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132A -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5132A
KR20180055132A KR1020160152560A KR20160152560A KR20180055132A KR 20180055132 A KR20180055132 A KR 20180055132A KR 1020160152560 A KR1020160152560 A KR 1020160152560A KR 20160152560 A KR20160152560 A KR 20160152560A KR 20180055132 A KR20180055132 A KR 20180055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information
plan
terminal
trave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조권
Original Assignee
임조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조권 filed Critical 임조권
Priority to KR102016015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5132A/ko
Publication of KR2018005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여행객 맞춤형 투어플랜을 생성하고, 투어플랜에 기반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여행서비스 서버; 여행 계획 및 관련정보를 입력하고 투어플랜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제공받는 여행객 단말기 및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투어플랜 및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세부 계획을 상기 여행객 단말기로 보내고, 투어플랜에 대한 교통편 또는 숙박편을 확정해주는 여행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여행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계획에 따라 여행코스를 생성하는 투어플랜 생성부, 생성된 투어플랜을 기반으로 관광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제공부, 생성된 투어플랜 데이터들 및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다른 여행객의 여행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요청한 여행객의 단말기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투어플랜 생성부는, 상기 관광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키워드 및 테마의 여행 계획 데이터를 토대로 1차 데이터 필터링을 하고, 필터링된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맞춰 정렬을 하고, 관광객의 전체 여행기간과 관심지점(POI)의 관람시간에 따라 2차 데이터 필터링을 하고, 각 관심지점(POI)간의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코스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travel information sharing/recommending service system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여행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진화 및 새로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장을 겨냥해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가 새로운 산업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는 이동중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다양한 다른 유용한 정보와 실시간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부가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적인 응용서비스들 중 대표적으로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이 있다. 기존의 여행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은 여행사와 같은 전문가 집단이 계획 수립한 여행일정을 소비자가 기호에 따라 선택하는 방식으로서, 여행상품을 일정표 및 여행상품 예약을 제공할 뿐이다. 또한 일부 여행정보 사이트 등에서 여행일정을 수립하는 것을 지원하지만 단순 입력을 통한 계획표 작성만을 지원하는 것이며, 최적화된 여행일정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 들어 여행사의 획일적인 여행을 탈피하고자 자유여행을 희망하는 여행객들이 증가함에 따라 전문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획일적인 여행정보들은 자유여행을 희망하는 여행객들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자유여행을 희망하는 여행객들은 여행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인터넷 및 관련서적을 활용하거나 해당 여행지를 이미 여행한 경험자를 만나 조언을 구하거나 무작정 여행을 떠나기도 한다.
이처럼 자신이 가보고 싶은 여행지를 정해둔 사람들은 여행지를 여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자신이 희망하는 여행지에 대하여 자신만의 방식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계획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여행지의 특색을 제대로 경험하지 못하고 여행에 실패를 겪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처럼 여행에 실패를 겪는 경우 쉽게 떠나지 못하는 여행에 대한 미련을 갖게 되고 금전적으로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이는 자신과 동일한 여행지를 여행하고자 하는 다른 사람이나 동일한 여행지를 이미 방문한 경험자에게 여행 노하우 및 여행 정보를 수집하고 싶어도 현 시점에서는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서비스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보다 구체적인 실질적인 도움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도움을 요청할 대상이 없기 때문에 금전적으로 시간적으로 불필요한 소모를 하고 자신의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측면을 감수해야만 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기존의 여행정보들은 해당 여행지의 위치, 지도, 교통편, 숙박시설 등의 여행 목적지에 대한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여행객는 여행하고자 하는 특정 여행코스에 대한 구체적인 여행일정 및 여행경비를 산출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특정 국가 및 동일 지역 내의 사람이 해당 여행지를 여행하는 경우, 여행일정 및 목적지가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여행사 및 가이드를 대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행객에게 여행 추천 리스트를 통해 여행객이 선호하는 기호에 적합한 투어플랜을 사전 또는 실시간으로 생성 및 제공 가능하고, 여행 목적지가 같은 동반자들과 매칭하여 같이 여행 또는 식사와 같이 일정을 함께할 수 있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행객 맞춤형 투어플랜을 생성하고, 투어플랜에 기반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여행서비스 서버; 여행 계획 및 관련정보를 입력하고 투어플랜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제공받는 여행객 단말기 및;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투어플랜 및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세부 계획을 상기 여행객 단말기로 보내고, 투어플랜에 대한 교통편 또는 숙박편을 확정해주는 여행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여행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계획에 따라 여행코스를 생성하는 투어플랜 생성부, 생성된 투어플랜을 기반으로 관광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제공부, 생성된 투어플랜 데이터들 및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다른 여행객의 여행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요청한 여행객의 단말기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투어플랜 생성부는, 상기 관광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키워드 및 테마의 여행 계획 데이터를 토대로 1차 데이터 필터링을 하고, 필터링된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맞춰 정렬을 하고, 관광객의 전체 여행기간과 관심지점(POI)의 관람시간에 따라 2차 데이터 필터링을 하고, 각 관심지점(POI)간의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코스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객이 투어플랜이나 여행지 코스를 기호에 맞춰 계획할 수 있으므로, 여행 일정을 짜임새 있게 계획하고 위치 교통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여행 코스를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 여행에 드는 경비 및 무의미한 시간을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여행 목적지가 같은 동반자들을 서로 매칭할 수 있으므로, 각 지역의 여행객들과 친분 및 문화를 교류할 수 있으며, 단독으로 여행함에 따른 대화 또는 식사 상대의 부재등과 같은 다양한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여행을 보다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여행사 서버가 적용된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여행사 서버가 적용된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어플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동반자들을 서로 매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명칭 및 기능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여행사 서버가 적용된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여행사 서버가 적용된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서비스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여행서비스 서버(100), 적어도 하나의 여행객 단말기(200) 및, 여행사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행서비스 서버(100)는 여행객에게 맞춤형 여행 플랜을 제공하는 여행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으로서, 맞춤형 투어플랜을 생성하고, 투어플랜에 기반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한다.
여행객 단말기(20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 기기나 컴퓨터처럼 유무선 통신으로 통상적인 데이터 통신이 실행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여행객 단말기(200)는 여행사 서버(300) 및 여행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해서 투어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여행사 서버(300)는 여행서비스 서버(100)에 접속된 여행객 단말기(200)로부터 여행객의 개인 정보를 얻어, 여행정보와 여행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자료 등을 여행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한다. 또한, 여행사 서버(300)는 여행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투어플랜 및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세부계획을 상기 여행객 단말기(200)로 보내고, 투어플랜에 대한 이동경로, 교통편 및 숙박편 등을 확정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여행서비스 서버(100)는 한국여행공사 서버 또는 여행구역 지방자치단체 서버(400)와 같은 여행관련 기관 및 지자체 서버, 또는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지도 또는 포털싸이트 서버(5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여행서비스 서버(100)는, 통신부(110), 투어플랜 생성부(120), 메타데이터(Metadata) 제공부(130), 여행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140) 및 데이터베이스(Database)(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통신부(110)는 여행객 단말기(200), 여행사 서버(300), 여행관련 기관 및 지자체 서버(400), 또는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지도 서버(500)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투어플랜 생성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여행객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받은 여행 계획에 따라 여행코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여행코스는 여러 개(적어도 3개 이상)의 리스트로 제공될 수 있고, 이것을 선별해서 여행객이 최종 결정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제공부(130)는 투어플랜만으로 부족한 정보를 보충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메타데이터(Metadata)란 데이터를 위한 세부 데이터로서, 부가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메타데이터는 단순한 투어플랜만으로도 부족할 수 있음에 따라, 여행지의 지도 정보 및 주변 지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 제공부(130)는 여행관련 기관 및 지자체 서버(400) 또는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500)의 지도 여행 관련 사이트, 포털 검색 사이트 등으로부터 여행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중 지도(Open API MAPS: 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 MAPS)는 인터넷 이용자가 일반적으로 지도에 관한 웹 검색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직접 지도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누구나 사용 가능한 지도를 의미한다. 또한, 포털검색 사이트는, 구글(google)이나 네이버 등 각종 포탈일 수 있다.
여행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140)은 다른 여행객의 여행 정보를 검색 및 활용하기 위한 정보검색부로 여행객의 단말에서 요청한 검색정보에 상응하는 여행정보(예컨대, 여행종류정보, 여행종류정보에 따른 여행객별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유한 이동정보, 경유지 정보, 상기 경유지 정보의 추천정보, 길잡이 정보, 특색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50)에서 추출하여 정보제공을 요청한 여행객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여행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140)은 정보 검색 요청자가 여행 동반자의 매칭을 요청할 경우, 현재 여행하고 있는 여행객들의 여행정보를 매칭하여 여행 동반자를 매칭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50)는 투어플랜, 메타데이터 및 여행정보들을 저장하며, 구체적으로는 여행객들의 투어플랜 리스트, 특정장소 또는 구역과 관련한 부가 정보 및 다양한 여행객들의 여행정보(여행종류정보, 여행종류정보에 따른 가입자 별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유한 이동정보, 경유지 정보, 상기 경유지 정보의 추천정보, 특색정보가 분류된 정보)가 저장된 저장매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150)에는 저장되는 정보들을 여행 별로 위치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를 스크립트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시킬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별(여행객 국가별, 인종별, 여행 코스별, 남성, 여성, 연령별 등)로 분류하여 가입자들의 여행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예는 일반적인 예들로서, 저장하는 방법은 어느 한 가지만을 이용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투어플랜 생성부(120)에서 수행되는 투어 플랜 생성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어플랜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여 투어 플랜 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여행객 단말기(200)로부터 여행 키워드, 테마, 여행기간, 교통편 등의 여행 관련 데이터(S111)를 입력받는다. 다음으로, 입력 데이터를 토대로 1차 데이터 필터링(S112)을 하고, 필터링된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맞춰 정렬(S113)을 한다. 정렬된 데이터는 여행객의 전체 여행기간과 여행지 즉, 각 관심지점(POI:Point Of Interest)의 관람시간에 따라 2차 데이터 필터링(S114)을 하고, 각 관심지점(POI)의 GPS 값에 따라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추천코스를 생성 및 출력(S115)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여행 데이터 입력 단계(S111)에서, 여행객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받는 데이터는 많을수록 투어플랜 생성에 정확도를 가하게 된다. 그러나 입력을 많이 받게 되면 여행객으로 하여금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최소의 입력 데이터로 최대의 정보를 추출해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여행객 단말기(200)의 입력은 여행 키워드, 테마, 여행기간 및 교통편 4가지로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 및 테마는 여행객의 여행 목적 등을 확인하기 위해 입력받으며, 여행의 시간적인 부분은 여행기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교통편의 입력을 통해 여행지 간의 이동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1차 데이터 필터링(S112)은 입력된 키워드와 테마를 토대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여행객이 키워드로 '동대문'과 '압구정'을 입력하고, 테마로 '쇼핑여행' '도보여행'을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POI 중에서 이러한 입력 정보에 해당하는 POI만이 필터링된다.
2차 데이터 필터링 단계(S114)에서는, 상기 데이터 정렬된 POI 중에서 일부를 다시 필터링하게 된다. 1차 필터링된 모든 데이터의 위성항법장치(GPS) 거리를 계산하게 되면 필요없는 연산이 생기기 때문에, 정렬된 여행지의 관람시간을 토대로 관광객이 입력한 여행기간 내에 가능한 관광지까지 대략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2차 필터링 단계(S114)에서는 정렬(S113) 및 2차 필터링된 데이터(S114)에 따라 리스트 중 가장 우선순위에 있는 관심지점(POI)을 출발지로 선정한다. 이어서, 나머지 관심지점(POI)들 중 출발지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를 갖는 관심지점(POI)을 먼저 방문하게 된다. 관광지 간의 거리는 관심지점(POI)에 기록된 위성항법장치(GPS) 위치 값과 이동수단을 기준으로 구할 수 있으며,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지도(500)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후, 전체 N개 POI의 관람시간 및 이동거리의 합이 여행기간 보다 크면, 현재의 여행코스를 추천 여행코스 후보로 저장한다. 반면, 이렇게 만들어진 추천 여행코스 후보가 상위 POI를 포함해야 하는 소정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데이터 정렬의 하위 POI를 삭제한다. 아울러 전체 N개 POI의 관람시간 및 이동시간의 합이 여행기간 보다 크지 않다면, 새로운 POI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2차 정렬된 POI 리스트의 마지막인가를 체크한 후, 마지막이라면 리스트 상의 모든 관심지점(POI)을 방문한 것이므로, 현재의 여행코스 및 추천코스 후보를 추천코스로 출력한다. 이때, 마지막이 아니라면, 현재의 POI에서 가장 가까운 POI로 이동 가능하도록 코스를 다시 작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여러 개의 추천코스를 출력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리스트에서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추천코스를 가장 많이 보고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추천코스 출력 시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추천코스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여행객은 상위 추천코스 중에 자신에게 맞는 추천코스를 선택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동반자들의 매칭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동반자들을 서로 매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여행사 서버(300)는 여행객 단말기(200)로부터 여행관련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웹페이지의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여행관련 홈페이지를 여행객 단말기(200)의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 후, 여행객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홈페이지 상에 입력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해당 회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회원여부의 판단 결과, 기입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회원과 일치하여, 회원인증이 이루어지면, 여행객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자신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 목적지, 예컨대 도시 및 주변의 여행지를 입력한다(단계 S211).
이때, 여행객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 목적지를 입력시, 회원인증 후 입력되므로 자신의 주소지의 지역 및 국적 등을 통해 여행 출발지 등이 파악되며, 사용자 자신의 관심분야 및 목적 등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계 S211을 통해 여행객 단말기(100)의 각 사용자들로부터 관심분야 및 목적 등을 포함하는 여행 목적지가 입력되면, 여행사 서버(200)는 입력된 여행 목적지를 파악하여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대상자, 즉 다른 여행객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2).
상기 단계 S212의 판단 결과, 여행서비스 서버(100)는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대상자가 없으면, 여행객 단말기(200)의 사용자와 여행 목적지가 같은 대상자가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여행객 단말기(200)의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함(단계 S213)과 동시에, 소정시간 경과 후, 일치하는 대상자가 있는지 여부의 재검색신호가 여행객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단계 S211로 되돌아가고, 재검색신호가 없으면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212의 판단 결과, 여행정보 운영서버(100)는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대상자가 있으면, 동반자정보 DB(150)를 통해 상기 여행객 단말기(200)의 사용자와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의 사용자에게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여행객가 있음을 알리는 동반 신청을 함(단계 S214)과 동시에, 상기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의 사용자로부터 동반 신청에 동참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단계 S215).
이후,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여행객 단말기(200) 및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 간에 동반 신청에 대한 매칭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단계 S216)하여,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S214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단계 S216의 판단 결과,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여행객 단말기(200) 및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 간에 동반 신청에 대한 매칭이 이루어졌으면, 동반자 정보 DB(150)에서 최종 동반자를 결정한다(단계 S217).
다음에, 동반자정보 DB(150)를 통해 최종 동반자가 결정되면, 여행 서비스 서버(100)는 인터넷망을 통해 여행객 단말기(100)와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로 여행 목적지에 대한 동반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각각 통보한다(단계 S218).
그리고, 단계 S218 이후에는 여행객 단말기(100)와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로 만남이 이루어지는 장소와 관련된 음식점, 숙박, 교통노선등과 관련한 정보를 전달(단계 S219)한다.
이후, 여행객 단말기(200)의 사용자와 다른 여행객 단말기(200n)의 사용자는 각각 동반자를 만나서 함께 여행을 하거나, 식사, 숙박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함께한다(단계 S22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여행서비스 서버
110: 통신부 120: 투어플랜 생성부
130: 메타데이터 제공부 140: 여행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
150: 데이터베이스
200, 200n: 여행객 단말기
300, 300n: 여행사 서버 400: 여행관련 기관 및 지자체 서버
500: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Claims (4)

  1. 여행객 맞춤형 투어플랜을 생성하고, 투어플랜에 기반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여행서비스 서버;
    여행 계획 및 관련정보를 입력하고 투어플랜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제공받는 여행객 단말기 및;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투어플랜 및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 세부 계획을 상기 여행객 단말기로 보내고, 투어플랜에 대한 교통편 또는 숙박편을 확정해주는 여행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여행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계획에 따라 여행코스를 생성하는 투어플랜 생성부, 생성된 투어플랜을 기반으로 관광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제공하는 메타데이터 제공부, 생성된 투어플랜 데이터들 및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다른 여행객의 여행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요청한 여행객의 단말기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투어플랜 생성부는, 상기 관광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여행 키워드 및 테마의 여행 계획 데이터를 토대로 1차 데이터 필터링을 하고, 필터링된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맞춰 정렬을 하고, 관광객의 전체 여행기간과 관심지점(POI)의 관람시간에 따라 2차 데이터 필터링을 하고, 각 관심지점(POI)간의 이동시간을 계산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코스를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는
    여행객이 여행객 단말기를 통해 동반자 검색 시, 여행객과 여행 일정 또는 여행 목적과 일치하는 대상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대상자가 있으면, 데이터베이스 및 여행정보공유 어플리케이션를 통해 상기 여행객 단말기에 입력된 목적지 정보와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다른 여행자 단말기에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여행자가 있음을 알리는 동반 신청을 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동반 신청에 동참할 것인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을 확인하여 동반자 신청에 대한 동반(매칭)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여행 목적지가 일치하는 여행자 단말기 및 다른 여행자 단말기 간에 동반 신청에 대한 매칭이 이루어졌으면, 인터넷망을 통해 여행자 단말기와 다른 여행자 단말기로 여행 목적지에 대한 동반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각각 통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는
    동반자 매칭에 따른 메세지가 통보된 경우, 여행객 단말기와 다른 여행객 단말기로 만남이 이루어지는 장소와 관련된 음식점, 숙박,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따지 이동을 위한 교통노선 등과 관련한 정보가 각각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행서비스 서버는
    여행관련 기관 및 지자체 서버 또는 공개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지도 또는 포털사이트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0152560A 2016-11-16 2016-11-16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55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60A KR20180055132A (ko) 2016-11-16 2016-11-16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560A KR20180055132A (ko) 2016-11-16 2016-11-16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132A true KR20180055132A (ko) 2018-05-25

Family

ID=6229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60A KR20180055132A (ko) 2016-11-16 2016-11-16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513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872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드이노베이션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096419B1 (ko) * 2019-09-24 2020-04-03 주식회사 옵티마이즈 위치정보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여행 동행 및 상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992215A (zh) * 2019-12-10 2020-04-10 浙江力石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语义分析的旅游服务推荐系统、数据库和推荐方法
KR102112568B1 (ko) * 2019-10-04 2020-05-19 주식회사 트래블리맵 여행 계획 수립 보조 방법 및 장치
KR20210012753A (ko) * 2019-07-26 2021-02-03 김태우 여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5524A (ko) * 2020-07-31 2022-02-08 최혁순 여행 동행자 매칭 플랫폼 시스템
KR102370007B1 (ko) 2021-10-15 2022-03-03 다온플레이스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의 실시간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KR102478892B1 (ko) * 2022-01-19 2022-12-20 주식회사 파인트리시스템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872A (ko) * 2018-08-13 2020-02-21 (주)위드이노베이션 조건 정보 기반의 여행 코스 추천 방법 및 장치
KR20210012753A (ko) * 2019-07-26 2021-02-03 김태우 여행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96419B1 (ko) * 2019-09-24 2020-04-03 주식회사 옵티마이즈 위치정보와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여행 동행 및 상품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12568B1 (ko) * 2019-10-04 2020-05-19 주식회사 트래블리맵 여행 계획 수립 보조 방법 및 장치
CN110992215A (zh) * 2019-12-10 2020-04-10 浙江力石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语义分析的旅游服务推荐系统、数据库和推荐方法
CN110992215B (zh) * 2019-12-10 2023-10-13 浙江力石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语义分析的旅游服务推荐系统、数据库和推荐方法
KR20220015524A (ko) * 2020-07-31 2022-02-08 최혁순 여행 동행자 매칭 플랫폼 시스템
KR102370007B1 (ko) 2021-10-15 2022-03-03 다온플레이스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의 실시간 여행정보 제공시스템
KR102478892B1 (ko) * 2022-01-19 2022-12-20 주식회사 파인트리시스템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5132A (ko)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CN107532920B (zh) 获得兴趣点数据的方法
US6834229B2 (en) Integrated journey planner
WO2007113844A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ravel networking
Smirnov et al. Intelligent mobile tourist guide: Context-based approach and implementation
KR20150120024A (ko) 추천 여행코스를 제공하는 관광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85864B1 (ko) 여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hen et al. Hybrid recommendation system for tourism
JPWO2007148378A1 (ja) 経路探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端末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JP2008310577A (ja) 観光客の誘導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11625444B2 (en) Curated result finder
US10928212B2 (en) Providing online mapping with user selected preferences
US20160146608A1 (en) Automatic tour guiding method
Santos et al. Tourism Recommendation System based in user's profile and functionality levels
KR102181007B1 (ko) 나홀로 여행객을 위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3196351A (ja) 訪問スポット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関心度評価プログラム
Tiwari et al. Crowdsourcing based fuzzy information enrichment of tourist spot recommender systems
KR102169110B1 (ko) 여행 일정 추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Hossain et al. An innovative tour recommendation system using graph algorithms
Ieiri et al. Effect of first impressions in tourism by using walk rally application
JP5615777B2 (ja) 経路案内装置及び経路案内方法
Cavallaro et al. Eliciting cities points of interest from people movements and suggesting effective itineraries
JP2006163670A (ja) 巡訪ルート探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
Maestro et al. Romblon islands into a smart tourism destination through point of interest recommender, augmented reality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 proposal
JP7223513B2 (ja) 移送モビリティサービスの提案方法及び移送モビリティサービスの提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