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436A - 근접센서장치 - Google Patents

근접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436A
KR20180056436A KR1020160153819A KR20160153819A KR20180056436A KR 20180056436 A KR20180056436 A KR 20180056436A KR 1020160153819 A KR1020160153819 A KR 1020160153819A KR 20160153819 A KR20160153819 A KR 20160153819A KR 20180056436 A KR20180056436 A KR 20180056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wire
product
height adjust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524B1 (ko
Inventor
김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16015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4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elastic deformation of gauges, e.g. of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근접센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근접센서장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및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수용부에서 하강되는 근접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접센서장치{PROXIMITY SENSOR DEVICE}
본 발명은 근접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생산라인, 조립라인 등에는 근접센서가 설치된다. 근접센서에는 광을 이용하여 제품의 이송 내지 도착 여부를 측정하는 광센서와, 제품과 접촉됨에 따라 제품의 이송 내지 도착 여부를 측정하는 접촉식 근접센서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촉식 근접센서는 제품이 이송될 때에 제품과 접촉되거나 제품에 가압되므로, 제품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근접센서가 손상됨에 따라 연속적인 공정에서 제품이 오조립되거나 불량률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가 손상된 경우 라인을 정지시킨 후 근접센서를 교체해야 하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6291호(2004. 01. 24 공개, 발명의 명칭: 크랭크샤프트 포지션 센서 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근접센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장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에서 하강되는 근접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수용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제품의 접촉을 감지하는 로드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로드 센서부가 수용되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고정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 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센서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삽입되도록 원형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센서부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전선 통과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통과홀부는 상기 근접 센서부를 향하도록 관통되는 제1 전선 통과홀부; 및 상기 제1 전선 통과홀부와 다른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선 통과홀부와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선 통과홀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접 센서부가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수용부의 내부에서 하강되므로, 제품에 의해 근접 센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생산라인이나 조립라인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 조절부가 바디부의 수용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바디부에서 로드 센서부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형태, 바디부 주위의 구조물의 형태 등에 따라 로드 센서부의 돌출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의 타측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에서 근접 센서부의 로드 센서부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근접센서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의 일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의 타측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는 바디부(110) 및 근접 센서부(12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에는 수용부(113)가 형성된다. 바디부(110)에는 연장부(112)가 형성되고, 연장부(112)에는 수용부(113)가 형성된다 수용부(113)는 연장부(112)를 관통하는 수용홀부이다. 바디부(110)는 생산라인이나 조립라인에서 제품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품이 고정되는 지그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부(120)는 수용부(113)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수용부(113)에서 하강된다. 근접 센서부(120)가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수용부(113)의 내부에서 하강되므로, 근접 센서부(120)가 제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부(120)가 제품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근접 센서부(120)의 교체를 위해 생산라인이나 조립라인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부(120)는 높이조절부(121), 탄성부재(123) 및 로드 센서부(125)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121)는 수용부(113)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탄성부재(123)는 높이조절부(121)에 설치된다. 로드 센서부(125)는 높이조절부(121)에 설치되고, 탄성부재(12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제품의 접촉을 감지한다. 탄성부재(123)는 로드 센서부(125)를 탄성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이다. 탄성부재(123)는 로드 센서부(125)의 하단을 지지한다. 로드 센서부(125)는 제품이 접촉될 때에 전류값이 변화됨에 따라 제품의 이동이나 도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121)가 바디부(110)에서 높이 조절되므로, 바디부(110)에서 로드 센서부(125)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로드 센서부(125)의 돌출 높이는 제품의 형태, 바디부(110) 주위의 구조물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근접센서장치가 다양한 구조의 이송 라인, 조립 라인 및 지그 장치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21)는 로드 센서부(125)가 수용되도록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높이조절부(121)의 하측에는 전선(10)을 통과시키고, 탄성부재(123)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서포트 단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수용부(113)의 내측면에는 고정 나사부(113a)가 형성되고. 높이조절부(121)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 나사부(121a)가 형성된다. 따라서, 높이조절부(121)가 회전됨에 따라 로드 센서부(125)가 바디부(110)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바디부(110)에는 수용부(113)와 연통되도록 체결홀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체결홀부에는 위치고정볼트(131)가 결합된다. 높이조절부(121)가 수용부(113)에서 적절한 높이로 조절된 후 위치고정볼트(131)가 높이조절부(12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위치고정볼트(131)는 렌치(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렌치볼트일 수 있다.
로드 센서부(125)는 높이조절부(121)에 삽입되도록 원형봉 형태로 형성된다. 로드 센서부(125)가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므로, 로드 센서부(125)가 높이조절부(121)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로드 센서부(125)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10)이 연결되고, 바디부(110)에는 전선(10)이 통과되도록 전선 통과홀부(115,116)가 형성된다. 로드 센서부(125)에 전선(10)이 연결되므로, 로드 센서부(125)의 신호를 제어부(미도시) 등에 전달할 수 있다. 전선(10)이 전선 통과홀부(115,116)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므로, 전선(10)이 바디부(110)에 구속될 수 있다. 전선(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선(10)이 로드 센서부(12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 통과홀부(115,116)는 근접 센서부(120)를 향하도록 관통되는 제1 전선 통과홀부(115)와, 제1 전선 통과홀부(115)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선 통과홀부(116)을 포함한다. 제1 전선 통과홀부(115)와 제2 전선 통과홀부(116)가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제1 전선 통과홀부(115)와 제2 전선 통과홀부(116)에 전선(10)이 통과됨에 따라 전선(10)이 바디부(110)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장치에서 근접 센서부의 로드 센서부가 가압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부(110)가 이송라인, 조립라인 또는 지그 장치 등에 설치된다. 제품이 공급됨에 따라 근접 센서부(120)에 제품이 접촉된다.
이때, 로드 센서부(125)가 제품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고, 탄성부재(123)는 로드 센서부(125)의 하강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수축된다. 로드 센서부(125)의 상단부가 수용부(113)의 상단으로 하강됨에 따라 로드 센서부(125)가 제품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로드 센서부(125)이 상단부에 제품이 접촉됨에 따라 로드 센서부(125)에서는 전류값이 변화되고, 변화된 전류값에 대한 신호가 전선(10)을 통해 제어부 등에 송신된다. 제어부는 로드 센서부(125)에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제품이 이송라인, 조립라인 또는 지그 장치에 공급되었다고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근접 센서부(120)가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수용부(113)의 내부에서 하강되므로, 제품에 의해 근접 센서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부(1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생산라인이나 조립라인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이 조절부가 바디부(110)의 수용부(113)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바디부(110)에서 로드 센서부(125)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형태, 바디부(110)의 주위 구조물의 형태 등에 따라 로드 센서부(125)의 돌출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선 110: 바디부
112: 연장부 113: 수용부
113a: 고정 나사부 115: 제1 전선 통과홀부
116: 제2 전선 통과홀부 120: 근접 센서부
121: 높이조절부 121a: 높이조절 나사부
123: 탄성부재 125: 로드 센서부
131: 위치고정볼트

Claims (7)

  1. 수용부가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수용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품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에서 하강되는 근접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센서부는,
    상기 수용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제품의 접촉을 감지하는 로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로드 센서부가 수용되도록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고정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센서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에 삽입되도록 원형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센서부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전선이 통과되도록 전선 통과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과홀부는,
    상기 근접 센서부를 향하도록 관통되는 제1 전선 통과홀부; 및
    상기 제1 전선 통과홀부와 다른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전선 통과홀부와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전선 통과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장치.
KR1020160153819A 2016-11-18 2016-11-18 근접센서장치 KR10192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19A KR101923524B1 (ko) 2016-11-18 2016-11-18 근접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19A KR101923524B1 (ko) 2016-11-18 2016-11-18 근접센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36A true KR20180056436A (ko) 2018-05-29
KR101923524B1 KR101923524B1 (ko) 2018-11-30

Family

ID=62452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19A KR101923524B1 (ko) 2016-11-18 2016-11-18 근접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602A (ja) * 1994-03-25 1995-10-13 Smc Corp センサ
KR20120065531A (ko) * 2010-12-13 2012-06-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변위센서를 이용한 높이 측정장치
KR101609305B1 (ko) * 2015-04-15 2016-04-06 주식회사 포스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3066B2 (ja) 1988-11-25 1997-11-26 川崎製鉄株式会社 電縫管の内面ビード切削形状測定装置
KR200463340Y1 (ko) * 2011-11-21 2012-10-30 (주) 네오텍 근접센서용 완충장치
KR101396833B1 (ko) 2013-04-16 2014-05-20 (주) 세진하이테크 물체 감지장치
KR101652473B1 (ko) * 2015-07-09 2016-08-31 권혁상 환봉의 편심 감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602A (ja) * 1994-03-25 1995-10-13 Smc Corp センサ
KR20120065531A (ko) * 2010-12-13 2012-06-2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변위센서를 이용한 높이 측정장치
KR101609305B1 (ko) * 2015-04-15 2016-04-06 주식회사 포스코 도르래 마모 측정장치 및 이를 갖는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24B1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61B1 (ko) 부시 압입장치
KR101592439B1 (ko) 나사 체결 장치
CN105722651A (zh) 双夹持器
KR101923524B1 (ko) 근접센서장치
KR101467042B1 (ko) 용접용 지그
KR20140000911U (ko) 티그 용접용 스프링이 설치된 와이어 송급장치
JP5137542B2 (ja) 乗客コンベアの踏段鎖異常検出装置
JP2015188941A (ja) 作業補助装置
KR101913696B1 (ko) 피검출물 누락 검사용 장치
KR20150049663A (ko) 오비탈 용접로봇용 양방향 와이어 송급장치
JP2006290011A (ja) 車体の位置決め検出装置
WO2017187979A1 (ja) 工具交換装置及び工具交換システム
KR20190009915A (ko) 지지 몸체부가 움직일 수 있는 스프링 가압장치
KR101490831B1 (ko) 1축 포토 인터럽터 힘 센서
KR20140004002U (ko) 캐리지 레일 설치용 지그
US20160377104A1 (en) Locking Mechanism and Method for an Electro-Pneumatic Controller
JP2017043466A (ja) エレベータのギャップ寸法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KR20140003766A (ko) 벨트컨베이어용 파손 감지장치
KR101553813B1 (ko) 빔의 크랙 검출장치
WO2015121948A1 (ja) 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バッファ装置
JP5263990B2 (ja) 取付治具
KR101600932B1 (ko) 자동차 모터 브라켓 부시 조립장치
KR100503250B1 (ko) 센서 고정용 지그
US10710205B2 (en) Query unit for toggle lever clamp
KR101563666B1 (ko) 스풀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