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450A -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450A
KR20180055450A KR1020160153325A KR20160153325A KR20180055450A KR 20180055450 A KR20180055450 A KR 20180055450A KR 1020160153325 A KR1020160153325 A KR 1020160153325A KR 20160153325 A KR20160153325 A KR 20160153325A KR 20180055450 A KR20180055450 A KR 2018005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composition
chitosan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수정
손남서
송영숙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153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450A/ko
Publication of KR2018005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 음이온성 폴리머 및 pH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성 천연 폴리머,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염(Salt) 등의 다양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멀젼의 안정화를 유지하여 안정된 제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salt-resistance containing hydroxy alkyl chitosan}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점증 효과가 우수한 음이온성 점증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시킴으로써 내염성을 지니며 안정된 제형을 유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시스템에는 작업성 및 유동학적 성질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증제가 포함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이나 퍼스널 케어 제품 등에는 점증제로 수용성 폴리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용성 폴리머는 천연 폴리머 또는 합성 폴리머가 사용되는데, 천연 폴리머는 점증 능력이 부족하여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으로 크게 나누어지는 합성 폴리머는 이온 반발성에 의해 점도를 증가시키는데 천연 폴리머보다 점도 능력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에는 카보머(Carbomer) 또는 그의 유도체 등의 합성 폴리머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점증 능력이 우수하며 에멀젼 안정화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카보머(Carbomer) 등의 이온 반발력에 의한 점증 능력이 있는 수용성 폴리머는, 이온 차례, 보습,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성 염(Salt)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되면 이온 반발력이 상쇄되기 때문에 점증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점도 저하에 의해 에멀젼의 안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점증제로 사용되는 수용성 폴리머는 염을 포함하는 제형에서 정상적인 에멀젼 안정도와 점증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려워, 안정된 제형을 가지는 제품 개발이 어렵다.
또한, 상대적으로 염에 강한 양이온성 폴리머를 첨가하는 경우, 음이온성 폴리머와의 이온성 결합으로 응집이 발생하므로 화장품 제형 개발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증 효과가 우수한 음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에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시킴으로써, 염(Salt) 등의 다양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형에서 내염성을 지니며 전하가 다른 2종류의 폴리머를 병용하여도 안정된 제형을 유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 음이온성 폴리머 및 pH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pH가 6.5 ~ 8.5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내염성"은 화장료 조성물이 염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제형을 유지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키토산을 하이드록시알킬화(hydroxyalkylation)시켜 얻은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 구체적으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음이온성 폴리머가 포함된 화장료에 유효 성분으로 포함시킨 화장료 조성물은 내염성의 제형 안정성을 가지며, 다양한 염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제형을 유지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내염성을 지니는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게, 새우, 가재 등의 갑각류로부터 얻어지는 키틴을 탈아셀틸화시켜 얻은 키토산을 하이드록시알킬화(hydroxyalkylation)시켜 얻은 키토산 유도체이다.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분자량이 21000~92000인 폴리사카라이드계 생체 고분자 물질로, 피부에 엷은 필름을 형성하고 우수한 수분 보유력에 의해 피부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우수한 점증 능력을 갖고 있지는 않으나 염(Salt)을 포함하는 제형에서 점도 저하 현상이 적고 매우 안정하다.
상기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으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하이드록시에틸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하이드록시메틸키토산, 하이드록시부틸키토산, 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키토산, 하이드록시펜탄 키토산, 하이드록시헥산 키토산, 하이드록시에틸 하이드록시프로필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하이드록시부틸 키토산, 디하이드록시프로필 키토산 및 그 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50 이상 300 미만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수용성에서 약하긴 하지만 점증 효과를 나타내며, 다양한 염(Salt) 조건에서도 점도 저하 없이 안정하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분자량은 21000~92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점증 효과는 낮지만 염(Salt)에 안정하므로 본 발명에 따라서 음이온성 폴리머와 혼합 사용하는 경우, 음이온성 폴리머의 내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혼합 사용시, 음이온성 폴리머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높은 내염성을 갖는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음이온 폴리머가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3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내염성 효과로 인해 음이온성 폴리머 단독 사용시보다 높은 내염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내염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양이온성이 과도하여 점도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2~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사용했을 경우, 같은 양의 염(Salt)을 넣었을 때, 음이온성 폴리머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적어도 2배 이상의 높은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4 ~ 3.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점증제로서 수상에서 음이온성을 띄는 폴리머로 천연 폴리머 및 합성 폴리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구체적인 예로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디메칠아크릴아마이드크로스폴리머(SODIUM ACRYLATE/ACRYLOYLDIMETHYL TAURATE/DIMETHYLACRYLAMID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음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폴리머인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의 응집을 막기 위해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포함하여 조성물의 pH를 6.5 ~ 8.5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6.5 미만일 경우에는 pH가 낮아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 사이에 응집이 발생할 수 있으며, pH가 8.5를 초과하면 음이온성 폴리머의 점도 상승 구간을 벗어나기 때문에 높은 점도를 얻을 수 없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및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pH는 6.8 ~ 7.5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염기(base)로부터 선택되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알킬 아민, 알칸올 아민 및 암모니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별한 목적을 위한 기능성의 염(Salt)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염은 이온 차폐, 보습, 자외선 차단 등을 위해 포함되며 무기염, 유기염 및 유기-무기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염은 소듐클로라이드(NaCl), 인산나트륨(Na3PO4), 황산마그네슘(MgSO4), 염화마그네슘(MgCl2) 및 염화칼슘(CaCl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피부용 및/또는 모발용 조성물로서,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염모제, 샴푸, 린스, 정발제, 양모제, 연고, 젤, 크림, 패취, 분무제, 피부 접착타입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이온성 천연 폴리머,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음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포함시킴으로써 염(Salt) 등의 다양한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멀젼의 안정화를 유지하여 안정된 제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음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폴리머를 응집없이 병용하여 제형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은 카보머 단독 사용 시 염(Salt)을 넣었을 때 점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카보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Hydroxypropyl chitosan)을 혼합 사용 시 염(Salt)을 넣었을 때 점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카보머와 석시닐화키토산(Succinyl chitosan)을 혼합 사용 시 염(Salt)을 넣었을 때 점도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험예(실시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험예(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험예 1>: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함량 별 점도 및 염(NaCl) 함량에 따른 점도 변화 평가 실험
먼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점도 및 내염성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적정량 첨가하여 완전히 분산시켰다. 이때, 함량 별 점도 실험은 조성물 총 중량(물 +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0.5중량%, 1.0중량%, 1.5중량% 및 2.0중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분산시켰다. 그리고 각 농도에 따른 조성물에 대하여,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led社 제품)을 이용하여 25℃에서 점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함량에 따른 점도 변화 결과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함량
(중량%)
점도(cps)
0.5 300
1.0 360
1.5 440
2.0 58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점도가 높은 편이 아니며, 함량 증가 비율에 따른 점도 증가율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내염성 능력 실험은 조성물 총 중량(물 +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NaCl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1.0중량%로 고정하였다. 그리고 NaCl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1중량%, 0.2중량%, 0.5중량%, 1.0중량%, 1.5중량%, 2.0중량% 및 4.0중량%로 첨가하였다. 그리고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社)를 이용하여, NaCl의 함량에 따른 점도를 25℃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염(NaCl)의 함량에 따른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점도 변화 결과
NaCl의 함량
(중량%)
점도(cps)
0.0 340
0.1 480
0.2 460
0.5 420
1.0 400
1.5 400
2.0 42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점도는 염(NaCl)의 함량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으며, 염(NaCl)의 첨가량에 관련 없이, 점도 저하가 없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오히려 염(NaCl)을 첨가하였을 때 점도가 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카보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혼합 사용 시 염(NaCl) 함량에 따른 점도 변화 평가 실험
[실시예 1 및 2]
카보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혼합 사용시 염(NaCl)의 함량에 따른 점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카보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혼합물, pH 조절제 및 염(Nacl)을 적정량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때, 조성물 총 중량(물 + 카보머 +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 pH 조절제 + NaCl 의 총량)을 기준으로 실시예 1은 카보머 0.25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0.25중량%로 혼합하였고, 실시예 2는 카보머 0.25중량%,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0.4중량%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염(NaCl)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02중량%, 0.04중량%, 0.08중량%, 0.12중량% 및 0.24중량%로 첨가하였다. 도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3]
화장료 조성물에 많이 쓰이는 카보머 제품을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25중량%가 되도록 물에 분산시킨 후, 여기에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중화하여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 1의 조성물로 하였다.
비교예 2 내지 3에서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대신에 석시닐화키토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및 2와 동일하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NaCl을 각각 0.02중량%, 0.04중량%, 0.08중량%, 0.12중량% 및 0.24중량%로 첨가하였다. 도 1 및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조성물 시편에 대하여,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社)를 이용하여, NaCl의 함량에 따른 점도를 25℃에서 측정하였다.
도 1에서, 카보머는 염(NaCl)이 첨가됨과 동시에 급격한 점도 저하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염(NaCl)을 0.12중량% 이상 사용했을 때는 점도가 측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카보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혼합 사용한 도 2를 보면, 카보머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점도 저하 현상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염(NaCl)을 일정량 이상 사용하면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더 많이 사용했을 경우에, 점도 저하 현상이 더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더 많이 사용했을 경우에, 내염성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석시닐화키토산과 카보머를 혼합사용한 도 3을 보면, 두 폴리머를 혼합했을 때 점도가 급격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염(NaCl)의 첨가된 함량에 따라 점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과는 다르게 석시닐화키토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카보머와 혼합했을 때의 초기 점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3>: pH에 따른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응집 여부 평가 실험
pH 조절을 통한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응집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에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그리고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때, 조성물 총 중량(물 + 음이온성 폴리머 +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 pH 조절제의 총량)을 기준으로,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혼합물은 0.4중량%가 되도록 첨가하되, 1:1의 비율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pH 조절제로서 트로메타민을 적정량 첨가하였다.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3]과 같다.
음이온성 폴리머,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및 pH 조절제 성분 및 함량(중량%)
원료명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카보머 0.2 0.2 0.2 0.2 0.2 0.2 0.2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0.2 0.2 0.2 0.2 0.2 0.2 0.2
트로메타민 적정량 적정량 적정량 적정량 적정량 적정량 적정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pH 6.50 6.78 7.30 7.90 5.70 6.00 6.30
상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 비교예 4 내지 비교예 6의 응집 여부는 실험하면서 바로 알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음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폴리머의 응집 여부 결과
 비고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응집 여부 X X X X
X : 응집이 발생하지 않음
△: 육안으로는 알 수 없으나 현미경으로 응집 여부 확인 가능
○: 육안으로 응집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음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가 6.5이상인 실시예 3 내지 6은 응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pH가 낮은 비교예 4 내지 5는 응집이 확실히 발생하였다. 비교예 6의 경우는 실험을 하는 중에는 응집 여부를 알 수 없었으나, 현미경으로 보았을 때 응집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유화 제형에서의 점도 변화 평가 실험
[실시예 7 내지 9]
음이온성 폴리머와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의 유화 제형(크림) 내에서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5]에 기재된 것과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유화시켜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5]의 조성에서, 유상과 수상은 별도로 분리하여 각각 70℃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수상에 유상을 첨가한 다음, 6500rpm으로 5분간 유화시켜 유화 크림 제형을 제조하였다. 이 때, 실시예 7 및 8의 제형에는 염(NaCl) 0.2중량%를 별도로 첨가하였다.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는 응집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로 적정량의 pH 조절제를 첨가하였다.
[비교예 7 내지 8]
상기 비교예 1에서 사용한 카보머를 사용하고 비교예 7 내지 8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의 제형에는 염(NaCl) 0.2중량%를 별도로 첨가하고, 비교예 8에는 pH 조절제를 첨가하여 pH가 6이 되도록 하였다.
유화 제형(크림)의 성분 및 함량(중량%)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7 비교예 8
pH 6.8 7.5 7.0 - 6.0
스테아린산 1 1 1 1 1
세테아릴알코올 2 2 2 2 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 3 3 3 3
스쿠알란 5 5 5 5 5
디메치콘 3 3 3 3 3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2 2 2 2
방부제 2 2 2 2 2
NaCl 0.2 0.2 - 0.2 -
글리세린 7 7 7 7 7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 5 5 5 5
트로메타민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0.2 0.2 0.2 - 0.2
카보머 0.2 0.2 0.2 0.2 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실시예 7 내지 9 및 비교예 7 내지 8에 따른 제형의 응집 여부를 확인하고, 제형 각각을 25℃의 오븐에 보관한 후, 일정기간 뒤에 경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유화 제형(크림)의 경도 변화 평가 결과
비고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7 비교예 8
응집 여부 X X X X
경도(dyne) 60 65 61 - -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염(NaCl)을 함유하는 실시예 7 내지 8의 제형은 염(NaCl)을 함유하지 않은 실시예 9의 제형과 비슷한 경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7에 따른 제형은 염(NaCl)을 포함하는 조건에서 급격한 경도 저하 현상으로 경도 측정이 불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7 내지 9의 제형 모두 응집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의 pH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응집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비교예 8의 제형은 pH가 6.0이 되어 제조하는 과정에서 응집이 발생하여 제조가 불가능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로부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은 유화(크림) 제형에서 염(NaCl)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형 안정성을 갖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예들에 의해서도 확인되는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단독으로도 내염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음이온성 폴리머와 혼합 사용할 때, 음이온성 폴리머의 내염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실험예 1, 실험예 2). 또한, pH 조절제를 이용하여 음이온성 폴리머와 양이온성 폴리머를 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험예 3) 아울러, 다양한 염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제형을 유지시킴을 알 수 있었다.(실험예 4)

Claims (10)

  1.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 음이온성 폴리머 및 pH 조절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pH가 6.5 ~ 8.5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하이드록시에틸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 하이드록시메틸키토산, 하이드록시부틸키토산, 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키토산, 하이드록시펜탄 키토산, 하이드록시헥산 키토산, 하이드록시에틸 하이드록시프로필 키토산, 하이드록시프로필 하이드록시부틸 키토산, 디하이드록시프로필 키토산 및 그 염들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키토산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50 이상 300미만의 정수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분자량이 21000~92000인 것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중량%로 포함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는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POLYACRYLATE CROSSPOLYMER-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및 소듐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디메칠아크릴아마이드크로스폴리머(SODIUM ACRYLATE/ACRYLOYLDIMETHYL TAURATE/DIMETHYLACRYLAMIDE 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알킬 아민, 알칸올 아민 및 암모니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용 조성물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용 조성물인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바디세정제, 염모제, 샴푸, 린스, 정발제, 양모제, 연고, 젤, 크림, 패취, 분무제 및 피부 접착타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갖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53325A 2016-11-17 2016-11-17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5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25A KR20180055450A (ko) 2016-11-17 2016-11-17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325A KR20180055450A (ko) 2016-11-17 2016-11-17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450A true KR20180055450A (ko) 2018-05-25

Family

ID=62299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325A KR20180055450A (ko) 2016-11-17 2016-11-17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4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6650B1 (en) Hydrogel compositions
CA2710259C (en) Polymeric thickener composition
CN109862876B (zh) 含有阴离子聚合物和阳离子聚合物或肽的复合粒子及其制造方法
WO2001051558A1 (fr) Microgels et preparations d&#39;application externe contenant ces microgels
AU2001269178A1 (en) Use as thickeners in cosmetics of neutralized copolymers comprising weak acid units and strong acid units, an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CA2798083A1 (en) Chitosan composition
WO2017057571A1 (ja) 抗菌剤
US20150125541A1 (en) Gel-like mass comprising natural or synthetic polym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gel-like mass
WO2014132783A1 (ja) 皮膚用ジェル状組成物
AU2014339280B2 (en) Anti-perspirant composition
KR102085943B1 (ko) 고점도의 특성을 가지는 미스트 타입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45967B1 (ko) 소수성 형상 기억 폴리머를 함유하는 수분산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2014227384A (ja) 無機有機ハイブリッドハイドロゲル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53874A (ko) 천연 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증제, 에멀젼 안정화제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5181211A1 (en) Cosmetic process for attenuating wrinkles
KR20180055450A (ko) 하이드록시알킬키토산을 포함하는 내염성 화장료 조성물
US20210220252A1 (en) Silicone-in-water cosmetic
KR20180035623A (ko) 증점제 및 안정화제의 기능을 하는 분말 형태의 새로운 반 상호 침투성 격자형 중합체
Lochhead A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the polymeric delivery of attributes in cosmetics and personal care products
KR102286296B1 (ko) 인시츄로 합성된 캡슐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0675A (ko)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7414302A (zh) 高分子聚合膜
CN117255671A (zh) 具有生物聚合物的水凝胶
KR20120056571A (ko) 이온성 고분자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고분자 겔 네트워크를 포함한 증점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7083048A (zh) 具有生物聚合物的水凝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