이크가 순차적으로 1(N), 2(N), 3(N), 4(N), 5(N), 6(N)의 제동력을 갖는 경우로 한정하면, 1(N)/4(N)/5(N), 5(N)/6(N), 4(N)/6(N), 1(N)/2(N)/3(N)/4(N)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스컬레이터가 급정지 또는 정지를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브레이크(52)가 어떤 원인에 의하여 오프(구속) 고장이 발생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 주브레이크(52)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작동시켜 2중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킴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가 동일한 폭을 갖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넓게 형성된 보조브레이크는 폭이 좁게 형성된 보조브레이크보다 큰 마찰력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보조브레이크(5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브레이크 제동방식으로 구성되어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고하면, 보조브레이크(54)는 영구자석(미도시)을 구비하며,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56)와, 회전부(56)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회전부(56)의 상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코일여자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제1 제동부(560)와, 회전부(56)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회전부(56)의 하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 코일여자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제2 제동부(56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생한 여자전류(excitation current)에 의해 제1 제동부(560) 및 제2 제동부(562)의 제1 및 제2 코일여자부가 여자되어 영구자석을 구비한 회전부(56)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전류에 의해 제1 코일여자부가 여자되면 회전부(56)의 상측에 형성된 제1 제동부(560)에 의해 회전부(56)의 외주면이 눌려져 회전부(56)가 정지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전류에 의해 제2 코일여자부가 여자되면 회전부(56)의 하측에 형성된 제2 제동부(562)에 의해 회전부(56)의 외주면이 눌려져 회전부(56)가 정지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자전류에 의해 제1 및 제2 코일여자부가 동시에 여자되면 회전부(56)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된 제1 제동부(560) 및 제2 제동부(562)에 의해 회전부(56)의 외주면이 눌려져 회전부(56)가 정지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일여자부로의 전류공급이 유지되면 제1 제동부(560)가 회전부(56)로부터 떨어져 회전부(56)의 제동이 해제되고, 에스컬레이터는 기설정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부로부터 전류공급이 중단되면, 여자전류의 발생이 중단되어 제1 및 제2 코일여자부의 여자상태가 해제되어 제1 제동부(560) 및 제2 제동부(562)가 회전부(56)로부터 떨어져 회전부(56)의 제동이 해제되고, 에스컬레이터는 기설정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이와 같이, 보조브레이크(54)는 제1 제동부(560) 및 제2 제동부(562)를 이용하여 회전부(56)를 전자기 방식으로 각각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에스컬레이터를 원활하게 제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동부(560) 및 제2 제동부(562)는 회전부(56)를 전자기 방식으로 제동하는 경우, 회전부(56)의 외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마모 및 소음을 방지하지 위해 방지층(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동진행 검출부(60)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구동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동작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즉, 제동진행 검출부(60)는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통해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동작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받아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동작을 피드백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 브레이크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역주행 및 스텝속도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될 수 있는 산출된 제동력이 40(N)이고, 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50(N)으로 동일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에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주브레이크(52)를 미작동(ON)되고, 모터(12)가 구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S10).
다음,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한 후,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11). 본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로부터 수신된 역주행신호 및 스텝속도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역주행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2). 역주행이 검출된 경우,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동시에 작동(OFF)함으로써(S13),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마찰력에 의해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할 수 있다(S14).
구체적으로, 역주행이 검출되면 브레이크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작동(OFF)시켜 즉, 구속 상태를 만들 수 있다.
이때, 역주행이 검출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아래로 미끄러져 역주행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모두 동시에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구동을 제어한 이후에도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계속 수신받아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의 구동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급제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15). 즉,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통해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6).
과속상태인 경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제동할 수 있다(S17). 이때,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가 50(N)의 동일한 제동력을 가지지만, 순차적으로 보조브레이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먼저 작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구동을 제어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작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18),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미작동(ON)시켜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19).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S12),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6), 과속상태가 아닌 경우 S11 단계로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지 않는 경우(S18),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작동시킨 후,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순차적으로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S20).
구체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산출된 제동력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만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함께 구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구동을 제어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18),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미작동(ON)시켜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19).
한편, 에스컬레이터의 설치상태나 운행상태에 따라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추가의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변환경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위환경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이 50(N)이고,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100(N)이며, 제1 온·습도범위는 30℃~50℃/60%~90%이고, 제2 온·습도범위는 0℃~30℃/30%~60%이며, 제3 온·습도범위는 -30℃~0℃/0%~30%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에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주브레이크(52)를 미작동(ON)되고, 모터(12)가 구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S21).
다음,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한 후,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22). 본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로부터 수신된 역주행신호 및 스텝속도와 주위환경 검출센서(24)로부터 수신된 온도 및 습도가 포함된 주위환경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역주행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23). 역주행이 검출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S13~S15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동시에 작동(OFF)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에스컬레이터가 과속 운행하는 경우 온·습도범위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먼저, 에스컬레이터의 주위환경정보가 제1 온·습도범위(30℃~50℃/60%~90%)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25).
제1 온·습도범위(30℃~50℃/60%~90%)에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제2 보조브레이크(542)보다 낮은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26). 즉, 1 온·습도범위(30℃~50℃/60%~9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50(N)이므로,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구동을 제어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작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27),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미작동(ON)시켜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28).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S23),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4), 과속상태가 아닌 경우 S22 단계로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주위환경정보가 제1 온·습도범위(30℃~50℃/60%~90%)에 포함되지 않고(S25), 제2 온·습도범위(0℃~30℃/30%~60%)에 포함되는 경우(S29),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제1 보조브레이크(540)보다 높은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30). 즉, 제2 온·습도범위(0℃~30℃/30%~6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100(N)이므로,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구동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태정보를 수신받아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27),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미작동(ON)시켜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28).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주위환경정보가 제2 온·습도범위(0℃~30℃/30%~60%)에 포함되지 않고(S29), 제3 온·습도범위(-30℃~0℃/0%~30%)에 포함되는 경우(S32),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1 보조브레이크(540) 보다 높은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모두를 동시에 작동(OFF)시킬 수 있다(S33). 즉, 제3 온·습도범위(-30℃~0℃/0%~30%)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150(N)이므로,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모두를 작동(OFF)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동시에 작동(OFF)시킴으로써, 제3 온·습도범위(-30℃~0℃/0%~30%)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원활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각각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지 않는 경우(S27),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함께 동시에 구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S3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이 50(N)이고,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100(N)이며, 기설정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은 10분이고, 에스컬레이터의 초과된 운행시간은 15분이며, 에스컬레이터의 초과되지 않은 운행시간은 8분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에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주브레이크(52)를 미작동(ON)되고, 모터(12)가 구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S34).
다음,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한 후,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35). 본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로부터 수신된 역주행신호 및 스텝속도와 운행시간 검출센서(26)로부터 수신된 상승 운행시간 및 하강 운행시간이 포함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역주행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6). 역주행이 검출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S13~S15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동시에 작동(OFF)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7).
에스컬레이터가 과속 운행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먼저, 과속상태인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8).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된 경우,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제1 보조브레이크(540)보다 높은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39). 즉,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에 의해 기설정된 운행시간 예를 들어 10분을 초과하여 15분으로 에스컬레이터가 동작하는 경우에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마찰력이 줄어들어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서는 운행 초기에 비해 큰 제동력이 필요하다. 이에, 운행 시간이 일정시간 초과된 이후에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 중 제동력이 큰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100(N)이므로,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구동을 제어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40),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미작동(ON)시켜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41).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S36),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37), 과속상태가 아닌 경우 S35 단계로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지 않고 미만인 경우(S38),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2]를 참조하여 제2 보조브레이크(542)보다 제동력이 작은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42). 즉,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에 의해 기설정된 운행시간 예를 들어 10분을 초과하지 않고 8분으로 에스컬레이터가 동작하는 경우에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마찰력이 크므로, 작은 제동력으로도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운행시간이 일정 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 중 제동력이 작은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가 기설정된 운행시간보다 초과되지 않는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50(N)이므로,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구동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40),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미작동(ON)시켜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41).
그리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각각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지 않는 경우(S40),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함께 동시에 구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S4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탑승객 부하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탑승객 부하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에서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이 50(N)이고,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이 100(N)이며, 제1 탑승객부하범위가 0kg~600kg이고, 제2 탑승객부하범위가 600kg~1200kg이며, 제3 탑승객부하범위가 1200kg~1800kg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에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주브레이크(52)를 미작동(ON)되고, 모터(12)가 구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S45).
다음,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한 후,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46). 본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로부터 수신된 역주행신호 및 스텝속도와 탑승객부하 검출센서(28)로부터 수신된 탑승객부하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역주행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47). 역주행이 검출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S13~S15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동시에 작동(OFF)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8).
에스컬레이터가 과속 운행하는 경우 탑승객부하를 고려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 과속상태인 경우, 탑승객부하정보가 제1 탑승객부하범위(0kg~600kg)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49).
제1 탑승객부하범위(0kg~600kg)에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3]을 참조하여 제2 보조브레이크(542)보다 낮은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50). 즉, 1 탑승객부하범위(0kg~600kg)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50(N)이므로,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구동을 제어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51),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1 보조브레이크(540)를 미작동(ON)시켜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52).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S47),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8), 과속상태가 아닌 경우 S46 단계로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객부하정보가 제1 탑승객부하범위(0kg~600kg)에 포함되지 않고(S49), 제2 탑승객부하범위(600kg~1200kg)에 포함되는 경우(S53),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3]을 참조하여 제1 보조브레이크(540)보다 높은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54). 즉, 제2 탑승객부하범위(600kg~1200kg)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100(N)이므로,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구동을 제어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51),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미작동(ON)시켜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52).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탑승객부하정보가 제2 탑승객부하범위(600kg~1200kg)에 포함되지 않고(S53), 제3 탑승객부하범위(1200kg~1800kg)에 포함되는 경우(S55), 데이터베이스(42)에 저장된 상기 [표 3]을 참조하여 제1 보조브레이크(540)와 제1 보조브레이크(540) 보다 높은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모두를 동시에 작동(OFF)시킬 수 있다(S56). 즉, 제3 탑승객부하범위(1200kg~1800kg)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산출된 제동력은 150(N)이므로,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모두 작동(OFF)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동시에 작동(OFF)시킴으로써, 제3 탑승객부하범위(1200kg~1800kg)에서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원활하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의 각각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지 않는 경우(S51),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함께 동시에 구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S5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이용하여 탑승객부하, 주위환경, 제동슬립거리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주위환경정보, 운행시간정보, 탑승객부하정보 및 제동슬립거리정보에 따른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구동부(10)에 운행지시신호가 입력되어 주브레이크(52)를 미작동(ON)되고, 모터(12)가 구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할 수 있다(S57).
다음, 에스컬레이터가 운행을 시작한 후,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58). 본 실시예에서,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는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22)로부터 수신된 역주행 및 스텝속도와, 주위환경 검출센서(24)로부터 수신된 온도 및 습도가 포함된 주위환경정보와, 운행시간 검출센서(26)로부터 수신된 상승 운행시간 및 하강 운행시간이 포함된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와, 탑승객부하 검출센서(28)로부터 수신된 탑승객부하정보와, 운행시간에 따른 제동슬립거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른 역주행신호 및 스텝속도와, 주위환경정보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시간정보와, 탑승객부하정보와, 제동슬립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력을 산출할 수 있다(S59).
구체적으로, 제1 온·습도범위가 30℃~50℃/60%~90%이고, 에스컬레이터의 초과된 운행시간은 15분이고, 제1 탑승객부하범위가 0kg~600kg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제동력 산출부(40)에 의해 산출된 제동력은 50(N)일 수 있다.
또한, 제2 온·습도범위가 0℃~30℃/30%~60%이고, 에스컬레이터의 초과되지 않은 운행시간이 8분이고, 제2 탑승객부하범위가 600kg~1200kg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제동력 산출부(40)에 의해 산출된 제동력은 100(N)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온·습도범위가 -30℃~0℃/0%~30%이고, 에스컬레이터의 초과되지 않은 운행시간이 8분이고, 제3 탑승객부하범위가 1200kg~1800kg일 때,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제동력 산출부(40)에 의해 산출된 제동력은 150(N)일 수 있다.
다음,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역주행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60). 역주행이 검출된 경우, 도 7에 도시된 S13~S15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0, 542)를 동시에 작동(OFF)하여 에스컬레이터를 급제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1). 과속상태인 경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력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540)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킬 수 있다(S62).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산출된 제동력이 50(N)인 경우에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키고,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산출된 제동력이 100(N)인 경우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을 선택적으로 작동(OFF)시키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산출된 제동력이 150(N)인 경우에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 모두를 작동(OFF)시킬 수 있다.
다음, 제1 보조브레이크(540)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구동한 후에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의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S63),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여 공칭속도로 운행되면 제1 보조브레이크(540)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미작동(ON)시켜 보조브레이크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64).
또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역주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S60), 에스컬레이터가 공칭속도 이상으로 구동하여 과속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1), 과속상태가 아닌 경우 S58 단계로 이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현재 운행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조브레이크(540)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구동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가 감속하지 않는 경우(S6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보조브레이크(540) 및 제2 보조브레이크(542) 중 선택된 보조브레이크(54)를 구동한 후, 나머지 보조브레이크를(54)를 함께 동시에 구동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S65).
예를 들어, 산출된 제동력이 50(N)일 때,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1 보조브레이크(540)만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거나,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0)와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함께 작동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제동력이 100(N)일 때, 10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2)만으로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50(N)의 제동력을 갖는 제2 보조브레이크(540)를 함께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산출된 제동력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제1 보조브레이크(540)의 제동력만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감속되지 않으므로, 제2 보조브레이크(542)를 함께 작동(OFF)시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에스컬레이터 구동부 12 : 모터
20 : 데이터 검출부 22 : 역주행 및 속도검출센서
24 : 주위환경 검출센서 26 : 운행시간 검출센서
28 : 탑승객부하 검출센서 30 : 제동슬립거리 측정부
40 : 제동력 산출부 42 : 데이터베이스
50 : 브레이크 제어부 52 : 주브레이크
54 : 보조브레이크 540: 제1 보조브레이크
542 : 제2 보조브레이크 60 : 제동진행 검출부

Claims (21)

  1.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검출하는 데이터 검출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이 개시되면 상기 데이터 검출부로부터 수신된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제동력 산출부; 및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력 산출부를 통해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는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과 동일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하는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는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은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하는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출부는
    구동체인이 파단된 경우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과속을 검출하는 역주행 및 속도검출센서;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변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주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주위환경 검출센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속운행시간을 감지하여 운행시간정보를 검출하는 운행시간 검출센서;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에 실제 탑승한 승객의 인원수를 감지하여 감지된 승객의 중량에 따른 부하값이 포함된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탑승객부하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한 후에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피드백 제어할 수 있는 제동진행 검출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는 전자기 브레이크 제동방식으로 구성되며,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상측에 형성되며 제1 코일여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여자부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상측에서 눌러 제동하는 제1 제동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2 코일여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코일여자부가 여자되는 경우 상기 회전부의 외주면을 하측에서 눌러 제동하는 제2 제동부;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부 및 상기 제2 제동부는 상기 회전부를 동시에 또는 각각 제동하는 에스컬레이터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12. 에스컬레이터의 현재운행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진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제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피드백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해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역주행 및 스텝속도, 주위환경정보, 운행시간정보 및 탑승객부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는 제동력을 산출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동일하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와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동일하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또는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이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작고,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이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의 제동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제동력값에 따라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제2 보조브레이크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한 후,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제동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상기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과속신호를 검출하는 단계는,
    구동체인이 파단되어 구동파단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현재운행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신호가 검출되는 단계; 및
    상기 역주행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보조브레이크 및 상기 제2 보조브레이크를 동시에 제어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20.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역주행 및 속도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과속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및 과속 검출 시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
    주위환경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 주위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주위환경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탑승객부하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실제 탑승한 인원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인원수의 중량에 따른 부하값이 포함된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운행시간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연속운행시간이 포함된 상기 연속운행시간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위환경정보, 탑승객부하정보 및 연속운행시간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보조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객부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승객의 수와 하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하거나, 하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하는 승객의 수와 상부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하차하는 승객의 수를 체크하여,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스텝에 실제 탑승한 인원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방법.
KR1020180109667A 2018-09-13 2018-09-1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KR10211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67A KR102114254B1 (ko) 2018-09-13 2018-09-1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67A KR102114254B1 (ko) 2018-09-13 2018-09-1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76A true KR20200030876A (ko) 2020-03-23
KR102114254B1 KR102114254B1 (ko) 2020-05-22

Family

ID=69998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67A KR102114254B1 (ko) 2018-09-13 2018-09-13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2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866A (ja) * 2001-01-12 200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スカレータの制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208825A (ja) * 2009-03-11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補助ブレーキ装置
KR20180058142A (ko) * 2016-11-23 2018-05-31 송종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1866A (ja) * 2001-01-12 200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スカレータの制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208825A (ja) * 2009-03-11 2010-09-24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補助ブレーキ装置
KR20180058142A (ko) * 2016-11-23 2018-05-31 송종태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254B1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910B1 (en) Elevator rescue system
JP43688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509905B1 (en) Selective elevator braking during emergency stop
JP4306014B2 (ja) 調速装置
EP1953107B1 (en) Brake system for elevator
US20090133964A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8117423A1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EP3106417B1 (en) A control arrangement and a method
EP3587325A1 (en) Method for diagnosis and/or maintenance of a brake of a transportation system, software program, and brake apparatus
KR20160092478A (ko) 에스컬레이터
EP2020395B1 (en) Actuation process and device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elevator apparatuses
KR102114254B1 (ko) 에스컬레이터의 보조브레이크 제동장치 및 제동방법
US6971496B1 (en) Escalator braking with multiple deceleration rates
JPWO2003033389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749382B1 (ko) 수평보행기의 구동체인 파단 검출장치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EP3643660B1 (en) System for providing elevator service
US11866295B2 (en) Active braking for immediate stops
JP3313022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KR102027882B1 (ko) 에스컬레이터 제동 제어시스템
KR102210831B1 (ko) 엘리베이터 비상정지장치
KR20160075389A (ko) 수평보행기의 구동체인 파단 검출장치 및 수평보행기의 보조브레이크 제어시스템
US20230294960A1 (en) Elevator
CN109153531B (zh) 电梯控制装置
JPH061548A (ja) ロープレス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