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400B1 -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 Google Patents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400B1
KR100909400B1 KR1020060016534A KR20060016534A KR100909400B1 KR 100909400 B1 KR100909400 B1 KR 100909400B1 KR 1020060016534 A KR1020060016534 A KR 1020060016534A KR 20060016534 A KR20060016534 A KR 20060016534A KR 100909400 B1 KR100909400 B1 KR 10090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t
standard
mass
i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3334A (ko
Inventor
한상훈
한소희
서광석
Original Assignee
메디게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게이트(주) filed Critical 메디게이트(주)
Priority to KR1020060016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4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4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Displaying an avatar, e.g. an animated cartoon charac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위별로 지방량을 분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체성분 분석 결과를 도형화한 부위별 지방량, 근육량 분포 분석, 체형평가, 체형발달지수, 체중추이도, 각 체성분분석 표시에 있어 이전 측정치와 현재 측정치를 동시에 표시하여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하며 올바른 체형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체성분 분석기는 피검자의 각부위별 전압(전위차)를 검출하는 제1절연부; 상기 제1절연부의 출력으로부터 체지방량을 검출하는 제2절연부; 제1절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형전원공급부(13)와 제2절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17)를 구비하는 절연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절연부는 상기 제1절연부로부터 수신된 각부위별 체임피던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 부위별의 무게 및 각부위별의 제지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부위별의 무게에서 상기 각부위별의 제지방량을 빼서 각 부위별의 체지방량을 구하는 연산처리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성분, 체지방량, 체지방량, GUI(Graphic User Interface)

Description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Body composition analyzer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왼팔, 오른팔, 왼다리, 오른다리,몸통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체성분 분석장치의 표시부에 보여지는 검사결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기의 구성에 대한 간략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결과를 표시부에 나타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체성분분석항목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근육/체지방 밸런스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부위별체성분분포분석항목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4e는 도 4a의 종합평가항목의 체형발달지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결과 중 부위별 분석물을 표시부에 나타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결과 중 체성분 추 이 및 운동처방전을 표시부에 나타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체중추이도항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절연 전원공급부 13: 선형 전원공급부
17: 스위칭 전원공급부 20: 제1절연부
30: 제2절연부 40: 체성분검사결과물
50: 부위별 분석물 60: 체성분 추이 및 운동처방전
100: 사용자 관련 정보항목 110: 체성분 분석항목
120: 비만분석항목 130: 부위별 체성분 분포분석항목
140: 이전검사결과항목 150: 체중조절항목
160: 참고사항항목 170: 판정결과항목
210: 제어부 220: 정현 정전류 인입부
230: 측정부 240: 전압검출부
250: A/D변환기 260: 제1통신부
310: 입력부 320: 제2통신부
330: 연산처리부 340: 표시제어부
350: 표시부 360: 디스플레이부
370: 프린터부 380: 저장부
400: 피검자정보항목 410: 체성분분석항목
420: 근육/체지방밸런스항목 430: 부위별 체성분분포분석항목
440: 체형평가항목 450: 참고사항항목
460: 종합평가항목 500: 근육량분석항목
510: 부위별 근육량 아바타분석항목 520:상하체 근육량 좌우밸런스항목
530: 부위별 근육량항목 540: 부위별 근육량 변화추이항목
550: 체지방량분석항목 560:부위별 체지방량 아바타분석항목
570: 상하체 체지방량 좌우밸런스항목 580: 부위별 체지방량항목
590: 부위별 체지방량 변화추이항목 600: 체성분분석항목
610: 운동처방항목 620: 체중추이도항목
본 발명은 부위별로 지방량을 분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체성분 분석 결과를 도형화한 부위별 지방량, 근육량 분포 분석, 체형평가, 체형발달지수, 체중추이도, 각 체성분분석 표시에 있어 이전 측정치와 현재 측정치를 동시에 표시하여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하며 올바른 체형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성분은 화학적 조성에 의해 크게 체수분, 단백질, 체지방, 무기질의 4가지로 구분되어 있고 이들의 합은 곧 체중이 된다. 이러한 구성성분의 비율은 성별과 나이,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체성분 분석은 이러한 인체의 구성성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검사이다. 체성분 검사를 통해 근육의 발달정도나 영양상태, 비만여부 등 신체의 기본적인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지켜나갈 수 있다. 체성분 검사는 자신의 평소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운동과 올바른 식이 처방의 기본이 되므로 예방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며, 각종 질병의 치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변화를 추적하는데도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생체전기 임피던스법(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을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켜 체내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생체전기 임피던스법의 가장 큰 장점은 측정이 간편하면서 정확도가 높다는 점이다. 피검자는 단지 전극을 부착 혹은 접촉하기만 하면 되며, 측정시간도 수분 내에 가능하다. 흔히 비침투적(noninvasive)방법이라 하여 혈액을 채취하거나 체내에 어떠한 물질이나 기기를 삽입하지 않으며 매우 안전하고 간편한 측정 방법이다. 측정의 정확도나 재현도 또한 방법의 간편성이나 측정 비용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다.
체임피던스를 통해 직접 얻을 수 있는 값은 체액의 양이다. 체액의 임피던스 관계는 수학식 1과 같다.
V=ρ(L2/Z)
여기서 V는 체액의 부피, ρ는 고유저항값, L은 도체의 길이, Z는 각 해당 부위의 임피던스값 이다.
또한 총체액량은 체내 지방량과 관계가 있다. 근육, 피부, 심장, 간장 등 체내 대부분의 조직에서 수분함량이 70%이상인데 반해 지방조직의 수분함량은 20% 미만이므로 지방함량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체내 수분함량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체지방량(지방을 제외한 나머지양을 일컫는다.)과 총체액량은 서로 비례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신체의 부위별 체수분, 체지방, 근육량을 산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체성분 분석기 몸전체 뿐 아니라 왼팔, 오른팔, 왼다리, 오른다리 및 몸통의 저항을 도 1과 같이 각각 분리하여 측정 할 수 있다. 도 1은 인체의 좌우 팔, 좌우 다리 및 몸통의 임피던스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인체를 구성하는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및 왼다리의 임피던스를 각각 Z1,Z2,Z3,Z4,Z5의 저항체로 보며 이를 이용하여 부위별 체수분 또는 근육량을 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체성분 분석기에 일반적으로 쓰인 전류는 단일 주파수인 50kHz를 관례적으로 사용하였다. 50kHz의 주파수는 특별한 임상적 근거에 의해 결정된 값이 아니며 전류의 크기는 측정 대상의 안전을 위해 고려된 값을 사용하였다. 단일 주파수 분석법은 사용하는 주파수가 임상적 의미를 갖거나 설명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체성분 분석장치의 표시부에 보여지는 검사결과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에서 보여지는 체성분 분석장치의 표시부 검사결과는, 사용자 관련 정보항목(100) 체성분 분석항목(110), 비만분석항목(120), 부위별 체성분 분포분석항목(130), 이전검사결과항목(140), 체중조절항목(150), 참고사항항목(160), 판정결과항목(170) 을 포함한다.
사용자 관련 정보항목(100)은 사용자의 성명, 아이디(ID), 나이, 성별, 검사일시, 담당의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준다.
체성분 분석항목(110)은 체수분(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으로 구분하여 각 성분을 정량화 한 것으로 이들의 합은 곧 체중이다.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의 각각의 양을 숫자로 표시하며 체수분, 근육량,체지방의 전체 체중의 어느정도를 차지 하는지 백분율로 나타나서 각 체성분이 어떤 비율로 존재하는지 알 수 있다.
비만분석항목(120)은 신장, 체중, 체수분, 근육량, 체지방률, 체지방량, 복부지방률,세포외액비 항목이 표준범위인지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인지 간단히 판단할 수 있도록 막대그래프로 나타냈으며, 수치는 좌측 측정치란에 표기된다.
부위별 체성분 분포분석항목(130)은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체수분량, 근육량, 체지방량의 실제측정치를 좌측 측정치에 표기하며 각 항목의 백분율이 110%이상인 경우는 표준이상, 90~110%인 경우는 표준, 90%이하인 경우 표준이하로 구분하여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이전검사결과항목(140)은 체성분 검사가 1회 이상인 경우 바로 직전의 검사결과를 수치적으로 나타낸 항목으로서 , 체중, 근육량, 체지방률, 체지방량, 세포 외액비, 복부지방률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측정일에 검사결과없음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것은 처음 체성분 검사를 한 결과물이다.
체중조절항목(150)은 적정체중, 체중조절, 지방조절, 체지방조절을 나타낸다. 적정체중은 피검자의 적정 체중치를 제시한 것리고 그 적정 체중치가 되기위한 체중조절 양을 표기한 것이 체중조절이다. 또한 적정 지방과 체지방 조절양도 표기되어 수치가 양의 값일 경우 양을 더 늘려야 한다는 것이고 수치가 음의 값일 경우 양을 줄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참고사항항목(160)은 BMI(체질량 지수), 비만도, 하루 열량(Kcal/day) 등이 수치로 나와 있다.
판정결과항목(170)은 비만형, 과체중, 부종, 근육형의 4가지 항목을 점으로 연결하여 박스의 기울임으로 피검자가 스스로 자신의 체형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체성분 분석은 분포별 수치에 중점을 두고 있어 수치만으로 쉽게 이해 하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부위별 분석의 관심도 및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표시를 좀 더 명확하게 하고 쉽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체성분 분석 결과를 좀 더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도형과 아바타를 이용함을 물론이고 상체와 하체의 좌우 밸런스 정도를 나타내 주어 부위별 분석의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이전의 검사결과를 현재의 검사결과를 동시에 나타내어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하며 올바른 체형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위별(양팔, 몸통, 양다리) 체성분 중 지방량을 부위별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정략적으로 산출하는데, 실체 인체 부위의 임피던스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모든 피검자 그룹에 대하여 측의 정확도를 높이게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위별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부위별 체지방과 근육량을 산출하는 체성분 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부위별 체성분 분포 분석을 좀 더 명확하게 하고 쉽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체성분 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부위별 체성분 분포, 피검자의 체형평가, 체형 발달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체성분 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체중조절 시물레이션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체중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체성분 분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기의 구성에 대한 간략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체성분 분석기는 절연 전원공급부(10), 제1절연부(20), 제2절연부(30)로 구성된다.
절연 전원공급부(10)는 선형전원공급부(13)와 스위칭 전원공급부(17)를 포함한다.
선형전원공급부(13)는 제1절연부(20)에 전원을 공급해준다. 본 발명에서 체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정현주파수의 범위는 대략 1kHz에서 1MHz 사이에서 가변되며, 이는 일반 스위칭 전원의 스위칭 주파수와 중첩되어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체임피던스 측정치의 치명적인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선형전원공급장치(Linear Power Supply)를 사용하였다.
스위칭 전원공급부(17)는 제2절연부(30)에 전원을 공급해준다.
제1절연부(20)는 제어부(210), 정현 정전류 인입부(220), 측정부(230), 전압검출부(240), A/D변환기(250), 제1통신부(26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제2절연부(30)의 입력부(310)에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정현 정전류 제어신호를 제2통신부(320) 및 제1통신부(260)를 통해 수신받으며, 상기 수신된 정현 정전류 제어신호로부터 정현 정전류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정현 정전류 인입부(22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A/D변환기(25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통신부(260)를 통해 제2절연부(30)의 제2통신부(320)로 전송한다.
정현 정전류 인입부(220)는 정현파 발생부(미도시), 궤환형 정전류 발생장치(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제어부(210)로 부터 수신된 정현 정전류 구동신호에 따라 정현 정전류를 발생하여 측정부(230)로 출력한다.
정현파 발생부(미도시)는 제어부(210)로 부터 수신된 정현 정전류 구동신호에 의해 1kHz~1M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1kHz~1MHz의 다중 주파수를 이용함으로써 몸 전체의 수분량은 물론 세포 내/외액의 양을 측정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대부분의 체성분 분석장치는 50kHz의 교류전류를 사용하는데 이 전류는 세포외액 성분들을 대부분 통과하여 흐르며 약간의 전류는 세포내부로 흐르기도 한다. 저주파(1kHz~5kHz)는 세포막의 본래 용량성 특성으로 인해 세포를 통과할 수 없어서, 임피던스는 세포외액 성분들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으며, 고주파(100kHz~500kHZ)의 전류는 세포막을 투과하고 세포내액 성분과 세포외액 성분들의 합으로 임피던스가 측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1kHz~1MHz의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여 몸 전체의 수분량은 물론 세포 내/외액의 양을 측정가능하게 한다.
궤환형 정전류 발생장치(미도시)는 체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1kHz~1M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서 부하에 관계없이 450uA이하의 정전류를 측정부(230)로 인입할 수 있도록 현재 인입되고 있는 전류를 모니터링 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제어부(210)로 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정현파 발생부(미도시)를 통해 발생된 전류로부터, 측정부위가 변화해서 생기는 부하의 변화에 따른 전류를 보상하여 일정한 정전류를 측정부(230)에 인입하기 위한 것이다.
측정부(230)는 측정부위 선택부(미도시)와 각 부위별(좌우 팔, 좌우 다리, 몸통) 전극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측정부(230)는 선택된 측정부위에 있는 전극으로 정현 정전류 인입부(220)에서 인입되는 전류를 출력한다. 측정부(230)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극은 좌우 팔, 좌우 다리, 몸통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8점식 전극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부위별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압검출부(240)는 정현 정전류 인입부(220)에서 측정부(230)의 선택된 전극으로 전류를 보내고 이로부터 전압(전위차)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부위별 임피던스의 값을 구하게 된다. 상기 검출된 전압은 부위별 측정 신호로서, 부위별 체임피던스 정보를 가진 전압신호이다.
A/D변환기(250)은 전압검출부(240)으로 부터 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제1통신부(260)는 A/D변환기(250)로부터 제어부(2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제2절연부(30)의 제2통신부(320)로 전송한다. 또한 제1통신부(260)는 제2절연부(30)의 입력부(310)에 입력된 신호에 따른 정현 정전류 제어신호를 제2통신부(320)를 통해 수신받아 제어부(210)로 전송한다. 제1통신부(260)와 제2통신부(320)는 제1절연부(20)와 제2절연부(30)의 연결을 담당하는 TCP/IP 모듈을 포함하며 RS-232C를 사용한다.
제2 절연부(30)는 입력부(310), 제2통신부(320), 연산처리부(330), 표시제어부(340), 표시부(350), 저장부(380)을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피검자에 대한 정보, 표시부 제어정보, 측정부위 선택 제어정보 등의 환경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380), 표시제어부(340), 연산처리부(330)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320)는 입력부(320)로부터 측정부위 제어정보를 받아 제1통신부(260)로 보내며, 제1통신부(260)로부터 체성분 분석 측정값을 받아 연산처리부 (330)로 보낸다.
연산처리부(330)는 제1절연부(20)에서 제2통신부(320)를 통해 수신된 부위별 측정 신호를 받아 연산처리한다. 각 부위별 임피던스는 도 1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이하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임피던스는 각각 Z1, Z2, Z3, Z4, Z5이라 한다. 연산처리부(330)은 부위별 각각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각 부위별(양팔,몸통, 양다리)의 무게를 산출하고, 그 다음 각 부위별의 제지방량을 산출하여, 각 부위별의 무게에서 각 부위별 제지방량을 빼서 각 부위별의 체지방량을 구한다.
표시제어부(340)는 입력부(310)로 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표시에 대한 제어정보를 받아 표시부(340)로 보낸다. 표시제어부(340)에 의해 표시부(350)에 나타나는 정보와 항목을 더하거나 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할수도 있다.
표시부(350)는 체성분 분석장치의 분석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디스플레이부(360)와 프린터부(3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60)는 연산처리부로부터 수신된 분석처리 결과를 화면상에 나타내 준다. 본 발명은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는 키보드를 통한 명령어로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마우스 만으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프린터부(370)는 체성분 분석 결과를 프린터로 출력한다.
저장부(380)는 입력부에서 지정한 피검자에 대한 정보, 표시부 제어정보, 측정부위 선택 제어정보 등의 환경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처리된 결과를 저장한 다. 또한 피검자가 체성분 검사를 1회 이상하였을 경우 이전의 결과를 표시부에 함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입력부(310)로 보내고 이를 다시 표시제어부(340)로 보내 이전값을 표시부에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피검자의 체중조절 시물레이션을 제시해주는데 따른 기준 데이타값과 식품표, 운동메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연산처리부(330)에서 부위별 체지방 산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임피던스(Z1, Z2, Z3, Z4, Z5)를 파라미터로 하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여 양팔, 몸통, 양다리의 무게를 산출하고, 둘째로, 임피던스(Z1, Z2, Z3, Z4, Z5)를 파라미터로 하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한 양팔, 몸통, 양다리의 제지방(Fat Free Mass)량 산출하고, 셋째로 임피던스(Z1, Z2, Z3, Z4, Z5)를 파라미터로 하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한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체지방 산출한다.
즉, 연산처리부(330)에서 부위별체지방을 산출하는 과정은 먼저 부위별 각각의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각 부위별(양팔,몸통, 양다리)의 무게를 산출한 다음 각각의 제지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부위별 무게에서 상기 각 부위별 제지방량을 빼서 각 부위별의 체지방량을 구한다.
양팔의 무게(ARM Weight) 수학식2에 의해 구하여 진다.
양팔의 무게= C1+(C2×Age)+(C3×Sex)+(C4×Wt)+(C5×Ht2/(Z1+Z2))
여기서, C1~C5는 적정상수, Age는 나이, Sex는 성별, Wt는 체중, Ht는 신장, Z1은 오른팔 임피던스 , Z2는 왼팔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양팔의 제지방량(ARM FFM)은 수학식 3에 의해 구한다.
양팔의 제지방량=D1+(D2×Age)+(D3×Sex)+(D4×Wt)+(D5×Ht2/(Z1+Z2))
여기서, D1~D5는 적정상수, Age는 나이, Sex는 성별, Wt는 체중, Ht는 신장, Z1는 오른팔 임피던스, Z2는 왼팔 임피던스이다.
수학식 1과 수학식 2에서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양팔의 체지방량을 구할 수 있다. 이는 체지방량이란 제지방을 제외한 나머지 양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해진 양팔의 무게에서 양팔의 제지방량을 빼면 양팔의 체지방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4와 같다.
양팔의 체지방량= 양팔의 무게 - 양팔의 제지방량
수학식 4에서 얻어진 양팔의 체지방량을 오른팔과 왼팔의 임피던스를 이용해 구분하면 수학식 5와 수학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오른팔 체지방량= 양팔의 체지방량×(Z1/(Z1+Z2))
여기서 Z1은 오른팔 임피던스, Z2는 왼팔 임피던스이다.
왼팔 체지방량= 양팔의 체지방량×(Z2/(Z1+Z2))
오른팔과 왼팔의 체지방량을 구하는 방법과 같이 오른다리와 왼다리의 체지방량을 구할 수 있다.
양다리의 무게(LEG Weight)는 수학식 7에 의해 구한다.
양다리의 무게= F1+(F2×Age)+(F3×Sex)+(F4×Wt)+(F5×Ht2/(Z4+Z5))
여기서, F1~F5는 적정상수, Age는 나이, Sex는 성별, Wt는 체중, Ht는 신장, Z4는 오른다리 임피던스, Z5는 왼다리 임피던스이다.
양다리의 제지방량(LEG FFM)은 수학식 8에 의해 구한다.
양다리의 제지방량=G1+(G2×Age)+(G3×Sex)+(G4×Wt)+(G5×Ht2/(Z4+Z5))
여기서, G1~G5는 적정상수, Age는 나이, Sex는 성별, Wt는 체중, Ht는 신장, Z4는 오른다리 임피던스, Z5는 왼다리 임피던스이다.
수학식 7과 수학식 8에서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양다리의 체지방량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9과 같다.
양다리의 체지방량 = 양다리의 무게 - 양다리의 제지방량
수학식 9에서 얻어진 양다리의 체지방량을 오른다리와 왼다리의 임피던스를 이용해 구분하면 수학식 10와 수학식 1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오른다리 체지방량 = 양다리의 체지방량 ×(Z4/(Z4+Z5))
여기서 Z4는 오른다리 임피던스, Z5는 왼다리 임피던스이다.
왼다리 체지방량 = 양다리의 체지방량 × (Z5/(Z4+Z5))
마지막으로 몸통의 체지방은 다음과 같이 구한다.
몸통의 무게를 구하는 식은 수학식 12와 같다.
몸통의 무게 =H1+(H2×Age)+(H3×Sex)+(H4×Wt)+(H5×Ht2/Z3)
여기서, H1~H5는 적정상수, Age는 나이, Sex는 성별, Wt는 체중, Ht는 신장, Z3는 몸통 임피던스이다.
삭제
몸통의 제지방량 =I1+(I2×Age)+(I3×Sex)+(I4×Wt)+(I5×Ht2/Z3)
여기서 I1~I5는 적정상수, Age는 나이, Sex는 성별, Wt는 체중, Ht는 신장, Z3는 몸통 임피던스이다.
수학식 12와 수학식 13의 결과를 이용하여 몸통의 체지방량을 수학식 14와 같이 구한다.
몸통 체지방량= 몸통 무게 - 몸통 제지방량
상기 적정상수인 C,D,E,F,G,H,I들은 산출공식을 최선으로 만족시키는 상수이며, DEXA( Dual Energy X-Ray Absoptiometry) 로 구한 인체의 부위별(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 무게와 체지방량을 이용한 회귀분석법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결과를 표시부(350)에 나타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체성분분석항목에 관한 설명도, 도 4c는 도4a의 근육/체지방 밸런스에 관한 설명도, 도 4d는 도4a의 부위별체성분분포분석항목에 관한 설명도, 도 4e는 도 4a의 체형평가에 대한 설명도, 도 4f는 도 4a의 종합평가 항목의 체형발달지수에 관한 설명도이다.
체성분검사결과물(40)은 피검자정보항목(400), 체성분분석항목(410), 근육/체지방밸런스항목(420),부위별 체성분분포분석항목(430), 체형평가항목(440), 참고사항항목(450), 종합평가항목(460)을 포함한다.
피검자정보항목(400)은 피검자의 ID, 성명, 나이, 성별, 신장, 검사일, 이전검사일이 포함된다. 피검자정보는 검사결과를 보는데 있어서 피검자가 누군지 확인하는 동시에 나이, 성별, 신장을 통해 피검자의 신체조건을 보고 검사일과 이전 검사일을 통해 얼마만에 하는 검사인줄 알 수 있다.
체성분분석항목(410)은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을 종래의 수치만으로 표현되었던 것과 달리 원통형 그래프와 같이 각 체성분의 측정결과 수치를 표 시하며, 각 체성분의 비율을 도식화하여 이전 검사결과와 현재 검사 결과를 동시에 표시해 비교해줌으로서 좀 더 쉽게 체성분 수치를 이해할 수 있고 체성분이 이전의 측정결과에 비해 올바르고 적정비율로 조절 및 유지 되었는지 피검자가 직접 판단하고 자신의 체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근육/체지방밸런스항목(420)은 피검자의 체형 및 비만분석을 하기 위해서 현재 피검자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표준여부를 표준미만, 표준, 표준초과로 영역을 구분하여 각 체성분을 막대 그래프로 이전과 현재의 측정치를 표시함으로써 피검자가 쉽게 도식적으로 각 체성분의 표준여부 및 비만정도를 판단하고 유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체중과 근육량은 각각 표준체중과 표준체중의 표준 근육량을 기준으로, 90%미만인경우 표준미만, 90~110%는 표준, 110%초과는 표준초과로 구분하고, 체지방량은 표준체중의 표준체지방량을 기준으로 80%미만인경우 표준미만, 80~150%는 표준, 150%초과는 표준초과로 구분한다. 체지방율은 남녀가 체지방량이 다른 것을 감안하여 남자일 경우에는 10%미만인 경우 표준미만, 10~20%인 경우 표준, 20%초과인 경우 표준초과이며, 여자의 경우는 18% 미만인 경우 표준미만, 18~28%인 경우 표준, 28%초과인 경우 표준초과이다. 이 체지방율의 표준범위는 식생활의 변화, 성별, 연령별에 따른 표준 체중 및 신장 등의 변화로 인하여 변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세포외액비는 30%미만인 경우가 표준미만, 30~35% 인경우 표준, 35%초과인 경우 표준초과로 구분된다. 또한 현재와 이전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자신의 체형 조절 및 유지 정도를 쉽게 비교하여 확실한 비만관리가 가능할 수 있으며 현재와 이전의 막대 그래프 색을 다르게 하여 더욱 구분하기 쉽다.
부위별 체성분분포분석항목(430)은 부위별 근육분포와 체지방분포를 종래에 사용해 오던 막대그래프가 아닌 부위별(양팔,몸통,양다리) 타원형 모양으로 각 부위별 적정치와 측정치를 동시에 나타내어 표준값과 비교해 자신의 부위별 근육 및 체지방의 많고 적음 정도를 확인한다. 표준값과 현재 측정값의 색을 달리 표현하여 비교하기 더욱 수월하다. 또한 부위별 타원형 모양으로 한눈에 쉽게 체형을 판단할 수 있고 인체 상하, 좌우 밸런스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2회 이상 측정 했을 경우 현재와 가장 가까운 이전 측정치를 표준값과 현재 측정값과 다른 색으로 수치적으로 표현해주어 체형관리/유지를 잘 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체형평가항목(440)은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여 현재 체형을 표시해주며 체형평가를 통해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자신의 체형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있게 하고 체형의 변화(체중감량,증가 등)를 원할 때 그 방향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전 검사 결과와 현재 검사결과를 동시에 표시해 비교해줌으로서 올바른 방법으로 체성분을 조절 했는지 피검자가 직접 판단하고 자신의 체형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체형평가항목(440)에서는 체지방, 체중, 근육, WHR(waist-hip ratio:복부지방률)의 이전검사결과와 현재 검사 결과를 각기 점으로 나타내며, 이들과 함께 표준범위를 명시하여, 이들 검사결과가 표준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체형평가항목(440)에서 녹색 띠의 원이 표준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체형평가항목(440)의 원에서 중간에 위치된다. 즉, 체지방, 체중, 근육, WHR(waist-hip ratio:복부지방률)에 대해서, 이전검사결과로서 4점과 현재 검사 결과로서 4점을 나타내어 연결하여 주며, 경우에 따라서 각 점들의 모양과 색깔을 달리할 수 있다. 체지방, 체중,근육, WHR의 4점의 점을 연결하여 나타나는 박스의 기울임으로 체형을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4개의 점을 연결한 도형이 녹색띠 원 안에서 정사각형에 가까울 수록 이상적인 체형이라 할 수 있다. 동그란 모양의 체형표 하단에 체성분 분석결과를 피검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측정된 체지방률과 신장과 체중을 이용해 계산된 BMI(Body Mass Index:체질량 지수)를 이용하여 표준비만, 비만, 수척비만, 정상, 저체중,과다수척, 저지방, 근육형의 8가지 체형으로 구분하여 피검자의 현재와 이전의 체형의 위치를 동시에 표시해 준다.
참고사항항목(450)은 BMI(Body Mass Index:체질량 지수), WHI(Women's Health Initiatives:여성건강계획), WHR(waist-hip ratio:복부지방률), BMR(Basal metabolic rate:기초대사율),하루섭취열량,세포외액비의 이전,현재의 값을 제시하면서 올바른 체형을 위한 적정치의 값을 제시하고 이전에 비해 현재의 변화치도 함께 수치적으로 나타나서 체형관리에 방향을 제시해준다.
종합평가항목(460)은 체중조절, 신체 발란스, 체형발달지수가 표시된다. 체중조절은 피검자의 정상체중과 체중조절안내, 적정체형을 유지하기위한 근육량과 제지방 조절양 등의 체중조절에 관한 안내문이 디스플레이된다. 신체발란스는 적정한 체형이 되기 위해 필요한 적정체중이 위한 간단한 설명이 표시된다. 체형발달지수는 피검자의 근육량 및 체지방량을 기준으로 체형 발달 지수를 판별하며 정도에 따라 색이 채워진 별표로 표시해준다. 이는 근육량에 기초하여 나타내어지는 지수로 색이 채워지지 않은 별중 색이 채워진 별이 많을수록 근육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체지방량에 비해 근육량이 많을수록 색이 채워진 별의 갯수가 많아지고, 근육량이 적고 체지방량이 많을수록 별의 갯수가 적어진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피검자는 자신의 체형 발달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지방 감소, 근육 감소 등 체형발달을 위해 조절해야 할 체성분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결과 중 부위별 분석물(50)을 표시부(350)에 나타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부위별 분석물(50)은 근육량분석항목(500)과 체지방량분석항목(550)으로 나뉜다.
근육량 분석항목(500)은 부위별 근육량 아바타분석항목(510), 상하체 근육량 좌우밸런스항목(520), 부위별 근육량항목(530), 부위별 근육량 변화추이항목(540)을 포함하고, 체지방량분석항목(550)은 부위별 체지방량 아바타분석항목(560), 상하체 체지방량 좌우밸런스항목(570), 부위별 체지방량항목(580), 부위별 체지방량 변화추이항목(590)을 포함한다.
부위별 근육량 아바타분석항목(510)과 부위별 체지방량 아바타분석항목(560)은 부위별(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왼다리) 근육량과 체지방량을 기존 막대그래프가 아닌 사람의 모형을 이용해 표현했기 때문에 누구나 한눈에 쉽게 체형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인체 상하, 좌우 밸런스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아바타는 성별대로 아바타가 남/여 아바타가 있어 성별에 따라 아바타의 모양이 다르며 저체중/저근육형, 표준형/근육형,비만형의 3가지 아바타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는 표준값과 현재 측정값을 다른 색으로 동시에 표현하여 적정치와 한눈에 많고 적음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상하체 근육량 좌우밸런스항목(520)과 상하체 체지방량 좌우밸런스항목(570)은 근육량과 체지방량에 관한 각각의 상하체의 좌우 밸런스를 비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종래에 제시하지 않았던 상체 하체의 좌우 밸런스 정도를 나타내 줌 으로서 부위별 분석의 활용도를 높인다.
부위별 근육량항목(530)과 부위별 체지방량항목(580)은 좌우 팔, 좌우 몸통, 좌우 다리의 측정치와 적정치를 동시에 표현해준다. 측정치와 적정치는 서로 다른 색의 막대그래프로 표시되며 수치도 함께 표현되어 부위별 근육량과 체지방량의 좌우 분포를 쉽게 이해하며 분석할 수 있다.
부위별 근육량변화추이항목(540)과 부위별 체지방량변화추이항목(590)은 각 부위인 왼팔,오른팔,왼다리,오른다리,몸통의 각각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이 막대그래프와 수치로 각 날짜별로 한번에 나타나 표현되어 자신의 근육량과 체지방량의 변화추이를 손쉽게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체성분 분석결과 중 체성분 추이 및 운동처방전(60)를 표시부(350)에 나타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체중추이도항목(620)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체성분 추이 및 운동처방전(60)은 체성분분석항목(600), 운동처방항목(610),체중추이도항목(620)을 포함한다.
체성분분석항목(600)은 체중, 체지방률, 세포외액비, 근육량을 날짜별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며 수치로 그값을 표현했다. 또한 적정값과 측정값을 동시에 나타내어 피검자의 측정값과 적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적정값은 평행선으로 나타나 그 평행선을 넘으면 적정값보다 많으므로 감량해야 하고 적정값 평행선을 넘지 않으면 증량해야 한다는 것을, 평행선에 맞게 닿는다면 유지해야 함을 피검자에게 알려 주게된다. 적정값과 측정값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된다.
운동처방항목(610)은 처방열량, 목표체중, 일일필요열량, 목표체지방, 운동레벨, 체중적정시기, 운동처방, 운동처방최종결과가 표현된다. 처방열량은 목표체중과 목표체지방이 되기 위한 처방열량과 일일필요열량을 표현했다. 운동레벨은 목표제중과 목표체지방이 되기 위해 하루에 운동하여 소비하여야 할 열량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처방열량과 일일필요열량, 운동레벨을 수행 했을 때 목표체중과 목표체지방이 되는 적정기간을 제시하여 어느정도 시간안에 목표에 달하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운동처방으로 하루에 운동해야 하는 시간과 시기등을 설명하며 운동처방최종결과에서는 운동처방 후 지켜야 할 것들에 대해 안내를 한다.
체중추이도항목(620)은 적정체중 또는 목표체중에 따른 처방열량 및 열량처방에 따른 총소비열량에 의한 체중추이도를 제시한다. 체중추이도는 피검자가 전문적인 상담없이도 제시된 영양처방(처방열량)에 따라 체중감량을 할 경우 피검자 혼자 체중관리를 할 수 있고, 체중감량시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는지 제시해준다. 이는 막대그래프로 각 시기별 레벨과 체중을 수치와 함께 나타낸다.
이와같이 체성분 분석에 따른 체성분 관리를 위한 운동메뉴와 영양처방, 식품표 등을 제시가 가능하며 운동메뉴는 사용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운동메뉴를 제시가능하며 개인별 체성분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적인 유산소운동메뉴와 부위별 근육 트레이닝 운동메뉴,추천식품 메뉴 또는 저칼로리식품, 운동보조식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 모든 항목은 편집이 가능하다.
영양처방에는 개인별 기초대사량, 일일필요 열량, 처방열량을 제시하며 개인 별 3대 영양도 아침,점심, 저녁별 처방열량을 제시한다. 또한 개인별 체성분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적인 저칼로리 식품등을 비율적으로 제시하며 식품메뉴는 편집이 가능하다.
식품표는 700여가지의 상용식품표로서 식품군별로 음식표를 제시한다. 또한 음식별 3대 영양소 함유량과 성인병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식품표는 편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체성분 분석에 있어 부위별(양팔,몸통, 양다리) 체성분 중 지방량을 부위별 체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정량적을 산출하여부위별로 지방량을 분석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체성분 분석 결과를 도형화한 부위별 지방량, 근육량 분포 분석, 체형평가, 체형발달지수, 체중추이도, 각 체성분분석 표시에 있어 이전 측정치와 현재 측정치를 동시에 표시하여 결과를 용이하게 확인하며 올바른 체형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목표 체중과 목표 체지방이 되기 위한 처방열량과 일일필요열량을 제시하며 이에 따른 하루 운동소비열량과 기간을 제시하고 운동처방과 영양처방, 식품표 등을 제시하여 효과적인체중조절 시물레이션으로 체중관리를 할 수 있다.

Claims (19)

  1. 피검자의 각부위별 체임피던스정보를 검출하는 제1절연부; 상기 제1절연부의 출력으로부터 체지방량을 검출하는 제2절연부; 제1절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형전원공급부(13)와 제2절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 전원공급부(17)를 구비하는 절연 전원공급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절연부는 정현 정전류를 발생하는 정현 정전류 구동부를 구비하되, 상기 정현 정전류 구동부는 1kHz에서 1MHz까지의 주파수의 정현파를 발생시키는 정현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연부는 상기 제1절연부로부터 수신된 각부위별 체임피던스 정보를 이용하여 각 부위별의 무게 및 각부위별의 제지방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부위별의 무게에서 상기 각부위별의 제지방량을 빼서 각 부위별의 체지방량을 구하는 연산처리부(330)를 포함하는 체성분 분석기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부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부위별 근육량을 사람의 모형으로 표현한 부위별 근육량 아바타분석항목; 근육량의 상하체의 좌우 밸런스를 비율적으로 나타낸 상하체 근육량 좌우밸런스항목;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근육량의 측정치와 적정치를 좌우로 표시해주는 부위별 근육량항목;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근육량을 막대그래프로 각 날짜별로 한번에 나타낸 부위별 근육량변화추이항목;으로 구성된 근육량 분석항목을 포함하며,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부위별 지방량을 사람의 모형으로 표현한 부위별 지방량 아바타분석항목; 지방량의 상하체의 좌우 밸런스를 비율적으로 나타낸 상하체 지방량 좌우밸런스항목;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지방량의 측정치와 적정치를 좌우로 표시해주는 부위별 지방량항목; 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의 지방량을 막대그래프로 각 날짜별로 한번에 나타낸 부위별 지방량변화추이항목;으로 구성된 지방량 분석항목을 포함하는 부위별 분석물을 표시부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피검자의 ID, 성명, 나이, 성별, 신장, 검사일, 이전 검사일을 나타나 있는 피검자정보항목;
    체수분,단밸질,무기질,체지방의 체성분의 비율을 도식화하여 이전 검사결과와 현재 검사결과를 동시에 표시하는 체성분분석항목;
    피검자의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표준여부를 각각의 막대그래프로 이전과 현재의 측정치를 표시하는 근육/체지방밸런스항목;
    부위별 근육분포와 체지방분포를 부위별 타원형 모양으로 적정치와 측정치를 동시에 나타내어 표준값과 표시한 부위별 체성분분포분석항목;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고 현재체형과 이전의 체형을 동시에 표현하는 체형평가항목;
    체중조절, 신체발란스,체형발달지수가 표시되어 검사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종합평가항목;을 포함하는 체성분 분석검사결과물을 더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체지방밸런스항목은 이전과 현재의 피검자의 체중,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의 표준여부를 표준미만, 표준, 표준초과를 구분하여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육/체지방밸런스항목은
    체중과 근육량은 각각 표준체중과 표준체중의 표준 근육량을 기준으로 90% 미만 인경우 표준미만, 90~110%는 표준, 110% 초과는 표준 초과로 구분하고,
    체지방량은 표준체중의 표준체지방량을 기준으로 80% 미만인 경우 표준미만, 80~150%는 표준, 150% 초과는 표준초과로 구분하며,
    체지방률은 남자일 경우에는 10% 미만인 경우 표준미만, 10~20%인 경우 표준, 20% 초과인 경우 표준초과이며, 여자의 경우는 18% 미만인 경우 표준미만, 18~28%인 경우 표준, 28% 초과인 경우 표준 초과이고,
    세포외액비는 30%미만인 경우가 표준미만, 30~35% 인경우 표준, 35% 초과인 경우 표준 초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형평가항목은 BMI(Body Mass Index:체질량 지수)를 이용하여 표준비만,비만, 수척비만,정상, 저체중,과다수척, 저지방,근육형의 8가지 체형으로 구분하여 피검자의 현재와 이전의 체형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위별 근육량 아바타분석항목과 상기 부위별 체지방량 아바타분석항목은 성별대로 아바타가 남/여 아바타의 모양이 다르고, 저체중/저근육형, 표준형/근육형, 비만형의 아바타로 표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9.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부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체중, 체지방률,세포외액비,근육량을 날짜별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며 또한 상기 체중, 체지방률, 세포외액비, 근육량을 수치로 나타내는 체성분분석항목;
    처방열량, 목표체중, 일일필요열량,목표체지방,운동레벨,체중적정시기,운동처방,운동처방최종결과를 표현한 운동처방항목;
    적정체중 또는 목표체중에 따른 처방열량 및 열량처방에 따른 총소비량에 의한 체중추이도를 날짜별 막대그래프로 제시한 체중추이도항목;으로 구성된 체성분 추이 및 운동처방전을 표시부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10. 제9항에 있어서,
    체성분분석항목은 체중,체지방률,세포외액비,근육량의 적정값은 평행선으로 나타내고 체중, 체지방률,세포외액비,근육량의 측정치는 날짜별 막대그래프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체성분 분석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운동메뉴 영양처방,식품표를 표시부에 더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330)는 양팔, 몸통, 양다리의 무게 및 제지방량을 이용하여 양팔, 몸통, 양다리의 체지방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60016534A 2006-02-21 2006-02-21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0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534A KR100909400B1 (ko) 2006-02-21 2006-02-21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534A KR100909400B1 (ko) 2006-02-21 2006-02-21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334A KR20070083334A (ko) 2007-08-24
KR100909400B1 true KR100909400B1 (ko) 2009-07-24

Family

ID=3861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5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09400B1 (ko) 2006-02-21 2006-02-21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4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330A (ko) 2014-11-28 2016-06-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체형 및 체성분 측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13389A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인바디 체성분 측정 시스템 및 그 결과지 출력 방법
WO2023146097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모그 체형 및 체성분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개선 프로그램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001B1 (ko) * 2008-02-28 2010-07-09 (주)엠젠 생체역학 파라미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60027B1 (ko) * 2014-09-26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목형 체성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성분 측정 방법
KR102440484B1 (ko) 2015-02-16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48489B1 (ko) * 2015-02-26 2022-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신체 측정 부위 자동 인식 가능한 체성분 측정 방법
KR101823496B1 (ko) 2016-08-22 2018-01-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부종 지수의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부종 지수 측정 방법
KR101963948B1 (ko) * 2017-02-16 2019-07-31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수분 밸런스 서비스 방법
KR102297681B1 (ko) * 2019-03-13 2021-09-06 주식회사 인바디 생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73380B1 (ko) * 2020-10-21 2021-07-06 주식회사 테슬라바이오랩 체성분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섬유장치 및 체성분 측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248A (ko) * 1999-08-09 2001-03-05 차기철 신규의 손 전극을 이용한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KR20010094598A (ko) * 2000-03-31 2001-11-01 박원희 체성분 분석장치
KR20030031245A (ko) * 2001-10-12 2003-04-21 (주)디지탈스퀘어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용 손목 시계 및 상기 손목 시계를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JP2005137654A (ja) * 2003-11-07 2005-06-02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248A (ko) * 1999-08-09 2001-03-05 차기철 신규의 손 전극을 이용한 인체성분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KR20010094598A (ko) * 2000-03-31 2001-11-01 박원희 체성분 분석장치
KR20030031245A (ko) * 2001-10-12 2003-04-21 (주)디지탈스퀘어 다이어트 및 건강 관리용 손목 시계 및 상기 손목 시계를이용한 건강 관리 방법
JP2005137654A (ja) * 2003-11-07 2005-06-02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5330A (ko) 2014-11-28 2016-06-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체형 및 체성분 측정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113389A (ko)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인바디 체성분 측정 시스템 및 그 결과지 출력 방법
WO2023146097A1 (ko) * 2022-01-28 2023-08-03 주식회사 모그 체형 및 체성분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개선 프로그램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3334A (ko) 200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400B1 (ko)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Ellis et al.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s in clinical research: a follow-up to the NIH Technology Assessment Conference
EP08350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using a new electrode system based o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US9307935B2 (en) Non-invasive monitoring of blood metabolite levels
JPH0951885A (ja) 部分インピーダンス及び複数の周波数インピーダンスを使用する身体インピーダンスデータの獲得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Ricciardi et al. Use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the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CN100393276C (zh) 人体脂肪测量装置
WO2001015600A1 (en) Health condition judging/displaying device
JP6149274B2 (ja) 筋質評価装置
JP2013150790A (ja) コンディション情報処理装置、コンディション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ディション情報処理方法
CA2397780C (en) Health care administration device
Gammone et al.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and nutritional risks in young ballet dancers–th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enton et al.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with whole body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and air displacement plethysmography in healthy middle-aged women
KR20030091052A (ko) 신체의 자세균형을 측정하는 기능을 갖는 체중계
CN102512167A (zh) 人体成分检测仪
KR102106416B1 (ko) 건강관리용 검사장치
Hlúbik Bioimpedance measurement of specific body resistance
US12336801B2 (en) Indicator determination
JP3112717U (ja)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KR100915033B1 (ko) 복부비만 분석 장치 및 방법
Weaver et al. Evaluation of hand-to-han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for estimating percent body fat in young adults
JP3112317U (ja) 体成分分析結果紙
TWI790910B (zh) 體組成分析儀之資料整合系統
KR200362782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KR200362780Y1 (ko) 체성분분석 결과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