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892B1 -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892B1
KR102478892B1 KR1020220007733A KR20220007733A KR102478892B1 KR 102478892 B1 KR102478892 B1 KR 102478892B1 KR 1020220007733 A KR1020220007733 A KR 1020220007733A KR 20220007733 A KR20220007733 A KR 20220007733A KR 102478892 B1 KR102478892 B1 KR 10247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traveler
service
information
schedu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트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트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트리시스템
Priority to KR1020220007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객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을 매칭하여 여행상품 서비스를 안내하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 신상정보 및 해당 여행객이 그간 여행한 여행이력이 기재된 여행이력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함으로써,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S10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등록된 회원인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를 통해 여행객의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인 회원 성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1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상기 회원 성향정보와 상기 여행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여행객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여행객들을 군집화하여 구분한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를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212)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2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Companion matching travel method by traveler personality type}
본 발명은 여행객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삶에 대한 철학과 의미가 변화하면서 여행은 중요한 산업으로 자리 잡고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여행은 일상에 변화를 주면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유년층과 젊은층에는 즐거움과 성장의 기회를, 중장년층에는 낭만과 휴식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여행의 대중화 이전에는 결혼, 졸업, 퇴직 등 특별한 날에 이루어지는 이벤트성 행사에 불과했으나 교통수단 및 교통망의 발달과 정보통신 기술의 확장에 힘입어 최근에는 여행의 일상화 또는 생활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여행지의 다변화도 눈여겨볼 만하다. 종래 일반적인 관광지로는 명산이나 계곡, 바닷가 등의 자연경관이나, 사찰, 박물관, 기념관 등의 명승지가 주였던 반면, 최근에는 도시지역의 번화가나 옛 전통거리, 작은 시골마을이나 개발되지 않은 오지에도 여행자의 발걸음이 늘고 있다.
여행 목적에서도 단순 방문 위주의 여행에서 구체적인 체험이나 휴식을 동반한 감성여행, 힐링여행, 교육목적이나 테마여행 등으로 다양하게 변하고 있고, 이러한 결과로서 여행자의 사후 여행 활동이 빈번하고 중요 하게 되었다. 사후 여행 활동의 대표적인 예는 인터넷망을 통해 여행 사진, 영상, 소감 메시지 등의 기록물을 공유하는 것인데, 과거에는 잡지나 신문 등의 활자 매체를 통해 특정 작가의 체험을 담은 여행 기사나 정보를 접하는 정도에 불과하였으나 개인의 느낌과 개성이 중시되는 트렌드와 사진과 영상의 공유가 용이해진 SNS 환경 덕분에 누구나 여행 콘텐츠 제작자가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여행사나 관광지 운영회사, 숙박업소, 음식점 등은 이러한 여행객의 취향 변화와 여행 콘텐츠 확대에 따라 특정 주제에 관련되거나 시기별로 특화된 여행 상품을 개발하기도 하고 자연환경과 체험이 접목된 새로운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여행 상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자발적 여행 콘텐츠 제작자에게만 의존하지 않고 전문 블로거나 포털사이트를 이용하여 여행 정보를 적극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교통과 숙박 중심의 여행 상품 제공에서 여행 목적을 고려하여 계절별 추천 여행지 안내 등 다양한 정보 위주의 여행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여행 관련 서비스는 여행객의 트렌드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주도를 찾는 여행객들은 특정 관광지에 편중되지 않고 개성과 필요에 맞게 제주도 전체 지역을 고루 방문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타지역에도 동일한 경향이 우세한데 반하여, 실제로는 단순 관광지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있을 뿐이고 극히 예외적으로 여행 후 설문조사를 수집하는 정도의 피드백에 그치고 있다.
여행객이 원하는 여행 정보가 모두 다르며, 여행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여행자 취향 및 객관적인 여행 사실에 대한 수준 높은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개별 여행자들의 경험을 공유하는 사이버 매체가 증가하고 있지만, 인터넷 블로그나 SNS 등을 통해 공유되는 여행 정보는 특정 지역의 교통편, 가격정보, 인근 음식점 등에 대한 개인적인 취향이나 느낌을 전달하는데 불과하고, 여행자 선호도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또한, SNS가 여행업 관련자나 특정 여행지의 이해관계인 등이 홍보 위주의 편향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방편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있어 여행자들이 낯선 여행지에서 본인의 개성을 감안한 여행계획을 수립하고 의미있는 여행을 즐기는데 방해가 되기도 한다.
더욱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여행객은 현지 사정이나 여행 경비 등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자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전문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여행 상품(여행 패키지)들 중 자신의 일정에 부합하는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것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전문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여행 패키지는 여행객 각각의 특성에 맞도록 특화된 것이 아니라, 전문 여행사측에서 일방적으로 스케줄을 맞추어 제공되는 여행상품이기 때문에, 대부분 여행관련 콘텐츠가 고정적이고, 여행객이 선택할 수 있는 것의 사항도 많지 않아, 여행객들의 불만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여행객은 자신의 일정에 맞는 여행 패키지 상품이 없는 경우에는 오히려 자신의 여행 일정을 변경하거나, 처음의 계획과는 다른 여행 패키지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더불어, 성향 별로 유사한 여행객들을 모집하고, 여행 패키지의 세부일정을 성향 별로 유사한 여행객들이 합심하여 조정하였다 하더라도, 동일한 여행 패키지의 세부일정에 소요되는 여행경비 또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하여 패키지 여행 일정을 확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이에 따라,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여행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2005-0005724 A KR 10-2011-0035491 A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행객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은,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을 매칭하여 여행상품 서비스를 안내하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 신상정보 및 해당 여행객이 그간 여행한 여행이력이 기재된 여행이력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함으로써,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S10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등록된 회원인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를 통해 여행객의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인 회원 성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1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상기 회원 성향정보와 상기 여행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여행객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여행객들을 군집화하여 구분한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를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212)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2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하는 S140단계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로서,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1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되는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추출하고, 회원정보 DB(211)에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토대로, 그 추출된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하는 단계(S142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3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40);를 포함한다.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S1430단계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만을 구분하여 선출하는 단계(S143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만을 구분하여 선출하는 단계(S143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가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하는 단계(S1433)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 중에서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만큼 선출하는 단계(S1434)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 중에서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만큼 선출한 이후 남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을 재차,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나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하는 S1433단계로 순환하는 단계(S1435);를 포함한다.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가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하는 S1433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적은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보다 바로 아래의 여행일수를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및 가장 많은 예정 여행일수가 반영된 예정 여행도착일자를 포함하는 예행스케줄 변경문의정보를 순차적으로 통보하여,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36)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그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를 전송한 해당 여행객을 추가로 선출하여 모집완료하는 단계(S14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적은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보다 바로 아래의 여행일수를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및 가장 많은 예정 여행일수가 반영된 예정 여행도착일자를 포함하는 예행스케줄 변경문의정보를 순차적으로 통보하여,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S1436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모자란 여행객의 수보다 적게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를 가장 많게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해당 회원이 등록한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여행스케줄에 따른 여행객 모집이 불발되었다는 여행스케줄 불발안내정보를 통보하는 단계(S1438);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에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는, DB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DB부(210)에는, 국가별로 여행지역을 (행정구역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여행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를 리스트한 국가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리스트정보,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를 이용 시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내되, 해당 이용서비스를 기본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기본 이용서비스 요금, 해당 이용서비스를 고급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상급 이용서비스 요금 및 해당 이용서비스를 저급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하급 이용서비스 요금으로 등급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요금정보 및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현지에서 유료로 서비스되는 유료 이용서비스와 유료금액을 나타내는 행정구역별 유료 이용서비스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서비스는, 문화유적지, 휴양, 체험, 액티비티, 시티투어, 자연경관, 문화예술, 유원지, 쇼핑, 숙박, 먹거리 및 자유일정을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S1440단계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되는 정보 중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여행객이 등록한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는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는 단계(S144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되는 정보 중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에 포함된 예정 여행일수를 토대로 날짜별 여행일정을 구분하고, 그 구분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주변의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으로 구분하여) 배분하는 단계(S144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단계(S1443)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주변의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으로 구분하여) 배분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에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수집부(240)에서, 회원정보 DB(211)에 등록된 회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SNS 서버(400)로부터 회원들이 등록한 여행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여행정보를 해당 회원의 유사성향별로 구분하고, 유사성향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여행지역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며, 여행지역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해당 여행지역에서 방문한 세부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및 해당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세분화하여 구분한 정보인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로 구분하고,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해당 세부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를 이용한 해당 여행객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S1443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경우,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지 않은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의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차례되로 정리하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도 그 정리된 순위에 맞게 정리한 정보인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가공하는 단계(S1443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43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 경우,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 중 해당 이용서비스를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로 대체한 후, 그 대체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S14432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없는 경우,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순차적으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반복 대비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어느 하나의 이용서비스를 확보하고,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 중 해당 이용서비스를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 중에서 그 확보된 이용서비스로 대체한 후, 그 대체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3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여행객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을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동반여행객 매칭서버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동반여행객 매칭서버의 DB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여행객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은 여행객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도록,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에는 여행객단말(100),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 및 가이드단말(300)이 구비되어진다.
먼저, 여행객단말(100)은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과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요청하고, 여행객 자신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수행하며,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업로드하는 단말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행객단말(100)의 세부구성은 정보입력부(110), 정보출력부(120), 정보저장부(130), 정보통신부(140) 및 제어부(150)가 구비되어진다.
먼저, 정보입력부(110)는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과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요청하고, 여행객 자신의 성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여행객단말(10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정보입력부(110)에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 (dome switch), 터치패드(정압/정 전), 조그휠, 조그 스위치 등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120)는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과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요청하고, 여행객 자신의 성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의 경우에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 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 다양한 출력부재가 선택 적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저장부(130)는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과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요청하고, 여행객 자신의 성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여행관리전용 앱과 같은 응용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재로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 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통신부(140)는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 간에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과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요청하고, 여행객 자신의 성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가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이더넷(Ethernet)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우크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과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후술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에 회원으로 등록요청하고, 여행객 자신의 성향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이 제어를 수행하는 부재이다.
상기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는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서버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세부구성에는 DB부(210), 회원관리부(220), 성향검사부(230), 수집부(240), 매칭부(250), 결제부(260) 및 채널형성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DB부(210)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재로서, 여행객 신상정보 및 해당 여행객이 그간 여행한 여행이력이 기재된 여행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여행객 관련 회원정보 및 등록된 회원인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를 통해 여행객의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인 회원 성향정보가 저장관리되는 회원정보 DB(211)가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회원정보 DB(211)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단말(300)을 소지하는 가이드 관련 회원정보도 함께 저장관리되어진다.
또한, DB부(210)에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상기 회원 성향정보와 상기 여행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여행객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여행객들을 군집화하여 구분한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가 저장관리되는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212)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DB부(210)에는 회원정보 DB(211)에 등록된 회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SNS 서버(400)로부터 회원들이 등록한 여행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여행정보를 해당 회원의 유사성향별로 구분하고, 유사성향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여행지역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며, 여행지역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해당 여행지역에서 방문한 세부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및 해당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세분화하여 구분한 정보인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로 구분하고,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해당 세부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를 이용한 해당 여행객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저장관리하는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DB부(210)에는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요청된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서비스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관련 텍스트를 포함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콘텐츠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콘텐츠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요청된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비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저장관리되는 비회원 기여행 지역별 호감도정보 DB(214)가 구비되어진다.
한편, 이용서비스는 문화유적지, 휴양, 체험, 액티비티, 시티투어, 자연경관, 문화예술, 유원지, 쇼핑, 숙박, 먹거리 및 자유일정을 포함한다.
또한, DB부(210)에는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로서,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가 저장관리되는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DB부(210)에는 국가별로 여행지역을 (행정구역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여행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를 리스트한 국가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리스트정보,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를 이용 시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내되, 해당 이용서비스를 기본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기본 이용서비스 요금, 해당 이용서비스를 고급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상급 이용서비스 요금 및 해당 이용서비스를 저급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하급 이용서비스 요금으로 등급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요금정보 및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현지에서 유료로 서비스되는 유료 이용서비스와 유료금액을 나타내는 행정구역별 유료 이용서비스 요금정보가 저장관리되는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DB부(210)에는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가 저장관리되는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회원관리부(220)는 여행객 및 가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회원에게 회원가입 안내를 통해 회원등록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즉, 회원관리부(220)는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 신상정보 및 해당 여행객이 그간 여행한 여행이력이 기재된 여행이력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한다.
또한, 회원관리부(220)는 회원인 여행객이 성향이 유사한 다른 회원인 여행객과 동반 여행을 안내받고자 회원의 여행스케줄 등록 시 이를 저장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회원관리부(220)는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로서,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성향검사부(230)는 등록된 회원인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를 통해 여행객의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인 회원 성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한편, 성향검사부(230)를 통해, 수행되는 여행객의 성향 분석 검사에는 애니어그램 테스트,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I), 문장완성검사(SCT), 성격유형검사(MBTI), 기질 및 성격검사(TCI) 중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애니어그램이란 인간의 성격읠 9가지, 힘의 근원을 3가지로 분류한 고대 심리 분석 체계이며 이에 따라 개인의 성격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는 개인의 성격, 정서, 적응 수준 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자기보고형 성향 검사이다.
문장완성 검사(Sentence Completion test, SCT)는 다수의 미완성 문장을 피검자가 자기 생각대로 완성하도록 하는 검사이다.
성격유형검사(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마이어스(Myers)와 브릭스(Briggs)가 융(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이다.
기질 및 성격검사(TCI,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는 개인의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검사이다.
이러한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의 경우 회원이 해당 검사를 다른 곳에서 수행한 적이 있는 경우 그 결과값을 참조할 수도 있다.
또한, 성향검사부(230)는 회원 성향정보와 해당 회원의 여행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여행객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여행객들을 군집화하여 구분한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를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212)에 저장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성향검사부(230)는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를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인 K-평균 알골리즘(K-means algorithm)을 이용하여 생성하는데, 이러한 K-평균 알골리즘은 비계층적 군집 방법(Non-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으로서, 각 개체를 가장 가까운 중심점에 할당하는 방법으로 다음 절차에 따라서 군집을 형성함으로써, 구현이 용이하고, 다른 군집 알고리즘에 비해 계산 효율성이 높은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수집부(240)는 회원정보 DB(211)에 등록된 회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SNS 서버(400)로부터 회원들이 등록한 여행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여행정보를 해당 회원의 유사성향별로 구분하고, 유사성향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여행지역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며, 여행지역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해당 여행지역에서 방문한 세부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및 해당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세분화하여 구분한 정보인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로 구분하고,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해당 세부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를 이용한 해당 여행객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회원들이 이용하는 SNS 서버(400)에는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트위터, 라인, 밴드, 카카오톡, 페이스, 블로그, 폴라, 포스트, 인스타그램, 프레인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집부(240)는 SNS 서버(400)를 통해 수집하는 회원의 여행관련 SNS 데이터의 경우 SNS에서 정량화할 수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나 접속 횟수 등은 정형 데이터이지만, 텍스트나 동영상 등으로 공유 하는 내용들은 모두 비정형 데이터이다.
이에, 수집부(240)는 수집된 회원의 여행관련 SNS 데이터에 n-gra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데, n-gram 알고리즘은 통계와 확률을 바탕으로 한 색인 분석 등에 널리 쓰이는 방식으로 초기 검색사이트가 취한 색인 검색 알고리즘의 하나로서, 개념이 무척 직관적이고 신속하게 분류처리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매칭부(250)는 회원인 여행객이 등록한 다양한 여행스케줄을 토대로, 여행객 간에 성향이 유사한 다른 여행객들을 선별 매칭하고, 여행객들간 다양한 여행스케줄을 조율하여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매칭부(250)는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되는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추출하고, 회원정보 DB(211)에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토대로, 그 추출된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하고,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매칭부(250)는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요청된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서비스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관련 텍스트를 포함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콘텐츠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콘텐츠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요청된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비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비회원 기여행 지역별 호감도정보 DB(214)에 저장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웹 크롤러란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월드 와이드 웹을 탐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웹 크롤러가 하는 작업을 웹크롤링(WebCrawling) 혹은 스파이더링(Spidering)이라 부르며 봇(Bot)이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형태이다. 웹 크롤러는 크게 일반 웹크롤러와 분산 웹 크롤러가 있다. 웹 크롤러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URL 프론티어(Frontier) 모듈에서 URL을 가져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해당 URL의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패치(Fetch) 모듈에서 임시 저장소에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파서(Parser) 모듈에서 텍스트와 링크를 추출을 하고 텍스트는 인덱서(Indexer)에 보내진다. 링크의 경우는 URL 프론티어에 추가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Content Seen, URL Filter, Duplication URL Element 모듈들을 거치면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매칭부(250)는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결제부(260)는 회원인 여행객이 등록한 금액대가 상이한 여행비용을 여행지역에서 이용되는 서비스인 이용서비스를 금액등급별로 맞춤 조율하여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해, 결제부(260)는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에 저장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요금정보를 참조하여, 그 생성된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이루는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기본 이용서비스 요금을 합산한 값인 날짜별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각각 연산하고, 그 각각 연산된 날짜별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총합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연산하며,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여 여행비용대에 맞게 여행비용을 조율한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채널형성부(270)는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하도록,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여행객 간 호 또는 메시지가 송수신되도록 메신저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메신저 플랫폼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직접 제공하는 플랫폼일 수도 있고, 타 서버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일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단말(300)은 여행객 자신과 성향이 맞는 다른 여행객이 선별 매칭되어 동반 여행을 갈 수 있게 처리하고,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이 자신이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여행 스케줄을 맞춤 안내하여 줄 뿐만 아니라 성향별로 맞춤 안내된 여행 패키지에 소요되는 여행 경비도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 예상하는 비용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패키지 여행을 함께 할 수 있게 확정된 이후 여행객이 현지 여행을 다닐 시 여행객단말(100)로 여행 가이드를 수행하는 단말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단말(300)을 소지한 가이드의 경우 여행객과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일예로, 여행객이 한국인이고, 미국에 여행을 가는 경우 가이드는 한국인으로서 미국에 유학을 간 유학생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인 한국인 유학생은 이미 여행객이 방문하고자 하는 미국의 여행지역을 경험하여 다양한 현지문화를 한국어로 안내할 수 있게 제공한다.
특히,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간에 체험하는 이용서비스의 경우에도 유사한 공통분모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공통분모에 특히 많은 경험과 지식을 함유한 가이드를 매칭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언급한 공통분모에는 음식문화, 술문화, 전통문화 등 다양한 현지문화를 카테고리화 하여 최적의 가이드를 배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을 도 5 내지 도 10을 위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을 매칭하여 여행상품 서비스를 안내하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는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 신상정보 및 해당 여행객이 그간 여행한 여행이력이 기재된 여행이력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함으로써, 회원으로 등록(S100)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는 등록된 회원인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를 통해 여행객의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인 회원 성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S110)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는 상기 회원 성향정보와 상기 여행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여행객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여행객들을 군집화하여 구분한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를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212)에 저장관리(S120)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수집부(240)는 회원정보 DB(211)에 등록된 회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SNS 서버(400)로부터 회원들이 등록한 여행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여행정보를 해당 회원의 유사성향별로 구분하고, 유사성향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여행지역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며, 여행지역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해당 여행지역에서 방문한 세부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및 해당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세분화하여 구분한 정보인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로 구분하고,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해당 세부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를 이용한 해당 여행객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에 저장관리(S130)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는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S140)한다.
여기서,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S140)하는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는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로서,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S1410)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되는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추출하고, 회원정보 DB(211)에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토대로, 그 추출된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S1420)한 후,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30)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40)한다.
그리고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30)하는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만을 구분하여 선출(S1431)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만을 구분하여 선출(S1432)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가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S1433)하여,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 중에서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만큼 선출(S1434)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 중에서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만큼 선출한 이후 남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을 재차,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나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S1433)하는 과정으로 순환(S1435)한다.
한편,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가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S1433)하여,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적은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보다 바로 아래의 여행일수를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및 가장 많은 예정 여행일수가 반영된 예정 여행도착일자를 포함하는 예행스케줄 변경문의정보를 순차적으로 통보한다.
이때,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S1436)하여,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그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를 전송한 해당 여행객을 추가로 선출하여 모집완료(S1437)한다.
그리고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적은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보다 바로 아래의 여행일수를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및 가장 많은 예정 여행일수가 반영된 예정 여행도착일자를 포함하는 예행스케줄 변경문의정보를 순차적으로 통보하여,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S1436)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모자란 여행객의 수보다 적게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를 가장 많게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해당 회원이 등록한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여행스케줄에 따른 여행객 모집이 불발되었다는 여행스케줄 불발안내정보를 통보(S1438)한다.
그리고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40)하는 세부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되는 정보 중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여행객이 등록한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는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S1441)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되는 정보 중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에 포함된 예정 여행일수를 토대로 날짜별 여행일정을 구분하고, 그 구분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주변의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으로 구분하여) 배분하는 단계(S144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S1443)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주변의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으로 구분하여) 배분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S1444)한다.
한편,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S1443)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경우,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지 않은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의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차례되로 정리하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도 그 정리된 순위에 맞게 정리한 정보인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가공(S14431)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지 확인(S14432)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 경우,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 중 해당 이용서비스를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로 대체한 후, 그 대체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S14433)한다.
이와 더불어,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지 확인(S14432)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없는 경우,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순차적으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반복 대비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어느 하나의 이용서비스를 확보하고,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 중 해당 이용서비스를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 중에서 그 확보된 이용서비스로 대체한 후, 그 대체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S14434)한다.
또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S1443)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경우,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지 않은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의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차례되로 정리하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도 그 정리된 순위에 맞게 정리한 정보인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가공(S14435)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후 이를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비슷해지는지 확인(S14436)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 경우,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에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를 추가하여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S14437)한다.
또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후 이를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비슷해지는지 확인(S14436)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는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없는 경우,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순차적으로 일일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반복 합산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어느 하나의 이용서비스를 확보하고,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에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 중에서 그 확보된 이용서비스를 추가하여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S14438)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에는 다음 과정을 더 포함한다.
먼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에 저장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요금정보를 참조하여, 그 생성된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이루는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기본 이용서비스 요금을 합산한 값인 날짜별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각각 연산하고, 그 각각 연산된 날짜별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총합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연산(S1445)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S1446)하여,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이용서비스의 요금을 상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하되, 그 합산되는 비용이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과 비슷해 질때까지 합산하여, 해당 여행객의 변경된 여행비용인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S1447)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이용서비스가 상급 이용서비스로 변경된 상태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48)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는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S1449)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는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가 합의하였는지 확인(S1451)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의 합의가 도출된 경우, 여행출발을 확정(S1452)한다.
한편,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S1446)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과 비슷한 경우,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나타내는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고,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에 해당하는 기본상태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며, 그 생성된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와 그 가공된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각각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53)한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S1449)하는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와 더불어,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S1446)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적은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이용서비스의 요금을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하되, 그 합산되는 비용이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과 비슷해 질때까지 합산(S1454)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작은지 확인(S1455)하여,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작은 경우, 그 차액을 연산한 추가 여행경비 청구비용을 생성하고,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에서 추가 여행경비 청구비용에 해당하는 유료금액을 갖는 유료 이용서비스를 선출하되, 그 선출되는 유료 이용서비스 중 날짜별 여행일정의 각 이용서비스와 같은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유료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유료 이용서비스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며,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나타내는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며, 그 가공된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각각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한(S1456)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S1449)하는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와 더불어,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가 합의하였는지 확인(S1451)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는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의 합의가 도출되지 않은 경우, 합의를 하지 않은 여행객을 제외한 나머지 여행객의 각 여행객단말(100)마다 합의를 하지 않은 여행객을 제외하고 여행을 출발해도 가능한지 안내하는 여행출발 문의정보를 개별 안내(S1457)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는 합의를 하지 않은 여행객을 제외한 나머지 여행객의 각 여행객단말(100)마다 여행객인 해당 회원이 등록한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여행스케줄에 따른 여행객 모집이 불발되었다는 여행스케줄 불발안내정보를 통보(S1458)한다.
또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작은지 확인(S1455)하는 과정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이상인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이용서비스의 요금을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하되, 그 합산되는 비용이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과 비슷해 질때까지 합산하여, 해당 여행객의 변경된 여행비용인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S1459)한다.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는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이용서비스가 하급 이용서비스로 변경된 상태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S1461)한 이후,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S1449)하는 과정으로 진입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여행객단말 110 : 정보입력부
120 : 정보출력부 130 : 정보저장부
140 : 정보통신부 150 : 제어부
200 : 동반여행객 매칭서버 210 : DB부
211 : 회원정보 DB
212 :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
213 :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
214 : 비회원 기여행 지역별 호감도정보 DB
215 :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
216 :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
217 :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
220 : 회원관리부 230 : 성향검사부
240 : 수집부 250 : 매칭부
260 : 결제부 270 : 채널형성부
300 : 가이드단말 400 : SNS 서버

Claims (16)

  1.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을 매칭하여 여행상품 서비스를 안내하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 신상정보 및 해당 여행객이 그간 여행한 여행이력이 기재된 여행이력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함으로써,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S10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등록된 회원인 여행객의 성향을 분석하는 검사를 통해 여행객의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인 회원 성향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회원정보 DB(211)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1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성향검사부(230)에서, 상기 회원 성향정보와 상기 여행이력정보를 이용하여 여행객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유사한 성향을 갖는 여행객들을 군집화하여 구분한 유사성향별 여행객 군집화정보를 회원별 유사성향그룹정보 DB(212)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2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고,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인 여행객들이 계획하고 있는 상이한 예정 예행스케줄을 토대로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을 선출하여 여행일정을 선정하고, 이를 안내하여 해당 여행일정으로 여행스케줄이 진행되도록 안내하는 S140단계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회원관리부(220)에서,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정보로서, 여행객이 여행하고자 하는 여행지역인 예정여행지역, 여행객이 여행을 출발하고자 하는 예정일인 예정 여행출발일자, 여행객이 여행하는 예정일수인 예정 여행일수, 함께 하고자 하는 동반명수를 나타내는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포함하는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1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 저장관리되는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추출하고, 회원정보 DB(211)에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추출하며, 그 추출된 각 회원의 회원 성향정보를 토대로, 그 추출된 각 회원의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를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하는 단계(S142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30)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40);를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예정 여행일수 및 예정 동반 여행객 수를 토대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를 조율하여 회원을 선출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S1430단계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만을 구분하여 선출하는 단계(S143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만을 구분하여 선출하는 단계(S143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가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하는 단계(S1433)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 중에서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만큼 선출하는 단계(S1434)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같거나 많은 경우,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 중에서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만큼 선출한 이후 남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을 재차,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나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하는 S1433단계로 순환하는 단계(S1435);를 포함하고,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와 비교하여 같거가 많은지 또는 적은지 확인하는 S1433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적은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보다 바로 아래의 여행일수를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및 가장 많은 예정 여행일수가 반영된 예정 여행도착일자를 포함하는 예행스케줄 변경문의정보를 순차적으로 통보하여,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36)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그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를 전송한 해당 여행객을 추가로 선출하여 모집완료하는 단계(S14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수가 선출된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의 예정 동반 여행객 수 중 가장 많은 예정 동반 여행객 수보다 적은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가 가장 많은 여행객보다 바로 아래의 여행일수를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예정여행지역, 예정 여행출발일자 및 가장 많은 예정 여행일수가 반영된 예정 여행도착일자를 포함하는 예행스케줄 변경문의정보를 순차적으로 통보하여, 모자란 여행객의 수만큼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 확인하는 S1436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모자란 여행객의 수보다 적게 예행스케줄 변경에 동의하는 여행스케줄 변경동의 답변정보가 해당 여행객단말(100)로부터 수신된 경우, 예정여행지역 및 예정 여행출발일자가 동일한 여행객들 중 예정 여행일수를 가장 많게 지정한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해당 회원이 등록한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여행스케줄에 따른 여행객 모집이 불발되었다는 여행스케줄 불발안내정보를 통보하는 단계(S1438);를 더 포함하고,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에는, DB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DB부(210)에는, 국가별로 여행지역을 행정구역으로 구분하고, 그 구분된 여행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를 리스트한 국가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리스트정보,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를 이용 시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내되, 해당 이용서비스를 기본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기본 이용서비스 요금, 해당 이용서비스를 고급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상급 이용서비스 요금 및 해당 이용서비스를 저급으로 이용 시 책정되는 하급 이용서비스 요금으로 등급별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요금정보 및 행정구역별 여행지역마다 여행객들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현지에서 유료로 서비스되는 유료 이용서비스와 유료금액을 나타내는 행정구역별 유료 이용서비스 요금정보를 포함하는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서비스는, 문화유적지, 휴양, 체험, 액티비티, 시티투어, 자연경관, 문화예술, 유원지, 쇼핑, 숙박, 먹거리 및 자유일정을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유사한 성향을 갖는 회원별로 구분된 각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 중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세부 지역인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해당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인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객이 예정여행지역을 여행하는데 소요가능한 여행비용인 예정 여행비용을 조율하여 결정한 정보인 유사성향 회원별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및 여행비용 조율정보를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S1440단계는,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되는 정보 중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여행객이 등록한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는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는 단계(S144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되는 정보 중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에 포함된 예정 여행일수를 토대로 날짜별 여행일정을 구분하고, 그 구분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주변의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으로 구분하여 배분하는 단계(S144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단계(S1443)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주변의 방문예정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으로 구분하여 배분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4);를 포함하고,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수집부(240)에서, 회원정보 DB(211)에 등록된 회원들이 이용하는 다수의 SNS 서버(400)로부터 회원들이 등록한 여행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여행정보를 해당 회원의 유사성향별로 구분하고, 유사성향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여행지역별로 세분화하여 구분하며, 여행지역별로 구분된 여행정보를 해당 여행지역에서 방문한 세부지역인 행정구역별 여행지역 및 해당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체험한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세분화하여 구분한 정보인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로 구분하고,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세분화 구분정보를 토대로 오피니언 마이닝을 수행하여 해당 세부여행지역에서 체험한 이용서비스를 이용한 해당 여행객의 호감도를 수치화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여행지역별로 구분하여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S1443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경우,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지 않은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의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차례되로 정리하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도 그 정리된 순위에 맞게 정리한 정보인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가공하는 단계(S1443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432)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 경우,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 중 해당 이용서비스를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로 대체한 후, 그 대체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지 확인하는 S14432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대비하여 대체 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없는 경우,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순차적으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과 일일이 반복 대비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어느 하나의 이용서비스를 확보하고,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많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각 이용서비스 중 해당 이용서비스를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 중에서 그 확보된 이용서비스로 대체한 후, 그 대체된 것으로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배분된 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날짜별 총 이용시간을 생성하고, 그 생성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S1443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날짜별 총 이용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경우, 각 여행객의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중복되지 않은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추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를 기여행 지역별 유사성향그룹 호감도정보 DB(213)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유사성향 구분 회원별 기여행지역 호감도 분석정보의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위부터 차례되로 정리하며,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도 그 정리된 순위에 맞게 정리한 정보인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로 가공하는 단계(S14435)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후 이를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비슷해지는지 확인하는 단계(S14436)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있는 경우,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에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를 추가하여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37);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에서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의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이용서비스로 간추리고, 그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후 이를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대비하여 비슷해지는지 확인하는 S14436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매칭부(250)에서,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제일 높은 이용서비스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합산한 시간이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해지는 것이 없는 경우,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의 체험시간 및 이동시간을 순차적으로 일일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반복 합산하여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중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과 비슷한 어느 하나의 이용서비스를 확보하고, 일일 기준 여행이용시간보다 적은 날짜별 총 이용시간에 배분된 이용서비스에 간추린 호감도 순위기반 비중복 이용예정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를 이루는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두 번째로 높은 이용서비스부터 마지막 이용서비스까지 중에서 그 확보된 이용서비스를 추가하여 여행스케줄을 확정하는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38);를 더 포함하고,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에 저장관리되는 행정구역별 이용서비스 요금정보를 참조하여, 그 생성된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이루는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기본 이용서비스 요금을 합산한 값인 날짜별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각각 연산하고, 그 각각 연산된 날짜별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총합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연산하는 단계(S1445)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단계(S1446)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가장 높은 순서대로 이용서비스의 요금을 상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하되, 그 합산되는 비용이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과 비슷해 질때까지 합산하여, 해당 여행객의 변경된 여행비용인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47)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이용서비스가 상급 이용서비스로 변경된 상태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48);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S1446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적은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이용서비스의 요금을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하되, 그 합산되는 비용이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과 비슷해 질때까지 합산하는 단계(S1454)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단계(S1455)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작은 경우, 그 차액을 연산한 추가 여행경비 청구비용을 생성하고, 국가별 세부여행상품 기준비용정보 DB(216)에서 추가 여행경비 청구비용에 해당하는 유료금액을 갖는 유료 이용서비스를 선출하되, 그 선출되는 유료 이용서비스 중 날짜별 여행일정의 각 이용서비스와 같은 행정구역별 여행지역에서 제공하는 유료 이용서비스를 선출하고, 그 선출된 유료 이용서비스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며,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나타내는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며, 그 가공된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각각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56); 이후,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하는 S1449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하는 단계(S1449)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가 합의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S1451)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의 합의가 도출된 경우, 여행출발을 확정하는 단계(S145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유사성향 회원별 여행지역일정 조율정보를 참조하여, 동일한 여행 지역 및 동일한 여행일자로 선출된 회원인 여행객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을 회원별 여행스케줄정보 DB(215)에서 추출하며, 그 추출된 예정 여행비용이 그 연산된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 보다 많은지, 적은지 또는 비슷한지 확인하는 S1446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과 비슷한 경우, 전체 여행일정 기본비용을 나타내는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고,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에 해당하는 기본상태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며, 그 생성된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와 그 가공된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각각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53); 이후,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하는 S1449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가 합의하였는지 확인하는 S1451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여행객 모두의 합의가 도출되지 않은 경우, 합의를 하지 않은 여행객을 제외한 나머지 여행객의 각 여행객단말(100)마다 합의를 하지 않은 여행객을 제외하고 여행을 출발해도 가능한지 안내하는 여행출발 문의정보를 개별 안내하는 단계(S1457)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합의를 하지 않은 여행객을 제외한 나머지 여행객의 각 여행객단말(100)마다 여행객인 해당 회원이 등록한 동반여행객 매칭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여행스케줄에 따른 여행객 모집이 불발되었다는 여행스케줄 불발안내정보를 통보하는 단계(S14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작은지 확인하는 S1455단계에 있어서,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이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의 요금 모두를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한 비용보다 이상인 경우,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호감도가 가장 낮은 순서대로 이용서비스의 요금을 하급 이용서비스의 요금으로 재책정하여 합산하되, 그 합산되는 비용이 해당 여행객의 예정 여행비용과 비슷해 질때까지 합산하여, 해당 여행객의 변경된 여행비용인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459)와;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결제부(260)에서, 날짜별 여행일정마다 확정된 각 이용서비스 중 이용서비스가 하급 이용서비스로 변경된 상태를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에 반영하여, 해당 여행객의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로 가공하고, 그 가공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해당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를 해당 여행객인 회원의 여행객단말(100)로 통보함과 더불어 매칭동반 여행객별 여행스케줄 조율정보 DB(217)에 저장관리하는 단계(S1461); 이후,
    상기 동반 여행객 매칭서버(200)의 채널형성부(270)에서, 요금등급별 유사성향 회원별 이용서비스 조율정보 및 각 여행객의 등급별 회원여행비용 조율정보가 통보된 각 여행객단말(100) 간에 채널을 형성하여, 상호 성향이 유사한 여행객들로 여행객 개개인마다 원하는 여행 패키지의 각 일정으로 조율된 여행 스케줄과 관련하여 상호 합의를 유도하는 S1449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KR1020220007733A 2022-01-19 2022-01-19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KR10247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733A KR102478892B1 (ko) 2022-01-19 2022-01-19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733A KR102478892B1 (ko) 2022-01-19 2022-01-19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892B1 true KR102478892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733A KR102478892B1 (ko) 2022-01-19 2022-01-19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0989A (zh) * 2023-07-19 2023-08-18 日照市规划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跟团游轨迹数据的旅游团类型识别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724A (ko) 2003-12-19 2005-01-14 (주)유턴포탈코리아 여행패키지상품 가격 결정 및 지불방법
KR20110035491A (ko) 2009-09-30 2011-04-06 김동찬 관광객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086200B1 (ko) * 2011-06-15 2011-11-23 (주)누비터 여행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여행 상품 추천 방법
KR20150073554A (ko) * 2013-12-23 2015-07-01 (주) 조이앤어드벤쳐여행사 인바운드 여행 패키지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2986A (ko) * 2014-08-20 2016-03-03 천재균 맞춤형 여행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55132A (ko) * 2016-11-16 2018-05-25 임조권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12567A (ko) * 2018-07-27 2020-02-05 김경준 여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751A (ko) * 2020-02-11 2021-08-19 김소영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724A (ko) 2003-12-19 2005-01-14 (주)유턴포탈코리아 여행패키지상품 가격 결정 및 지불방법
KR20110035491A (ko) 2009-09-30 2011-04-06 김동찬 관광객안내시스템 및 방법
KR101086200B1 (ko) * 2011-06-15 2011-11-23 (주)누비터 여행 상품 추천 시스템 및 그 여행 상품 추천 방법
KR20150073554A (ko) * 2013-12-23 2015-07-01 (주) 조이앤어드벤쳐여행사 인바운드 여행 패키지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2986A (ko) * 2014-08-20 2016-03-03 천재균 맞춤형 여행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55132A (ko) * 2016-11-16 2018-05-25 임조권 위치정보기반의 여행정보 공유/추천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00012567A (ko) * 2018-07-27 2020-02-05 김경준 여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1751A (ko) * 2020-02-11 2021-08-19 김소영 유저 그룹화를 통한 패키지 여행 상품 추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10989A (zh) * 2023-07-19 2023-08-18 日照市规划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跟团游轨迹数据的旅游团类型识别方法
CN116610989B (zh) * 2023-07-19 2023-09-29 日照市规划设计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跟团游轨迹数据的旅游团类型识别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örndl et al. Recommending a sequence of interesting places for tourist trips
Ewing et al. Compact development and VMT—Environmental determinism, self-selection, or some of both?
US11403597B2 (en) Contextual search ranking using entity topic representations
Riggs et al. How is mobile technology changing city planning? Developing a taxonomy for the future
Berg et al. Mobility in the transition to retirement–the intertwining of transportation and everyday projects
Black et al. Moving health upstream in urban development: reflections on the operationalization of a transdisciplinary case study
US20200401661A1 (en) Session embeddings for summarizing activity
Macioszek et al. The analysis of the factors determining the choice of park and ride facility using a multinomial logit model
KR102068422B1 (ko)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Huang et al. Using ontologies and formal concept analysis to integrate heterogeneous tourism information
Kim et al. Tourist perception of the value of time on holidays: implications for the time use rebound effect and sustainable travel practice
Zou National park entrance fee increase: A conceptual framework
Huang et al. Destination image recognition and emotion analysis: evidence from user-generated content of online travel communities
KR102478892B1 (ko) 여행자 성격 유형별 동행자 매칭 여행서비스 제공방법
Chen et al. Typology of people–process–technology framework in refining smart tourism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academic experts
Jana et al. Maximizing pleasure in day tours: Utility theory approach
Au et al. What makes a destination smart? an intelligence-oriented approach to conceptualizing destination smartness
Ahmed Credit cities and the limits of the social credit system
Ma et al. Characterizing urban lifestyle signatures using motif properties in network of places
Zhong et al. Optimization for the multiday urban personalized trip design problem with time windows and transportation mode recommendations
Aoike et al. Utilising crowd information of tourist spots in an interactive tour recommender system
Kim et al. Between comments and repeat visit: capturing repeat visitors with a hybrid approach
Saha et al. Mental health consultations on college campuses: Examining the predictive ability of social media
Zhang et al. Hierarchies in the Decentralized Welfare State: Prioritization in the Housing Choice Voucher Program
Salomon et al. ‘Informal Travel’: A New Conceptualization of Travel Patte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