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4826B1 - 척추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826B1
KR101104826B1 KR1020100021154A KR20100021154A KR101104826B1 KR 101104826 B1 KR101104826 B1 KR 101104826B1 KR 1020100021154 A KR1020100021154 A KR 1020100021154A KR 20100021154 A KR20100021154 A KR 20100021154A KR 101104826 B1 KR101104826 B1 KR 10110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upport
user
spine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848A (ko
Inventor
박세진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2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8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38Interfaces to the user freely programmable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0Muscle strain, i.e. measured on the user, e.g. Electromyography [EM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요추의 골격을 물리적인 힘으로 견인하여 디스크 질환 부위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요추의 골격을 물리적인 힘으로 견인하여 디스크 질환 부위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측 일정 영역에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되 힌지(hinge)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체 받침대(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측 나머지 영역에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나란하게 분리 위치하여 하체를 받쳐주는 하체 받침대(30); 상기 힌지부 영역에 구비되어 허리를 받쳐주는 템플릿(41); 상기 상체 받침대(20) 또는 하체 받침대(30)에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21,31); 상기 요추 부위의 척추 교정를 위해 하체 받침대(30) 또는 사용자의 하체를 일정 거리상 직선운동을 반복 실시하여 디스크 부위를 인장시키는 견인부(50); 및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나이, 성별 및 근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견인장치의 동작강도, 동작모드 및 힌지부(4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기계적인 조작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형상, 나이, 성별, 근육량의 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단축된 신체를 견인하여 변형된 디스크 부위를 정상화하여 디스크를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교정장치 {The vertebra proof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척추 교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잘못된 척추의 골격을 견인시켜 디스크 질환을 치료하는 척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서 두 다리는 땅의 지반에 해당되고, 골반은 초석에 해당되며, 척추는 대들보에 해당된다고 한다. 이 가운데 대들보에 해당되는 척추에는 31쌍의 말초신경이 분포되어 있고, 직렬로 배열되는 다수의 뼈와 각 뼈 사이의 디스크로 구성되며, 디스크는 뼈의 동작 윤활 및 완충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디스크 질환은 무거운 것을 잘못 들거나 바르지 못한 자세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척추를 구성하는 뼈들이 서로 어긋나 디스크가 정상 위치를 이탈하여 주위의 신경 다발을 자극함으로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척추뼈에 변위가 일어나면 그 변위를 일으킨 곳의 말초신경이 장애를 받아 여러가지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여러 임상실험을 통해 밝혀진 바 있다. 예를 들어, 혈액순환 장애, 신경통, 요통 및 생리통 등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질병의 근원은 척추뼈의 변위에 의해 발생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척추뼈의 변위를 바르게 교정하는 방법이야 말로 질병 치료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크 질환환자의 치료는 수술요법, 물리요법, 화학요법 등의 치료요법들이 주로 이용되었다. 상기 수술요법은 병증부위를 수술로 절개하는 방법으로 치료 시간 및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이 있었고, 화학요법은 약물을 이용한 간단한 요법이지만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만족할 만큼의 치료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그에 반해 상기 물리요법은 간단한 시술로 별다른 부작용 없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척추 교정장치는 환자를 침상에 고정하고, 침상에 설치된 도르레에 연결된 견인레버나 등을 동작시켜 양 방향으로 신체를 견인시켜 제자리를 이탈한 뼈를 원래의 상태로 돌리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척추 교정장치는 경추의 디스크 부위를 견인 과정에서 사용자의 척추형상, 나이, 성별, 근육량 등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체중에 따라서 일정한 힘과 방향으로만 디스크 부위를 견인시키므로 환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장치는 일률적인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힘을 이용하여 디스크 질환을 치료하는 종래의 척추 교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척추형상, 나이, 성별, 근육량의 특성에 따라 디스크 부위를 견인시키는 힘의 크기와 방향의 조절이 가능하여 정확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척추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척추 교정장치(100)는 요추의 골격을 물리적인 힘으로 견인하여 디스크 질환 부위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측 일정 영역에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되 힌지(hinge)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체 받침대(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측 나머지 영역에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나란하게 분리 위치하여 하체를 받쳐주는 하체 받침대(30); 상기 힌지부 영역에 구비되어 허리를 받쳐주는 템플릿(41); 상기 상체 받침대(20) 또는 하체 받침대(30)에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21,31); 상기 요추 부위의 척추 교정를 위해 하체 받침대(30) 또는 사용자의 하체를 일정 거리상 직선운동을 반복 실시하여 디스크 부위를 인장시키는 견인부(50); 및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나이, 성별 및 근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견인부(50)의 동작강도, 동작모드 및 힌지부(4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척추 교정장치(100)는 상기 하체 받침대(30)에 중공부(32)가 형성되고,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밴드(31)가 상기 중공부(32)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인부(50)는 상기 고정밴드(31)를 하체측으로 견인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견인부(50)는 상기 하체 받침대(30)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고정밴드(31)의 견인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견인방향변경대(51); 상기 고정밴드(31)와 연결되는 견인줄(52); 상기 견인줄(52)을 지지하는 지지부(53); 및 구동풀리(54)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견인줄(52)을 당기거나 해제하는 구동모터(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높이 조절부가 개재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상체 받침대(20)는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유압잭(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근력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템플릿(41)은 요추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템플릿(41)은 연령대의 척추형상에 따라 3차원적으로 다수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척추 교정장치는 간단한 기계적인 조작을 통해 사용자의 척추형상, 나이, 성별, 근육량의 특성에 따라 그에 맞는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단축된 신체를 견인하여 전위된 디스크 부위를 정상화하여 디스크를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벨트로 상체를 프레임에 고정한 상태에서 벨트에 견인줄을 연결하여 하체를 견인함으로써,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해줌에 따라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치료 후 회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척추 교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견인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견인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상체 받침대의 승강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용수철을 이용한 배근력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배근력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척추형상 템플릿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일례로 20대 척추형상 템플릿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피측정자가 척추형상 템플릿 위에 누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척추 교정장치(100)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면으로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척추 교정장치(100)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견인부(50)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견인부(50)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상체 받침대(20)의 승강되는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용수철을 이용한 배근력계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배근력 측정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척추형상 템플릿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일례로 20대 척추형상 템플릿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피측정자가 척추형상 템플릿 위에 누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요추의 골격을 물리적인 힘으로 견인하여 디스크 질환 부위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10), 상체 받침대(20), 하체 받침대(30), 템플릿(41), 견인부(50) 및 제어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골격을 형성하도록 바닥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구성으로서, 상측 일부에 상체 받침대(20); 나머지 영역에 하체 받침대(30)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하단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바퀴를 구비할 수 있고, 양 측면에 보조손잡이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하체 받침대(30)의 사이 공간에 보호주름막을 설치하여 골반 교정장치의 작동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상체 받침대(20)는 상기 하체 받침대(30)와 인접한 영역에 힌지(hinge)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체 받침대(20)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칠 수 있는 헤드쿠션(2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체 받침대(30)는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함께 사용자의 전신을 받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상체 받침대(20) 또는 하체 받침대(30)는 상체 또는 하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2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체 받침대(20)에 구비되는 고정밴드(21)를 도면부호 21로, 하체 받침대(30)에 구비되는 고정밴드(31)를 고면부호 31로 표시하였다.
상기 템플릿(41)은 상기 힌지부(40) 형성 영역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템플릿(41)은 요추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40)의 템플릿(41)을 요추 형상에 맞추는 이유는 기존 척추 교정장치(100)의 일자형으로 평평한 받침대와 달리 척추가 유연하도록 약간 뒤로 구부릴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서 누었을 때에 등판(상체)이 휘어지면서 척추가 안쪽으로 구부려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상체 받침대(20)에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체 받침대(20)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부는 링크가 승강되는 통상적인 유압잭(22)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개개인에 따라 요추형상이 서로 다르므로 그 높이를 제어부(60)를 통해 적절히 조절한 후 하체받침대가 직선 왕복운동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견인부(50)는 요추 부위의 척추 교정를 위해 하체 받침대(30) 또는 사용자의 하체를 일정 거리상 직선운동을 반복 실시하여 디스크 부위를 인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척추 교정장치(100)는 상기 견인부(50)에 의한 하체 받침대(3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되, 그 힘이 도 2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방향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체 받침대(30)에 중공부(32)가 형성되고,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밴드(31)가 상기 중공부(32)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인부(50)는 상기 고정밴드(31)를 하체측으로 견인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견인부(50)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상기 고정밴드(31)를 견인하도록 할 수 있으나, 견인줄(52) 및 구동풀리(54)를 이용한 구동모터(55)를 포함하는 예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견인줄(52)은 상기 고정밴드(31)의 중공부(32) 하측으로 삽입된 단부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견인방향을 수평방향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체 받침대(30)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견인방향변경대(51)가 더 구비된다. (도 3 참조)
또한, 상기 견인줄(52)을 지지하며, 용이하게 견인될 수 있도록 도르레 형태의 지지부(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5)는 구동풀리(54)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견인줄(52)을 당기거나 해제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척추 교정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AC 220V 60Hz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6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성별, 나이, 척추형상에 대한 정보와 전기적 신호로 인하여 측정되는 근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견인부(50)의 동작시간, 동작강도, 동작모드(연속, 단속, 증감)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상체 받침대(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근력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척추 교정장치(100)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자세히 살펴본다. 먼저 척추의 근력 측정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측정방법은 배근력의 측정과 동시에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배근력은 몸통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등 쪽의 작은 근육들이 낼 수 있는 힘을 나타낸다. 특히 자세의 유지나 신체의 각종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물건을 손으로 꽉 쥐는 힘인 악력(握力)과 함께 근육의 힘을 나타낼 수 있는 대표적인 측정자료가 된다. 키, 체중, 가슴둘레 등 신체의 형태와 관계가 깊고 또한 달리기, 던지기 등의 운동능력 과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배근력의 측정을 통해 피험자의 대표적인 근력을 얻을 수 있었다. 배근력의 측정은 도면 5와 같이 용수철을 이용한 배근력계를 이용하여 측정과 근전도 측정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피험자는 도면 6과 같이 무릎을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발 끝을 약 15 벌리고 서서 등 쪽의 근육을 펴고 배근력계의 핸들을 손바닥 아래로 하여 쥐고 허리를 30° 각도로 굽힌 뒤 상체를 일으키면서 천천히 힘을 가하다가 5초 이상 힘껏 잡아당겨서 측정을 하였다. 근전도 측정은 Biopac MP100 system을 이용하여 좌우 Lumbar muscle의 근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전극은 직경 10mm disc 모양의 3M Red Dot Electrode를 사용하였고 Electrode가 부착되는 부분의 피부는 의료용 알코올로 깨끗이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피부에 부착시켰으며, 이때 근육의 방향성분과 가능한 수직방향으로 부착하였다. 표본주파수(sampling frequency)는 1000Hz로 하였다. 각 측정 간 5분 이상의 충분한 휴식과 함께 3번의 반복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근전도 변화의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신체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여러 가지 파라미터들과 배근력 측정 시 얻어진 배근력 수치, 근전도 데이터 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근전도 데이터는 Filtering(Filter : FIR, Low Frequency : 10 Hz, High Frequency : 500 Hz, Window : Feier)을 하였으며 Rectification과 Smoothing(Algorithm : RMS, Window : 50ms) 과정을 거쳐 RMS value를 구하였고 이를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몸무게 변화에 따른 RMS value가 [표 1]과 [표 2]에 나타나 있다. 남녀 성별에 상관없이 몸무게가 클수록 RMS value가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80 kg와 80~90 kg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65~75 kg와 75 kg 이상으로 나누었을 때 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40 kg 이하, 40~50kg, 50kg 이상으로 나누었을 때 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몸무게와 RMS value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선형 혹은 비선형 적인 추세는 보이지 않았다(=29.9%). 그렇지만 남성의 경우 75kg 이상의 RMS value는 55kg 이하(p-value=0.002), 55~65kg(p-value=0.011), 65~75kg(p-value=0.09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여성의 경우 40 kg 이하와 40~50 kg와는 유의하지 않지만(p-value=0.158) 큰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50kg 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성의 몸무게 범위에 따른 RMS value
몸무게 범위 RMS value
55 kg 이하 61.47
55 ~ 65 kg 53.95
65 ~ 75 kg 42.97
75 kg 이상 30.83
여성의 몸무게 범위에 따른 RMS value
몸무게 범위 RMS value
40 kg 이하 45.18
40 ~ 50 kg 35.17
50 ~ 60 kg 29.28
60 ~ 75 kg 29.04
연령대에 따른 RMS value가 [표 3]과 [표 4]에 나타나 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RMS value가 높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10대와 20~50대, 60대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성의 경우 10대와 20대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남성 10대의 경우 20~50대(p-value=0.037), 60대 이상(p-value=0.034)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20~50대와 60대 이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10대와 20대 이상과는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value=0.038).
남성의 연령대에 따른 RMS value
연령대 RMS value
10대 60.94
20 ~ 50 대 44.27
60대 이상 39.41
여성의 연령대에 따른 RMS value
연령대 RMS value
10대 42.97
20대 이상 31.09
운동정도와 근전도 신호간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운동량과 근전도 신호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운동정도는 실험 전 설문조사를 통해 그 값을 얻었다. 설문조사는 두 가지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문항은 한 주간 운동 횟수에 대한 조사이며 두 번째 문항은 하루 운동 시간에 대한 조사이다. 이를 통해 한 주간 운동하는 시간을 알 수 있었다. 최대 6일 이상을 하는 경우 6점을 부여하였으며 최대 3시간 이상을 운동하는 경우 3점을 부여하였다. 이 두 값을 곱하여 최대 18점부터 0점까지의 점수를 개인별로 부여, 이 점수를 10점 척도를 이용하여 피험자별로 1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였다. 운동정도에 따른 RMS value에 대한 결과가 [표 5]와 [표 6]에 나타나 있다. 운동을 많이 할 경우 RMS value가 높게 나오는 경향은 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남자의 경우 운동을 거의 하지 않을 때와 일주일에 6시간 이상 운동을 하는 피실험자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p-value=0.399) 약간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역시 운동을 거의하지 않았을 때와 일주일에 3시간 이상씩 할 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지만(p-value=0.335) 약간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남성의 운동 정도에 따른 RMS value
운동량 RMS value
1 41.30
2~4 49.66
5~7 48.29
8~10 51.26
여성의 운동 정도에 따른 RMS value
운동량 RMS value
1 34.47
2~3 30.665
4~7 이상 50.02
다음은 척추의 근전도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척추의 근전도 실험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되는 사항은 몸무게가 작게 나갈수록 근전도 신호는 크게 발생하고, 연령이 작을수록 근전도 신호는 크게 발생하고, 대체적으로 운동량, 즉 근육량이 많을 경우 근전도 신호가 크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이에 맞게 척추 형상 템플릿을 제작하였다. 먼저 평균 3차원 척추 형상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척추 형상은 안락침대나 척추 견인기 설계 시 척추 환자가 누울 침대부의 평면을 제작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척추 견인기의 침대부 제작에 연령대 별 한국인 평균척추 형상에 맞는 침대부를 설계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연령대별 3차원 평균 척추 형상을 기준으로 환자 등 부위가 접촉하는 침대 형상 템플릿을 제작하였다. 도면 7과 도면 8은 연령대별 제작한 3차원 척추 형상 템플릿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동작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인적사항 입력한다. 상기 인적사항은 사용자, 혹은 환자분의 인적사항(키, 몸무게, 평소 운동정도 등)을 말한다. 그리고, 척추형태 확인한다. X-ray 결과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치료 후의 척추형상과 가장 일치한다고 판단한 척추형상 탬플릿을 척추견인기 받침(볼록면)으로 사용한다. 다음은 척추견인 강도를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몸무게를 고려하지만 반드시 연령, 근육량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다음은 척추 견인 & 근전도 측정한다. 척추 견인과 더불어 척추 기립근(Lumbar muscle)의 근전도도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설정 무게로 척추 견인한다. 이 때, 척추 견인과 함께 근전도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면서 근전도 신호가 비이상적으로 증,감 하는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척추 교정장치
10 : 베이스 프레임 20 : 상체 받침대
21 : 상체 고정밴드 22 : 유압잭
23 : 헤드쿠션 30 : 하체 받침대
31 : 하체 고정밴드 32 : 중공부
40 : 힌지부 41 : 템플릿
50 : 견인부 51 : 견인방향변경대
52 : 견인줄 53 : 지지부
54 : 구동풀리 55 : 구동모터

Claims (8)

  1. 요추의 골격을 물리적인 힘으로 견인하여 디스크 질환 부위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장치(100)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측 일정 영역에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되 힌지(hinge)부를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체 받침대(20);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상측 나머지 영역에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나란하게 분리 위치하여 하체를 받쳐주는 하체 받침대(30);
    상기 힌지부 영역에 구비되어 허리를 받쳐주는 템플릿(41);
    상기 상체 받침대(20) 또는 하체 받침대(30)에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21,31);
    상기 요추 부위의 척추 교정를 위해 하체 받침대(30) 또는 사용자의 하체를 일정 거리상 직선운동을 반복 실시하여 디스크 부위를 인장시키는 견인부(50); 및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나이, 성별 및 근력의 정보에 따라 상기 견인부(50)의 동작강도, 동작모드 및 힌지부(4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하체 받침대(30)에 중공부(32)가 형성되고, 하체를 고정하는 고정밴드(31)가 상기 중공부(32)에 삽입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견인부(50)가 상기 고정밴드(31)를 하체측으로 견인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50)는
    상기 하체 받침대(30)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구비되어 고정밴드(31)의 견인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견인방향변경대(51);
    상기 고정밴드(31)와 연결되는 견인줄(52);
    상기 견인줄(52)을 지지하는 지지부(53); 및
    구동풀리(54)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견인줄(52)을 당기거나 해제하는 구동모터(5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받침대(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높이 조절부가 개재되며,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상체 받침대(20)는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유압잭(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41)은 요추 형상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41)은 연령대의 척추형상에 따라 3차원적으로 다수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장치.
KR1020100021154A 2010-03-10 2010-03-10 척추 교정장치 KR10110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154A KR101104826B1 (ko) 2010-03-10 2010-03-10 척추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154A KR101104826B1 (ko) 2010-03-10 2010-03-10 척추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848A KR20110101848A (ko) 2011-09-16
KR101104826B1 true KR101104826B1 (ko) 2012-01-16

Family

ID=4495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154A KR101104826B1 (ko) 2010-03-10 2010-03-10 척추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00B1 (ko) * 2012-05-30 2014-06-05 이승훈 정위반사를 이용한 척추 교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375B1 (ko) * 2015-06-05 2017-05-22 주식회사 티앤아이 물리치료용 척추교정기
KR200492558Y1 (ko) * 2018-04-13 2020-11-04 이현정 안마 기능을 갖는 침대 시스템
CN109875834B (zh) * 2019-02-18 2021-07-20 解国强 一种脊柱复健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198041B1 (ko) * 2019-03-13 2021-01-04 최홍희 다중 자세 교정이 가능한 복합 척추검사 보조장치
KR102461241B1 (ko) * 2020-07-29 2022-11-01 이종우 라운드숄더 교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12A (ja) * 1993-06-21 1995-01-17 Fuji Photo Film Co Ltd 熱現像感光材料の処理方法
JPH11113943A (ja) 1997-10-15 1999-04-27 Hitoshi Imamura 腰部けん引電動装置
KR20030086066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바이오카본텍 활성탄을 이용한 시멘트의 제조방법
KR200386066Y1 (ko) * 2005-02-17 2005-06-07 세익메디칼 주식회사 척추 교정장치
KR20080006337A (ko) * 2006-07-12 2008-01-16 김문규 신체교정용 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12A (ja) * 1993-06-21 1995-01-17 Fuji Photo Film Co Ltd 熱現像感光材料の処理方法
JPH11113943A (ja) 1997-10-15 1999-04-27 Hitoshi Imamura 腰部けん引電動装置
KR20030086066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바이오카본텍 활성탄을 이용한 시멘트의 제조방법
KR200386066Y1 (ko) * 2005-02-17 2005-06-07 세익메디칼 주식회사 척추 교정장치
KR20080006337A (ko) * 2006-07-12 2008-01-16 김문규 신체교정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100B1 (ko) * 2012-05-30 2014-06-05 이승훈 정위반사를 이용한 척추 교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848A (ko) 201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1005B1 (ko) 물리치료 기능을 구비한 마사지장치
KR102317187B1 (ko) 병상에 누운 환자를 위한 재활 기구 및 재활 기구를 포함하는 침대
CN107334572B (zh) 一种颈椎牵引装置
KR101104826B1 (ko) 척추 교정장치
CN201529182U (zh) 颈腰椎牵引装置
CN110433022B (zh) 一种采用气动肌肉驱动的腰椎牵引装置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KR20200136286A (ko) 공기압을 이용한 경추 견인형 스트레칭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CN107072866A (zh) 恢复身体均衡的下身及脊椎关节运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726060B (zh) 一种俯卧抬腿式自助牵引力多功能腰椎病治疗床
CN108742970A (zh) 一种医疗用脊椎矫正椅
CN202060925U (zh) 立式腰椎牵引装置
CN105434091A (zh) 一种脊柱减压设备
CN208287401U (zh) 一种医疗康复器械
WO2015019351A2 (en) Novik mehanurgichesky table or portable traction apparatus for manual therapy and massage
CN107468402A (zh) 多功能拉筋调理床
KR100319901B1 (ko) 디스크 치료대
CN107510531B (zh) 座式颈椎分型康复治疗机
CN105213079A (zh) 一种可支撑颈椎卧位间歇式牵引床
CN209752056U (zh) 一种腰腿疼痛康复锻炼装置
CN117157041A (zh) 脊椎牵引算法及应用该算法的脊椎温热按摩装置
JP3229852B2 (ja) 腰痛の治療若しくは予防のための装置
KR970002921B1 (ko) 교정용 침대
KR100373301B1 (ko) 요천추부 교정방법 및 장치
CN212038137U (zh) 一种肩部手部伤科治疗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