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675A -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675A
KR20160070675A KR1020150142359A KR20150142359A KR20160070675A KR 20160070675 A KR20160070675 A KR 20160070675A KR 1020150142359 A KR1020150142359 A KR 1020150142359A KR 20150142359 A KR20150142359 A KR 20150142359A KR 20160070675 A KR20160070675 A KR 2016007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butter
fruit extract
garcinia cambog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116B1 (ko
Inventor
이의정
오주영
박선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07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ara gum and Garcinia cambogia fruit extract}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판중인 스킨, 로션 및 에센스 등의 화장료를 고경도 버터나 왁스상으로 제조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따라서, 특히, 스킨의 경우 영양감 있는 사용감과 보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유상성분을 고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고함량으로 사용한다 해도 고압조건 하에서 제조해야 하는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왁스 형상의 원료들은 대부분 점도나 경도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발림성을 크게 떨어뜨리며 냉장 조건에서 석출되어, 사용자가 화장료를 사용하기 힘든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고융점 왁스상의 원료들이, 실온유통 화장료의 냉장 유통 조건에서 점도나 경도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발림성을 저하시키거나 석출 유발 등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왁스상의 원료들은 피부에 도포 후에는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막아주고, 피부에 생기 있는 윤기도 부여하는 등 화장료에서 필수적인 원료이므로, 화장료에서 사용을 배제하기는 힘들다.
이에 추가 연구 결과, 본 발명자들은 왁스상의 원료들 중에서도 융점이 40℃ 초과의 고융점의 왁스상 원료들이 이러한 문제를 더욱 크게 야기시키고,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야기시키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융점이 20~40℃이고 증점 및 보습을 부여하는 왁스상 성분을 2~10 중량% 포함하는 유화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76169호).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도포 시 사용자에게 만족할 만한 수준의 발림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왁스상 성분을 상당히 소량으로 제한해야 하였으며, 재료 또한 고경도 조성물로 제한되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물을 포함하지 않거나 1 중량% 이하로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유화 무수 제형의 오일 기반 화장료 조성물로서, 25~35℃의 융점을 가진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5~30 중량% 포함하는 냉장 보관용 화장료 조성물을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12596호). 그러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기반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의 다양화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면서도 발림성이 우수하고, 냉장 및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추가적인 성분들이 요구됨을 발견하였다. 이에 전분, 에탄올, 검 등을 이용할 경우, 저점도 제품의 형상이나 발림성 및 기본적인 효과는 해치지 않으면서, 안정한 유효성분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효능 및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29513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을 함유할 경우, 저점도 제품의 품질 유지를 위한 형상, 화장료 사용 시 밀림방지 등의 기본적인 효과는 해치지 않으면서, 안정한 유효성분에 의한 효능 및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 및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우, 피부에 도포 시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가 녹지 않아 발림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고경도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림성 불량이 더욱 심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혼합한 결과,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현상이 방지되어, 화장료의 사용감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에탄올, 전분, 및 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에서도, 다량의 전분 및 검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을 동시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Garcinia cambogia) 열매를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상기 가르시니아캄보지아의 열매, 이들의 건조물, 가공물 등을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10℃ 내지 25℃의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열추출법,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하는 초음파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또는 자연계에서 재배 또는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타라검"은 다래과 타라(Actinidia callasa LINDL.) 종자의 배유 부분을 분쇄하여 얻어지는 다당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타라검은 (1-4)-β-D-mannopyranose 단위의 주사슬에 α-D-galactopyranose가 (1-6) linkages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단백질을 포함한 정제되지 않은 타라검을 포함할 수 있다. 타라검의 주성분은 구아검, 로커스트빈검과 같이 갈락토만난(galactomannan) 중합체로, 만노오스와 갈락토스의 비율은 3:1이다.
타라검은 pH 3.5이하의 산이 있을 때도 폴리머가 불안정해지지 않으며 145℃ 정도의 열에서도 안정하여 연속공정에서도 안정하다. 또한 전분과의 혼합으로 검안정성과 유화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식품, 특히 아이스크림 제품개발에 사용하고 있다. 냉수에서도 용해가 가능하며, 80℃ 온수에서 완전히 녹아 높은 점도의 용액이 된다. 수용액은 내산성 내열성, 내염성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타라검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타라검은 구체적으로 단백질을 포함하는 천연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밀림 현상"이란, 사용자가 화장료를 얼굴, 몸, 두피, 두발 등에 도포할 때 화장료가 표면에 고르게 밀착 또는 흡수되지 않고, 일부가 밀려나오는 현상을 의미한다.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 효과"는 사용자가 화장료를 얼굴, 몸, 두피, 두발 등에 도포 시 화장료의 밀림을 방지하여, 화장료가 표면에 고르게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로서, 화장료의 밀림 현상이 적으면 해당 화장료의 발림성 또는 사용감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을 사용하는 경우,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과 타라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밀림 현상 등을 막아 사용감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6).
상기 발림성 개선 효과는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이 염을 함유하고 있고, 타라검은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어 나타나는 효과이다. 타라검의 경우 단독 사용해도 밀림 현상 방지, 발림성 개선 효과가 있으나,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단독 사용에 비하여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일 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융점이 40℃ 이하의 저융점인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은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에서도 원래의 효능을 유지하면서 밀림 현상을 감소시켜 사용감 및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카카오버터 등과 같은 식물유, 라놀린이나 비스-피이지-18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등과 같은 왁스류, 파라핀이나 바세린 등과 같은 탄화수소류 및 에스테르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전분, 검,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은 에탄올, 전분, 또는 검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밀림 현상을 감소시켜 사용감 및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및 두피용 화장품 등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스킨, 로션, 에센스, 부스터, 밤 등이 있으며, 바디화장품의 제형으로는 바디로션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프라이머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등이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스칼프 트리트먼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그 용도에 따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의 일반적인 첨가제는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유분, 물, 계면활성제, 알코올 및 킬레이트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화장료가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서, 타라검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01 중량% 내지 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일 경우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화장료가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을 사용하는 경우,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과 타라검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밀림 현상 등을 막아 사용감이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6).
일 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융점이 40℃ 이하의 저융점인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전분;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에탄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검;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타라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상기한 것과 같다.
상기 전분은 양친매성을 이용하여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또는/및 타라검과 함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밀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예를 들어 타피오카, 쌀 및 옥수수 유래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수불용성의 부분 수화된 과립상 전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불용성의 부분 수화된 과립상 전분이란 열에 의해 호화 및 노화된 전분을 의미한다. 상기 전분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밀림 방지 효과 또한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에탄올은 물보다 비극성인 점을 이용하여 버터를 일부 녹여내어 버터를 다량 포함한 화장료가 급격히 경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전분의 분산성을 물보다 우수하게 하여 전분을 뭉침 없이 효율적으로 제형에 적용할 수 있게 하며, 전분 외 다른 검들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저점도에서도 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제형을 형성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에탄올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히 조절되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해 질 뿐만 아니라, 밀림 방지 효과 또한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검은 구아검, 아라비아고무 또는 천연 다당류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천연 다당류로는 한천, 로커스트콩검, 타마린드검, 크산탄검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검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또는/및 타라검과 함께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 밀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검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화장료가 밀리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 및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 효과는 상기한 것과 같다.
상기 혼합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화장료의 원재료를 혼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 이후, 에탄올, 전분, 검,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화장료의 형상, 유효성분의 기본적인 효능은 해치지 않으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밀림현상을 방지하여 화장료의 발림성 또는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피부에 도포 후에는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막아주고, 피부에 생기 있는 윤기도 부여하는 등 화장료에 있어 필수적인 원료인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는 화장품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다량으로 화장품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료에 포함되는 전분, 에탄올 및/또는 검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는 밀림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실온 및 냉장 유통 조건은 물론 고온 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뛰어나고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하며 밀림현상이 적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단위: 중량%).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및 2는 하기 표 1에서, 원료 9에 원료 10, 11 및 12를 순차적으로 분산시킨 후, 원료 13 내지 15를 투입한 다음, 상기 수상을 온도 70~75℃로 가온 및 용해하였다. 그 다음, 원료 1 내지 8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70~75℃로 가온 및 용해하여 수상에 서서히 투입하고 호모믹서로 10분간 균일하게 유화하였다. 이 후 원료 16을 넣어 중화한 후 탈포 및 냉각 중, 원료 17, 18, 19 및 20을 투입하고 실온(25℃)으로 완전히 냉각하여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1 쉐어버터 2.0 2.0 2.0 2.0 2.0 - -
2 쿠푸아수버터 1.0 1.0 1.0 1.0 1.0 - -
3 바바수버터 2.0 2.0 2.0 2.0 2.0 - -
4 세테아릴알코올 - - - - - - 1.0
5 폴리옥시에틸렌(20)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1.0
6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2.0 2.0 2.0 2.0 2.0 2.0 2.0
7 트리에틸헥사노인 3.0 3.0 3.0 3.0 3.0 3.0 3.0
8 사이클로펜타실록산 1.0 1.0 1.0 1.0 1.0 1.0 1.0
9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 카보머 0.04 0.04 0.04 0.04 0.04 0.04 0.04
11 잔탄검 0.02 0.02 0.02 0.02 0.02 0.02 0.02
12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0.05
13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4.0
14 디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4.0 4.0 4.0
15 베타인 2.0 2.0 2.0 2.0 2.0 2.0 2.0
16 중화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7 에탄올 - 10 - 10 10 - -
18 구아검 - - 1 1 1 - -
19 전분 - 1 1 1 1 - -
20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 - - - 1 - -
21 타라검 - - - - 1 - -
22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실온 및 냉장 조건 하에서의 물성 및 안정성 비교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의 실온(25℃)과 냉장(5℃) 조건에서의 점도 변화를 통한 물리적 물성비교와 안정성 관찰을 위해 경시변화에 따른 석출 현상을 관찰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석출 평가기준>
이상 없음: X, 작은 덩어리 현상 보임: △, 덩어리 딱딱한 알갱이: O
점도(단위: cps)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실온(25) 점도 1000 300 1500 500 600 600 3000
냉장(5) 점도 1200 400 2000 500 600 500 1000
석출 X X X X O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실온과 냉장에서의 점도 차이가 크지 않고 석출이 없어 제형이 안정한 반면, 비교예, 특히 비교예 2의 경우에는 40℃ 초과의 고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여 냉장에서 점도가 급격하게 떨어지며 석출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시에 따라 작은 덩어리로 뭉치는 현상과 함께 딱딱한 알갱이들도 관찰되어 안정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어,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물성 차이도 적고 안정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융점이 40℃ 이하인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면서, 전분과 에탄올을 함께 사용한 경우(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가 상당히 낮아 발림성이 우수해지면서도, 상온과 냉장의 점도 차이가 작아 제형이 보다 안정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분, 에탄올 및 검을 함께 사용한 경우(실시예 4, 5), 실온과 냉장에서의 점도가 거의 동일하여 가장 안정한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온 안정성 비교
고온 안정성 확인을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의 고온(45℃) 조건에서의 안정성 관찰을 위해 경시변화에 따른 분리현상을 관찰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고온 안정성 평가기준>
이상 없음: X, 약간 분리 보임: △, 완전 분리 보임: O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분리 X X X X O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 및 전분을 함께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5의 경우, 고온에서 매우 안정한 제형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였으나 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1에서는 약간의 분리 현상이 관찰되었다.
한편, 4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왁스상 원료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분리현상이 관찰되었고, 특히 비교예 1은 완전 분리 현상을 보여 고온에서 제형이 상당히 불안정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실험 결과,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를 사용하면서 전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온도에 따른 물성 차이도 적고 보다 안정한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보습력 비교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예와 비교예의 수분 보유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수분 보유능 측정은 SKICON-200(IBS사, 일본)을 사용하여 피부표면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조건은 22℃, 5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는 항온 항습실에서 피부 16cm2당 0.03g의 시료를 도포 후 시간대별로 측정하였고, 2회 반복 실시하였다. 피시험자는 20명으로 하였으며, 단위는 μ/Ω이다.
실험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1차 도포 후 30분 126 129 130 132 133 57 132
도포 후 120분 134 114 116 117 117 32 117
2차 도포 후 30분 133 134 135 136 136 62 130
도포 후 120분 118 120 122 123 123 37 113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왁스형 원료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2는 왁스형 원료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피부 보습력이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피부 보습을 위해서는 왁스형 원료의 사용이 필요하며 실시예 1 내지 5의 저융점 왁스는 비교예 2의 고융점 왁스에 비해 피부 보습력이 떨어지지 않고 동등한 수준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사용감 평가
25 내지 45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의 부위에 사용하게 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전제적인 사용감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나쁨: 1, 약간 나쁨: 2, 보통: 3, 약간 우수: 4, 매우 우수: 5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발림성 4.2 4.5 4.4 4.7 4.8 2.0 1.0
흡수력 4.5 4.5 4.4 4.7 4.8 2.4 1.4
보습력 4.3 4.5 4.6 4.6 4.6 2.9 2.0
전체적인 사용감 4.5 4.6 4.5 4.7 4.8 2.6 1.1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사용감 평가에서도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가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전체적인 사용감의 모든 부분에서 월등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와 함께 전분, 에탄올 및 검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5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실험예 5: 밀림 평가
25 내지 45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및 2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의 부위에 사용하게 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 시 밀림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나쁨: 1, 약간 나쁨: 2, 보통: 3, 약간 우수: 4, 매우 우수: 5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발림시 밀림 4.2 4.5 4.4 4.7 4.9 2.0 1.0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사용감 평가에서도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가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발림성, 흡수력, 보습력, 전체적인 사용감의 모든 부분에서 월등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40℃ 이하의 저융점 왁스상 원료와 함께 전분, 에탄올 및 검을 함유하는 제형에서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을 포함하는 실시예 5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이는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타라검이 화장료의 물성, 실온 안정성, 고온 안정성, 피부 보습력, 보습력 등 제형 및 효능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사용 시 밀림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시의 밀림 현상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는, 쉐어버터, 쿠푸아수버터, 바바수버터, 카카오버터, 라놀린, 비스-피이지-18 메틸 에스터 디메틸 실란, 파라핀 및 바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에탄올, 전분, 검,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된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라검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5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융점이 40℃ 이하의 저융점인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전분;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에탄올;
    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검;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및
    0.01 중량% 내지 5 중량%의 타라검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 타라검, 또는 그의 조합; 및
    버터 또는 왁스상 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 시의 밀림 현상이 방지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타라검을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중량% 내지 5 중량%로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50142359A 2014-12-09 2015-10-12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4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6177 2014-12-09
KR20140176177 2014-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75A true KR20160070675A (ko) 2016-06-20
KR102444116B1 KR102444116B1 (ko) 2022-09-20

Family

ID=5635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359A KR102444116B1 (ko) 2014-12-09 2015-10-12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25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641A (ja) * 2002-12-09 2004-07-08 Kao Corp 水中油型化粧料
KR20140040001A (ko) * 2012-09-24 2014-04-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641A (ja) * 2002-12-09 2004-07-08 Kao Corp 水中油型化粧料
KR20140040001A (ko) * 2012-09-24 2014-04-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425A (ko) * 2017-04-10 2018-10-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38656A (ko) * 2017-04-10 2022-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116B1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4463A (ko)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BR112014031512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translúcida e método para o tratamento cosmético de um material queratínico
KR20150029407A (ko) 전상이 빠른 수중유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6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9151A (ko) 실리콘 분체를 안정화시킨 무 계면활성제의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6169A (ko) 저융점 왁스상 성분을 포함하는 냉장유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WO2018118448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hyaluronic acid and synergistic anti-hyaluronidase actives
US9820926B2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 for hydrating skin
KR20160070675A (ko) 타라검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4407B1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2230B1 (ko) 가교전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9106B1 (ko) 피부 보호막을 형성하는 크림형 하이드로겔 팩 및 그 제조방법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JP2004067622A (ja) 整髪用乳化化粧料
KR102274296B1 (ko) 반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713900B1 (ko) 고함량의 칼슘판토테네이트를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09137B1 (ko) 모발 볼륨용 화장료 조성물
JPS6410484B2 (ko)
CA2865137C (en) Stabilized colloidal preparation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KR101978439B1 (ko) 타마린드씨 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8888A (ko) 립-플럼핑용 화장료 조성물
JP3633797B2 (ja) 毛髪化粧料
KR102373153B1 (ko) 자연유래 성분을 함유하고 분사각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9708B1 (ko) 홍삼 추출물 및 젤란검을 포함하는 분사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