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32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5322A KR20180055322A KR1020160153021A KR20160153021A KR20180055322A KR 20180055322 A KR20180055322 A KR 20180055322A KR 1020160153021 A KR1020160153021 A KR 1020160153021A KR 20160153021 A KR20160153021 A KR 20160153021A KR 20180055322 A KR20180055322 A KR 2018005532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display
- power
- power supply
- suppl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8—Power processing, i.e. workload management for processors involved in display operations, such as CPUs or GP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와 영상을 표시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원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광고,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방송 등의 목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함께 사용되어 영상을 표현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박람회 등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하나의 전체 영상으로 조합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에 불량이 발생하여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활용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전체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일부 화면이 꺼지게 되면, 화면을 시청하는 소비자들은 이를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므로, 불량 구성품을 교체하여 정상 구동을 하기 전까지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방송국이나 공공 기관의 상황실과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항시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조치가 필요하므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긴급으로 복구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여분의 전원 장치 없이도 전원 불량을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복구할 수 있도록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원을 상호 공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영상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대한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전원 공급부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대한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불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 감소 여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는, 복수의 DC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DC 전원 각각을 병렬 연결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병렬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는, 복수의 DC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DC 전원 각각을 병렬 연결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 감소 여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병렬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표시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표시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발명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로 구성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분할하여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조합되면 하나의 전체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사과에 대한 하나의 영상을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가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루프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외부로부터 어느 한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입력되어 순차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한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 불량이 발생하면, 전원 불량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데이터가 전달되지 못해, 이후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 받을 디스플레이 장치들도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된다.
한편,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어느 한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 불량이 발생하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데이터 수신에는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전원 불량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만 작동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전원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공유하여 자체적으로 복구가 가능하며, 자세한 구성 및 동작은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4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디스플레이(110-1), 전원 공급부(120-1), 입출력 포트(130-1), 감지부(140-1) 및 프로세서(16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도 디스플레이(110-2), 전원 공급부(120-2), 입출력 포트(130-2), 감지부(140-2) 및 프로세서(16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전원 공급부(120-1)는 AC 전원(10-1)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20-1)는 DC 전원을 출력하여 프로세서(160-1) 및 디스플레이(11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20-1)는 디스플레이(100-1)의 구동 전압인 24V를 출력하여 프로세서(160-1) 및 디스플레이(110-1)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1)의 구동 전압은 13V인 바, 프로세서(160-1)는 전압을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여, 제공받은 24V의 전압을 13V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40-1)는 전원 공급부(120-1)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40-1)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와 연결되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100-3, 100-4)의 각 구성들도 이상에 기재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각 구성들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때,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각각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의 전원 공급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입출력 포트(130-1, 130-2)를 통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전원 공급부의 DC 출력단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병렬 연결될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에 불량이 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DC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병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것이 감지되면,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 전원(10-2)을 입력받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전원 공급부(120-2)에 전원 출력 불량이 발생하면, 감지부(140-2)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원 상태 정보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1,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3, 100-4)의 각 감지부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3, 100-4)의 동작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동일한 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감지부(140-2)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감지부(140-1)가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전원 출력 불량을 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프로세서(160-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공급할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프로세서(160-1)는 소비 전력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켜 전원을 확보하고, 확보된 전원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에 구비된 프로세서에 의해 밝기 값 등을 기설정된 비율로 감소시켜 소비 전력을 감소시켰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있어, 외부 장치로부터 각각 데이터 및 제어 명령 등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외부 장치의 제어에 의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전원 공급부는 병렬 연결되어 있어, 프로세서의 별도의 제어 없이도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제공되나,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3, 100-4)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3)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공급된 전원은, 프로세서(160-2) 및 디스플레이(110-2)에 제공되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가 비디오 월(video wall)로서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소비 전력이 감소되게끔 제어된 바, 전체 영상의 밝기(휘도) 값은 감소되어 영상이 다소 어둡게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가 병렬 연결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공유하여 복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전원 공급부(120) 및 입출력 포트(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입력된 데이터 중 기설정된 일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좌측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면, 디스플레이(110)는 4 분할된 입력된 영상에서 좌측 상단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영상의 일부 영역을 각각 표시함으로써 전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20)는 AC 전원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미도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13V이고, 디스플레이(1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이 24V라면, 전원 공급부(120)는 13V 및 24V의 복수의 DC 전원을 생성하여 각 구성에 공급하거나, 프로세서에 24V를 13V로 변환하는 변환부가 구비되어 있다면 24V만, 디스플레이(110)에 13V를 24V로 변환하는 변환부가 구비되어 있다면 13V만 생성하여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20)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일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20)는 병렬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20)의 DC 출력단과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DC 출력단은 입출력 포트(130)를 통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입출력 포트(13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는 단자 일 수 있다. 여기서, 입출력 포트(130)는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HDMI(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포트,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포트 등일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20)가 복수의 DC 전원을 생성하는 경우, 입출력 포트(130)는 복수의 DC 전원 각각을 병렬 연결하는 복수의 단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포트(13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전원 공급부에서 각 프로세서로 제공되는 DC 출력단을 병렬로 연결한 단자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전원 공급부에서 각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DC 출력단을 병렬로 연결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120)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와 병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전원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도 이를 복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전원 공급부(120), 입출력 포트(130), 감지부(140), 통신부(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 통신부(150) 및 프로세서(16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각 구성이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20)는 프로세서(16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에 제공되는 전원을 감소시켜, 여분의 전원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20)는 여분의 전원을 입출력 포트(13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20)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20)의 DC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120)의 DC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전원 공급부(120)에서 출력된 전원이 감지부(140)에서 각각 프로세서(160) 및 디스플레이(110)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별도의 구성에 의해 각 구성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감지부(140)를 복수 개 구비하여 프로세서(160) 및 디스플레이(110)로 제공되는 전원의 출력 상태를 각각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감지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감지부와 연결되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40)는 로드 공유 IC(load share IC)일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로드 공유 IC는 서로 연결되어 각 전원 공급부의 전원 출력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전원 출력 상태의 공유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및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감지부(14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부(140)가 별도의 구성이 아닌 프로세서(160)에 포함된 구성이거나, 전원 공급부(16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프로세서 또는 각 전원 공급부가 연결되어 전원 출력 상태를 공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통신부(15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이후, 통신부(15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또는 제어 명령을 다른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통신부(15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입출력 포트(13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연결 포트인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GB(Red Green Blue), DSUB, S-Video(Super Video), Component Video, Composite Video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유선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50)는 유선 방식 이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감지부(160)에 의해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불량이 발생하면, 프로세서(16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20)에 발생된 불량으로 인해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필요 전원의 일부를 공급받을 수 없으면, 프로세서(160)는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된 전원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공급부(120)에 발생된 불량으로 인해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필요 전원 전체를 공급받을 수 없으면, 프로세서(16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구동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만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110)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도록 디스플레이(1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소비 전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디스플레이(100)의 백라이트를 제어하여 영상의 밝기를 낮추는 방식으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비율은 전원 공급부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9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비디오 월에서, 1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나머지 8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를 15%씩 감소시켜 발생된 여분의 전원을, 전원 불량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나머지 7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를 30%씩 감소시켜 발생된 여분의 전원을, 전원 불량이 발생한 2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한 기설정된 비율은 예시에 불과하고, 실제 구현시에는 전원 공급부의 전원 용량, 백라이트가 소비하는 소비 전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영상의 밝기 값을 감소시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실시 예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영상의 오디오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피커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이외에 영상 표시에 불필요한 구성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소비 전력을 감소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감지부(160)에 의해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면, 감지된 불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소비 전력 감소 여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감지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소비 전력을 바로 감소시키지 않고, 소비 전력 감소를 수행하여 전원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시킬 것인지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60)는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에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도 있고, 오디오 출력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 입력, 리모컨, 음성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소비 전력 감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 전원 공급부(120) 및 입출력 포트(130)의 이외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10), 전원 공급부(120) 및 입출력 포트(130)의 동작과 동일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상에 기재된 구성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저장부, 마이크, 카메라,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120)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와 병렬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전원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도 이를 복구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디스플레이(110-1), 전원 공급부(120-1), 입출력 포트(130-1), 감지부(140-1) 및 프로세서(160-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도 디스플레이(110-2), 전원 공급부(120-2), 입출력 포트(130-2), 감지부(140-2) 및 프로세서(16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도,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구성들을 포함한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전원 공급부(120-1)는 AC 전원(10-1)을 입력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각 구성에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20-1)는 DC 전원을 출력하여 프로세서(160-1) 및 디스플레이(110-1)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전원 공급부(120-1)는 프로세서(160-1)의 구동 전압인 13V를 출력하여 프로세서(160-1)에 제공하고, 디스플레이(100-1)의 구동 전압인 24V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110-1)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40-1(1), 140-1(2))는 전원 공급부(120-1)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40-1(1), 140-1(2))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와 연결되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상호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2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2, 100-3, 100-4)의 각 구성들도 이상에 기재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각 구성들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때,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각각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의 전원 공급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입출력 포트(130-1(1), 130-1(2), 130-2(1), 130-2(2))를 통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전원 공급부의 DC 출력단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병렬 연결될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의 전원 공급부에서 프로세서로 전원을 공급하는 DC 출력단을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130-1(1), 130-2(1))와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의 전원 공급부에서 디스플레이로 전원을 공급하는 DC 출력단을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130-1(2), 130-2(2))는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에 불량이 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병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는 DC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병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것이 감지되면,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C 전원(10-2)을 입력받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전원 공급부(120-2)에 전원 출력 불량이 발생하면, 감지부(140-2(1), 140-2(2))는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원 상태 정보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인 제1,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3, 100-4)의 각 감지부와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제3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3, 100-4)의 동작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동일한 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감지부(140-2(1), 140-2(2))에 의해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감지부(140-1(1), 140-1(2))가 연결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전원 출력 불량을 감지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프로세서(160-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공급할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프로세서(160-1)는 소비 전력의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켜 전원을 확보하고, 확보된 전원을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프로세서(160-2)에 공급되는 전원은, 프로세서끼리 병렬 연결시킨 입출력 포트(130-1(1))를 통해 공급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디스플레이(110-2)에 공급되는 전원은, 디스플레이끼리 병렬 연결시킨 입출력 포트(130-1(2))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 기재한 내용을 제외한 각 구성의 동작은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에 이미 상세하게 기재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가 병렬 연결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에 불량이 발생하여도,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공유하여 복구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일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 불량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해 표시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로 구성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서로 다른 영상을 분할하여 각각 디스플레이하여 디스플레이된 영상이 조합되면 하나의 전체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전원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은 어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하면, 생성된 전원의 일부를 전원에 문제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서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불량이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수인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비 전력 감소량이 많아 영상의 밝기가 너무 어두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100-4) 각각은 전원 출력이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바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켜 전원을 제공하지 않고, 소비 전력을 제공할지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출력이 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에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외부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수신하는 총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던 중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의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만약,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루프 형태로 연결되었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가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 순으로 전달되는 경우라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를 제외한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3),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작동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에만 사용자의 명령 없이도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의 수행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4대의 디스플레이 장치 중 1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에 문제가 생긴 경우, 사용자의 명령 없이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대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운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전원 출력이 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소비 전력 감소 수행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받기 위하여 UI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원 출력이 정상인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 및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 중 제4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UI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100-4)에만 UI가 표시되거나,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도 함께 UI가 표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기 위하여 UI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구현시에는 오디오 출력 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 입력, 리모컨, 음성 입력,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소비 전력 감소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의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7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DC 전원의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에 함께 제공되는 DC 전원의 출력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DC 전원의 출력 상태를 각각 감지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 결과를 병렬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할 수 있다(S7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와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감지부는 로드 공유 IC와 같은 별도의 구성일 수 있고, 프로세서나 전원 공급부에 포함된 구성일 수도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할 수 있다(S7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감지부에 의해 공유된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에 기초하여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및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S7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와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켜 발생된 여분의 전원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들로부터 여분의 전원을 공급받아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 등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감소시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상 구동일 때보다 어두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 기재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간 전원 출력단의 병렬 연결로 인해 전원 공유가 가능하게 되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도 이를 복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12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 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0 : 디스플레이 시스템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전원 공급부
130 : 입출력 포트
110 : 디스플레이 120 : 전원 공급부
130 : 입출력 포트
Claims (16)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영상 중 일부 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대한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전원 공급부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에 대한 불량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불량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 감소 여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복수의 DC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DC 전원 각각을 병렬 연결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병렬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를 병렬 연결하는 입출력 포트를 통해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출력 포트와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부는,
복수의 DC 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DC 전원 각각을 병렬 연결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 값을 기설정된 비율만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전원 출력 상태가 불량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 감소 여부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입력받는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출력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병렬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공유하는 단계;
상기 공유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원 출력 상태의 불량을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021A KR20180055322A (ko) | 2016-11-17 | 2016-11-17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US15/796,132 US10540134B2 (en) | 2016-11-17 | 2017-10-27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EP17198766.2A EP3324284A1 (en) | 2016-11-17 | 2017-10-27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201711069225.2A CN108073261A (zh) | 2016-11-17 | 2017-11-03 |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021A KR20180055322A (ko) | 2016-11-17 | 2016-11-17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322A true KR20180055322A (ko) | 2018-05-25 |
Family
ID=6038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3021A KR20180055322A (ko) | 2016-11-17 | 2016-11-17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540134B2 (ko) |
EP (1) | EP3324284A1 (ko) |
KR (1) | KR20180055322A (ko) |
CN (1) | CN10807326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3599A (ko) * | 2018-07-02 | 2020-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00045148A (ko) * | 2018-10-22 | 2020-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2149711A1 (ko) * | 2021-01-08 | 2022-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7128B1 (ko) * | 2018-06-07 | 2020-01-16 | 코츠테크놀로지주식회사 | 헬스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화면 시현기 |
WO2021046720A1 (zh) * | 2019-09-10 | 2021-03-18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KR20230029841A (ko) * | 2020-07-28 | 2023-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대한 전원 제어 방법 |
FR3125161B1 (fr) * | 2021-07-08 | 2024-04-19 | Thales Sa | Système d’affichage propre à être disposé dans un poste de commande d’un aéronef |
CN115576512B (zh) * | 2022-10-24 | 2023-07-25 | 威海市天罡仪表股份有限公司 | 一种模拟机械显示的电子显示装置及其数据存储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12771B2 (en) * | 2003-11-25 | 2007-12-25 | Sony Corporation | Power saving display mode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s |
TWI257079B (en) * | 2004-12-03 | 2006-06-21 | Au Optronics Corp | Emissive circuit capable of saving power |
KR100713278B1 (ko) * | 2005-11-15 | 2007-05-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기기의 전원 제어장치 |
US7502950B1 (en) * | 2006-04-26 | 2009-03-10 | Daktronics, Inc. | Dual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operating in parallel for providing power to a plurality of LED display modules |
KR101473805B1 (ko) | 2007-10-30 | 2014-12-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백라이트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US20090146607A1 (en) * | 2007-12-06 | 2009-06-11 | Tai-Her Yang | Serial stage power supply combination for emergency auxiliary charging apparatus |
US8902127B2 (en) * | 2008-06-13 | 2014-12-02 | Barcon N.V. | Method for power sharing and controlling the status of a display wall |
JP2010002770A (ja) | 2008-06-20 | 2010-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
JP5299866B2 (ja) | 2009-05-19 | 2013-09-25 |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 |
CN101806852B (zh) * | 2010-04-16 | 2015-09-02 | 北京中庆微数字设备开发有限公司 | 一种led在线检测和故障显示方法 |
JP5620830B2 (ja) | 2011-01-12 | 2014-11-05 | 京セラ株式会社 | 電子機器 |
TWI477024B (zh) * | 2012-09-06 | 2015-03-11 | 3Y Power Technology Taiwan Inc | 並聯式電源供應器以及用於並聯式電源供應器的電源檢測方法 |
KR20150028077A (ko) | 2013-09-05 | 2015-03-13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설비서버의 페일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
US9412336B2 (en) | 2013-10-07 | 2016-08-09 | Google Inc. | Dynamic backlight control for spatially independent display regions |
US9727896B2 (en) * | 2014-03-13 | 2017-08-08 | Johnnie E. Richardson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acilitating mobile communications |
KR102454196B1 (ko) * | 2014-05-27 | 2022-10-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US9728965B2 (en) * | 2014-09-29 | 2017-08-08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 Scalable universal power supply and power converter |
JP2018025589A (ja) * | 2016-08-08 | 2018-02-15 | 三菱電機株式会社 | 表示装置 |
-
2016
- 2016-11-17 KR KR1020160153021A patent/KR20180055322A/ko unknown
-
2017
- 2017-10-27 US US15/796,132 patent/US1054013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10-27 EP EP17198766.2A patent/EP3324284A1/en not_active Ceased
- 2017-11-03 CN CN201711069225.2A patent/CN108073261A/zh active Pending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3599A (ko) * | 2018-07-02 | 2020-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200045148A (ko) * | 2018-10-22 | 2020-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WO2022149711A1 (ko) * | 2021-01-08 | 2022-07-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540134B2 (en) | 2020-01-21 |
EP3324284A1 (en) | 2018-05-23 |
US20180136894A1 (en) | 2018-05-17 |
CN108073261A (zh) | 2018-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5532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US9064449B2 (en) |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for adapting refresh behavior | |
US8037342B2 (en) |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KR20060011417A (ko) | 음성 출력과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와 제어 방법 | |
US8964125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apparatus | |
EP3764215B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9557952B2 (en) |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
US9041865B2 (en) | Video switch | |
US1148351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nector switching method | |
EP1755106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9060204A (ja) | ソース/シンク兼用機器 | |
US20130335309A1 (en) |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for adapting display behavior | |
CN102867501A (zh) | 图像显示装置和用于控制该图像显示装置的方法 | |
US8259120B2 (en) | Seamless switching between graphics controllers | |
KR102429801B1 (ko) | 저전력 표시 모드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US11297287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 |
JP7238492B2 (ja) | 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表示装置 | |
US11335229B2 (en) | Display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gamma block on basis of indication of conten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id display | |
JP2017163176A (ja) | マルチ画面映像表示装置 | |
US9905141B2 (en) |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JP5787596B2 (ja) |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5008088B2 (ja) |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05189364A (ja) |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 |
JP2006258833A (ja) | 投射型映像表示装置 | |
JP2009065584A (ja) | 映像信号通信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