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639A -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639A
KR20180056639A KR1020187004102A KR20187004102A KR20180056639A KR 20180056639 A KR20180056639 A KR 20180056639A KR 1020187004102 A KR1020187004102 A KR 1020187004102A KR 20187004102 A KR20187004102 A KR 20187004102A KR 20180056639 A KR20180056639 A KR 2018005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carriage
support structure
axi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리츠 킹
Original Assignee
아티큘레이티드 퍼니큘레이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티큘레이티드 퍼니큘레이터 에이비 filed Critical 아티큘레이티드 퍼니큘레이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8005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paternost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2009/006Ganged elev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12) 상에 캐리지(14)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10)로, 지지 구조(10)가 트랙(12)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트랙 결합 장치(16)와, 캐리지(14)를 피칭 축(32)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지 지지 부재(30)와, 그리고 캐리지 지지 부재(30)와 트랙 결합 부재(30) 간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24)를 구비하며, 지지 구조(10)가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으며, 피칭 축(32)이 절첩 상태에서 전개 상태보다 트랙에 더 근접하도록 링크 기구(24)가 구성된다.

Description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승강기 캐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 상의 캐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와 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승객 및/또는 화물을 수직으로 운송하는 다양한 승강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일부 승강기 시스템은 캐빈(cabin)이 수평 및 수직 트랙부(track portion)들을 천이할 때 캐빈이 수평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캐빈을 포함한다.
Articulated Funiculator(R: 등록상표명)는 WO 2013159800 A1에 기재된 수직 운송의 새로운 개념이다. 이 개념에 의하면, 수직 빌딩 내 또는 지하수갱(underground shaft)내의 두 스테이션(station)이 큰 거리, 예를 들어 100m로 이격될 수 있다. Articulated Funiculator는 고층빌딩(tall building), 깊은 지하철역과 깊은 광산에 사용될 수 있다.
US 2001020429 A1은 캐빈이 캔틸레버(cantilever)를 가져 롤링(rolling)하는 견인 휠(traction wheel) 조립체에 연결된 자율(autonomous) 운송 시스템을 개시한다. 캔틸레버는 휠 가이드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있는 회동 조인트(swivel joint)에 캐빈을 고정(hold)한다.
US 2001020429 A1의 운송 시스템은 건물의 큰 용적을 소모하는 비교적 큰 승강기 수갱(elevator shaft)을 요구함으로써 건물의 사용 가능한 바닥공간(floor space)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바닥공간의 비교적 낮은 비율만이 임대 가능하므로 건물의 경제적인 잠재력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승강기 수갱 내에 더 작은 공간을 요구하며 굴곡된(curved) 트랙을 따른 이동에 잘 맞춰진,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 상에 캐리지를 지지하는 간단한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aspect)에 따르면,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 상에 캐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제공되는데, 지지 구조는 트랙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트랙 결합 장치(track coupling arrangement)와, 피칭 축(pitch axis) 둘레로 캐리지가 회전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지 지지 부재(carriage support member)와, 그리고 캐리지 지지 부재와 트랙 결합 장치 간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linkage mechanism)를 구비하는데, 지지 구조가 전개 상태(expanded state)와 절첩 상태(collapsed state)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 기구가 구성되며, 피칭 축이 절첩 상태에서 전개 상태보다 트랙에 더 근접한다.
캐리지는 승객 캐리지 및/또는 화물 캐리지가 될 수 있다. 캐리지는 대체적으로 포드(pod), 캐빈(cabin), 또는 카(car)로도 지칭된다. 승강기 시스템에 복수의 캐리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캐리지는 트랙 상에 독립적으로 운행되거나 둘 이상의 캐리지들이 집합적으로 열차(train)로서 운행될 수 있다. 캐리지들이 열차로서 집합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캐리지는 독립적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케이블 등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트랙은 단일한 레일 또는 복수의 레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적절한 트랙은 한 쌍의 레일들로 구성된다. 트랙은 캐리지를 가진 지지 구조가 트랙을 따라 이동하며 공간상에서 롤링(roll)할 수 있도록 나선부(helical se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랙의 피칭 축은 트랙의 롤링 및 요잉(yaw) 축에 대략 수직이다. 이에 따라 피칭 축은 (예를 들어 주행 방향 등) 트랙의 국부적 연장 방향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축을 구성한다. 피칭 축은 트랙의 횡방향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한 쌍의 레일들을 가진 트랙이 트랙으로 사용되는 경우, 피칭 축이 두 레일 간의 분리 방향(즉 횡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하도록 지지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캐리지 지지 부재는 캐리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구성들을 채택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지 지지 구조는 회동 마운트(swivel mount)를 구비한다. 회동 마운트의 한 방식은 링크 기구를 캐리지에 부착하는 베어링 마운트(bearing mount)이다. 회동 마운트는 피칭 축에 함께 위치된(collocated) 피봇 점(pivot point) 둘레로 캐리지의 회전을 허용한다.
더 간단한 형태에서, 캐리지 지지 부재는 캐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단축(shaft) 등 베어링을 가지는 관절(articulated joint)을 구비한다. 그러면 링크 기구가 이 단축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기 시스템은 예를 들어 고층빌딩 또는 깊은 지하 변전소(substation) 또는 깊은 광산에 근접하기 위한 지하에 사용될 수 있다.
트랙 결합 장치는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 있고, 링크 기구는 각각 캐리지 지지 부재와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 간을 연결하는 제1 및 제2 링크부(linkage)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제1 및 제2 링크부는 각각 제1 및 제2 링크부와 제1 및 제2 결합 부재 간의 피봇 운동(pivotal movement)이 가능하도록 피칭 축에 대략 평행한 피봇 축(pivot axis)을 각각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1 트랙 결합 부재는 트랙의 제1 부분에 부착될 수 있고 제2 트랙 결합 부재는 제1 부분에 대해 경사진 트랙의 제2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링크는 더 길어지거나 짧아질 수 있는 신축성 아암(telescoping ar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트랙의 롤링 축에 평행한 피봇 축과의 추가적 피봇 연결(pivot connection)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링크부가 이것이 부착된 트랙 결합 부재에 대해 롤링 축 둘레로 회전(pivot)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들이 이에 따라 서로에 대해 롤링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 구조가 나선 트랙부를 추종(follow)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트랙의 요잉 축에 평행한 피봇 축과의 추가적 피봇 연결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트랙 결합 부재가 이것이 부착된 각 링크부에 대해 요잉(yaw)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이러한 방법으로 레일들의 평면 내에서 굴곡된(curved) 트랙들을 추종할 수 있다.
링크들은 또는 스트럿(strut) 또는 링크 아암(link arm) 등 캐리지의 중량을 부담(carry)하기에 적합한 어떤 방식의 링크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 제1 링크는 제1 경질 아암(rigid arm)으로 구성되고 제2 링크는 제2 경질 아암으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링크부는 각각 두 링크 부재와 각 두 링크 부재 사이에 형성된 추가적 피봇 축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링크부의 하나의 링크 부재는 각 트랙 결합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pivotally) 연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간의 이동이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가 트랙의 국부적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고정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대체적인 링크 기구로, 신축성 아암이 사용될 수 있다. 신축성 아암만으로 캐리지의 중량을 부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구조는 하나의 트랙 결합 부재와 트랙 결합 부재와 캐리지 지지 부재 간을 연결하는 한 신축성 아암을 가지는 트랙 결합 장치를 구비한다. 신축성 아암은 트랙의 국부적 주행 방향에 대략 직교하고 피칭 축에 대략 직교하게 연신(延伸; extend)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두 레일들을 가지는 트랙이 사용되는 경우, 신축성 아암은 레일들 간에 형성되는 평면에 대략 수직(normal)으로 연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성 아암을 신축시킴으로써 지지 구조가 절첩 상태와 전개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다.
지지 구조는 절첩 상태에서 피칭 축과 피봇 축이 대략 정렬되도록 절첩 상태와 전개 상태 간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피봇 축은 각각 제1 및 제2 링크부와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 간의 피봇 축들이 될 수 있다. 지지 구조가 절첩 상태를 취할 때 피칭 축과 피봇 축은 트랙의 국부적 연장 방향에 대략 평행한 선에 정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들은 트랙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들은 분리 상태(separated state)와 집적 상태(compacted state) 간을 이동하는데,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들은 집적 상태에서 트랙을 따른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더 근접한다. 그러므로 지지 구조는 지지 구조가 집적 상태를 취할 때 캐리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트랙의 국부적 연장 방향을 따라) 트랙 결합 부재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구조는 캐리지가 피칭 축에 직교하는 요잉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요잉 운동은 예를 들어 캐리지 지지 부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리지 지지 구조는 캐리지가 요잉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두 회동 마운트, 예를 들어 캐리지 지지 부재와 링크 기구를 피칭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회동 마운트와 캐리지 지지 부재와 캐리지를 요잉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한 회동 마운트를 구비하는 캐리지 지지 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 지지 부재는 L-형 또는 U-형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트랙 결합 장치는 트랙을 따른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트랙 결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각 트랙 결합 부재는 트랙의 레일 부에 접촉하여 트랙을 따른 이동을 구현하도록 하나 이상의 휠 조립체(wheel assembly)를 구비할 수 있다. 휠 조립체는 레일의 둘 이상의 측면들 상에서 트랙 레일의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휠 조립체는 트랙 레일의 반대쪽 측면들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 휠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트랙 결합 부재는 두 분리된 레일들의 각 레일부에 접촉하는 두 휠 조립체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 휠 조립체는 트랙 레일의 일면에 접촉하는 두 휠들과 트랙 레일의 반대쪽 면에 접촉하는 두 휠들을 구비할 수 있다. 대응하는 수(이 경우는 둘)의 횡방향 휠들 역시 트랙 레일의 외측 또는 횡방향 부분에 접촉하도록 각 휠 조립체에 구비될 수 있다.
캐리지 지지 부재는 지지 구조가 전개 상태를 취했을 때 캐리지가 피칭 축 둘레로 360°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구조가 절첩 상태를 취했을 때, 캐리지는 그 종측면 중의 하나가 트랙에 근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지지 구조가 절첩 상태를 취했을 때 캐리지의 최근접 측면은 트랙으로부터 200mm 등, 500mm 이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국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와 캐리지를 구비하는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트랙과,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와, 그리고 캐리지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지지 구조는 피칭 축이 캐리지의 질량 중심을 통과하도록 캐리지를 지지할 수 있다.
캐리지는 수직으로 긴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캐리지의 최대 크기가 승객(또는 화물)이 서거나 앉는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는 어떤 특정한 방식의 구동 장치(propulsion system)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승강기 시스템 내의 모든 캐리지들이 한 케이블 또는 케이블들의 세트로 구동되거나 각 캐리지들이 개별적인 구동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둘 이상의 다른 방식의 구동 장치들이 승강기 시스템 내에 조합될 수도 있다.
지지 구조는 하나 이상의 모터에 의해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두 트랙 결합 부재들이 결합되는 경우, 각 피봇 축에 모터가 구비된다.
피봇 축 둘레의 캐리지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 역시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캐리지가 중력에 의해 피봇 축 둘레로 회전할 수도 있다.
지지 구조를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간을 이동시키는 모터에 대한 대안으로, 캐리지는 순수한 기계적 작용에 의해 트랙에 근접 및 이탈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적 작용은 지지 구조가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 캐리지 지지 부재에 접촉하여 캐리지를 트랙에 대해 근접 및 이탈하도록 이동시키는 안내 레일(guiding rail) 또는 그 유사물로 구현될 수 있다.
몇 가지 예시적 실시예들이 다음 항목(item)들로 제시된다:
1.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 상에 캐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로,
- 트랙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트랙 결합 장치와,
- 캐리지를 피칭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지 지지 부재와, 그리고
- 캐리지 지지 부재와 트랙 결합 장치 사이에 접속된 링크 기구로서, 상기 링크 기구는 지지 기구가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피칭 축은 절첩 상태일 때 전개 상태에서보다 트랙에 더 가까운, 상기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2. 항목 1에서,
트랙 결합 장치가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를 구비하고, 링크 기구는 캐리지 지지 부재와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 사이에서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링크부를 포함하고, 각각은 상기 피칭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제1 및 제2 링크부와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 사이에서 각각 피봇운동을 위한 피봇 축을 가지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3. 항목 2에서,
절첩 상태에서 피칭 축과 피봇 축들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4, 항목 2 또는 3에서,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가 트랙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5. 선행하는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캐리지가 피칭 축에 직교하는 요잉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구조가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6. 항목 5에서,
캐리지가 요잉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캐리지 지지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7. 선행하는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트랙 결합 장치가 트랙의 레일 부를 맞물어 트랙을 따른 이동을 확립하는적어도 하나의 휠 조립체를 구비하는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8. 선행하는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지지 구조가 전개 상태를 취할 때, 캐리지가 피칭 축 둘레로 360°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캐리지 지지 부재가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9. 트랙과, 선행하는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지지 구조와, 그리고 캐리지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
10. 항목 9에서,
피칭 축이 캐리지의 질량 중심을 통과하도록 지지 구조가 승객 캐리지를 지지하는 승강기 시스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상세, 이점과 국면들은 도면들을 참조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해 명백해질 것인데, 도면에서:
도 1a는 전개 상태에 있는 지지 구조의 개략 사시도;
도 1b는 절첩 상태에 있는 지지 구조의 개략 사시도.
이하에서, 승강기의 트랙 상에 캐리지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support structure)와 이 지지 구조를 구비하는 승강기 시스템(elevator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지시하는 데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도 1a 및 1b에서, 도 1a는 전개 상태에 있는 지지 구조(10)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절첩 상태에 있는 지지 구조(10)의 개략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a 및 1b는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track)의 일부와, 지지 구조(10)와, 그리고 캐리지(carriage; 14)를 도시한다. 트랙(12)은 두 평행한 레일들을 구비한다. 트랙(12)은 직선(straight), 경사(inclined), 굴곡(curved) 및 나선(helical)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1b에는 트랙(12)의 직선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 구조(10)는 트랙 결합 장치(track coupling arrangement; 16)를 구비한다. 트랙 결합 장치(16)는 제1 트랙 결합 부재(18)와 제2 트랙 결합 부재(18)를 구비한다. 도 1의 지지 구조(10)의 방향에서, 제1 트랙 결합 부재(18)가 제2 트랙 결합 부재(18) 위에 있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는 각각 두 흴 조립체(wheel assembly; 20)를 구비한다. 각 휠 조립체(20)는 네 휠들을 구비하는데, 두 휠은 레일의 일측에 접촉하고 두 휠은 레일의 반대측에 접촉한다. 각 트랙 결합 부재(18)의 휠 조립체(20)들은 트랙(12)의 주행 방향(travel direction)에 대략 정렬된다. 이에 따라, 트랙 결합 장치(16)는 트랙(12)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Optionally), 각 휠 조립체(20)는 각 트랙 결합 부재(18)에서 두 횡방향(lateral) 휠들이 제1 레일의 횡방향 측면에 접촉하고 두 횡방향 휠들이 제2 레일의 횡방향 측면에 접촉하여 횡방향 휠들이 트랙(12)의 반대측 측면들에 접촉하도록 두 횡방향 휠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각 트랙 결합 부재(18)의 휠 조립체(20)들은 트랙(12)의 주행 방향을 따라 정렬을 유지하도록 기부 구조(base structure)로 서로 연결된다. 각 트랙 결합 부재(18)의 기부 구조는 또한 판재(plate member; 22) 역시 구비한다.
지지 구조(10)는 링크 기구(linkage mechanism; 24)를 더 구비한다. 도 1a 및 1b에서, 링크 기구(24)는 제1 및 제2 링크부(linkage)(26)로 구현되어 있다. 제1 및 제2 링크부(26)는 각각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 회전 가능하게(pivotally)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링크부(26)는 그 단부들이 각 트랙 결합 부재(18)의 판재(22)의 (트랙(12)의 반대측인) 원격 단부(distal end portion)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 링크부(26)의 각각은 경질(rigid) 링크 아암(link arm)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링크부(26)의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이와는 달리 신축성 아암(telescoping arm)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링크부(26)는 피봇 축(pivot axis; 28) 둘레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링크부(26)는 각각 피봇 축(28)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에 부착된다. 각 트랙 결합 부재(18)의 구체적인 구성은 링크부(26)를 트랙 결합 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피봇 축(28)들은 평행하다. 피봇 축(28)들은 또한 트랙(12)의 두 레일들의 분리 방향에 대략 평행하다. 분리 방향은 트랙(12)의 횡방향, 즉 트랙(12)의 주행 방향에 직교하는 레일들 간의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링크부(26)의 단부에는 피봇 축(28)의 반대측에 링크부(26)가 공통의 축, 즉 피칭 축(32) 둘레로 회전하도록 캐리지 지지 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피칭 축(32)은 피봇 축(28)들에 대략 평행하다. 이에 따라, 피칭 축(32)은 트랙(12)의 레일들의 분리 방향과 대략 평행하다.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피칭 축(32)에 함께 위치된(collocated) 피봇 점(pivot point)을 가지는 회동 마운트(swivel mount)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캐리지(14)를 피칭 축(3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트랙 결합 부재(18)와, 링크부(26)와, 그리고 캐리지 지지 부재(30) 간의 피봇 연결(pivotal connection)에 의해,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는 트랙(12)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트랙(12)의 요잉 축(34)에 평행한 피봇 축에 대한 추가적 피봇 연결(도시 안 됨)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트랙 결합 부재(18)가 이것이 부착된 각 링크부(26)에 대해 요잉 운동을 할 수 있다. 지지 구조(1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레일들의 평면에서 굴곡된 트랙(12)을 추종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트랙 결합 부재(18)가 트랙(12)의 롤링 축(36)에 평행한 피봇 축과 추가적 피봇 연결(도시 안 됨)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링크부(26)가 이것이 부착된 트랙 결합 부재(18)에 대해 롤링 축(36) 둘레로 회전(pivot)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가 서로에 대해 롤링 축(36)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 구조(10)가 나선형 트랙부를 추종할 수 있다.
도 1a 및 1b에서 캐리어(14)는 긴 박스형의 외형을 가진다. 캐리지(14)는 승객이 앉거나 선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을 향한다.
캐리지 지지 부재(30)와 캐리지(14)의 도시는 단지 개략적이다.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예를 들어 캐리지(14)가 요잉 축(34)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추가적인 회동 마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a의 지지 구조(10)의 전개 상태(expanded state)에서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트랙(12)로부터 이격된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는 분리 상태(separated state)에 비해 트랙(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더 근접한 집적 상태(compact state)를 취한다.
지지 구조(10)의 전개 상태에서, 캐리지(14)는 피칭 축(32) 둘레로 360° 회전이 가능해진다. 전개 상태는 예를 들어, 지지 구조(10)가 굴곡된(피칭 축(32)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굴곡된) 트랙(12) 상을 주행할 때 캐리지(14)를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면서 트랙(12)과 캐리지(14)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취해진다.
지지 구조(10)의 전개 상태는 또한 트랙(12)의 수평 부분, 예를 들어 승객이 캐리지(14)를 출입할 때 역시 취해진다.
도 1b의 지지 구조(10)의 절첩 상태(collapsed state)에서, 피칭 축(32)은 도 1a의 전개 상태보다 트랙(12)에 더 근접한다. 절첩 상태는 지지 구조(10)와 캐리지(14)가 좁은 승강기 수갱(elevator shaft)을 통해 주행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칭 축(32)과 피봇 축(28)은 대략 정렬된다. 더 구체적으로, 피칭 축(32)과 피봇 축(28)은 트랙(12)의 국부적 연장 방향에 대략 평행한 선을 따라 정렬된다.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10)가 절첩 상태를 취할 때 트랙 결합 부재(18)는 분리 상태를 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결합 부재(18)의 분리 상태는 캐리지(14)가 트랙(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트랙 결합 부재(18)들의 사이에 부분적으로 맞도록(fit) 해준다. 이는 지지 구조(10)의 더욱 간결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들이 피봇 축(28) 둘레로 회전 가능하므로, 트랙 결합 부재(18)는 서로에 대해 회전하여 트랙(12)의 굴곡 부분(피칭 축에 평행한 축에 대해 굴곡된 부분)을 추종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가 서로에 대해, 또한 롤링 축(36) 및/또는 요잉 축(34)에 평행한 축 둘레로 회전하면, 지지 구조(10)는 트랙(12)의 나선형 부분 및/또는 레일들의 평면 내에서 굴곡된 트랙(12)의 부분 역시 추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 설명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부품들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화될 것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여기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9)

  1. 승강기 시스템의 트랙(12) 상에 캐리지(14)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10)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는:
    - 상기 트랙(12)을 따라 이동을 위한 트랙 결합 장치(16),
    - 상기 캐리지(14)를 피칭 축(32) 둘레로 회전할 수 있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캐리지 지지 부재(30), 및
    - 상기 캐리지 지지 부재(30)와 상기 트랙 결합 장치(16) 사이에 접속된 링크 기구(24)로서, 상기 링크 기구(24)는 상기 지지 기구(10)가 전개 상태와 절첩 상태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칭 축(32)은 전개 상태에서보다 절첩 상태에서 상기 트랙(12)에 더 가까운, 상기 링크 기구(24)를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결합 장치(16)는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24)는 상기 캐리지 지지 부재(30)와 상기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 사이에서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 링크부(26)를 포함하고, 각각은 상기 피칭 축(3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여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26)와 상기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 사이에서 각각 피봇 운동을 위한 피봇 축(28)을 가지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칭 축(32)과 피봇 축(28)들은 절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랙 결합 부재(18)는, 상기 트랙(12)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캐리지(14)가 상기 피칭 축(32)에 수직인 요잉 축(34)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상기 요잉 축(34)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1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결합 장치(16)는 상기 트랙(12)을 따른 이동을 확립하기 위해 상기 트랙(12)의 레일 부를 맞물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휠 조립체(20)를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지지 부재(30)는, 상기 지지 구조(10)가 전개 상태를 취할 때, 상기 피칭 축(32) 둘레로 360°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캐리지(14)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8. 트랙(12)과,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따른 지지 구조(10), 및 캐리지(14)를 포함하는 승강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10)는 상기 피칭 축(32)이 상기 캐리지(14)의 질량 중심을 통과하도록 상기 승객 캐리지(14)를 지지하는, 상기 승강기 시스템.
KR1020187004102A 2015-07-10 2016-06-28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KR20180056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551010-0 2015-07-10
SE1551010A SE1551010A1 (en) 2015-07-10 2015-07-10 Elevator carriage support structure
PCT/SE2016/050638 WO2017010926A1 (en) 2015-07-10 2016-06-28 Elevator carriage support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639A true KR20180056639A (ko) 2018-05-29

Family

ID=57758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102A KR20180056639A (ko) 2015-07-10 2016-06-28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01481A1 (ko)
EP (1) EP3319895A4 (ko)
JP (1) JP2018522794A (ko)
KR (1) KR20180056639A (ko)
CN (1) CN108290715A (ko)
SE (1) SE1551010A1 (ko)
WO (1) WO2017010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63288A1 (en) 2017-06-16 2018-12-20 Fritz King Structural frame for high-rise building and high-rise building
US20220364380A1 (en) * 2019-08-27 2022-11-1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veying device
DE102020205909A1 (de) * 2020-05-12 2021-11-18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Ag Umsetzanordnung für eine Aufzugsanlage
US20220063958A1 (en) * 2020-08-25 2022-03-03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elevator building to building mobility system
CN116963986A (zh) * 2021-03-08 2023-10-27 三菱电机株式会社 自动行驶电梯的驱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0867A (en) * 1930-05-31 1933-12-2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Circuitous elevator
DE1506468A1 (de) * 1967-02-22 1969-07-17 Eisen & Stahlwarenfabrik Ag Haengebahn
DE1928058B2 (de) * 1969-06-02 1974-11-14 Von Roll Ag, Gerlafingen (Schweiz) Transporteinheit für Einschienen-Hängebahnen
US3610160A (en) * 1969-08-18 1971-10-05 Mihai Alimanestianu Transport system
GB1393670A (en) * 1971-07-07 1975-05-07 Trebron Holdings Ltd Transport systems
GB1393669A (en) * 1971-07-07 1975-05-07 Trebron Holdings Ltd Transport systems
EP0187552B1 (fr) * 1985-01-04 1990-01-03 Pomagalski S.A. Installation de transport à câbles aériens
JP2529880B2 (ja) * 1988-08-30 1996-09-04 大有株式会社 垂直及び水平方向の連続的平行移動装置
JPH0296060A (ja) * 1988-09-30 1990-04-06 Nippon Cable Co Ltd 狭幅員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H049875U (ko) * 1990-05-15 1992-01-28
CA2025334C (en) * 1990-09-13 2002-11-26 Norbert Hamy Transportation system
JPH05132259A (ja) * 1991-11-06 1993-05-28 Shimizu Corp エレベータ
JP3299891B2 (ja) * 1996-09-02 2002-07-08 大同工業株式会社 階段昇降機
DE29804749U1 (de) * 1998-03-17 1998-08-06 Czarnowski, Gottfried von, 46535 Dinslaken Personenlift zur Straßenüberquerung
US6300379B2 (en) * 1999-03-22 2001-10-09 S. C. Johnson & Son, Inc. Production of stable hydrolyzable organosilane solutions
AR018972A1 (es) * 2000-01-13 2001-12-12 Serrano Jorge DISPOSICIoN AUToNOMA DE TRANSPORTE Y VEHíCULO AUToNOMO DE TRANSPORTE.
JP2005132527A (ja) * 2003-10-29 2005-05-26 Hitachi Ltd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
JP2007119165A (ja) * 2005-10-27 2007-05-1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SG137753A1 (en) * 2006-05-24 2007-12-28 Inventio Ag Elevator with frictional drive
LT5617B (lt) * 2008-04-07 2009-12-28 Ridas Matonis Transporto priemonė ir transporto sistema
US8424616B2 (en) * 2010-02-23 2013-04-23 National Oilwell Varco, L.P. Track guiding system
CN109466995B (zh) * 2017-09-08 2020-11-27 奥的斯电梯公司 简单支撑的再循环电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19895A1 (en) 2018-05-16
JP2018522794A (ja) 2018-08-16
WO2017010926A1 (en) 2017-01-19
US20180201481A1 (en) 2018-07-19
SE1551010A1 (en) 2017-01-11
CN108290715A (zh) 2018-07-17
EP3319895A4 (en)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6639A (ko) 승강기 캐리지 지지 구조
CN101023019B (zh) 用于升降和稳固重物的装置
CN103481893B (zh) 物品输送设备
KR20110011702A (ko) 케이블 이동 시스템
KR20130070543A (ko)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
CN108639069B (zh) 适用于车站的轨道系统
JP2004161251A (ja) 架空索道システムおよび索道客車
CN103998359B (zh) 搬运装置
CN101397014B (zh) 输送装置
CN110805320A (zh) 舞台用自驱车台
KR20030055115A (ko) 대차식 반송장치
GB2041305A (en) Stabilizing equipment for a carriage of an aerial transport system
LT5617B (lt) Transporto priemonė ir transporto sistema
CN207617723U (zh) 一种具有门式结构的物流运输车
WO2017138862A1 (en) Elevator cabin support structure
CN101434274B (zh) 台车平衡装置
US8925717B2 (en) Conveying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bulk materials
CN107972687A (zh) 一种具有门式结构的物流运输车
CN207416835U (zh) 一种具有门式结构的物流运输车
ES2961632T3 (es) Sistema híbrido de transporte por cable/raíl
CN210798399U (zh) 一种舞台用自驱车台
KR20190006529A (ko) 운반 시스템과 운반 시스템을 위한 차량
WO2017010917A1 (en) Elevator carriage support structure
KR101903740B1 (ko) 보조 모터를 갖는 트레버스 방식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KR101706310B1 (ko) 트레버스 방식을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용 대피선로의 분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