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756A -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756A
KR20180057756A KR1020160154895A KR20160154895A KR20180057756A KR 20180057756 A KR20180057756 A KR 20180057756A KR 1020160154895 A KR1020160154895 A KR 1020160154895A KR 20160154895 A KR20160154895 A KR 20160154895A KR 20180057756 A KR20180057756 A KR 2018005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ncrete
asphal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885B1 (ko
Inventor
김영근
신홍철
김영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7/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L57/02Copolymers of mineral oil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5/00Adhesive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수평 시공된 버림 콘크리트 또는 수직 시공된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 사이에 시공되어 일측단의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 접착되어 거동 대응성을 향상시키고 타측단의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 수분반응에 의해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일체화되어 완벽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구조체를 이루는 중심기재(11)와; 중심기재 일측면에 형성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2) 타설시 시멘트 및 수분에 반응하여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경화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일체화 되는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12)와; 중심기재 타측면에 형성되어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 전면접착되어 거동에 대응하는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13);로 구성된 것을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를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Pre-appled sheet membrane which is self-bonding with fresh concrete substra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가열도구 및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수평 시공된 버림 콘크리트 사이 또는 수직 시공된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 사이에 시공되어 일측면은 시공시 전면접착되고, 타측면은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 수분반응에 의한 점착 성능이 발현되어 일체로 방수층이 형성되는 자착식 시트방수재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축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재료의 특성상 다공질 재료로써 수분의 흡수성, 건조수축 및 부동 침하시 신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균열이 발생하고, 균열부위를 통해 누수 사고가 발생한다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진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층을 본 구조물 콘크리트 상부에 형성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콘크리트 재료 특성상 수분의 흡수로 방수층이 본 구조물 콘크리트로부터 박리되어 방수층이 제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단다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보수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어서 관련 비용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막재를 이용한 방수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자착식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복합 방수공법과 같은 다양한 방수공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되는 자착식 방수시트는 건조되어 있는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접착 성능만을 고려하여 수분 흡수에 의한 분리 현상에 대응하지 못하여 박리시 물의 이동경로가 됨으로써 누수 현상을 초래하는 구조적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방수방법은 대부분 본 구조물 콘크리트을 타설 후 건조된 바닥면 또는 옥상 등의 방수를 위한 시공 구조 및 방법만 개시되어 있어서 터파기 후 수평하게 시공되는 바닥부위의 버림 콘크리트 및 수직하게 시공되는 둘레 부위의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 본 구조물 콘크리트 사이에는 아무런 방수층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부분을 통한 방수 구조 및 공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수평 시공된 버림 콘크리트 사이 또는 수직 시공된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 사이에 시공되어 일측단의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 접착되어 거동 대응성을 향상시키고 타측단의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 수분반응에 의해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일체화되어 완벽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구조체를 이루는 중심기재와; 중심기재 일측면에 형성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 및 수분에 반응하여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경화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일체화 되는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와; 중심기재 타측면에 형성되어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 전면접착되어 거동에 대응하는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 중량부 기준, 합성고무 10 ~ 20 중량부; 석유수지 5 ~ 10 중량부; 클로로설폰화 폴리 에틸렌 2 ~ 5 중량부;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 5 ~ 10 중량부;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 1 ~ 3 중량부; 충전재 5 ~ 15 중량부;로 조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합성고무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는 비중이 1.1 ~ 1.3이고 염소함량이 30 ~ 50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는 에스테르 함량이 99%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반응형 개질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 중량부 기준, 수반응 및 경화용 폴리머 10~30 중량부; 활성탄 5~10 중량부; 광유 5~15 중량부, 아미노실란 1~3중량부; 에폭시실란 1~3 중량부; 비닐실란 1~3 중량부; 충전재 5~20 중량부;로 조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수반응 및 경화용 폴리머는 축합형 변성실리콘 또는 우레탄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활성탄은 요오드가 9 ~ 13인 야자계 또는 석탄계 활성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중심기재는 장섬유 부직포, PP 직포, PE필름 및 글라스 파이버 메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 방수재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중심기재의 하부에 형성된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층을 형성하여 버림 콘크리트 또는 수직 시공된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면과 전면접착되어 거동에 대하여 우수하게 대응하면서 일체를 이룰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본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는 점착성능이 발현되지 않아 작업자 보행 및 후속 건설공정이 가능하고,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수분 및 시멘트 수화물과 반응하여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콘크리트와 일체로 부착되어 우수한 부착성능을 확보함으로써 계면 누수방지를 나타내는 효과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 방수재는 내후성능이 우수하여 장시간 노출에도 자외선에 따른 급격한 산화 및 노화현상을 방지하는 효과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 방수재는 별도의 공정없이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만으로 일체화된 방수층을 형성하여 공사 원가의 절감 효과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 방수재를 구성하는 조성물은 기존의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달리 인체에 무해하다는 효과를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방수재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방수재의 시공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예시된 도면은 본 발명 구성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시공단면을 예시적으로 절단한 것으로 실제 시공시의 모양이나 축적이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1)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먼저 중심기재(11)는 장섬유 부직포, PP 직포, PE필름 및 글라스 파이버 메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중심기재 상부에는 본 구조물 콘크리트(2) 타설시 시멘트 및 수분에 반응하여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경화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일체화 되는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12)가 형성되고, 중심기재 하부에는 터파기 후 시공되는 버림 콘크리트(3) 또는 수직 시공된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4)과 전면접착되는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13)가 형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림 콘크리트(3)에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1)의 양단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수밀 또는 방수에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를 설명한다.
먼저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 중량부 기준, 합성고무 10 ~ 20 중량부; 석유수지 5 ~ 10 중량부; 클로로설폰화 폴리 에틸렌 2 ~ 5 중량부;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 5 ~ 10 중량부;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 1 ~ 3 중량부; 충전재 5 ~ 15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역청질의 재료로 방수의 주된 역할을 한다. 사용되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침입도가 60 ~ 80, 또는 80 ~ 100인 것을 사용한다.
참고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침입도 물성은 현재 정유사에서 유통되며 방수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아스팔트로 KS M 2201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서 정하는 품질 기준이다.
상기 합성고무는 아스팔트의 내구성능과 내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질재로 사용되는데,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아스팔트의 탄성이 저하되어 각각의 혼합물들과의 바인더 역할을 할 수 없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저하되어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는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착부여제로 사용되는데, C-9계, C-5계 석유수지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성능이 미비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 성능의 향상 효과가 한계점을 나타낸다.
상기 클로로설폰화 폴리 에틸렌은 합성고무와 반응하여 합성고무의 접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점착보조제로 사용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접착성능이 미비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성고무의 경도를 향상시켜 접착성능을 저하 시킨다.
상기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는 유동성 및 가공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동화제로 비중이 1.1 ~ 1.3이고 염소함량이 30 ~ 50인 것을 사용한다.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는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과 합성고무의 상용성을 향상시켜 아스팔트에 분산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첨가량에 따라 아스팔트와의 혼화성에 영향을 준다.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는 비중이 1.1 보다 낮을 경우 물성적 하락을 보이며, 염소함량이 50%를 초과하여 상향 조정될 경우 점착성(Tacky)이 과하여 Base와의 상분리 요소로 작용하며, 염소함량이 30% 미만으로 적은 함량을 보일 경우 점착력이 약하여 제품에 사용하기 어렵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점도의 상승 요인이 되어 가공성이 떨어진다.
상기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는 인화점 상승을 위한 목적과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각각의 혼합물이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연화제의 작용을 한다.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는 에스테르 함량이 99%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아스팔트의 인화점을 상승 시키지 못하여 가스를 발생 시킬 수 있으며 3 중량부를 초과하면 아스팔트와 클로로 설폰화 폴리 에틸렌의 상용성을 저해 한다.
상기 충전재는 강도 보강 및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데 탄산칼슘 또는 돌로마이트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과정에서 공기층을 형성 하여 분산을 방해 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침전물을 발생 시킬 수 있다.
한편, 수반응형 개질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 중량부 기준, 수반응 및 경화용 폴리머 10~30 중량부; 활성탄 5~10 중량부; 광유 5~15 중량부, 아미노실란 1~3중량부; 에폭시실란 1~3 중량부; 비닐실란 1~3 중량부; 충전재 5~2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역청질의 재료로 방수의 주된 역할을 한다. 사용되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는 침입도가 60 ~ 80, 또는 80 ~ 100인 것을 사용한다.
참고로 상기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의 침입도 물성은 현재 정유사에서 유통되며 방수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아스팔트로 KS M 2201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에서 정하는 품질 기준이다.
상기 수반응 및 경화용 폴리머는 축합형 변성실리콘 또는 우레탄수지를 사용한다. 폴리머는 아스팔트를 개질하고 수반응 시키기 위한 폴리머로 수분에 반응하여 경화시키기 위하여 개질제로 사용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수분반응에 의한 경화가 진행되지 않아 액상상태를 유지하며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급속경화가 진행되어 저장안정성이 불안정하다.
상기 활성탄은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수분 흡착제로 요오드가 9 ~ 13인 야자계 또는 석탄계 활성탄을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수분 흡수율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며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시간을 조절하기 어려워 후속공정이 어렵다 이때 요오드가를 9 ~ 13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활성탄의 흡착률을 나타내는 수치로 9 ~ 13인 활성탄을 사용 할때 가공성이 안정적이다.
상기 광유는 유동화제로 파라핀 함량이 50 ~ 55인 것을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5중량부 미만일때는 유동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며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 진행이 어려워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아미노실란은 접착 촉진제로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 페이스트와 수분에 의한 접착성능을 향상시킨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접착성능이 미비하고, 3중량부를 초과하면 접착 성능의 향상 효율이 미비하다.
상기 에폭시실란은 유기물 및 무기물의 결합을 목적으로 위해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무기물의 침전이 이루어 질수 있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혼합물의 상분리 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상기 비닐실란은 수분 흡수제 및 저장 안정제로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 후 수분 반응에 의한 경화 촉매로 혼합물질들과 콘크리트의 반응에 의한 접착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분 흡수제로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의 반응 시간이 오래걸려 일체화가 되지 않으며 3중량부를 초과하면 급격히 반응하여 막을 형성하여 일체화 되지 않는다.
상기 충전재는 강도 보강 및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데 칼슘 카보네이트를 사용한다. 수치 한정 이유는 조성물 내에서 투입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과정에서 공기층을 형성 하여 분산을 방해하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침전물을 발생 시킬 수 있다.
한편 중심기재(11)는 시트방수재의 구조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장섬유 부직포, PP 직포, PE필름 및 글라스 파이버 메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 PP(폴리 프로펠렌) 직포는 단위면적(㎡)당 100~140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 140g/㎡의 범위일 때 열에 의한 변형이나 외부 환경에 대한 수축 팽창이 일어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파이버 메쉬는 단위면적(㎡)당 100 ~ 140g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g/㎡ 미만일 때는 굴곡이나, 접힐시 부러져 파단이 발생하여 중심기재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140g/㎡을 초과할 때는 두께 및 구조의 밀도가 높아져 개질아스팔트와 일체화되지 않는다.
상기 PE필름은 두께가 150 ~ 200㎛의 필름을 사용하는데 두께가 150㎛ 미만이면 중심기재로서의 충분한 물리적 특성을 발휘 할 수 없고 200㎛를 초과하면 필름의 형태가 아닌 시트의 형상을 가져 저온 굴곡시 부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심기재(11)를 사이로 양측면에 형성된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12)과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13)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1)의 시공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건축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 터파기 후, 바닥부분은 수평하게 버림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둘레에는 흙막이를 위해 수직하게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을 시공하는 공사를 한다.
이후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에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1)를 전면접착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은 시공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1)를 이루는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13)는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의 거동에 대응하면서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1)의 타측단인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12)는 경화 상태를 유지하여 표면 접착력이 없기 때문에 점착성능이 발현되지 않아 작업자의 보행 및 후속 건설공정이 가능하다.
이후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12)에 접하게 구조물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구조물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요오드가 9 ~ 13인 활성탄이 수분 및 시멘트의 무기물을 흡착하여 에폭시 실란, 비닐실란 등과 반응하여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일체화 되어 우수한 접착성능을 나타내어 들뜸, 박리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1)
하부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SBS 1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C-9계 석유수지 5중량부, 유동화제로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 6중량부, 연화제로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 가소재 2중량부, 점착보조제로 클로로설폰화 폴리 에틸렌 3중량부, 충전재로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하부의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제조 하였다.
또한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축합형 변성실리콘 30중량부, 유동화제로 광유 5 중량부, 수분 흡착제로 굵기가 300 Mesh 이하인 야자계 활성탄 5중량부, 아미노실란 2 중량부, 커플링제로 에폭시 실란 2중량부, 안정제로 비닐실란 1 중량부, 충전재로 칼슘 카보네이트 8중량부를 혼합하여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를 제조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구비후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 하부에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두께 1mm로 도포하여 1차 시트를 제조한 후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를 도포와 동시에 수분을 접촉시켜 속건조하여 1mm로 도포하여 총두께 2.5mm를 형성하였다.
특히 상기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투입원료를 180℃에 혼합한 후 130℃ 이하로 냉각하여 도포한 후 1차 시트를 제조하고,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투입원료를 150℃에서 혼합 후 중심기재에 도포 후 수조에 침지시켜 냉각과 동시에 경화시켜 표면의 점착 성능을 제거하여 경보행 및 후속공정 작업이 가능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하부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SBS 12 중량부, 점착부여제로 C-9계 석유수지 5중량부, 유동화제로 광유 8중량부, 충전재로 탄산칼슘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하부의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제조 하였다.
또한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중량부에 SBS 15중량부, 유동화제로 광유 5 중량부, 충전재로 칼슘 카보네이트 8중량부를 혼합하여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를 제조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구비후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 하부에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를 두께 1mm로 도포하여 1차 시트를 제조한 후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를 도포와 동시에 수분을 접촉시켜 속건조하여 1mm로 도포하여 총두께 2.5mm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물성을 정리한 것을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비교예 1은 일반적인 KS F 4917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물성이며 실시예1의 인장강도, 신장률은 비교예와 비슷하나 내한성능을 나타내는 저온굴곡성능은 비교예와 비교시 월등하게 우수하며,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바탕면(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의 부착성능이 우수하고,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는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 후 부착성능 비교시 비교예 1은 탈락이 발생하는 반면 실시예 1은 타설된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안정하게 부착됨을 알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는 양측단면이 모두 우수한 부착력을 유지하면서 일체화 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 투수 안정성능에서도 일체화된 방수층 형성으로 투수 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2) : 본 구조물 콘크리트
(3) : 버림 콘크리트
(4) :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
(11) : 중심기재
(12) :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
(13) :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Claims (8)

  1. 구조체를 이루는 중심기재와;
    중심기재 일측면에 형성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 타설시 시멘트 및 수분에 반응하여 점착성능이 발현되면서 경화되어 본 구조물 콘크리트와 일체화 되는 수반응형 개질아스팔트와;
    중심기재 타측면에 형성되어 버림 콘크리트 또는 제자리 콘크리트 연속벽과 전면접착되어 거동에 대응하는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 중량부 기준, 합성고무 10 ~ 20 중량부; 석유수지 5 ~ 10 중량부; 클로로설폰화 폴리 에틸렌 2 ~ 5 중량부;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 5 ~ 10 중량부;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 1 ~ 3 중량부; 충전재 5 ~ 15 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염소화 파라핀계 가소재는 비중이 1.1 ~ 1.3이고 염소함량이 30 ~ 50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디-이소노릴 프탈레이트계 가소재는 에스테르 함량이 99%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반응형 개질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100 중량부 기준, 수반응 및 경화용 폴리머 10~30 중량부; 활성탄 5~10 중량부; 광유 5~15 중량부, 아미노실란 1~3중량부; 에폭시실란 1~3 중량부; 비닐실란 1~3 중량부; 충전재 5~20 중량부;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반응 및 경화용 폴리머는 축합형 변성실리콘 또는 우레탄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활성탄은 요오드가 9 ~ 13인 야자계 또는 석탄계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재는 장섬유 부직포, PP 직포, PE필름 및 글라스 파이버 메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KR1020160154895A 2016-11-21 2016-11-21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KR101863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95A KR101863885B1 (ko) 2016-11-21 2016-11-21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95A KR101863885B1 (ko) 2016-11-21 2016-11-21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756A true KR20180057756A (ko) 2018-05-31
KR101863885B1 KR101863885B1 (ko) 2018-06-04

Family

ID=6245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895A KR101863885B1 (ko) 2016-11-21 2016-11-21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1419A (zh) * 2019-04-02 2019-07-05 河南驼峰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在金属屋面上的自粘防水胶料及其制备方法
KR102047722B1 (ko) * 2018-12-04 2019-12-04 김영철 보수용 기능성 재생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7962B1 (ko) * 2022-01-27 2022-07-07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흐름 방지 특성을 갖는 고점도 스프레이 방수씰재 및 이를 사용한 합벽방수 시공방법
KR20220100375A (ko) 2021-01-08 2022-07-15 유상봉 콘크리트 타설용 방수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253B1 (ko) * 2017-12-27 2019-11-29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라돈 차단용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시트방수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182A (ja) * 2004-09-29 2006-04-13 Kaneka Corp ポリ塩化ビニル系繊維
KR101117743B1 (ko) * 2011-06-23 2012-03-07 (주)리뉴시스템 역타설이 가능한 수반응형 탄성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재
KR101551197B1 (ko) * 2015-03-31 2015-09-08 태정산업개발(주) 알칼리회복 단열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600072B1 (ko) * 2015-06-26 2016-03-15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182A (ja) * 2004-09-29 2006-04-13 Kaneka Corp ポリ塩化ビニル系繊維
KR101117743B1 (ko) * 2011-06-23 2012-03-07 (주)리뉴시스템 역타설이 가능한 수반응형 탄성 도막재를 이용한 복합방수재
KR101551197B1 (ko) * 2015-03-31 2015-09-08 태정산업개발(주) 알칼리회복 단열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600072B1 (ko) * 2015-06-26 2016-03-15 주식회사페트로산업 아스팔트 우레탄 방수 도막재와 방수시트를 포함하는 이중복합 방수시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722B1 (ko) * 2018-12-04 2019-12-04 김영철 보수용 기능성 재생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71419A (zh) * 2019-04-02 2019-07-05 河南驼峰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在金属屋面上的自粘防水胶料及其制备方法
KR20220100375A (ko) 2021-01-08 2022-07-15 유상봉 콘크리트 타설용 방수부재
KR102417962B1 (ko) * 2022-01-27 2022-07-07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콘키올린을 포함하는 흐름 방지 특성을 갖는 고점도 스프레이 방수씰재 및 이를 사용한 합벽방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85B1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885B1 (ko)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자착식 시트방수재
JP7100638B2 (ja) 防水システム
ES2918898T3 (es) Sistema de techado adherido con membranas de techado termoplásticas
KR102050253B1 (ko) 라돈 차단용 콘크리트 타설 일체 부착형 시트방수재
RU2660868C2 (ru) Полотна с покрытием, включающим вспененный графит
KR101718082B1 (ko)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976185B1 (ko) 자착형 부틸고무계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방수·방근 시트, 방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32175B1 (ko) 비노출용 양면 점착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비노출용 아스팔트 복합방수공법
KR101757190B1 (ko) 고점착 자착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재의 제조방법
KR102123490B1 (ko) 자착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CA2900538C (en) Oil-enhanced polymer modified asphalt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KR100533231B1 (ko) 도막방수층 보강을 위한 스트레치 고무 아스팔트 펠트 및그를 이용한 도막 및 펠트 적층방수재
KR100887404B1 (ko) 건축용 방수 및 방근 시공방법
KR101667194B1 (ko) 매쉬 함침형 이중 방수시트 및 이와 유용성 고무 아스팔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1681531B1 (ko) 친환경 자착식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방수공법
EP3994109B1 (en) Insulation material and a method for its production
KR102411277B1 (ko) 자가수선형 고무아스팔트 조성물을 이용한 포장공법
KR100605003B1 (ko) 도로균열 보수용 점착 조성물과 테이프와 조성물 및테이프 제조방법
KR101744766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재적층 자착형 부직포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공법
KR101848273B1 (ko) 구스 아스팔트를 이용한 도로 포장 방법
KR101942977B1 (ko) 콘크리트 일체형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수 및 단열 복합 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방수 및 단열 복합 시공공법
CN205185462U (zh) 一种新型塑性体改性沥青防水卷材
KR101280975B1 (ko) 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일체화가 되는 도막형 프라이머.
KR100571292B1 (ko) 방수용 아스팔트 접착제 조성물과, 그를 이용한 아스팔트시트방수시공방법
KR101745921B1 (ko) 탄소섬유를 활용한 고내구성 아스팔트계 도막방수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교면복합방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