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395A -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95A
KR20180054395A KR1020167007232A KR20167007232A KR20180054395A KR 20180054395 A KR20180054395 A KR 20180054395A KR 1020167007232 A KR1020167007232 A KR 1020167007232A KR 20167007232 A KR20167007232 A KR 20167007232A KR 20180054395 A KR20180054395 A KR 2018005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identification
sensor
key
finger
ou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궈쉥 리
쫑쉥 지앙
샹롱 리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5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06K9/0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2Sensors therefor direct reading, e.g. contactless acqui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06Sensors therefor non-optical, e.g. ultrasonic or capacitive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65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Input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액정 스크린 영역에 관한 지문 식별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액정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설비에 사용되며, 상기 액정 모니터에는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포함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전체 액정 스크린 상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에 대해 지문을 식별함으로써 생기는 자원 낭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자원 절약의 효과를 이룬다.

Description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649735.1, 출원일 2015년 10월 09일인 중국특허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인용한다.
본 출원은 액정 스크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설비에 설치된 지문 식별 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을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지문에 대해 검증을 한다. 검증이 통과된 후 사용자가 전자 설비를 작동하도록 허락하여 타인이 전자 설비를 작동하게 되는 경우를 막고 전자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전자 설비의 액정 스크린에 지문 식별 센서가 균일분포된 경우 관련 기술이 제공하는 지문 식별 방법은, 전자 설비가 액정 스크린에 작용되는 오퍼레이션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액정 스크린에 작용되는 오퍼레이션이 수신된 경우, 액정 스크린의 제1 지문 식별 센서가 줄에 따라 차례대로 스캐닝하여 액정 스크린의 마지막 한 줄의 지문 식별 센서를 스캐닝 후 정지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얻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그 기술적 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측면은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지문 식별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하여 생긴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이 수신된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된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상기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검출해낸 광도 수치가 사전 설정된 한계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를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키프 아웃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액정 스크린에 배열(array) 분포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이 커버하는 열수와 행수를 확정하여 상기 열수를 길이로 정하고 상기 행수를 너비로 정하여 직사각형의 식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식별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에서 수집한 지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는,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 하여 이네이블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각 지문 식별 센서는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측면은,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지문 식별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명령 수신 모듈;
상기 명령 수신 모듈이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영역 확정 모듈;
상기 영역 확정 모듈이 확정한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센서 선택 모듈; 및
상기 센서 선택 모듈이 선택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지문 식별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영역 확정 모듈은,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측정된 광도 수치가 소정 한계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를 확정하는 제1 확정 서브 모듈;
상기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영역 검출 모듈; 및
상기 영역 검출 모듈이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항하도록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오퍼레이션 트리거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 선택 모듈은,
상기 키프 아웃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1 선택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지문 식별 센서가 배열(array) 형식으로 상기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이 커버하는 열수와 행수를 확정하여, 상기 열수를 길이로, 상기 행수를 너비로 하여 직사각형의 식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식별 영역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문 식별 모듈은,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수집한 지문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지문 출력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은,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 하여, 이네이블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고, 각 지문 식별 센서는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제3측면은, 지문 식별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액정 스크린에서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포함되는 액정 스크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 트리거 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하는 해결 수단은 아래 유익한 효과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함으로써,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고,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며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할 수 있다. 이로써, 전체 액정 스크린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을 함으로써 자원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이룬다.
이해해야 할 것은, 상기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상세 설명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할 수 없다.
여기서 개시한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명세서에서 본 출원의 원리를 함께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키프 아웃 영역의 개략도이다.
도 2c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식별 영역의 개략도이다.
도 2d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하는 흐름도이다.
도 2e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센서의 제1 개략도이다.
도 2f는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센서의 제2 개략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에 사용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나타낸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이 언급될 때,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숫자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출원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본 출원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지문 식별 방법은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설비에 적용되며 상기 액정 스크린에는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문 식별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한다.
단계 102에서,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한다.
단계 103에서,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한다.
단계 104에서,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한다.
위에 설명된 바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지문 식별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고,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여,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며,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고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전체 액정 스크린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하는 것으로 인한 자원 낭비를 해결할 수 있어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이루게 된다.
도 2a는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지문 식별 방법은 액정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설비에 적용되며 상기 액정 스크린에는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포함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문 식별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한다.
지문 식별 명령은 전자설비에 명령을 내려 지문 식별 서비스를 작동하여 지문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지문 식별 명령은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손가락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컨트롤하여 생성되어, 전자 설비가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할 수 있거나, 전자 설비가 다른 방식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지문 식별 방법을 획득하는 방식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202에서,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측정된 광도 수치가 소정 한계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를 확정하고,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한다.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액정 스크린에서 터치 오퍼레이션을 트리거하여 전자 설비가 지문 식별하도록 해야 한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액정 스크린과 접촉 시, 손가락은 광 센서에 비추는 환경광을 가리게 되며 이때 광 센서에서 검출된 환경광의 광도 수치는 비교적 작으므로 전자 설비는 각 광 센서가 검출한 광도 수치에 따라 손가락이 액정 스크린과 접촉하였는지를 확정할 수 있다. 실시할 경우, 전자 설비는 모든 광 센서에서 측정된 광도 수치를 획득할 수 있으며 각 광도 수치와 소정 한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광도 수치가 소정 한계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광 센서가 가려졌으며 손가락과 액정 스크린이 접촉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설비는 광도 수치가 사전 설정 수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의 위치를 확정하여 각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키프 아웃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키프 아웃 영역의 개략도를 참조하면,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검은 점은 광 센서를 나타내며 도 2b의 좌측 도면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액정 스크린에서 터치 오퍼레이션을 트리거 하는 것을 나타내며 도 2b 중의 우측 도면은 터치 오퍼레이션의 타원형 키프 아웃 영역을 나타낸다.
단계 203에서,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광 센서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지를 검출한다.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광 센서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질 경우 단계 204를 수행한다.
터치 오퍼레이션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손바닥 등과 같은 다른 부위에 의해 트리거 될 수도 있으므로, 전자 설비는 다른 부위가 트리거한 터치 오퍼레이션을 배제해야 한다. 이로써, 지문 식별 서비스를 작동하여 지문 식별함으로써 생기는 자원 낭비를 방지한다.
실시할 경우, 전자 설비는 키프 아웃 영역의 면적을 계산하여 상기 면적은 사전 설정 면적 한계치보다 작은지를 검출한다. 상기 면적이 사전 설정 면적 한계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오퍼레이션이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된 것임을 확정한다. 상기 면적이 사전 설정 면적의 한계치보다 클 경우 상기 터치 오퍼레이션이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된 것이 아님을 확정한다. 또는, 전자 설비는 키프 아웃 영역의 형태가 타원형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형태가 타원형일 경우 상기 터치 오퍼레이션이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 됨을 확정한다. 만약 상기 형태가 타원형이 아닐 경우 상기 터치 오퍼레이션이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된 것이 아님을 확정한다. 물론, 전자 설비는 다른 방식을 통해 터치 오퍼레이션이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된 것인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제한하지 않는다.
단계 204에서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한다.
손가락과 액정 스크린의 접촉 영역은 키프 아웃 영역이며, 전자 설비가 상기 손가락의 지문을 식별해야 하므로, 전자 설비는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여 지문 식별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전체 액정 스크린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 함으로써 자원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자원을 절약하게 되는 효과를 이룬다.
본 실시예는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두 가지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이 두 가지 방법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제 1 확정 방법에서, 키프 아웃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한다.
여기서, 전자 설비는 키프 아웃 영역 내의 각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설비는 각 지문 식별 센서가 액정 스크린 상의 좌표를 획득하여 좌표에 따라 키프 아웃 영역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한다.
제 2 확정 방법에서, 지문 식별 센서가 배열(array) 형식으로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경우, 키프 아웃 영역이 커버하는 열수와 행수를 확정하여 열수는 길이, 행수는 너비로 하여 직사각형의 식별 영역을 생성하고 식별 영역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한다.
키프 아웃 영역의 형태가 불규칙적일 수 있어 전자 설비는 키프 아웃 영역에 분포된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 시의 산출양이 비교적 많으므로 전자 설비는 우선 키프 아웃 영역을 포함한 규칙 형태의 식별 영역을 확정하고, 그 다음 각 지문 식별 센서가 액정 스크린 상의 좌표를 획득하고 좌표에 따라 식별 영역 내의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한다.
여기서, 지문 식별 센서가 배열(array) 형식으로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경우 식별 영역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길이의 너비는 고정 수치이기 때문에 전자 설비는 식별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쉽게 확정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식별 영역의 개략도를 참조하면, 여기서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검은 점은 지문 식별 센서를 나타내며 타원형 영역은 키프 아웃이면, 키프 아웃 영역 내의 지문 식별 센서는 제4 행의 제 2-3개, 제5행의 제2-4 센서, 제6행의 제 3-4 센서이다. 타원 영역에 따라 확정된 식별 영역이 직사각형 영역이면 직각사각 영역의 지문 식별 센서는 제4-6행 중의 각 행의 제2-4 센서이다.
단계 205에서,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한다.
도 2d에 도시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는 흐름도를 참조하면,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하는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51에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단계 2052에서,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수집한 지문 데이터를 출력한다.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 후, 전자 설비는 이 지문 식별 센서들을 작동하여 이 지문 식별 센서들을 통해 지문 식별한다. 여기서, 지문 식별 센서의 작동은, 지문 식별 센서의 초기화, 및 이네이블 측에 의해 지문 식별 센서가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할 경우,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 하여 이네이블 라인을 통해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지문 식별 센서는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하는 것은, 즉 지문 식별 서버스를 작동하며, 모든 지문 식별 센서가 아이들(idle) 상태에 있게 하여 스캐닝 명령을 대기하도록 컨트롤한다. 여기서 각 지문 식별 센서의 이네이블은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네이블 라인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지문 식별 센서와 데이터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지를 컨트롤한다. 데이터 라인은 수집된 지문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2e에 도시된 지문 식별 센서의 첫번째 개략도를 참조하면, 여기서 블랙 직사각형은 지문 식별 센서이며 가로선은 이네이블 라인이고 세로선은 데이터 라인이다. 각 지문 식별 센서는 하나의 스위치를 통해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에 연결되며 데이터 라인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2f에 도시된 지문 식별 센서의 두번째 개략도를 참조하면, 만약 전자 설비가 제2 행의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해야 할 경우 이네이블 라인에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2 행의 각 지문 식별 센서와 데이터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한다.
지문 식별 센서와 데이터 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전자 설비는 스캐닝 명령을 통해 이 지문 식별 센서들을 컨트롤하여 스캐닝하도록 하여 지문 데이터를 얻고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이 지문 데이터들을 전송함으로써 지문 식별 처리를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문 식별 센서가 캐패시터 타입 지문 식별 센서일 경우 지문 데이터는 정전 용량 수치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 하는 단계는 가장 빨라서 단계 201 후에 수행할 수 있어 전자 설비가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한 후에 아이들(idle) 상태의 지문 식별 센서를 통해 직접 지문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지문 식별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는, 상기 단계는 가장 늦어서 전자 설비가 지문 식별을 해야 할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 후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너무 일찍 지문 식별 서비스를 시작함으로써 생긴 자원 낭비를 절약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바로, 본 출원에 따른 지문 식별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고,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며,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하고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한다. 이로써 전체 액정 스크린 상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함으로써 자원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측정된 광도 수치가 사전 설정된 한계치보다 작은 광 센서를 확정하며,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하고 우선 광 센서를 통해 손가락과 액정 스크린이 접촉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지문 식별 서비스를 작동함으로써, 지문 식별 서비스를 너무 빨리 작동하여 지문 식별하는 것으로 인해 자원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원 절약의 효과를 이룬다.
도 3은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지문 식별 장치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설비에 적용되며 상기 액정 스크린에는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문 식별 장치는, 명령 수신 모듈(310), 영역 확정 모듈(320), 센서 선택 모듈(330) 및 지문 식별 모듈(340)을 포함한다.
명령 수신 모듈(3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한다.
영역 확정 모듈(320)은, 명령 수신 모듈(310)이 지문 식별 명령이 수신된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한다.
센서 선택 모듈(330)은, 영역 확정 모듈(320)이 확정된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한다.
지문 식별 모듈(340)은, 센서 선택 모듈(330)이 선택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한다.
위에 설명한 바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지문 식별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고,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지문 식별하도록 한다. 이로써, 전체 액정 스크린 상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에 대해 지문 식별함으로 인한 자원 낭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를 이룬다.
도 4는 예시적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 식별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지문 식별 장치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한 전자 설비에 적용되고 상기 액정 스크린에는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문 식별 장치는, 명령 수신 모듈(410), 영역 확정 모듈(420), 센서 선택 모듈(430) 및 지문 식별 모듈(440)을 포함한다.
명령 수신 모듈(4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한다.
영역 확정 모듈(420)은, 명령 수신 모듈(410)이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한다.
센서 선택 모듈(430)은, 영역 확정 모듈(420)이 확정한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한다.
지문 식별 모듈(440)은, 센서 선택 모듈(430)이 선택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영역 확정 모듈(420)은, 제1 확정 서브 모듈(421) 및 제2 확정 서브 모듈(422)을 포함한다.
제1 확정 서브 모듈(421)은,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측정된 광도 수치가 소정 한계치의 각 광 센서기를 확정한다.
제2 확정 서브 모듈(422)은,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지문 식별 장치는, 영역 검출 모듈(450) 및 오퍼레이션 트리거 모듈(460)을 포함한다.
영역 검출 모듈(450)은,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광 센서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지를 검출한다.
오퍼레이션 트리거 모듈(460)은, 영역 검출 모듈(450)이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광 센서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검출한 경우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지문 식별하도록 트리거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컨트롤한다.
선택적으로, 센서 선택 모듈(430)은, 키프 아웃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1 선택 서브 모듈(431); 또는, 지문 식별 센서가 배열(array) 형식으로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경우, 키프 아웃 영역이 커버하는 열수와 행수를 확정하여 열수를 길이로, 행수를 너비로 하여 직사각형의 식별 영역을 생성하며 식별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선택 서브 모듈(43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문 식별 모듈(440)은,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441) 또는 지문 출력 서브 모듈(442)을 포함한다.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441)은,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데이터 라인을 통해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수집한 지문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지문 출력 서브 모듈(442)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441)은,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하여 이내이블 라인을 통해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한다. 여기서, 각 지문 식별 센서는 대응되는 이내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로, 본 출원이 제공하는 지문 식별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고,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고,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지문 식별 할 수 있도록 컨트롤한다. 이로써, 전체 액정 스크린 상의 모든 지문 식별 센서에 대해 지문 식별함으로 인한 자원 낭비가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자원 절약의 효과를 이룬다.
또한, 측정된 광도 수치가 사전 설정된 한계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를 확정함으로써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한다. 우선 광 센서를 통해 손가락과 액정 스크린이 접촉하는 것을 확정한 다음 지문 식별 서비스를 작동함으로써, 너무 일찍 지문 식별 서비스를 작동하여 지문 식별하는 것으로 인한 자원 낭비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자원 절약의 효과를 이룬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대해, 여기서 각 모듈이 수행하여 오퍼레이션 한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상기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을 하였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 따른 예시적 일 실시예는 지문 식별 장치를 제공하여, 본 출원이 제공하는 지문 식별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지문 식별 장치는 전자 설비에 사용되며, 액정 스크린, 액정 스크린에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고,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고, 선택된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5는 예시적 일 실시예 따라 나타낸 지문 식별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예컨대, 장치(500)는 모바일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방송단말기, 메시지송수신장치, 게임컨트롤러, 패널장치, 의료장치, 헬스장치, 개인용 정보단말기(PDA) 등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5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502), 메모리(504), 전원 어셈블리(5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 오디오 어셈블리(5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512), 센서 어셈블리(514) 및 통신 어셈블리(516) 중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프로세싱 어셈블리(502)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되는 장치(5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어셈블리(5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518)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어셈블리(5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여 프로세싱 어셈블리(5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어셈블리(5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502) 사이의 인터랙티브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500)에서의 조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5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에 이용되는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5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506)는 장치(5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506)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500)의 전력 생성, 관리 및 할당과 관련된 그밖의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는, 장치(500)와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 및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 및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5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5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적 초점 변경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5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5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며, 장치(5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5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516)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5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5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5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패드, 클릭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시작버튼 및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장치(500)에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514)는 장치(5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 예를 들어 어셈블리가 장치(500)의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임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또한 장치(500) 또는 장치(5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500)의 접촉 여부, 장치(5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5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도 있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접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514)는 또한 예를 들어 CMOS 또는 CCD 화상센서와 같이 화상 형성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514)는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어셈블리(516)는 장치(500)와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500)는 통신표준 기반의 무선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516)는 방송 채널에 의해 외부 방송관리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5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무선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전파식별(RFID) 기술, 국제적외선데이터통신협회 (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5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D), 프로그래머블논리소자(PLD), 필드프로그래머블게이트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앨범 표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한 비임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Non tempora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한 메모리(5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500)의 프로세서(518)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앨범 표시 방법을 완성한다. 예를 들어, 비임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 및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고려한 후 본 출원에 따른 기타 실시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출원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출원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본 출원에 공개되지 않은 본 분야의 공지상식 또는 관용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볼 뿐이며, 본 출원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지문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트리거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상기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측정된 광도 수치가 소정 한계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키프 아웃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문 식별 센서가 배열(array) 형식으로 상기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이 커버하는 열수와 행수를 확정하여, 상기 열수를 길이로, 상기 행수를 너비로 하여 직사각형의 식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식별 영역 내의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수집한 지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는,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 하여, 이네이블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각 지문 식별 센서는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방법.
  7.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분포되어 있는 액정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설비에 적용되는 지문 식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도록 구성된 명령 수신 모듈;
    상기 명령 수신 모듈이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도록 구성된 영역 확정 모듈;
    상기 영역 확정 모듈이 확정한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센서 선택 모듈; 및
    상기 센서 선택 모듈이 선택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지문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확정 모듈은,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측정된 광도 수치가 소정 한계치보다 작은 각 광 센서를 확정하는 제1 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영역을 상기 키프 아웃 영역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영역 검출 모듈; 및
    상기 영역 검출 모듈이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상기 광 센서가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항하도록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오퍼레이션 트리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선택 모듈은,
    상기 키프 아웃 영역 내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1 선택 서브 모듈; 또는
    상기 지문 식별 센서가 배열(array) 형식으로 상기 액정 스크린에 분포된 경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이 커버하는 열수와 행수를 확정하여, 상기 열수를 길이로, 상기 행수를 너비로 하여 직사각형의 식별 영역을 생성하고 상기 식별 영역에 분포된 각 지문 식별 센서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제2 선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11. 제7 항 내지 제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식별 모듈은,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도록 구성된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수집한 지문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지문 출력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컨트롤 서브 모듈은,
    모든 지문 식별 센서를 초기화 하여, 이네이블 라인을 통해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가 대응되는 데이터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컨트롤하고,
    각 지문 식별 센서는 대응되는 이네이블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13. 지문 식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액정 스크린에서 지문 식별 센서와 광 센서가 포함되는 액정 스크린;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트리거 된 지문 식별 명령을 획득하고;
    상기 지문 식별 명령을 수신 후, 상기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각 광 센서의 위치로 구성된 키프 아웃 영역을 확정하며;
    상기 키프 아웃 영역에 따라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일부 지문 식별 센서를 컨트롤하여 상기 손가락에 대해 지문 식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식별 장치.
KR1020167007232A 2015-10-09 2015-12-25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 KR20180054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49735.1 2015-10-09
CN201510649735.1A CN106570442B (zh) 2015-10-09 2015-10-09 指纹识别方法及装置
PCT/CN2015/099037 WO2017059638A1 (zh) 2015-10-09 2015-12-25 指纹识别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95A true KR20180054395A (ko) 2018-05-24

Family

ID=5558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232A KR20180054395A (ko) 2015-10-09 2015-12-25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103252A1 (ko)
EP (1) EP3153989B1 (ko)
JP (1) JP6366699B2 (ko)
KR (1) KR20180054395A (ko)
CN (1) CN106570442B (ko)
MX (1) MX2016004585A (ko)
RU (1) RU2639648C1 (ko)
WO (1) WO2017059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4228A (zh) * 2015-08-13 2015-12-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设备及其屏幕模组、指纹采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8195782A1 (zh) * 2017-04-25 2018-11-0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确定显示屏内指纹提示图案的位置的方法与装置
CN107423601B (zh) * 2017-04-28 2020-06-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识别控制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计算机产品
CN107122748B (zh) * 2017-04-28 2021-07-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7194222A (zh) * 2017-04-28 2017-09-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显示模式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7172267B (zh) * 2017-04-28 2021-01-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识别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7179871A (zh) * 2017-04-28 2017-09-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指纹识别区域显示方法及相关产品
CN107153818B (zh) 2017-05-03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光学指纹验证方法及相关产品
CN107194331B (zh) * 2017-05-08 2019-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指纹识别方法及移动终端
CN107153448B (zh) * 2017-05-27 2021-01-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316033A (zh) * 2017-07-07 2017-11-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指纹识别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移动终端
CN107819011B (zh) * 2017-09-28 2019-12-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移动终端和显示方法
CN108319899B (zh) * 2018-01-09 2021-11-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和装置
EP3745297A4 (en) 2018-02-07 2021-01-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FOR COLLECTING FINGERPRINT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GERPRINTS
CN108960105B (zh) * 2018-06-25 2021-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电路板、终端设备及指纹识别方法
CN110765813B (zh) * 2018-07-26 2023-08-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及装置
EP3647995A1 (en) * 2018-09-21 2020-05-06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1488761B (zh) * 2019-01-25 2024-04-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695382B (zh) 2019-03-14 2024-02-1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纹采集区域确定方法和指纹采集区域确定装置
CN110262626B (zh) 2019-05-09 2023-12-0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10291533B (zh) * 2019-05-15 2023-05-2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5396707A (zh) * 2022-04-26 2022-11-25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控制方法、装置、遥控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885B2 (ja) * 1993-05-07 2005-05-1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5828773A (en) * 1996-01-26 1998-10-27 Harris Corporation Fingerprint sensing method with finger position indication
JP2000315118A (ja) * 1999-05-06 2000-11-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4141997B2 (ja) * 2004-06-09 2008-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センサ保護カバー、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6039686A (ja) * 2004-07-22 2006-02-09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タッチ領域検出方法およびタッチ領域検出プログラム
CN101097598A (zh) * 2007-03-23 2008-01-02 北京紫光捷通科技有限公司 利用压敏传感器构造指纹图像输入装置
KR102559017B1 (ko) * 2007-09-24 2023-07-25 애플 인크. 전자 장치 내의 내장형 인증 시스템들
TWI403940B (zh) * 2008-12-03 2013-08-01 Au Optronics Corp 光感式觸控板之觸碰偵測方法及運用此方法之觸控式電子裝置
EP2381345A4 (en) * 2009-01-20 2013-06-05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INTENSITY SENSOR
JP5388114B2 (ja) * 2009-05-19 2014-01-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US9274553B2 (en) * 2009-10-30 2016-03-01 Synaptics Incorporated Fingerprint sensor and integratable electronic display
US20150363038A1 (en) * 2010-04-23 2015-12-17 Handscape Inc. Method for orienting a hand on a touchpad of a computerized system
CN102722297B (zh) * 2011-03-30 2016-01-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设备及其实现接近感应的方法
US9189675B2 (en) * 2011-04-28 2015-11-17 Moon J. Kim Adaptive fingerprint scanning
CN102955558B (zh) * 2011-08-22 2016-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传感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810367B2 (en) * 2011-09-22 2014-08-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multimode fingerprint reader
WO2013080444A1 (ja) * 2011-11-29 2013-06-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WO2013088555A1 (ja) * 2011-12-15 2013-06-20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及び生体情報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367173B2 (en) * 2012-01-17 2016-06-14 Apple Inc. Finger sensor having pixel sensing circuitry for coupling electrodes and pixel sensing traces and related methods
US9066125B2 (en) * 2012-02-10 2015-06-23 Advanced Biometric Controls, Llc Secure display
US20130279769A1 (en) * 2012-04-10 2013-10-24 Picofield Technologies Inc. Biometric Sensing
US9223442B2 (en) * 2013-01-10 2015-12-29 Samsung Display Co., Ltd. Proximity and touch sensing surface for integration with a display
US10203816B2 (en) * 2013-05-07 2019-02-12 Egis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FT fingerprint sensor
US9898642B2 (en) * 2013-09-09 2018-02-20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based on fingerprint sensor inputs
KR20150034832A (ko) * 2013-09-24 201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증 수행 및 사용자 지문 이미지 등록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
JP6318588B2 (ja) * 2013-12-04 2018-05-09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699885A (zh) * 2013-12-18 2014-04-02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光学指纹采集方法、光学指纹采集装置及便携式电子装置
KR20150073539A (ko) * 2013-12-23 201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입력 감지장치 및 방법
CN104751106B (zh) * 2013-12-30 2019-09-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指纹传感器及指纹传感器的控制方法
KR102220447B1 (ko) * 2014-01-15 202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36637B2 (en) * 2014-01-15 2017-12-05 Google Llc Finger print state integration with non-application processor functions for power saving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2177150B1 (ko) * 2014-02-19 2020-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 장치 및 방법
CN104318222B (zh) * 2014-11-14 2019-10-11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指纹检测的检测方法和装置
CN104537365B (zh) * 2015-01-07 2019-03-2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摸按键和指纹识别实现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4932753B (zh) * 2015-07-15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及其触摸方法和显示装置
CN106709405B (zh) * 2015-11-16 2021-01-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移动设备及其屏幕模组、指纹采集方法、装置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4585A (es) 2017-05-04
RU2639648C1 (ru) 2017-12-21
CN106570442B (zh) 2021-05-14
EP3153989B1 (en) 2021-03-31
EP3153989A1 (en) 2017-04-12
WO2017059638A1 (zh) 2017-04-13
JP2017534086A (ja) 2017-11-16
JP6366699B2 (ja) 2018-08-01
CN106570442A (zh) 2017-04-19
US20170103252A1 (en)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395A (ko) 지문 식별 방법 및 장치
US10169634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fingerprint recognition
CN106951884B (zh) 采集指纹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0942580B2 (en) Input circuitry,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US102825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izing touch button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terminal device using same
US10102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ouch key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terminal device
US10452890B2 (en) Fingerprint template input method, device and medium
US10284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hotograph from being shielded
CN108319838B (zh) 屏下指纹验证装置、方法、存储介质和移动终端
US2017006032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using a side touch panel
US201701235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ccidental touch of terminal with touch screen
CN111695382B (zh) 指纹采集区域确定方法和指纹采集区域确定装置
WO2018133387A1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
US10402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ressure
US10558328B2 (en) Display screen unlocking method and apparatus
US10095911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for verifying a fingerprint
CN108491834B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
EP32643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fingerprint verification
CN110929550A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09144587B (zh) 终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6019599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generated from touching virtual keys
CN107329604B (zh)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装置
US201601736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bile terminal
CN110929551A (zh) 指纹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2580387A (zh) 指纹录入方法及装置、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