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444A -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 Google Patents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444A
KR20180057444A KR1020160156089A KR20160156089A KR20180057444A KR 20180057444 A KR20180057444 A KR 20180057444A KR 1020160156089 A KR1020160156089 A KR 1020160156089A KR 20160156089 A KR20160156089 A KR 20160156089A KR 20180057444 A KR20180057444 A KR 2018005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user
inclined support
cervical spine
pu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480B1 (ko
Inventor
서동권
이병권
이재훈
정상우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480B1/ko
Publication of KR2018005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4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for correcting spinal deformities, e.g. scoli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주변 조직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한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머리까지를 지지하되, 머리가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경사지지부(10);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경사지지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마 부위를 가압하는 이마고정대(20); 상기 경사지지부(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를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설치되는 경추 견인부(30); 사용자의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기 위하여 에어의 유입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방향으로 팽창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설치되는 경추 만곡부(40); 및 상기 경추 만곡부(40)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경추에 밀착되었을 때 경추에 저주파 자극을 주도록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연결되어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저주파 발생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Medical Cervical Traction For Normal Curve And Release Of Cervical Spine}
본 발명은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주변 조직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한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에 관한 것이다.
경추 견인 기법(Cervical Traction)은 경추 추간판 탈출증(목 디스크, Spinal disc herniation)을 치료하기 위한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척추 주위의 인대와 근육을 이완시키고, 병변이 있는 부위의 하중을 줄임으로써 추간판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키고, 추간공을 넓혀서 탈출된 수핵을 정복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견인 기법은 비수술적 기법으로 임상시험 및 조사결과에서 뚜렷한 효과가 없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영국, 뉴질랜드, 덴마크와 미국의 임상 가이드라인에서도 목통증을 관리하는데 정확한 가이드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정확한 견인력, 각도, 견인시간 등에 관한 내용이 필요하며, 견인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고 제시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견인 기법을 통한 척추구조물들이 신장되기 위해서는 견인력이 충분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통증으로 인해 경직된 경추 주위 조직들을 충분히 이완시키는 것이 견인의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 견인치료기는 주위 조직의 충분한 이완이나 통증 감소를 주지 않아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데 제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일자목, Forward neck posture, Turtle neck)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보고에 따르면, 추간판 탈출증을 갖고 있는 환자의 약 70%가 역 C자형, 27%가 일자목을 갖고 있을 정도로 비정상적인 변형을 갖는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변형은 경추 주변에 2차적인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추간판 탈출증의 견인 치료와 동반하여 정상적인 경추 곡선(normal C- curve)을 만드는 치료도 무엇보다 중요하다.
거북목과 같은 비정상적인 경추의 변형은 추간판 탈출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머리의 중심선이 앞으로 이동하여 목과 어깨의 비정상적인 수축을 유발하여 긴장성 두통과 경추통증을 유발한다. 비정상적으로 유발된 근 수축은 견인 치료 시에 중요한 충분한 견인력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견인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주변 조직의 이완이 필요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경추 견인 치료기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21978호의 "경추 치료기"(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에 안착되고 상부면에 가이드수단이 설치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가이드수단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딩판;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슬라이딩판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압축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딩판과 연결되어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탄력 있게 상승하는 경사승강판; 상기 경사승강판과 바닥판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 슬라이딩판의 운동거리를 제한하면서 경사승강판을 하부로 하강시키는 연결링크; 상기 바닥판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머리를 받치며 목의 윗부분을 감싸는 머리받침대; 및 상기 경사승강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어깨를 받치며 목의 아랫부분을 감싸는 어깨받침대;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주변 조직을 이완시키는 구조를 갖추고 있지 않아 효과적인 견인 기법의 적용이 곤란하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경사승강판이 상하 구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도 상하 이동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어지럼증 등 불편감을 주게 되고, 경사승강판이 상하 구동됨에 따라 머리받침대가 이동하며 경추를 견인할 때 머리받침대 상에서 사용자의 머리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머리받침대와 마찰이 발생함에 따른 불편감도 유발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21978호 (2013.10.1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주변 조직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한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춘 맞춤형 경추 견인이 가능한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머리까지를 지지하되, 머리가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경사지지부; 상기 경사지지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경사지지부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마 부위를 가압하는 이마고정대; 상기 경사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를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에 설치되는 경추 견인부; 사용자의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기 위하여 에어의 유입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방향으로 팽창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에 설치되는 경추 만곡부; 및 상기 경추 만곡부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경추에 밀착되었을 때 경추에 저주파 자극을 주도록 상기 경추 만곡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추 만곡부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저주파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경추 견인부는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를 양측에서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지지부의 상면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상호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횡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경추 견인부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이나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추 만곡부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저주파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최소화되도록 전도성 은사 패브릭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경추 견인부 및 경추 만곡부에는 사용자와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장착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 증상의 경중에 따른 경추 견인 기법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경추 견인부, 경추 만곡부 및 저주파 발생부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에 따르면,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주변 조직을 이완시킨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어 경추에 대해 충분한 견인력을 가할 수 있어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지지한 상태에서 경추를 견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머리에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불편감 없이 경추 견인 기법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치수에 맞춘 맞춤형 경추 견인이 가능하여 다양한 신체 조건, 또는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 증상의 경중에 맞추어 경추 견인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는, 크게 경사지지부(10), 이마고정대(20), 경추 견인부(30), 경추 만곡부(40) 및 저주파 발생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지지부(10)는,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머리까지를 지지하되, 머리가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경사진 상면을 갖는다. 이러한 경사지지부(10)는 사용자가 편하게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어깨 이상 부위에서 가해지는 체중을 지지하면서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머리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한다.
상기 이마고정대(20)는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경사지지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마 부위를 가압한다. 이러한 이마고정대(20)는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네오플렌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추 견인부(30)는 상기 경사지지부(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를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추 견인부(30)는 사용자의 후두부 양측을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후두부 양측에서 돌출되는 돌기를 갖는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신체 조건은 다양하므로 각 사용자에 맞게 경추 후두부를 고정하거나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경추 견인부(30)는 한 쌍의 견인암(31)과 상기 견인암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물(32)로 이루어지고, 상호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횡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추 견인부(30)의 견인암(31)은 추간판 탈출증 또는 거북목 증상의 경중에 따라, 또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이나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견인암(31)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추 견인부(30)가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되지 않아도 경추를 일정량 견인하면서 근육을 지압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경추 측만 환자의 증상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경추 견인부(30)의 경사방향 및 횡방향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이동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사방향 이동은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구현 가능하고, 횡방향 접근과 이격은 중앙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구현 가능하며, 회전은 기어 방식, 체인이나 벨트 방식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경추 만곡부(40)는 사용자의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기 위하여 에어의 유입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방향으로 팽창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경추 만곡부(40)에는 에어펌프(미도시)가 연결되어 상기 경추 만곡부(4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경추 만곡부(4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50)로부터 전달된 저주파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최소화되도록 전도성 은사 패브릭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주파 발생부(50)는 상기 경추 만곡부(40)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경추에 밀착되었을 때 경추에 저주파 자극을 주도록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연결되어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저주파를 전달한다. 이러한 저주파 발생부(50)가 상기 경추 견인부(30)의 동작 이전에 작동됨에 따라 비정상적인 수축이 유발된 경추 주변 조직이 이완되어 통증이 완화되고 경추 견인의 효과가 증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추 견인부(30)와 경추 만곡부(40)에 사용자와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0a, 60b)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60a, 60b)는 상기 경추 견인부(30)와 경추 만곡부(40)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함을 아울러, 경추 견인부(30)가 경추를 견인하거나 경추 만곡부(40)가 팽창하면서 경추를 만곡시킬 때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또한 이렇게 감지된 데이터를 통해 경추 견인부(30), 경추 만곡부(40) 및 저주파 발생부(50)를 제어하도록 제어부(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 증상의 경중에 따른 경추 견인 기법에 대한 데이터도 상기 압력센서(60a, 60b)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더불어 경추 견인부(30), 경추 만곡부(40) 및 저주파 발생부(50)를 제어하는데 활용한다. 즉,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 증상의 경중을 입력함에 따라 작동되도록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가 경추 견인부(30), 경추 만곡부(40) 및 저주파 발생부(50)를 제어하되,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의 경중에 따라 설정 압력 범위 내에서 장치가 작동되게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Stage 1 :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경사지지부(10) 상에 어깨로부터 머리까지를 안착시키게 되면, 이마고정부를 통해 사용자의 이마 부위를 가압하여 작동 중에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경추 견인부(30)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에 경추 견인부(30)의 견인암(31)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견인암(31)을 상호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Stage 2 : 다음으로 도 3의 (b)와 같이, 경추 만곡부(40)에 에어가 유입되면 상기 경추 만곡부(40)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경추가 눌려지면서 만곡을 형성하게 한다. 이때 저주파 발생부(50)에서 저주파를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전달하여 저주파 전극자극을 통해 주변 조직이 이완되게 한다.
Stage 3 : 주변조직의 이완이 완료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만곡부(40)에서 에어가 유출되면서 경추 만곡부(40)가 수축되고, 경추 견인부(30)의 견인암(31)이 경사지지부(1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경추 후두부를 견인한다. 이때 Stage 2에서 경추 주변조직이 충분히 이완되었으므로 경추 견인부(30)가 경추 후두부를 견인할 때 주변조직의 경직이나 그에 따른 통증 없이 안정적인 견인 치료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간판 탈출증 또는 거북목 증상의 경중에 따라, 또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경추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견인암(31)을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이나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서 근육의 지압이나 경추 측만증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Stage 4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추를 견인한 상태 또는 경추 견인부(30)가 원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경추 만곡부(40)가 팽창하여 피부에 접촉한 후 저주파 발생부(50)로부터 생성된 저주파를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자극에 의해 주변조직의 이완이 보다 유지되고 경추 견인 후에 발생될 수 있는 통증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경사지지부
20 : 이마고정대
30 : 경추 견인부
40 : 경추 만곡부
50 : 저주파 발생부
60a, 60b : 압력센서

Claims (5)

  1. 사용자의 어깨로부터 머리까지를 지지하되, 머리가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경사진 상면을 갖는 경사지지부(10);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단이 상기 경사지지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의 이마 부위를 가압하는 이마고정대(20);
    상기 경사지지부(1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를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설치되는 경추 견인부(30);
    사용자의 경추에 만곡을 형성하기 위하여 에어의 유입에 따라 사용자의 경추방향으로 팽창하도록 상기 경사지지부(10)에 설치되는 경추 만곡부(40); 및
    상기 경추 만곡부(40)가 팽창하여 사용자의 경추에 밀착되었을 때 경추에 저주파 자극을 주도록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연결되어 상기 경추 만곡부(40)에 저주파를 전달하는 저주파 발생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부(30)는 사용자의 경추 후두부를 양측에서 고정하거나 견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경사지지부(10)의 상면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상호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횡방향으로도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추 견인부(30)는,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이나 동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만곡부(4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50)로부터 전달된 저주파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자극이 최소화되도록 전도성 은사 패브릭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추 견인부(30) 및 경추 만곡부(40)에는 사용자와의 접촉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60a, 60b)가 장착되고,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추간판 탈출증과 거북목 증상의 경중에 따른 경추 견인 기법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압력센서(60a, 60b)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경추 견인부(30), 경추 만곡부(40) 및 저주파 발생부(5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KR1020160156089A 2016-11-22 2016-11-22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KR10186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089A KR101865480B1 (ko) 2016-11-22 2016-11-22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089A KR101865480B1 (ko) 2016-11-22 2016-11-22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444A true KR20180057444A (ko) 2018-05-30
KR101865480B1 KR101865480B1 (ko) 2018-06-07

Family

ID=6230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089A KR101865480B1 (ko) 2016-11-22 2016-11-22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4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6591A (zh) * 2018-07-11 2018-11-20 陕西洁伦医药生物有限公司 一种颈椎治疗仪
KR20220001794A (ko) 2020-06-30 2022-01-06 강준한 척추 만곡 형성 및 견인 장치
WO2023136497A1 (ko) * 2022-01-12 2023-07-20 주식회사 씨비에이치 다기능 경추부 받침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98B1 (ko) * 2020-07-07 2020-11-17 (주)퓨어플랜 거북목 교정기
KR102277459B1 (ko) * 2021-01-28 2021-07-14 김태중 경추용 마사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240B1 (en) * 1999-08-06 2002-10-22 The Saunders Group, Inc. Self-seating occiput wedge system for applying a therapeutic traction force
KR101321978B1 (ko)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US8734372B1 (en) * 2013-11-20 2014-05-27 Richard A. Graham Systems and methods for decompression and elliptical traction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US20140221895A1 (en) * 2013-02-05 2014-08-07 Bonutti Research, Inc. Cervical traction systems and method
KR20160090114A (ko) * 2015-01-21 2016-07-29 김정순 운동량 극대화 의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8240B1 (en) * 1999-08-06 2002-10-22 The Saunders Group, Inc. Self-seating occiput wedge system for applying a therapeutic traction force
KR101321978B1 (ko) 2012-05-08 2013-10-28 구경순 경추 치료기
US20140221895A1 (en) * 2013-02-05 2014-08-07 Bonutti Research, Inc. Cervical traction systems and method
US8734372B1 (en) * 2013-11-20 2014-05-27 Richard A. Graham Systems and methods for decompression and elliptical traction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KR20160090114A (ko) * 2015-01-21 2016-07-29 김정순 운동량 극대화 의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6591A (zh) * 2018-07-11 2018-11-20 陕西洁伦医药生物有限公司 一种颈椎治疗仪
KR20220001794A (ko) 2020-06-30 2022-01-06 강준한 척추 만곡 형성 및 견인 장치
WO2023136497A1 (ko) * 2022-01-12 2023-07-20 주식회사 씨비에이치 다기능 경추부 받침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480B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480B1 (ko)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KR101155787B1 (ko) 골반 및 상체교정장치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US9730854B2 (e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treatment angle under tension to accommodate variations in spinal morphology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JP5721793B2 (ja) 腰椎牽引装置
US11413182B2 (en) Cervical brace
KR20010032658A (ko) 가압 치료 기구
KR102074518B1 (ko) 척추 교정 및 견인장치
KR10146884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공기압 마사지장치
KR20170103314A (ko) 경추 보조장치
KR20180081342A (ko) 경추 견인장치
KR20160010790A (ko)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JP2006345882A (ja) 牽引装置
JP2015217231A (ja) 頸椎牽引装置
KR101458714B1 (ko) 척추견인 장치
KR20150104810A (ko) 경추 부정렬 교정장치
KR101104826B1 (ko) 척추 교정장치
JP2008253631A (ja) マッサージ機
KR102145778B1 (ko) 견인운동장치
KR101706586B1 (ko)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질환 치료장치 및 그 제어 방법, 기록매체
WO2013152607A1 (en) Patient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the patient interface device to align of adjoining cervical spine
CN105943223A (zh) 非手术颈椎减压治疗系统
KR20180124317A (ko)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JP2024512144A (ja) 脊椎牽引アルゴリズム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脊椎温熱マッサー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