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266A -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266A
KR20180056266A KR1020160154291A KR20160154291A KR20180056266A KR 20180056266 A KR20180056266 A KR 20180056266A KR 1020160154291 A KR1020160154291 A KR 1020160154291A KR 20160154291 A KR20160154291 A KR 20160154291A KR 20180056266 A KR20180056266 A KR 2018005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body composition
unit
fa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814B1 (ko
Inventor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Priority to KR102016015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8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육량과 체지방 등의 체성분 측정정보와 운동량 등의 활동량 측정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시간)를 늘리고, 체성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이드와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 with an activity sensor attached to a portable body com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 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체성분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성분을 말한다. 즉, 우리 인간의 몸은 수분, 단백질, 지방, 무기질 등의 주요 성분이 일정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비율은 성별과 나이,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체성분 분석이랑 이러한 인체의 구성 성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이다. 건강한 개인은 적당량의 체성분이 상호간에 균형적인 비율로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균형이 깨지면 체성분 상호간에 불균형으로 체지방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비만, 단백질 부족으로 인한 영양결핍, 세포 외수분 증가로 인한 부종, 무기질 부족에 의한 골다공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신체계측법, 수중체중밀도법, 덱사법, CT법, 생체전기저항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생체 전기저항법(BIA: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은 전류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인체에 미세한 교류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류는 전도성이 높은 수분을 따라 흐르며, 수분의 많고 적음에 따라 체수분, 지방, 근육 등에서 임피던스가 서로 다르게 측정된다. 이때 측정되는 임피던스는 체구성 성분과 일정한 연관성을 갖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면 체구성 분석이 가능하다. 즉, 생체전기저항법에서 인체는 전도성이 높은 조직(Conductor:제지방)과 낮은 조직(Insulator:체지방)으로 구성된다는 점과 임피던스 측정값에 두 조직의 비율이 반영된다는 점이 이용된다.
이러한 생체전기저항법을 이용한 체성분 분석장치는 조작하기 편리하고 측정 또한 간편하며 결과물을 풍부하게 도출해 낼 수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화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08-0099674호에 의하면, 피측정자가 쥐고 측정에 임하게 되는 손전극과, 손전극과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피측정자의 자세를 알 수 있도록 설치된 가속도 센서부와, 체성분 측정결과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피측정자의 정확한 자세를 유도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연산처리하고, 체성분을 연산처리하는 연산처리부를 포함한다.
기존에는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데 임피던스값이 성별과 체형에 따라 신체 임피던스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성별에 따른 비만도 측정시 여성일 경우, 상체 비만인지 하체 비만인지에 따라 체성분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체성분의 측정 정밀도를 높이고, 측정된 체성분 결과에 따라 활동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성분 분석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체형에 따라 상체 비만일 경우 상체 비만에 따른 가중치와 하체 비만일 경우 하체 비만에 따른 가중치를 달리하여 체성분 측정에 보다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선택입력하여 설정하는 입력설정부(100);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게 하여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전극신호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체형정보에 따른 체성분 정보를 산출하는 체성분 분석부(300); 상기 사용자의 걸음 수를 계산하는 센서부(400); 상기 센서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보행에 따른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는 활동량 분석부(500); 및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계하여 상기 체성분 분석부와 상기 활동량 분석부의 출력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시간별로 변화되는 실시간 체성분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가이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입력설정부(100)는 사용자의 체형이 상체 발달인지 하체 발달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체형 선택모듈(110); 및 상기 체형선택에 따른 상체 발달 또는 하체 발달에 대한 임피던스 보정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체형 설정모듈(12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측정부(200)는 좌우 손가락을 접촉하기 위한 전도성의 전극판(210); 및 상기 전극판 사이에서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하는 신호측정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성분 분석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 상체 발달인지 또는 하체 발달인지의 체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부의 전극신호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에 상기 체형정보에 따른 임피던스를 보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600)는 상기 체성분 분석결과에 매칭되는 하루에 해야할 운동량과 섭취해야 할 음식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 추천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부(600)는 입력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체형정보와 활동량 분석부의 결과인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하체 비만과 상체 비만에 따른 운동부위를 추천하도록 하는 운동부위 추천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600)는 GPS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센서부의 걸음 수와 함께 이동거리에 따른 지방 및 근육량 변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체성분 이력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육량과 체지방 등의 체성분 측정정보와 운동량 등의 활동량 측정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시간)를 늘리고, 체성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이드와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체성분 이력모듈 구현 예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입력설정부(100), 측정부(200), 체성분 분석부(300), 센서부(400), 활동량 분석부(500), 가이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설정부(100)는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선택입력하여 설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설정부(100)는 사용자의 체형을 입력선택하도록 하는 체형 선택모듈(110)과 체형에 따른 설정값을 입력설정하도록 하는 체형 설정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체형 선택모듈(110)은 사용자의 성별, 인적사항 등과 함께 사용자의 체형이 상체 발달인지 하체 발달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체형 설정모듈(120)은 체형선택에 따른 상체 발달 또는 하체 발달에 대한 임피던스 보정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측정부(200)는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게 하여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측정부(200)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좌우 손가락을 접촉하기 위한 전도성의 전극판(210)과 이러한 전극판 사이에서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하는 신호측정기(220)를 포함한다.
체성분 분석부(300)는 측정부의 전극신호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여 체형정보에 따른 체성분 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체성분 분석부는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 상체 발달인지 또는 하체 발달인지의 체형정보를 입력받아 측정부의 전극신호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에 체형정보에 따른 임피던스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400)는 사용자의 걸음수를 계산하는 구성이다.
활동량 분석부(500)는 센서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보행에 따른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가이드부(600)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계하여 체성분 분석부와 활동량 분석부의 출력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시간별로 변화되는 실시간 체성분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이드부(600)는 다이어트 추천모듈(610)과 운동부위 추천모듈(620), 체성분 이력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트 추천모듈(610)은 체성분 분석결과에 매칭되는 하루에 해야할 운동량과 섭취해야할 음식량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운동부위 추천모듈(620)은 입력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체형정보와 활동량 분석부의 결과인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하체 비만과 상체 비만에 따른 운동부위를 추천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는 체성분 측정구성과 활동량 측정구성의 융합되어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디바이스 형태에 특징이 있다.
체성분 이력모듈(630)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센서부의 걸음 수와 함께 이동거리에 따른 지방 및 근육량 변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성분 이력모듈로 걸음 거리와 걸음 수와 함께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낼 수 있고, 이동거리에 따른 지방 및 근육량 변화를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육량과 체지방 등의 체성분 측정정보와 운동량 등의 활동량 측정정보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시간)를 늘리고, 체성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가이드와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여 제품 및 서비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0 : 입력설정부 110 : 체형 선택모듈
120 : 체형 설정모듈 200 : 측정부
210 : 전극판 220 : 신호측정기
300 : 체성분 분석부 400 : 센서부
500 : 활동량 분석부 600 : 가이드부
610 : 다이어트 추천모듈 620 : 운동부위 추천모듈

Claims (7)

  1.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선택입력하여 설정하는 입력설정부(100);
    전류를 사용자의 신체에 흐르게 하여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200);
    상기 전극신호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체형정보에 따른 체성분 정보를 산출하는 체성분 분석부(300);
    상기 사용자의 걸음 수를 계산하는 센서부(400);
    상기 센서부의 출력을 이용하여 보행에 따른 칼로리 소비량을 산출하는 활동량 분석부(500); 및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통신으로 연계하여 상기 체성분 분석부와 상기 활동량 분석부의 출력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시간별로 변화되는 실시간 체성분에 따라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가이드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설정부(100)는 사용자의 체형이 상체 발달인지 하체 발달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체형 선택모듈(110); 및
    상기 체형선택에 따른 상체 발달 또는 하체 발달에 대한 임피던스 보정값을 설정하도록 하는 체형 설정모듈(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좌우 손가락을 접촉하기 위한 전도성의 전극판(210); 및
    상기 전극판 사이에서 전압 및 임피던스를 포함하는 전극신호를 측정하는 신호측정기(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분석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인 경우, 상체 발달인지 또는 하체 발달인지의 체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정부의 전극신호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한 결과에 상기 체형정보에 따른 임피던스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0)는 상기 체성분 분석결과에 매칭되는 하루에 해야할 운동량과 섭취해야 할 음식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 추천모듈(6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0)는,
    상기 입력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체형정보와 활동량 분석부의 결과인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하체 비만과 상체 비만에 따른 운동부위를 추천하도록 하는 운동부위 추천모듈(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00)는,
    GPS신호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센서부의 걸음 수와 함께 이동거리에 따른 지방 및 근육량 변화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체성분 이력모듈(6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하여 활동량 측정과 지방 및 근육량 측정을 종합한 스마트 디바이스.
KR1020160154291A 2016-11-18 2016-11-18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KR101865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291A KR101865814B1 (ko) 2016-11-18 2016-11-18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291A KR101865814B1 (ko) 2016-11-18 2016-11-18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266A true KR20180056266A (ko) 2018-05-28
KR101865814B1 KR101865814B1 (ko) 2018-06-11

Family

ID=6245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291A KR101865814B1 (ko) 2016-11-18 2016-11-18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8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116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Ecg 신호를 통해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체성분 측정장치
KR20210154593A (ko) 2020-06-12 2021-12-21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이미지 기반의 체성분 분석장치, 체성분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364A (ja) * 2001-09-26 2003-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体情報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体脂肪率計
JP2006223560A (ja) * 2005-02-17 2006-08-31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KR100943295B1 (ko) * 2009-01-16 2010-02-23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비만 관리 기능이 구비된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5359A (ko) * 2009-01-20 2010-07-29 김용훈 식이 및 운동 처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2825B1 (ko) * 2016-06-22 2017-02-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체성분 측정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8570B2 (ja) * 2000-01-25 2011-02-23 ヤーマン株式会社 体脂肪測定機能付き運動量測定装置
KR20160080347A (ko) * 2014-12-29 2016-07-08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3364A (ja) * 2001-09-26 2003-04-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体情報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体脂肪率計
JP2006223560A (ja) * 2005-02-17 2006-08-31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KR100943295B1 (ko) * 2009-01-16 2010-02-23 동진메디칼 주식회사 비만 관리 기능이 구비된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5359A (ko) * 2009-01-20 2010-07-29 김용훈 식이 및 운동 처방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2825B1 (ko) * 2016-06-22 2017-02-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체성분 측정 결과를 보정하기 위한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116A (ko) * 2018-10-31 2020-05-08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Ecg 신호를 통해 심전도 측정이 가능한 휴대용 체성분 측정장치
KR20210154593A (ko) 2020-06-12 2021-12-21 에스씨에스프로 주식회사 이미지 기반의 체성분 분석장치, 체성분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814B1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Validation of two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es for the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in school age children
US6400983B1 (en) Apparatus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novel hand electrodes and method thereof
KR100909400B1 (ko)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WO20050511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egmental body fat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US7146207B2 (en) Health administration apparatus
KR101865814B1 (ko)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Aldosky et al. Regional body fat distribution assessment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its correlation with anthropometric indices
KR20160080347A (ko)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KR100685317B1 (ko) 고객맞춤형 체성분분석장치 및 그 방법
US201601357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bia) of the body of a person
CN109171722B (zh) 一种生物阻抗测量电路、生物阻抗测量方法及可穿戴设备
CN102512167A (zh) 人体成分检测仪
JP2013128689A (ja) 交流定電流源及び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
JP3112317U (ja) 体成分分析結果紙
Segheto et al. Is relative fat mass a better indicator of high blood pressure levels when compared to other anthropometric indexes
KR101462117B1 (ko) 체성분 측정 모듈
KR100437488B1 (ko)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장치
KR20020026338A (ko) 2점 측정법으로 구현한 체지방 측정장치 및 그 측정 방법
Stupnicki Somatic measurements and their use in establishing reference values
Correa-Bautista et al. Comparison of three adiposity indexes and cutoff values to predict metabolic syndrome among university students
KR20070044825A (ko) 교류정전류원을 사용하지 않는 2점식 체지방 측정 방법
KR200362781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Bhagat et al. Mind Your Composition: Clinical validation of Samsung's pocket-base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s may increase consumer interest in personal health management
US20200146617A1 (en) Muscle Mass Estimation Method, Muscle Mass Esti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Muscle Mass Estimation Program
KR200370502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